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7879A - 엑스레이 튜브 - Google Patents

엑스레이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7879A
KR20110077879A KR1020090134555A KR20090134555A KR20110077879A KR 20110077879 A KR20110077879 A KR 20110077879A KR 1020090134555 A KR1020090134555 A KR 1020090134555A KR 20090134555 A KR20090134555 A KR 20090134555A KR 20110077879 A KR20110077879 A KR 20110077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ray tube
rotor
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4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르디안솔라앤디스플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르디안솔라앤디스플레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르디안솔라앤디스플레이
Priority to KR1020090134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7879A/ko
Publication of KR20110077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78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24Tubes wherein the point of impact of the cathode ray on the anode or anticathode is movable relative to the surfac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01J35/04Electrodes ; Mutual position thereof; Constructional adaptations therefor
    • H01J35/08Anodes; Anti cathodes
    • H01J35/10Rotary anodes; Arrangements for rotating anodes; Cooling rotary an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GX-RAY TECHNIQUE
    • H05G1/00X-ray apparatus involving X-ray tubes; Circuits therefor
    • H05G1/02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GX-RAY TECHNIQUE
    • H05G1/00X-ray apparatus involving X-ray tubes; Circuits therefor
    • H05G1/08Electrical details
    • H05G1/58Switching arrangements for changing-over from one mode of operation to another, e.g. from radioscopy to radiography, from radioscopy to irradiation or from one tube voltage to another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내부에 인서트 튜브가 설치된 엑스레이 튜브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튜브가, 전자를 발생시키는 전자 발생부와, 상기 전자가 충돌해서 엑스레이를 발생시키는 타깃이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엑스레이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엑스레이 발생부는, 자장을 형성하는 고정자와, 상기 자장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타깃과 축 연결되어 있는 회전자와, 상기 고정자와 상기 회전자 사이에 위치해서 탄성체에 의해 지지된 제1 및 제2 베어링을 포함하는 엑스레이 튜브를 제공한다.
엑스레이, 튜브, 회전자, 고정자

