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6300A -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recognition of vision dead zone based on vehicle information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recognition of vision dead zone based on vehicle information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6300A
KR20110076300A KR1020090132977A KR20090132977A KR20110076300A KR 20110076300 A KR20110076300 A KR 20110076300A KR 1020090132977 A KR1020090132977 A KR 1020090132977A KR 20090132977 A KR20090132977 A KR 20090132977A KR 20110076300 A KR20110076300 A KR 20110076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mage
size
displa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9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용국
이민구
강정훈
유준재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32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6300A/en
Publication of KR20110076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30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3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 B60R2300/303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using joined images, e.g. multiple camera im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3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 B60R2300/306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using a re-scaling of im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4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details of the power supply or the coupling to vehicl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vehicle exterior blind spot vi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93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obstacle war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n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recognizing a blind spot on the basis of vehicle information and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improve a recognition rate of a driver about a blind spot by displaying various images of combination to the driver. CONSTITUTION: An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recognizing a blind spot on the basis of vehicle information comprises one or more cameras(111,112,113,114), a display part(120), and a display control part(130). One or more cameras take an image of peripheral area of a vehicle. The display part indicates the image transmitted from one or more cameras. The individual image size of the display part is varied correspondently to the progressive direction and steer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display control part indicates the image, transmitted from one or more cameras, in the display part.

Description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Recognition of vision dead zone based on Vehicle Information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Recognition of vision dead zone based on Vehicle Information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멀티모드 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차량에 구비된 전자 제어 유닛(ECU)과 연동되어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차량 정보를 기반으로 사각지대의 영상정보를 지능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mode view system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intelligently display image information of a blind spot based on vehicl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provided in a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information-based blind spot recognition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운전자의 시야 확보는 운전자의 시력으로 윈드실드 글래스를 통하여 직접 감지할 수 있는 전방 시야와 룸미러와 양측의 사이드 미러를 통하여 측면과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면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In general, a variety of devices are installed in a car to secure the driver's view. The driver's vision is secured by the driver's vision, and the driver's vision can be directly detected through the windshield glass, and the driver can secure the driver's vision through the rear view mirror and the side mirrors on both sides.

이러한 룸미러와 사이드 미러는 평면거울 또는 블록거울로 사물을 반사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 도록 되어 있다.These room mirrors and side mirrors are formed to reflect objects in a flat mirror or a block mirror and can be adjus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driver.

이와 같은 룸미러나 사이드 미러를 크게 형성하여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충분하게 하여야하는 사이드 미러를 크게 형성할수록 충돌의 위험성 및 공기의 저항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룸미러 또한 차량의 내부공간이 한계가 있어 일정한 크기로 형성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The larger the rearview mirror or side mirror, the larger the side mirror, which should be sufficient to secure the driver's field of view, the greater the risk of collision and air resistance.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can not be formed in a constant size.

이에 따라, 최근에는 좁은 영역의 후진 주차시 편리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초음파나 레이저 등을 차량 후방 쪽으로 발사해 물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차량 후방으로 카메라를 장착해 영상으로 후방 영역을 파악하는 방식을 이용해 후진 주차시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Accordingly, recently, in order to ensure convenience and safety when driving backwards in a narrow area, ultrasonic waves or lasers are fired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an object, or a rear camera is used to identify the rear region by using a camera. This way, you will be safe when you back up.

그러나 상기와 같은 사각지대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정보는 전방 혹은 후방을 개별적으로 디스플레이해주거나 전방과 측방을 동시에 보여주지만 차량의 운행과 관련된 정보와 연동이 되지 않는 단순한 디스플레이로서 운전자가 서행 운전을 하거나 주정차를 할 경우에 차량의 전후좌우 움직임에 따라 전후좌우 영상을 적응적으로 운전자에게 표시함으로써 더욱 안전한 운전을 유도하는 기술은 접목이 되지 않았다. However,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blind spot display device is a simple display that displays the front or the rear individually or shows both the front and the side at the same time but is not linked to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riving of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technology for inducing safer driving by adaptively displaying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images to the driv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has not been applied.

이러한 이유로 인해 실제 주차 공간이 매우 좁거나 차량으로 빼곡히 들어찬 주차 지역에서 주차를 시도하거나, 매우 좁은 곡선 도로에서는 서행으로 좌회전 혹은 우회전으로 전진 혹은 후진을 시도할 경우에 보행자용 도로의 턱을 포함한 다양한 장애물이 안전 운전의 방해 요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도 보다 안전한 차량 운행을 유지하기 위한 영상 시스템 기술이 요구되었다.For this reason, you may want to park in a parking area where the actual parking space is very narrow or full of vehicles, or if you are going to turn left or right on a very narrow curved road or go forward or backward, Since obstacles can act as obstacles to safe driving, imaging system technology is required to maintain safer vehicle operation even in such cases.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전후좌우 영상을 적응적으로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vehicle information-based blind spot recogni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adaptively displaying front, rear, left and right imag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vehicl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주변을 촬영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전달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의 개별 영상의 크기가 차량의 진행 방향 및 조향 방향에 대응하여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individual image of th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transmitted from one or more cameras photographing the vehicle surroundings is changed in correspondence to the traveling direction and steer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blind spot recognition based on vehicle information.

