KR20110078293A -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8293A
KR20110078293A KR1020090135064A KR20090135064A KR20110078293A KR 20110078293 A KR20110078293 A KR 20110078293A KR 1020090135064 A KR1020090135064 A KR 1020090135064A KR 20090135064 A KR20090135064 A KR 20090135064A KR 20110078293 A KR20110078293 A KR 20110078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static
nonwoven fabric
spunbond nonwoven
manufacturing
fil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5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7290B1 (ko
Inventor
이민호
김진일
최진환
조경제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5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290B1/ko
Publication of KR20110078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8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2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0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olefin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2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amide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2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ultrasonic or sonic; Corona discharge
    • D06M10/025Corona discharge or low temperature plasm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27Spun-bond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4Filters

Abstract

본 발명은 공정이 단순하고 제조 공정이 용이하며, 공기투과도가 높고 압력 손실이 낮으며 우수한 포집 효율이 장시간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에어 필터 등에 이용할 수 있는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폴리올레핀 및 고유전율의 무기물을 포함하는 장섬유 형태의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공정; 상기 제조된 필라멘트를 통해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는 공정; 및 상기 제조된 스펀본드 부직포에 전하를 부여하기 위해서 정전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정전,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Description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Electrostatic spunbond nonwove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어 필터 등에 이용 가능한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과(filtration)는 멤브레인 및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여재에 기체 또는 액체 등의 유체를 통과시켜 유체 속에 포함된 입자를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러한 여과 방법으로는 전기적, 화학적, 또는 기계적인 방법이 있다.
이러한 여과는 확산(diffusion), 관성(inertia), 중력(gravity), 차단(interception), 정전기(electrostatics) 등의 특성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중 정전기 방식은, 공기 중에 부유하는 입자가 양전하 또는 음전하로 대전된 경우 정전된 필터에 의해 용이하게 포집되고, 한편 입자가 대전되지 않은 경우 정전된 필터에 의해 입자에 유도 전하가 발생되고 이러한 유도 전하된 입자는 정전된 필터에 의해 용이하게 포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필터 등에 사용되는 정전 부직포는 올레핀 고분자를 이용하여 멜트블 로운(meltblown) 방식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올레핀 고분자로 이루어진 멜트블로운 부직포는 포집 효율 및 포집 용량이 우수한 이점이 있으나, 마찰 및 인장 강도가 약하고 형태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스펀본드 부직포에 대한 기술이 제시되었는데, 상기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스펀본드 부직포는 강도가 강하고 열안정성 및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으나, 반면 고온 다습한 환경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정전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부직포에 정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정전 수지를 코팅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코팅 방식은 생산 공정이 복잡하고 공정 중 폐액이 발생함에 따라 환경이 오염되고 제조비용이 높으며 압력 손실이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정전 부직포는 단섬유 형태의 폴리올레핀을 이용하여 웹을 제조한 후 유제를 제거하고 정전을 부여하는 스펀레이스 방식에 의해 제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스펀레이스 방식으로 제조된 부직포는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높을 뿐 아니라 기계적 강도가 떨어지고 정전 성능이 크게 향상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공정이 단순하고 압력 손실이 낮으며 정전 성능이 우수하여 집전 효율이 향상된 정전 부직포에 대한 기술의 개발이 적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공정이 단순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공기투과도가 높아 압력 손실이 낮으며, 우수한 포집 효율이 장시간 지속할 수 있기 때문에 에어 필터 등에 이용할 수 있는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이점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폴리올레핀 및 고유전율의 무기물을 포함하는 장섬유 형태의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공정; 상기 제조된 필라멘트를 통해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는 공정; 및 상기 제조된 스펀본드 부직포에 전하를 부여하기 위해서 정전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장섬유 형태의 필라멘트; 및
고유전율을 갖는 무기물을 포함하는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는 공정이 단순하고 용이함에 따라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는 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는 공기투과도가 높아 압력 손실 이 낮고 우수한 포집 효율이 장시간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는 에어필터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장섬유 형태의 필라멘트를 제조한다.