Description

엑스레이 튜브{X-ray tube}
본 발명은 엑스레이 튜브에 관한 것이다.
빠른 전자를 물체에 충돌시키게 되면, 강한 복사선이 방출되는데 이 복사선을 엑스레이(x-ray)이라고 한다. 이 엑스레이는 투과력이 강해서 물체의 내부를 관찰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일 예로, 의료 영상기기의 하나로 널리 사용되는 바, 인체의 내부를 엑스레이 촬영해서 몸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데 이용된다.
이 같은 엑스레이 튜브의 기본 구조를 보면, 가열된 텅스텐 필라멘트에서 방출된 전자는 높은 진공(10-6~10-8Torr)의 관 내에서 음극(금속제의 집속캡)과 양극(구리)에 가해진 높은 전압으로 가속되어 음극과 마주보는 양극의 타깃면에 충돌한다. 엑스레이는 이 충돌 부분에서 발생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방사된다. 이 중 추출하기 쉬운 방향의 일부 엑스레이를 이용하고 다른 방향의 것은 엑스레이 방지용 용기로 피복하여 불필요한 엑스레이의 외부방출을 적게 한다.
회전형 엑스레이 튜브인 경우, 엑스레이를 발생시키는 부분이 회전자와 고정자를 갖는 전동기 구성으로 이뤄지고, 회전자는 고진공, 고온에서 최대 10,800(RPM)까지 회전한다. 따라서, 회전자 및 고정자 사이에 베어링을 설치해서 둘 사이의 회전을 원활히 한다.
그런데, 엑스레이 튜브가 온도 변화가 심한 환경에서 동작하므로, 이점을 감안해서 베어링 역시도 열팽한다는 점을 고려해 베어링을 구성하는 내륜과 외륜 사이에 일정한 틈을 형성하고 있다.
그런데, 이 틈으로 인해, 베어링이 구동할 때 마찰이 발생하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 베어링의 동작 소음을 줄이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탄성체의 탄성력을 이용해서 베어링의 틈새를 없앤다. 이에 따라, 틈새 때문에 발생하던 종전의 베어링 소음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링의 동작 과정에서 내륜과 외륜이 서로 떨어지지 않도록 해, 베어링의 동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탄성력을 이용해서 베어링의 내륜과 외륜이 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베어링이 열팽창하는 경우에도 문제없이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튜브의 개략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엑스레이 튜브(1)는 하우징(11)에 인서트 튜브(13)가 내 장된 형태로 구성된다. 인서트 튜브(13)는 밀폐된 하우징(11)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또한 하우징(11) 내부는 절연유로 채워져 있다. 절연유는 일반적으로 알킬벤젠이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11)은 엑스레이를 차폐하기 위해서, 납과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다. 하우징(11)의 한쪽으로는 인서트 튜브(15)가 만드는 엑스레이가 하우징 밖으로 나올 수 있도록 방사구(15)가 형성되어 있다. 방사구(15)의 창은 투명한 나이론 수지로 만들어져서 엑스레이가 이 창을 통해서 방출된다.
또한, 하우징(11)은 인서트 튜브(13)에 고전압을 걸어주는 양극(+)과 음극(-)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그리고, 인서트 튜브(13)는 고진공(10-6~10-8Torr)의 유리관(131) 내부에 마련된 전자 발생부(133)와 엑스레이 발생부(135)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전자 발생부(133)는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텅스텐 필라멘트가 그 내부에 설치된 집속 전극(133a)을 구비한다.
집속 전극(133a)의 텅스텐 필라멘트에서 방출된 전자는 높은 진공(10-6~10-8 Torr)의 관 내에서 음극과 양극에 가해진 높은 전압으로 가속되어 음극과 마주보는 엑스레이 발생부(135)의 타깃(135a)에 충돌한다
그리고, 엑스레이 발생부(135)는 바깥의 고정자(135b)와 안쪽의 회전자(135c) 그리고, 회전자(135c)의 한쪽에 축 연결되어 있는 타깃(135a)을 포함한다. 이 엑스레이 발생부(135)는 양극(+)에 연결되어 있다.
고정자(135b)를 감싸고 있는 코일(C)에 흐르는 전류는 전자기력을 발생시켜서 회전자(135c)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서, 회전자(135c)의 한쪽 끝에 축 연결되어 있는 타깃(135a) 역시 회전을 한다.
타깃(135a)은 텅스텐 합금으로 만들어지며, 환상의 표면을 갖는다. 이 타킷(135a)은 전자 발생부(133)의 집속 전극(133a)과 마주하고 있다. 따라서, 집속 전극(133a)을 통해서 방출되는 전자는 회전하는 타깃(135a)과 충돌해 엑스레이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엑스레이 중 일부는 하우징(11)의 방사구(15)를 통해서 튜브 밖으로 방출되고, 나머지는 차폐된다.
이하, 인서트 튜브(13)를 구성하는 엑스레이 발생부(135)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엑스레이 발생부(135)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고정자(135b) 내부에 회전자(135c)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타깃(135a)이 회전자(135c)에 축 연결되어 있다. 고정자(135b)와 회전자(135c) 사이에 베어링(50, 60)이 위치해서 회전자(135c)가 잘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베어링(50, 60)은 적어도 2 이상이 설치된다.
베어링(50, 60)은 환상의 내륜(51, 61)과 환상의 외륜(53, 63)이 볼(b)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맞물려 있는 구름 베어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내륜(51, 61)은 깊은 홈 볼 베어링으로 구성되고, 외륜은 매그니토 볼 베어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베어링(50, 60)의 내륜(51, 61)에는 볼이 위치할 수 있도록 제1 홈부(51a, 6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홈부(51a, 61a)는 볼(b)의 반경보다 약간 큰 곡률 반경을 갖고 있어서, 볼(b)이 제1 홈부(51a, 61a)에 안정적으로 위치한다.
그리고, 이 제1 홈부(51a, 61a)와 마주하는 외륜(53, 63)에도 볼(b)이 위치할 수 있도록 제2 홈부(51c, 61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홈부(51c, 61c)는 제1 홈부(51a, 61a)보다 다소 얕으며, 턱이 없는 쪽은 바닥에서부터 원통형으로 만들어져 있다.
그리고, 제1 베어링(50)과 제2 베어링(60)사이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s)가 더 위치해서 베어링(50, 60)을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도면에서는 탄성체(s)가 제1 베어링(50)의 외륜(51)과 제2 베어링(60)의 외륜(61)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한다.
이처럼, 스프링(s)의 탄성력이 제1 및 제2 베어링(50, 60) 각각의 외륜(53, 63)을 통해서 볼(b)에 전달되고, 다시 내륜(51, 61)까지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열팽창이 되더라도 일정한 탄성력이 제1 및 제2 베어링(50, 60)의 내륜(51, 61), 볼(b), 외륜(53, 63)에 가해져서 내륜과 볼, 볼과 외륜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베어링(50, 60)의 내륜과 외륜 사이에 틈을 발생시키지 않아서, 베어링이 구동할 때 마찰에 의한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한편, 제1 베어링(50)의 내륜(51)과 제2 베어링(60)의 내륜(61) 사이에는 스페이서(sp)가 더 위치해서 두 베어링(50, 60)의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튜브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인서트 튜브 중 엑스레이 발생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Claims (4)