여기서, 뷰 시스템은 상기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전달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차량의 진행 방향 및 조향 방향을 전달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의 크기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view system includes a displa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display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at least one camera to the display unit, the display control unit transmits the driving direction and steering direction of the vehicle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vehicle And change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전진 주행하는 차량의 조향 방향에 대응하는 영상의 크기를 증대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unit may increase the size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steer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raveling forward to display the image.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후진 주행하는 차량의 조향 방향에 반대되는 영상의 크기를 증대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increase the size of the image opposite to the steer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raveling backwards,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물체가 인식되는 경우 전방 또는 후방의 물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may display an object in front or rear when an object is recognized in front or rear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은, 차량의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전방 카메라, 후방 카메라, 좌측 카메라, 우측 카메라; 상기 전방, 후방, 좌측, 우측 카메라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전방, 후방, 좌측, 우측 카메라의 영상을 제어하되 상기 차량의 진행 방향 및 조향 방향에 따라 상기 영상의 크기를 가변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blind spot recognition based on vehicle information includes a front camera, a rear camera, a left camera, and a right camera installed at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respectively;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mages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cameras; And a display control unit controlling an image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camera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varying the size of the image according to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he steering direction of the vehicle.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방, 후방, 좌측, 우측 카메라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나 이상의 섹터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unit may be divided into one or more sectors to display images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cameras.

또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차량의 조향 방향을 인지하는 조향각 센서로부터 조향각 정보를 전달받고 차량의 진행 방향을 조작하는 트랜스미션으로부터 진행방향 정보를 전달받는 전자 제어 유닛(ECU)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control unit may be linked with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V) that receives steering angle information from a steering angle sensor that recognizes a steer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receives driving direction information from a transmission for manipulat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전진 주행 정보 및 좌회전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좌측 카메라의 영상의 크기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상기 우측 카메라의 영상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display control unit receives forward driving information and left turn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 the display controller increases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left camer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simultaneously adjusts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right camera. It is characterized by reducing.

또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전진 주행 정보 및 우회전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우측 카메라의 영상의 크기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상기 좌측 카메라의 영상의 크기를 감 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display control unit receives forward driving information and right turn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 the display controller increases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right camer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simultaneously adjusts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left camera. It is characterized by reducing.

또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후진 주행 정보 및 좌회전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우측 카메라의 영상의 크기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상기 좌측 카메라의 영상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display control unit receives the backward driving information and the left turn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 the display controller increases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right camer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simultaneously adjusts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left camera. It is characterized by reducing.

또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후진 주행 정보 및 우회전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좌측 카메라의 영상의 크기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상기 우측 카메라의 영상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control unit increases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left camer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receives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right camera when receiving the backward driving information and the right turn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t is characterized by reducing.

또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물체를 인식하여 상기 전자 제어 유닛으로 물체 인식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전/후방 센서로부터 물체 인식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전방 또는 후방 카메라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control unit may recognize the object in front of or behind the vehicle, and when the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front / rear sensor for transmitting the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the display unit may forward or backward. It is characterized by displaying an image of a camera.

본 발명의 차량의 진행 방향 및 조향 방향에 따라 차량의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의 영상의 크기를 가변하여 표시하는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전/후방 센서를 통해 장애물을 인식하여 상기 전/후방 카메라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차량의 트랜스미션을 통해 전진 또는 후진 진행방향을 인식하는 단계; 차량의 조향각 센서를 통해 좌회전 또는 우회전 조향방향을 인식하는 단계; 및 차량의 진행방향과 조향방향에 대응하게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섹터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vehicle information based blind spot recognition in which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is varied according to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he steering direction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Displaying an image of the front and rear cameras by recognizing an obstacle through a rear sensor; Recognizing a forward or backward moving direction through a transmission of the vehicle; Recognizing a left turn or right turn steering direction through a steering angle sensor of the vehicle; And changing a size of a sector of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image in correspondence with a driving direction and a steering direction of the vehicle.

여기서, 상기 전/후방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후방 센서에 물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 또는 하부 섹터에 상기 전/후방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전/후방 영상이 표시된 섹터는 사용 불가 섹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in the displaying of the front and rear images, when an object is recognized by the front and rear sensors, the front and rear images are displayed on the upper or lower sectors of the display unit, and the sectors on which the front and rear images are displayed. Is set to an unusable sector.