상기 필라멘트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중합체를 단독방사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일 수 있고, 이들의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폴리올레핀을 포함함으로써 필라멘트들을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기 때문에 부직포 제조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올레핀은 140 내지 170℃의 융점을 가질 수 있다. 만일, 상기 폴리올레핀의 융점이 140℃ 미만일 경우 후가공 공정에서 열수축이 쉽게 발생함에 따라 형태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반면, 상기 폴리올레핀의 융점이 170℃를 초과할 경우 필라멘트들이 저온에서 용이하게 접착되지 않고, 고온에서 열처리가 행해지기 때문에 정전 성능이 급격하게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은 10 내지 60의 멜트 인덱스(melt index)를 가질 수 있다. 만일, 상기 멜트 인덱스가 10 미만일 경우 용융점도가 너무 높아져 방사 구금의 압력이 급격히 상승하여 용융된 중합체가 리크(leak)될 수 있고, 반면 상기 멜트 인덱스가 60을 초과할 경우 용융점도가 너무 낮아져 필라멘트가 원활하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필라멘트는 시스-코어(sheath-core)형 복합섬유일 수 있다. 즉, 부직포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는 강도 및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섬유를 지지체 역할을 하는 코어에 위치시키고 접착이 용이하고 전기적으로 정전기를 하전할 수 있는 폴리올레핀을 시스(sheath)에 위치시킨 복합섬유일 수 있다.
상기 코어는 20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코어의 융점이 200℃ 미만의 융점을 가질 경우 부직포 제조 공정 중 열처리 공정에서 수축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어 공기투과도가 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어는 공정성 등을 고려할 경우 500℃ 이하의 융점을 가지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코어는 5 내지 12 g/d의 강도를 가지는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상기 코어의 강도가 5 g/d 미만일 경우 형태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고, 반면 상기 코어의 강도가 12 g/d를 초과할 경우 굴곡성이 떨어져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강도는 인스트론 시험기(Instron Engineering Corp, Canton, Mass)를 이용하여 길이가 25㎝인 샘플이 파단될 때까지 신장시켜 측정한다. 이때, 인장속도는 300㎜/분으로 하였고, 초하중은 섬도 × 1/30g으로 한다.
이와 같은 물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섬유로는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이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코어는 나일론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는 총 필라멘트에 대해 80 중량% 이하로 함유될 수 있다. 만일, 상 기 코어의 함량이 8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필라멘트들 간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합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는 접착이 용이함으로써 공정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물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함에 따라 형태 안정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필라멘트는 원활한 정전 성능을 가지기 위해 고유전율의 무기물을 포함한다. 상기 무기물은 이산화규소, 삼산화알루미늄, 이산화티탄, 및 탄산칼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물의 함량은 필라멘트에 대해 0.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만일 상기 무기물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 제조된 부직포는 정전이 원활하게 부여되지 않고 반감기가 급격하게 저하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무기물의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제조된 부직포는 정전 성능은 우수하나, 전도성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자유전하의 이동이 용이해져 이에 따라 반감기가 급격히 떨어질 수 있다.
상기 필라멘트는 정전 성능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방사 전, 폴리비닐리덴플루오로(PVDF)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과 같은 불소계 폴리머를 추가로 첨가한 후 방사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필라멘트는 0.5 내지 10 데니어의 단사 섬도를 가질 수 있다. 만일, 상기 필라멘트의 단사 섬도가 0.5 데니어 미만일 경우 단위 면적당 필라멘트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공극이 적어지고 이에 따라 공기 투과도인 통기성이 저하될 수 있 다. 반면, 상기 필라멘트의 단사 섬도가 10 데니어를 초과할 경우 부직포의 균일도가 떨어지고 통기성이 과도하게 높아짐에 따라 포집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다음, 상기 제조된 필라멘트를 통해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한다. 즉, 필라멘트를 고압의 공기 연신 방법을 이용하여 섬도를 조정하고 연신된 필라멘트를 적층하여 웹 형태로 만들고 이러한 웹을 접착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한다.