  1. 내부에 인서트 튜브가 설치된 엑스레이 튜브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튜브는,
    전자를 발생시키는 전자 발생부와,
    상기 전자가 충돌해서 엑스레이를 발생시키는 타깃이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엑스레이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엑스레이 발생부는,
    자장을 형성하는 고정자와,
    상기 자장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타깃과 축 연결되어 있는 회전자와,
    상기 고정자와 상기 회전자 사이에 위치해서 탄성체에 의해 지지된 제1 및 제2 베어링을 포함하는 엑스레이 튜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베어링 각각은,
    볼의 반경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갖고 있는 제1 홈부를 구비하는 내륜과,
    상기 제1 홈부보다 앝으면서 턱이 없는 쪽은 바닥에서부터 원통형을 이루고 있는 제2 홈부를 구비하는 외륜을 포함하는 엑스레이 튜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1 베어링의 외륜과 상기 제2 베어링의 외륜 사이에 위치하는 엑스레이 튜브.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어링의 내륜과 상기 제2 베어링의 내륜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더 위치하는 엑스레이 튜브.
KR1020090134555A 2009-12-30 2009-12-30 엑스레이 튜브 KR201100778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555A KR20110077879A (ko) 2009-12-30 2009-12-30 엑스레이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555A KR20110077879A (ko) 2009-12-30 2009-12-30 엑스레이 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879A true KR20110077879A (ko) 2011-07-07

Family

ID=44917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4555A KR20110077879A (ko) 2009-12-30 2009-12-30 엑스레이 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78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1557A (ko) * 2012-04-27 2013-11-06 (주) 엠에스텍 엑스레이 튜브
CN110574137A (zh) * 2017-04-28 2019-12-13 浜松光子学株式会社 X射线管和x射线产生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1557A (ko) * 2012-04-27 2013-11-06 (주) 엠에스텍 엑스레이 튜브
CN110574137A (zh) * 2017-04-28 2019-12-13 浜松光子学株式会社 X射线管和x射线产生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8875B2 (en) Enhanced barrier for liquid metal bearings
JP6695346B2 (ja) 溶接されたスパイラル溝軸受アセンブリ
US20100128848A1 (en) X-ray tube having liquid lubricated bearings and liquid cooled target
US201901622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Wear Of Hydrodynamic Bearing
US9263224B2 (en) Liquid bearing assembly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US201901397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relative bearing shaft deflection in an x-ray tube
US6873683B2 (en) Axial flux motor driven anode target for X-ray tube
CN110957201B (zh) X射线阳极、x射线辐射器和用于制造x射线阳极的方法
US10573484B2 (en) Magnetic support for journal bearing operation at low and zero speeds
US7327828B1 (en) Thermal optimization of ferrofluid seals
US10438767B2 (en) Thrust flange for x-ray tube with internal cooling channels
KR101824135B1 (ko) 열적 손상을 방지하는 양극 회전형 엑스선관 및 엑스선관 장치
US10816437B2 (en) Contactless rotor state/speed measurement of x-ray tube
KR20110077879A (ko) 엑스레이 튜브
CN112928003A (zh) X射线发生装置及成像设备
EP3358208B1 (en) Ring seal for liquid metal bearing assembly
EP2269209B1 (en) Ball bearing design temperature compensating x-ray tube bearing
US2121632A (en) X-ray tube
EP1319237A2 (en) Dual suspension bearings for x-ray tube
KR20180066686A (ko) 플레인 베어링, 및 이를 구비한 양극 회전형 엑스선관
US10451110B2 (en) Hydrostatic bearing assembly for an x-ray tube
JP6416593B2 (ja) 回転陽極x線管装置およびx線撮像装置
KR20130121557A (ko) 엑스레이 튜브
JP2006179231A (ja) 回転陽極x線管
US8744047B2 (en) X-ray tube thermal transfer method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