또한, 상기 크기 변경 단계에서, 전진 주행하는 상기 차량이 좌회전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좌측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섹터의 크기가 증대되고, 상기 차량의 우측 영상을 표시하는 섹터의 크기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ize changing step, when the vehicle driving forward moves left, the size of the sector of the display displaying the left image of the vehicle is increased, and the size of the sector displaying the right image of the vehicle is reduced.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크기 변경 단계에서, 전진 주행하는 상기 차량이 우회전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우측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섹터의 크기가 증대되고, 상기 차량의 좌측 영상을 표시하는 섹터의 크기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size changing step, when the vehicle traveling forward is turned right, the size of the sector of the display displaying the right image of the vehicle is increased, and the size of the sector displaying the left image of the vehicle is reduced.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크기 변경 단계에서, 후진 주행하는 상기 차량이 좌회전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우측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섹터의 크기가 증대되고, 상기 차량의 좌측 영상을 표시하는 섹터의 크기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size changing step, when the vehicle driving backwards is turned left, the size of the sector of the display displaying the right image of the vehicle is increased, and the size of the sector displaying the left image of the vehicle is reduced.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크기 변경 단계에서, 후진 주행하는 상기 차량이 우회전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좌측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섹터의 크기가 증대되고, 상기 차량의 우측 영상을 표시하는 섹터의 크기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size changing step, when the vehicle driving backwards is turned right, the size of the sector of the display displaying the left image of the vehicle is increased, and the size of the sector displaying the right image of the vehicle is reduced.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크기 변경 단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섹터의 크기는 상기 조향각 센서의 조향 각도에 대응하여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ze of the sector of the display may vary in response to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angle sensor.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진행 방향 및 조향 방향에 따라 차량의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의 영상의 크기를 가변하여 표시할 수 있는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vehicle information based blind spot recognition that can vary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he steering direction of the vehicle. Can be.

또한, 조향각 및 전진 또는 후진 기어상태 정보와 같은 차량 운행 정보와의 연동을 통해 사각지역 영상과 인지지역 영상의 비율을 적응적으로 변화시켜주거나, 다양한 영상의 조합으로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 해줌으로써 운전자의 사각지역 인식율을 높여 더욱 안전한 차량 운행을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by linking with vehicle driving information such as steering angle and forward or backward gear state information, the ratio of blind spot image and cognitive zone image can be changed adaptively, or displayed to the driver with a combination of various blind spots of the driver. Increased local awareness can lead to safer vehicle opera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vehicle information-based blind spot recognition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110), 디스플레이부(120) 및 표시 제어부(1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100 for vehicle information based blind spot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one or more cameras 110, a display 120, and a display controller 130. do.

하나 이상의 카메라(110)는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디스플레이부(120)로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카메라(110)는 차량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전방 카메라(111)와, 차량의 후방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후방 카메라(112) 및 차량의 좌우측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좌측/우측 카메라(113,114)로 이루어진다. One or more cameras 110 are for capturing an image of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and displaying them on the display unit 120. The camera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ront camera 111 for capturing an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and a vehicle. And a rear camera 112 for photographing rear images and left / right cameras 113 and 114 for photographing left and right images of the vehicle.

전방 카메라(111)는 차량의 전방에 부착되어 차량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여 표시 제어부(130)로 전송하며, 후방 카메라(112)는 차량의 후방에 부착되고, 좌측/우측 카메라(113,114)는 차량의 좌측 및 우측 사이드 미러 부근에 설치되어 차량의 좌측 및 우측 영상을 각각 촬영하여 표시 제어부(130)로 전송한다.The front camera 111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vehicle to take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transmit it to the display control unit 130, the rear camera 112 i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and the left / right cameras 113 and 114 are connected to the vehicle. Are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left and right side mirrors of the vehicle to shoot the left and right images of the vehicle and transmit them to the display controller 130.