상기 방사 공정은 공정 안정성 및 생산성 등을 고려하여 3,500 내지 5,000 m/분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웹을 형성하는 공정은 통상적인 공정인 개섬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웹을 접착하는 공정은 열 접착법, 니들 펀치법, 워터 펀치법, 스티치 본드법, 바인더에 의한 화학적 본드법 등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들 중 열접착 방식을 통해 통상 웹을 이루는 필라멘트들을 상호 접착시키는데, 이러한 열접착 방식은 고온 및 고압의 캘린더 롤이나 엠보싱 롤 등을 이용한 접촉식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열풍 등을 이용한 비접촉식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만일, 접촉식 방식을 통해 웹을 접착하는 경우, 제조된 부직포는 강도 및 신도는 우수할 수 있으나,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밀도가 과도하게 높아지고 이에 따라 공극이 작아짐에 따라 공기투과도가 낮아져서 포집 용량이 감소할 수 있다. 특히, 엠보싱 롤 방식의 경우 엠보싱 된 부분의 웹은 열융착에 의해 필라멘트들이 필름으로 변화됨에 따라 공극이 소멸하여 이로부터 제조된 부직포는 필터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식 열접착 방식과 달리, 열풍 등을 이용한 비접촉식 열접착 방식은 웹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웹을 구성하는 필라멘트들이 상호 접착되기 때문에 상술한 접촉식 열접착 방식에서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열풍을 이용한 열접착 공정은 텐터 장치 등을 이용하여 필라멘트의 융점에 따라 적절한 온도로 설정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정으로 제조된 스펀본드 부직포는 10 내지 300 g/㎡의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만일,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의 중량이 10 g/㎡ 미만일 경우 필라멘트들의 분포도를 조절하기가 곤란하고 정전량이 낮아지기 때문에 포집 효율이 급격히 떨이지며 기계적 물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의 중량이 300 g/㎡를 초과할 경우 포집 효율은 증가할 수 있으나 공기투과도가 낮아질 수 있고 접착 조건이 가혹해질 수 있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는 0.1 내지 1.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만일,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의 두께가 0.1 ㎜ 미만일 경우 공극이 작음으로써 포집 효율은 증가하나 압력 손실이 증가하여 포집 용량이 낮아질 수 있다. 반면,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의 두께가 1.0 ㎜를 초과할 경우 기체가 구조적인 저항을 받게 됨에 따라 압력 손실이 급격하게 증가할 수 있다.
다음, 제조된 스펀본드 부직포에 전하를 부여하여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한다. 즉, 스펀본드 부직포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미세 먼지에 대한 포집 효율 및 포집 용량이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펀본드 부직포에 정전 처리될 경우 이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는 내부에 강제적으로 분극된 전하를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분극된 전하를 갖는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부직포는 전하를 띠는 미세 입자를 용이하게 포집하게 된다.
이러한 정전 처리 공정은 코로나 방전, 플라즈마 대전, 마찰대전, 고압의 물방울을 통한 수 대전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들 중 코로나 방전 방식은 용융된 중합체의 필라멘트가 완전하게 경화된 이후에 방전처리하는 콜드(cold) 코로나 방전과 필라멘트가 완전하게 경화되지 않아서 필라멘트 섬유 내부의 자유전하가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상태에서 실시하는 열(hot) 코로나 방전 방식이 있다.
상기 코로나 방전 방식은 30 ~ 60 ㎸의 전압에서 수행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전압이 30 ㎸ 미만일 경우 전기 분극률이 너무 낮기 때문에 목적하는 포집 효율을 얻을 수 없고, 반면 상기 접압이 60 ㎸를 초과할 경우 부직포에 구멍(hole) 등의 결점이 발생되기 쉽고 작업자에게 치명상을 입힐 수 있다.
상기 코로나 방전 방식은 0.1 ~ 6.0 ㎃의 전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전류가 0.1 ㎃ 미만일 경우 전하의 이동량이 적기 때문에 충분한 정전 성능을 부여할 수 없고, 반면 상기 전류가 6.0 ㎃를 초과할 경우 작업자에게 치명상을 입힐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해 제조된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는 에어필터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으로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 리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 단독 방사
1) 필라멘트의 제조
멜트 인덱스가 34이고 융점이 165℃인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285℃의 온도로 설정된 연속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시키고 이를 방사구금을 통하여 방사하여 9 데니어의 단사 섬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방사속도는 3,500 m/분이었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는 고유전율 무기물인 이산화규소를 0.03 중량%를 포함하였다.
