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6403A - 백라이트 유닛용 바텀 샤시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용 바텀 샤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6403A
KR20110076403A KR1020090133105A KR20090133105A KR20110076403A KR 20110076403 A KR20110076403 A KR 20110076403A KR 1020090133105 A KR1020090133105 A KR 1020090133105A KR 20090133105 A KR20090133105 A KR 20090133105A KR 20110076403 A KR20110076403 A KR 20110076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line
line structure
bottom chassis
horizontal
back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0458B1 (ko
Inventor
박종연
박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133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458B1/ko
Publication of KR20110076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Abstract

본 발명은 사각형상의 판상 후면과 상기 후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은 각 모서리부에 사각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로부터 간격을 갖고 내측으로 형성되는 가로 및 세로돌출선 구조부를 포함하여 충격변화량을 감소되는 백라이트 유닛용 바텀 샤시에 관한 것이다.
바텀 샤시, 충격변형량, 백라이트 유닛, 돌출선 구조부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용 바텀 샤시{BOTTOM CHASSIS FOR BACK LIGHT UNIT}
본 발명은 바텀 샤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외부 충격에 의한 충격변화량이 감소되는 백라이트용 바텀 샤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텀 샤시(Bottom Chassis)는 LCD Monitor 용 Back Light에 최종 체결되는 부품으로 Back Light의 전체적인 변형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해 Lamp 및 Lamp Cover를 보호하고 있다.
Monitor의 낙하 충격시 제품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기술 규격(KS B ISO9022-1:광학 및 광학기구-환경시험방법)에 따르면 10msec에 걸쳐 중력가속도의 10~30배(10G~30G) 진폭을 가지는 1/2사인 충격 펄스를 제품에 가하여 충격량을 측정한다.
이 평가에서 강재 샤시의 충격량이 과도하게 발생하게 되면 Back Light Module이 파손되므로 충격량을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바텀 샤시는 일반적으로 도 1과 같이 모서리 부근에 백라이트의 백 커버와 연결되는 체결부(10)가 형성되고 강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가공이 가능한 설계 범위 내에서 다수 개의 드로잉(11,13) 및 보강부(12)가 형성되는데 이 러한 보강부(12)는 정하중 조건에서는 유리하게 작용하지만 30G의 충격하중에서는 충격변화량을 감소하는데 큰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체결부에서 발생한 탄성파를 흡수 및 교란하여 충격변화량을 감소하는 LCD 모니터용 바텀 샤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각형상의 판상 후면과 상기 후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은 각 모서리부에 사각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로부터 간격을 갖고 내측으로 형성되는 가로 및 세로돌출선 구조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로돌출선 구조부와 세로돌출선 구조부의 어느 한 끝이 수직으로 연결되어 교차될 수 있다.
또한 가로돌출선 구조부와 세로돌출선 구조부는 연장되어 이웃한 체결부의 가로돌출선 구조부와 세로돌출선 구조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바텀 샤시의 강성을 확보하면서도 바텀 샤시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충격변화량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샤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텀 샤시(Bottom chassis)는 사각형상의 판상 후면(100)과 상기 후면(100)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면(200)을 포함한다.
상기 바텀 샤시는 상기 측면(200)에 의하여 일정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LCD 모듈의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이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발광소자(미도시), 도광판(미도시) 등의 시트류를 외부 충격에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텀 샤시의 백라이트 유닛의 각 구성요소는 일반적인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후면(100)은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 모서리부에는 사각형상으 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체결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10)는 상기 후면(100)에서 프레스(Press)되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일 측면(111)이 개방되어 백 커버(미도시)와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후면(100)의 모서리에 돌출되어 있는 상기 체결부(110)는 외부 충격시 상대적으로 소성 변형이 크게 일어나게 충격변화량이 커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바텀 샤시의 강성을 보완하기 위하여는 후면(100)이 프레스 되어 돌출 형성되는 보강부가 형성된다.
표 1은 바텀샤시의 항복 강도에 따른 충격변화량의 차이를 나타낸 표이다.
항복강도(Mpa) 충격변화량(mm)
150 13.983
170 13.964
200 13.949
230 13.941
260 13.937
상기 표 1을 참고할 때 항복강도가 150 MPa일 때 충격변화량은 13.983mm인데 반해서 항복강도를 170 Mpa로 증가시켜도 충격변화량은 13.964mm로 거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항복강도를 260 MPa로 형성한 경우도 충격변화량은 13.937mm로 거의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 1을 참조할 때 항복강도와 충격변화량의 관계는 크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바텀 샤시에 보강부를 다수 형성하여 항복강도를 증가시킨 경우에도 충격변화량을 줄일 수는 없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샤시는 후면(100)에 상기 체결부(110)로부터 간격을 갖고 내측으로 형성되는 가로 및 세로돌출선 구조부(121)(122)를 포함한다.
상기 가로 및 세로돌출선 구조부(121)(122)는 상기 체결부(110)의 내측면(200)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며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110)와 가로돌출선 구조부(121)는 1~60mm의 간격(d1)을 갖고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110)와 세로돌출선 구조부(122)는 1~50mm의 간격(d2)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10)와 가로돌출선 구조부(121)가 60mm 이상의 간격으로 이격되거나 상기 세로돌출선 구조부(122)가 50mm 이상의 간격으로 이격된 경우에는 상기 체결부에서 발생한 탄성파를 상기 가로돌출선 구조부(121) 및 세로돌출선 구조부(122)가 흡수하여 교란시키지 못하므로 충격변형량을 감소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체결부(110)에서 전달되는 탄성파가 상기 가로 및 세로돌출선 구조부(122)에 의하여 교란되어 충격변화량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 도 1에는 상기 가로 및 세로돌출선 구조부(122)가 상기 체결부(110)의 내측에만 형성되어 있으나 실시 태양에 따라서는 외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로돌출선 구조부(121)와 세로돌출선 구조부(122)의 어느 한 끝이 수직으로 연결되거나 연결되어 교차될 수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이웃한 체결부(110)의 가로돌출선 구조부(131)와 세로돌출선 구조부(122)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표 2는 바텀 샤시에 보강부를 형성한 경우와 가로 및 세로돌출선 구조부(122)가 형성된 경우 각각의 충격변화량에 관한 표이다.
순번 충격변화량(mm)
비교예1 13.949
비교예2 16.716
비교예3 17.775
실시예1 13.230
실시예2 10.722
상기 표 2를 참고할 때 상기 비교예 1은 바텀 샤시의 후면(100)에 보강부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로 충격변화량이 13.949mm인 반면, 비교예 2는 도 4와 같이 보강부(20)를 가로방향으로 형성한 경우로서 오히려 충격변화량은 16.716으로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보강부(30)를 세로방향으로 형성한 비교예 3도 충격변화량이 17.775mm로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경우 충격변화량이 13.230mm으로 비교예 1과 비교하여 변화량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충격변화량이 10.722mm로 충격변화량이 대폭 감소하였으며, 이는 체결부(110)에서 발생되는 탄성파를 가로 및 세로돌출선 구조부(122)가 흡수하여 구조부의 길이방향으로 교란시킨 결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바텀 샤시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텀 샤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텀 샤시의 사시도,
도 4는 비교예 1의 사시도,
도 5는 비교예 2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후면 110: 체결부
111: 제1측면 112: 제2측면
120: 구조부 121: 가로돌출선 구조부
122: 세로돌출선 구조부