디스플레이부(120)는 카메라(1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부(120)는 표시 제어부(130)에 의해 전달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20 is for display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10, and the display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splays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transmitted by the display control unit 130 to the user. .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부(1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섹터로 구분되어 전방/후방/좌측/우측 카메라(111,112,113,114)의 영상을 개별 표시할 수 있으며, 각 섹터는 본 실시예의 표시 제어부(130)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주차 또는 서행 주행시, 차량의 전방에 차량 또는 물체가 인식되는 경우, D1, D2, D11, D12 섹터에 차량 전방의 영상이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차량의 후진 주차시 차량의 후방에 차량 또는 물체가 인식되 는 경우, D5, D6, D15, D16 섹터에 차량 후방의 영상이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display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be divided into various sectors to separately display images of the front / rear / left / right cameras 111, 112, 113, and 114, and each sector may be a display control unit of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130 can be individually controlled. For example, when a vehicle or an object is recognized in front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parked or running slowly, the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may be selectively displayed in the D1, D2, D11, and D12 sectors. Similarly, when a vehicle or an object is recogniz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during the reverse parking of the vehicle, an image of the rear of the vehicle may be selectively displayed in the sectors D5, D6, D15, and D16.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차량의 사각지대를 지능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후진 주차시,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을 통해 차량의 사각지대가 판단될 수 있으며, 사각지대를 표시하는 카메라(110)의 영상 크기를 증대시킴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120 may intelligently display the blind spot of the vehicle as the vehicle mov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the vehicle is parked backward, the blind spot of the vehicle may be determined through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and by increasing the image size of the camera 110 displaying the blind spot,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후진 주차시 스티어링 휠이 좌측으로 회전됨이 조향각 센서(150)에 감지되는 경우, 차량의 사각지대인 차량 우측의 영상 크기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후진 주차의 진행 동안에, 스티어링 휠의 회전각이 감소되는 경우, 우측 영상의 크기가 감소되고 좌측 영상의 크기가 증대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steering angle sensor 150 detects that the steering wheel is rotated to the left during the reverse parking of the vehicle, the image size of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which is the blind spot of the vehicle, may be increased. In addition, during the progression of the reverse parking, when the rotation angle of the steering wheel is reduced, the size of the right image can be reduced and the size of the left image can be increased.

도 2에 도시한 디스플레이부(120)의 섹터는 본 발명의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임의로 설정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20)의 섹터의 크기 및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sector of the display unit 120 shown in FIG. 2 is arbitrarily set for easy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ize and shape of the sector of the display unit 120 can be variously modified.

표시 제어부(130)는 카메라(110)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20)로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을 전자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으로부터 차량의 다양한 상태 및 움직임 정보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될 영상을 지능적으로 제어한다.The display control unit 130 is for displaying an image transmitted from the camera 110 to the display unit 120 and displays various state and mo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that electronically controls the vehicle. The controller intelligently controls the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20.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제어 유닛(140)은 조향각 센 서(150)로부터 차량의 조향각 정보, 트랜스미션(160)으로부터 차량의 진행방향 정보, 전/후방 센서(170)로부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차량 또는 장애물과 같은 물체 인식 정보를 전송받으며, 이와 같은 다양한 정보는 표시 제어부(130)로 전송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the electronic control unit 140 includes steering angle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steering angle sensor 150, traveling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transmission 160, and front and rear sensors 170.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such as a vehicle or an obstacle in front of or behind the vehicle is received, and various such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controller 130.

표시 제어부(130)는 차량의 진행방향 정보와 조향각 정보를 통해, 현재 차량이 전진 주행 중인지, 전진 서행 중인지, 전진 주차 중인지 또는 후진 주차 중인지 여부 및, 차량의 회전 방향을 판단할 수 있으며, 차량의 전/후진 및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될 영상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The display control unit 130 ma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currently driving forward, moving slowly, moving forward or backward parking, and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direction information and the steering angl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mag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may be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forward / reverse and rotation directions.

일반적으로 차량의 조향각 정보를 수집하는 조향각 센서(150)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 하단부에 장착되어 스티어링 휠의 조향 속도, 조향 방향 및 조향각을 검출하며, 이와 같은 차량의 조향 정보를 전자 제어 유닛(140)에 전송한다. 트랜스미션(160)은 엔진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속도에 따라 필요한 회전력으로 바꾸어 전송하는 변속장치로, 일반적인 트랜스미션(160)은 1단에서 5단까지의 변속 단계를 구비하며, 차량의 후진을 위한 후진 기어를 구비한다. 전/후방 센서(170)는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어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차량, 장애물, 보행자 등의 유무를 판별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초음파를 방사하여 물체에 반사된 초음파를 인식함으로써 물체 유무를 판단하는 초음파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별도의 초음파 전/후방 센서(170)를 구비하는 대신, 카메라(110)의 영상으로부터 물체를 인식하는 물체 식별 기술을 사용하여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물체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In general, the steering angle sensor 150 for collecting steering angl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to detect steering speed, steering direction, and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and the steer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controlled by the electronic control unit 140. To transmit. Transmission 160 is a transmission that converts the power generated by the engine to the required rotational force according to the speed and transmits, the general transmission 160 has a gear shifting stage 1 to 5, the reverse gear for the reverse of the vehicle It is provided. The front and rear sensors 170 are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vehicles, obstacles, pedestrians, etc. in the front or rear of the vehicle. In general, the front and rear sensors 170 emit ultrasonic waves and recognize the ultrasonic waves reflected on the objects. An ultrasonic sensor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may be used. On the contrary, instead of having a separate ultrasonic front / rear sensor 170, object presence technology for recognizing an object from an image of the camera 110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in front of or behind the vehicle.