2)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개섬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필라멘트를 연속 이동하는 네트 상에 적층시켜 웹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열풍 장치인 텐터를 이용하여 상기 웹을 접착시켜 단위 면적 당 중량이 100 g/㎡ 인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3)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코로나 방전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를 정전 처리하여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때, 코로나 방전 공정은, 50 ㎸의 전압 및 2.5 ㎃의 전류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실시예 2 내지 4 : 고유전율 무기질 함량 변경
전술한 실시예 1에서,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는 고유전율 무기질인 이산화규소를 각각 0.01, 0.1, 및 0.5 중량%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 법에 의해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내지 6 : 정전 처리 조건 변경
전술한 실시예 1에서, 정전 처리 조건 중 전압을 각각 60 및 70 ㎸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 복합 방사
전술한 실시예 1에서, 멜트 인덱스가 34이고 융점이 165℃인 9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시스로 사용하고, 고유점도가 0.65이고 융점이 254℃인 10 중량%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코어로 사용하여 복합방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 복합 방사 조건 변경
전술한 실시예 7에서, 코어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함량을 20 중량% 및 시스인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을 80 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전술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에 0.4 중량%의 유제를 부여하고, 상기 필라멘트를 절단하여 40㎜의 길이를 갖는 단섬유를 준비한 후, 카딩 공정을 통해 웹을 형성하고 이어서 유제가 제거되지 않은 제조된 웹을 니들 펀칭공정을 거쳐 니들펀칭 부직포를 제조한 후, 제조된 니들펀칭 부직포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정전처리하여 정전 니들펀칭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전술한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웹을 워터 제트로 고압 분사하여 유제를 제거하는 동시에 스펀레이스 부직포를 제조한 후, 제조된 스펀레이스 부직포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정전처리하여 정전 스펀레이스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전술한 실시예 1에서, 정전 처리 공정을 수행하지 않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얻어진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들, 정전 스펀레이스 부직포 및 스펀본드 부직포의 물성은 다음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공기투과도( ccs ) 측정
공기투과도는 ASTM D 737 규정에 따른 프레이져(Frazier) 시험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25 Pa의 드레인(drain) 압력에서 38 ㎠ 크기를 갖는 시편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sec)을 얻음으로써 공기투과도를 측정하 였다.
포집 효율(%) 및 압력 손실( mmAq ) 측정
먼지 입자에 대한 포집 효율(%)은 자동화된 효율 시험기(TSI사, Model 8130, 미네소타주 세이트폴)에 의해 측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적용 풍량 32 LPM(면풍속 5.33㎝/sec)의 기류 속도에서 염화나트륨이 함유된 에어로졸을 부직포 샘플에 통과시켜 통과 전후의 염화나트륨 농도를 측정하여 부직포에 의해 집진된 염화나트륨의 양을 계산하고 이를 통과 전의 염화나트륨 양으로 나눈 후 백분율하여 포집 효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에어로졸은 염화나트륨을 증류수에 용해시켜 20 중량%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만든 후, 염화나트륨이 0.3 ㎛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히터 장치에 의해 수분을 기화시켜 제조하였다.
압력 손실(mmAq)은 포집 효율 측정방법과 유사하게 적용 풍량 32 LPM의 기류 속도에서 부직포 샘플의 통과 전후의 압력 손실 값으로부터 측정하였다.
반감기 처리 후의 포집 효율(%) 측정
정전필터에 대한 필터 포집 효율의 반감기는 국내 자동차용 캐빈 에어필터 유닛(RS K 0011 : 2003)에 의해 환경 안정성(반감기 처리) 시험 규격에 의해 측정되었다. 구체적으로는, 80℃±5℃, 90%±5% 상대습도에서 8시간 처리 후, -40℃±5℃에서 8시간 노출 처리하는 것을 1 사이클로 하며, 상기 사이클을 3회 반복한 다음 상온에서 5시간 정도 방치시켜 반감기 처리를 하였다. 이러한 반감기 처리 후 상기 포집효율(%) 시험기(TSI, Model 8130)에 의해 포집 효율(%)을 측정하였다.