Claims (7)

  1. 사각형상의 판상 후면과 상기 후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은 각 모서리부에 사각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로부터 간격을 갖고 내측으로 형성되는 가로 및 세로돌출선 구조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용 바텀 샤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돌출선 구조부와 세로돌출선 구조부의 어느 한 끝이 수직으로 연결된 백라이트용 바텀 샤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돌출선 구조부와 세로돌출선 구조부가 교차하는 백라이트용 바텀 샤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돌출선 구조부와 세로돌출선 구조부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웃한 체결부의 가로돌출선 구조부와 세로돌출선 구조부와 연결되는 백라이트용 바텀 샤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돌출선 구조부와 세로돌출선 구조부는 하면으로 돌출되도록 프레스 가공되어 형성되는 백라이트용 바텀 샤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하면으로 돌출되며 적어도 어느 한 측면이 개방된 백라이트용 바텀 샤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와 가로돌출선 구조부의 간격은 60mm이하이고, 세로돌출선 구조부의 간격은 50mm 이하인 백라이트용 바텀 샤시.
KR1020090133105A 2009-12-29 2009-12-29 백라이트 유닛용 바텀 샤시 KR101650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105A KR101650458B1 (ko) 2009-12-29 2009-12-29 백라이트 유닛용 바텀 샤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105A KR101650458B1 (ko) 2009-12-29 2009-12-29 백라이트 유닛용 바텀 샤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403A true KR20110076403A (ko) 2011-07-06
KR101650458B1 KR101650458B1 (ko) 2016-08-24

Family

ID=44916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105A KR101650458B1 (ko) 2009-12-29 2009-12-29 백라이트 유닛용 바텀 샤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4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5657A (ko) * 2005-08-01 2007-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08003315A (ja) * 2006-06-22 2008-01-10 Hitachi Displays Ltd 画像表示装置
KR100879868B1 (ko) * 2007-09-13 2009-01-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5657A (ko) * 2005-08-01 2007-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08003315A (ja) * 2006-06-22 2008-01-10 Hitachi Displays Ltd 画像表示装置
KR100879868B1 (ko) * 2007-09-13 2009-01-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0458B1 (ko) 201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7125B2 (en) Grid member and vehicle front structure with the grid member
US8328272B2 (en) Lower structure of vehicle body rear portion
CN101905682B (zh) 车辆用冲击吸收材料的安装结构
US20090303408A1 (en) Backlight module
KR20050002905A (ko) 액정 표시 장치
CN101600601A (zh) 冲击吸收构件
TW200722832A (en) Flat panel display
US20080276516A1 (en) Frame structure adapted to different display panel thicknesses and corresponding engaging device
US9981550B2 (en) Vehicle body mounting structure for a fuel tank
CN110908165B (zh) 一种显示模组及电子装置
US8164924B2 (en) Frame and display device with same
CN202008560U (zh) 显示面板
KR20110076403A (ko) 백라이트 유닛용 바텀 샤시
US9449586B2 (en) Keyboard device
US8154668B2 (en) Television receiver
KR20120033931A (ko)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JP2002243891A5 (ko)
CN210978089U (zh) 模块化设计的可更换式塑料件固定结构
KR101450608B1 (ko) 하이브리드 범퍼빔 브라켓 설치구조
KR100402393B1 (ko) 충격시 변형을 방지하는 섀시를 갖는 엘씨디 모듈
CN105892154A (zh) 背光模组、显示模组及显示装置
CN114966943A (zh) 框架组件、背光模组及显示装置
CN216084169U (zh) 一种led显示屏边角保护装置
KR20050090521A (ko) 액정디스플레이용 보강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218259285U (zh) 一种高强度开孔蜂窝纸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