표시 제어부(130)는 도 2에 도시한 디스플레이부(120)의 각 섹터에 전방/후방/좌측/우측 카메라(111,112,113,114)의 영상을 선택적으로 선별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도 3을 참조로, 차량이 후진 주차를 하는 경우, 조향각 센서(150)를 통해 전달된 조향각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부(120)의 영상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The display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o selectively select and display images of the front / rear / left / right cameras 111, 112, 113, and 114 on each sector of the display unit 120 illustrated in FIG. 2. Referring to FIG. When the vehicle parks backward,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display 120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steering angle transmitted through the steering angle sensor 150.

도 3의 좌측에 도시한 차량은 스티어링 휠을 좌측으로 회전시킨 후, 후진 주차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표시 제어부(130)는 차량의 우측에 설치된 우측 카메라(114)의 영상의 크기를 증대시켜 차량 우측의 사각지대를 더욱 자세히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20)의 좌측 섹터에는 좌측 카메라(113)의 영상이 표시되나, 좌측 영상은 우측 영상보다 크기가 작게 표시될 수 있다.The vehicle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3 rotates the steering wheel to the left and then performs reverse parking. In this case, the display controller 130 increases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right camera 114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The display unit 120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the blind spot on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in more detail. In this case, an image of the left camera 113 is displayed on the left sector of the display 120, but the left image may be displayed smaller in size than the right image.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은 경우, 도 2에 도시한 디스플레이부(120)의 D1, D3, D5 섹터에는 좌측 카메라(113)의 영상이, D2, D4, D6, D11, D13, D15, D12, D14, D16 섹터에는 우측 카메라(114)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above case, the image of the left camera 113 is displayed in the sectors D1, D3, and D5 of the display unit 120 shown in FIG. 2, and the images D2, D4, D6, D11, D13, D15, D12, In the D14 and D16 sectors, an image of the right camera 114 may be displayed.

도 3의 우측에 도시한 차량은 스티어링 휠을 우측으로 회전시킨 후, 후진 주차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표시 제어부(130)는 차량의 좌측에 설치된 좌측 카메라(113)의 영상의 크기를 증대시켜 차량 좌측의 사각지대를 더욱 자세히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20)의 우측 섹터에는 우측 카메라(114)의 영상이 표시되나, 우측 영상은 좌측 영상보다 크기가 작게 표시될 수 있다.The vehicle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3 rotates the steering wheel to the right and then performs reverse parking. In this case, the display controller 130 increases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left camera 113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The display unit 120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the blind spot on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in more detail. In this case, an image of the right camera 114 is displayed in the right sector of the display 120, but the right image may be displayed smaller in size than the left image.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은 경우, 도 2에 도시한 디스플레이부(120)의 D1, D3, D5, D2, D4, D6, D11, D13, D15 섹터에는 좌측 카메라(113)의 영상이, D12, D14, D16 섹터에는 우측 카메라(114)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above case, the image of the left camera 113 is displayed in the sectors D1, D3, D5, D2, D4, D6, D11, D13, and D15 of the display unit 120 shown in FIG. In the D14 and D16 sectors, an image of the right camera 114 may be displayed.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20)의 섹터는 차량의 조향각이 변화됨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며, 후진 주차 중 스티어링 휠이 정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좌측 카메라(113)의 영상과 우측 카메라(114)의 영상의 크기는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The sector of the display unit 120 may be changed as the steering angle of the vehicle is changed, and when the steering wheel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reverse parking, the image of the left camera 113 and the image of the right camera 114 are changed. The size may be indicated the same.

한편, 표시 제어부(130)는 차량의 주차 시,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물체가 인식되는 경우, 전방 또는 후방 카메라(111,112)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며, 이는 도 4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when the vehicle is parked, when the object is recognized in front of or behind the vehicle, the display controller 130 displays an image of the front or rear cameras 111 and 112 on the display 120, which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Let's explai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은 스티어링 휠을 우측으로 회전시킨 후, 후진 주차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때 차량의 전방에 다른 차량이 위치되어 있다. 차량 전방의 다른 차량은 전/후방 센서(170)에 의해 인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좌측 및 우측 영상 이외에 전방 카메라(111)에 의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vehicle rotates the steering wheel to the right and then performs reverse parking, and another vehicle is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Other vehicles in front of the vehicle may be recognized by the front and rear sensors 170. In this case, the display 120 may display an image by the front camera 111 in addition to the left and right images.

예를 들면, 전방 카메라(111)에 의한 차량 전방의 영상은 도 2의 디스플레이부(120)의 D1, D2, D11, D12 섹터에 표시될 수 있으며, 차량의 스티어링 휠이 우측으로 회전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120)의 D3, D5, D4, D6, D13, D15 섹터에 좌측 카메라(113)의 영상이 표시되고 D14, D16 섹터에 우측 카메라(114)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vehicle by the front camera 111 may be displayed on the sectors D1, D2, D11, and D12 of the display unit 120 of FIG. 2, and the display is displayed because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is rotated to the right. An image of the left camera 113 may be displayed in the sectors D3, D5, D4, D6, D13, and D15 of the unit 120, and an image of the right camera 114 may be displayed in the sectors D14 and D16.