구분 공기투과도
(ccs)
압력손실
(mmAq)
효율
(%)
반감기 처리
후 효율(%)
필터 성능
실시예 1 132 0.6 56.3 55.4
실시예 2 141 0.5 41.2 40.9
실시예 3 134 0.6 56.3 49.5
실시예 4 153 0.5 56.8 48.1
실시예 5 126 0.6 58.6 56.1
실시예 6 140 0.5 57.2 56.0
실시예 7 135 0.6 50.7 48.8
실시예 8 133 0.6 48.0 45.6
비교예 1 242 0.3 21.3 18.3 X
비교예 2 225 0.3 43.8 39.1
비교예 3 130 0.6 11.2 11.1 X

Claims (15)

  1. 폴리올레핀 및 고유전율의 무기물을 포함하는 장섬유 형태의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공정;
    상기 제조된 필라멘트를 통해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는 공정; 및
    상기 제조된 스펀본드 부직포에 전하를 부여하기 위해서 정전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공정은, 시스-코어(sheath-core)형 복합방사 공정을 포함하되, 상기 시스(sheath)는 폴리올레핀 섬유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core)는 20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5 내지 12 g/d의 강도를 가지는 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공정은 방사하기 전에 불소계 폴리머를 추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를 제조하는 공정은,
    필라멘트를 적층하는 공정; 및
    상기 적층된 필라멘트를 접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필라멘트를 접착하는 공정은 열접착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접착 방식은 비접촉식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처리하는 공정은 코로나 방전, 플라즈마 대전, 마찰대전, 고압의 물방울을 통한 수 대전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 방전 방식은, 30 ~ 60㎸의 전압 및 0.1 ~ 6.0㎃의 전류 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10.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장섬유 형태의 필라멘트; 및
    고유전율을 갖는 무기물을 포함하는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는 상기 폴리올레핀 섬유를 포함하는 시스(sheath); 및
    20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섬유를 포함하는 코어(core)로 이루어진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나일론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함량은 총 필라멘트에 대해 80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은 이산화규소, 삼산화알루미늄, 이산화티탄, 및 탄산칼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의 함량은 0.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
KR1020090135064A 2009-12-31 2009-12-31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87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064A KR101287290B1 (ko) 2009-12-31 2009-12-31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064A KR101287290B1 (ko) 2009-12-31 2009-12-31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293A true KR20110078293A (ko) 2011-07-07
KR101287290B1 KR101287290B1 (ko) 2013-07-17

Family

ID=44917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5064A KR101287290B1 (ko) 2009-12-31 2009-12-31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2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166B1 (ko) * 2013-02-25 2013-10-11 동화 바이텍스 주식회사 항바이러스성 부직포,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캐빈에어필터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150079123A (ko) * 2013-12-31 2015-07-08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자동차용 캐빈필터
KR102256160B1 (ko) 2020-11-16 2021-05-25 조정인 멜트블로운 부직포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463B1 (ko) * 2020-12-29 2023-12-2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심초형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5152A (ja) * 1996-01-19 1997-07-29 Toray Ind Inc 不織布および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
BR9707421A (pt) * 1996-02-12 2000-01-04 Fibervisions As Fibras contendo partìculas
KR100982235B1 (ko) * 2008-03-28 2010-09-14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폴리올레핀 단섬유로 제조된 스펀레이스 부직포로 구성된정전필터층을 포함하는 에어필터
US20090252941A1 (en) * 2008-04-03 2009-10-08 Usg Interiors, Inc. Non-woven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uch materi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166B1 (ko) * 2013-02-25 2013-10-11 동화 바이텍스 주식회사 항바이러스성 부직포,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캐빈에어필터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150079123A (ko) * 2013-12-31 2015-07-08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자동차용 캐빈필터
KR102256160B1 (ko) 2020-11-16 2021-05-25 조정인 멜트블로운 부직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7290B1 (ko)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593B1 (ko) 필터용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US5486411A (en) Electrically charged, consolidated non-woven webs
US8206481B2 (en) HEPA (H-10) performance synthetic nonwoven and nanofiber composite filter media
JP6172924B2 (ja) エアフィルター又はマスク用不織布基材の製造方法
JP5037034B2 (ja) フィルタ濾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ならびにフィルタユニット
JP6575523B2 (ja) メルトブロー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17324A (ko) 필터 여과재, 그의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 및 필터 유닛
JP5422874B2 (ja) フィルター用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09734B2 (ja) 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535180A (ja) 溶融紡糸処理、溶融紡糸不織布繊維ウェブ、及び関連する濾材
WO2009136395A1 (en) Nonwoven material
JPWO2008035775A1 (ja) 耐熱性不織布
US5730923A (en) Post-treatment of non-woven webs
CN105586714A (zh) 一种高静电长纤维无纺布及其制造方法
WO2007040104A1 (ja) フィルター用不織布
KR20200033669A (ko) 나노 섬유 시트를 포함하는 정전 필터용 여과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87290B1 (ko) 정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8051545A (ja) エアフィルタ濾材、エアフィルタパック及びエアフィルタユニット
TWI635891B (zh) 帶電不織布及使用其之濾材、帶電不織布的製造方法
KR100795468B1 (ko) 멜트블라운 복합방사를 이용한 필터여재의 제조방법 및이에 의한 필터여재
JP4009514B2 (ja) 生分解性空気清浄用フィルター
JP2007152216A (ja) フィルター用不織布
CN111712598A (zh) 防静电粉尘防护布料和使用该布料的防护服
CN113906176B (zh) 熔喷非织造布、过滤器及熔喷非织造布的制造方法
JP4998938B2 (ja) 複写機トナー用フィル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