또한, 표시 제어부(130)는 차량이 서행 중인 경우, 차량의 사각지대를 디스 플레이부(120)에 표시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에 급커브 구역이 위치한 경우, 차량의 좌측 카메라(113)의 영상과 우측 카메라(114)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되 상대적으로 사각지대가 큰 좌측 카메라(113)의 영상의 크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control unit 130 may display the blind spot of the vehicle on the display unit 120 when the vehicle is in a slow motion, and as shown in FIG. 5, when the sharp curve region is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An image of the left camera 113 of the vehicle and an image of the right camera 114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20, but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left camera 113 having a relatively large blind spot may be increased.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130)는 차량의 직진/후진 방향 및 좌/후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직진 주행 중, 좌회전의 경우 좌측 영상의 크기를 증대시키나, 차량의 후진 주행 중, 좌회전의 경우 우측 영상의 크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controller 130 may adjust the siz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according to the forward / reverse direction and the left / rear rotation of the vehicle. Specifically, the size of the left image may be increased in the case of the left turn during the straight driving of the vehicle, but the size of the right image may be increased in the case of the left rotation during the backward driving of the vehicle.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은 차량을 전자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140)에 수집된 다양한 정보를 통해 지능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도 6 내지 도 9를 참조로 아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vehicle information-based blind spot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be intelligently controlled through various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electronic control unit 140 for electronically controlling the vehicle. A control method of the blind spot recognition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6 to 9.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전/후방 센서를 통해 장애물을 인식하여 전/후방 카메라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S110), 트랜스미션을 통해 전진/후진 진행방향을 인식하는 단계(S120), 조향각 센서를 통해 좌/우회전의 조향방향을 인식하는 단계(S130), 그리고 차량의 진행방향과 조향방향에 대응하게 디스플레이부의 섹터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 the control method of the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blind spot recognition based on the vehicle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displaying an image of a front / rear camera by recognizing an obstacle through a front / rear sensor ( S110), recognizing a forward / reverse moving direction through a transmission (S120), recognizing a steering direction of left / right rotation through a steering angle sensor (S130), and a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a traveling direction and a steering direction of a vehicle Changing the sector size (S140).

우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전/후방 센서(170)를 통해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는 물체를 인식한다. 전방 센서에 물체가 인식되는 경우, 도 2의 디스플레이부(120)의 D1, D2, D11, D12 섹터에 전방 카메라(111)의 영상을 표시하며, 후방 센서에 물체가 인식되면 도 2의 디스플레이부(120)의 D5, D6, D15, D16 섹터에 후방 카메라(112)의 영상을 표시한다. 이후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의 사용 가능한 섹터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방 또는 후방 카메라(112)의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이 전방 또는 후방 영상이 표시되는 섹터는 좌측 또는 우측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 불가능한 구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First, as illustrated in FIG. 7, an object located in front or rear of the vehicle is recognized through the front and rear sensors 170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When an object is recognized by the front sensor, an image of the front camera 111 is displayed on D1, D2, D11, and D12 sectors of the display unit 120 of FIG. 2, and when the object is recognized by the rear sensor, the display unit of FIG. The image of the rear camera 112 is displayed in the sectors D5, D6, D15, and D16 of 120. FIG. Thereafter, as shown in FIG. 8, the usable sector of the display 120 may be searched for. For example, when an image of the front or rear camera 112 is displayed, the sector in which the front or rear image is displayed may be set to an unusable area for displaying the left or right image.

다음,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전자 제어 유닛(140)으로 전송된 트랜스미션(160)의 정보를 통해 차량의 전진 또는 후진 진행방향을 판단한다. 전진 주행 중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는 차량의 조향방향과 대응되나, 후진 주행 중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는 차량의 조향방향과 반대가 될 것이다. Next,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forward or backward travel direction of the vehicle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160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140 of the vehicle. In the case of driving forward, the siz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20 corresponds to the steer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ut in the case of driving backward, the siz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20 may be opposite to the steering direction of the vehicle. will be.

다음,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전자 제어 유닛(140)으로 전송된 조향각 센서(150)의 정보를 통해 차량의 좌회전 또는 후회전 조향방향을 판단한다. 차량이 좌회전 또는 우회전일 경우,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는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Next,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left turn or the rear turn steer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steering angle sensor 150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140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turned left or right, the siz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2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다음, 차량의 진행방향 및 조향방향에 대응하게 디스플레이부(120)의 사용 가능한 섹터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이 직진 주행하되 좌회전일 경우, 좌측 카메라(113)의 영상의 크기가 증가되나, 차량이 후진 주행하되 좌회전일 경우, 좌측 카메라(113)의 영상의 크기가 우측 카메라(114)의 영상의 크기보다 작게 표시될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장애물과 같은 물체가 인식되지 않아, 디스플레이부(120)의 모든 섹터가 사용가능한 섹터로 설정된 경우, 차량이 후진 주차를 위해 좌회전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0)의 우측 카메라(114)의 영상을 표시하는 섹터의 크기를 증대시켜 D2, D4, D6, D11, D13, D15, D12, D14, D14에 우측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Next, the size of the usable sector of the display 120 may be changed to correspond to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he steering direction of the vehicle.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travels straight but turns left,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left camera 113 is increased, but when the vehicle runs backward but turns left,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left camera 113 is the right camera 114. Will be displayed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image.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when an object such as an obstacle is not recognized in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and all sectors of the display 120 are set as available sectors, the vehicle turns left for backward parking. In this case, the right image may be displayed on D2, D4, D6, D11, D13, D15, D12, D14, and D14 by increasing the size of a sector displaying the image of the right camera 114 of the display unit 120. .

이때, 디스플레이부(120)의 좌측 또는 우측 영상의 크기는 조향각 센서(150)에 의해 감지되는 조향각에 대응하여 가변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ize of the left or right image of the display 120 may vary in response to the steering angle detected by the steering angle sensor 150.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In the above, the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vehicle information-based blind spot recogni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change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vehicle information based blind spot recogn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부의 개략적인 개념도;FIG. 2 is a schematic conceptual view of the display unit of FIG. 1; FIG.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뷰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의 주행 및 주차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및3 to 5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 driving and parking process of a vehicle to which the view system of FIG. 1 is applied; And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6 through 9 are schematic flowcharts of a control method of an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vehicle information based blind spot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100: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blind spot recognition based on vehicle information

110 : 카메라 111,112,113,114 : 전방/후방/좌측/우측 카메라110: Camera 111,112,113,114: Front / Rear / Left / Right Camera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표시 제어부120: display unit 130: display control unit

140 : 전자 제어 유닛 150 : 조향각 센서140: electronic control unit 150: steering angle sensor

160 : 트랜스미션 170 : 전/후방 센서160: Transmission 170: Front / Rear Sensor

Claims (20)

차량 주변을 촬영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전달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의 개별 영상의 크기가 차량의 진행 방향 및 조향 방향에 대응하여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Adaptive multi-mode view for vehicle information-based blind spot recogn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individual image of the display unit displaying the image transmitted from one or more cameras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is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he steering direction of the vehicle.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전달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며, And a display controller for controlling to display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one or more cameras on the display unit.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차량의 진행 방향 및 조향 방향을 전달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의 크기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And the display control unit receives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he steering direction of the vehicle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vehicle to change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display unit.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전진 주행하는 차량의 조향 방향에 대응하는 영상의 크기를 증대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The display unit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recognizing blind spots, characterized in that for increasing the size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steer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raveling forward.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후진 주행하는 차량의 조향 방향에 반대되는 영상의 크기를 증대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The display unit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vehicle information based blind spot recogni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increasing the size of the image opposite to the steering direction of the vehicle driving backward.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물체가 인식되는 경우 전방 또는 후방의 물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And the display unit displays an object in front or rear when the object is recognized in front or rear of the vehicle. 차량의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전방 카메라, 후방 카메라, 좌측 카메라, 우측 카메라;A front camera, a rear camera, a left camera and a right camera installed at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respectively; 상기 전방, 후방, 좌측, 우측 카메라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mages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cameras; And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전방, 후방, 좌측, 우측 카메라의 영상을 제어하되 상기 차량의 진행 방향 및 조향 방향에 따라 상기 영상의 크기를 가변 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And a display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images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camera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varying the size of the images according to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he steer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blind spot recognition.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방, 후방, 좌측, 우측 카메라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나 이상의 섹터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The display unit is divided into one or more sectors to display the image of the front, rear, left, right cameras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blind spot recognition. 청구항 6 또는 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상기 표시 제어부는 차량의 조향 방향을 인지하는 조향각 센서로부터 조향각 정보를 전달받고 차량의 진행 방향을 조작하는 트랜스미션으로부터 진행방향 정보를 전달받는 전자 제어 유닛(ECU)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The display control unit is interlocked with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C) that receives steering angle information from a steering angle sensor that recognizes a steer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receives driving direction information from a transmission for manipulat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blind spot recognition. 청구항 8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전진 주행 정보 및 좌회전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좌측 카메라의 영상의 크기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상기 우측 카메라의 영상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When the display control unit receives forward driving information and left turn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 the display controller increases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left camer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reduces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right camera.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vehicle information based blind spot recognition. 청구항 8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전진 주행 정보 및 우회전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우측 카메라의 영상의 크기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상기 좌측 카메라의 영상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When the display control unit receives forward driving information and right turn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 the display controller increases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right camer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reduces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left camera.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vehicle information based blind spot recognition. 청구항 8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후진 주행 정보 및 좌회전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우측 카메라의 영상의 크기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상기 좌측 카메라의 영상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The display control unit may increase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right camer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reduce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left camera when receiving the backward driving information and the left turn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vehicle information based blind spot recognition. 청구항 8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후진 주행 정 보 및 우회전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좌측 카메라의 영상의 크기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상기 우측 카메라의 영상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When the display control unit receives the revers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right turn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 the display controller increases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left camer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decreases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right camera.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blind spot recognition based on vehicle information. 청구항 8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상기 표시 제어부는,The display control unit,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물체를 인식하여 상기 전자 제어 유닛으로 물체 인식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전/후방 센서로부터 물체 인식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전방 또는 후방 카메라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When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front / rear sensor for recognizing an object in front of or behind the vehicle and transferring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displaying an image of the front or rear camera on the display unit.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blind spot recognition based on vehicle information. 차량의 진행 방향 및 조향 방향에 따라 차량의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의 영상의 크기를 가변하여 표시하는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In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information-based blind spot recognition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varying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he steering direction of the vehicle, 전/후방 센서를 통해 장애물을 인식하여 상기 전/후방 카메라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an image of the front / rear camera by recognizing an obstacle through a front / rear sensor; 차량의 트랜스미션을 통해 전진 또는 후진 진행방향을 인식하는 단계;Recognizing a forward or backward moving direction through a transmission of the vehicle; 차량의 조향각 센서를 통해 좌회전 또는 우회전 조향방향을 인식하는 단계; 및Recognizing a left turn or right turn steering direction through a steering angle sensor of the vehicle; And 차량의 진행방향과 조향방향에 대응하게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섹터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의 제어방법.And changing a size of a sector of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image corresponding to a driving direction and a steering direction of the vehicle. 청구항 1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상기 전/후방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에서,In the displaying of the front and rear images, 상기 전/후방 센서에 물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 또는 하부 섹터에 상기 전/후방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전/후방 영상이 표시된 섹터는 사용 불가 섹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의 제어방법.When an object is recognized by the front / rear sensor, the front / rear image is displayed on the upper or lower sector of the display unit, and the sector on which the front / rear image is displayed is set as an unusable sector. Control Method of Adaptive Multimode Viewing System for Recognition Based on Blind Spots. 청구항 14 또는 1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5, 상기 크기 변경 단계에서,In the size change step, 전진 주행하는 상기 차량이 좌회전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좌측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섹터의 크기가 증대되고, 상기 차량의 우측 영상을 표시하는 섹터의 크기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의 제어방법.When the vehicle driving forward moves left, the size of the sector of the display displaying the left image of the vehicle is increased, and the size of the sector displaying the right image of the vehicle is reduced. Control method of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zone recognition. 청구항 14 또는 1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5, 상기 크기 변경 단계에서,In the size change step, 전진 주행하는 상기 차량이 우회전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우측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섹터의 크기가 증대되고, 상기 차량의 좌측 영상을 표시하는 섹터의 크기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의 제어방법.The vehicle information-based blind spo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vehicle driving forward moves right, the size of a sector of the display displaying the right image of the vehicle is increased, and the size of the sector displaying the left image of the vehicle is reduced. Control method of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zone recognition. 청구항 14 또는 1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5, 상기 크기 변경 단계에서,In the size change step, 후진 주행하는 상기 차량이 좌회전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우측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섹터의 크기가 증대되고, 상기 차량의 좌측 영상을 표시하는 섹터의 크기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의 제어방법.When the vehicle driving backwards is turned left, the size of the sector of the display displaying the right image of the vehicle is increased, and the size of the sector displaying the left image of the vehicle is reduced. Control method of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zone recognition. 청구항 14 또는 1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5, 상기 크기 변경 단계에서,In the size change step, 후진 주행하는 상기 차량이 우회전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좌측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섹터의 크기가 증대되고, 상기 차량의 우측 영상을 표시하는 섹터의 크기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의 제어방법.When the vehicle driving backwards is turned right, the size of the sector of the display displaying the left image of the vehicle is increased, and the size of the sector displaying the right image of the vehicle is reduced. Control method of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zone recognition. 청구항 14 또는 1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5, 상기 크기 변경 단계에서,In the size change step,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섹터의 크기는 상기 조향각 센서의 조향 각도에 대응하여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의 제어방법.And the size of the sector of the display is variable in correspondence to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angle sensor.
KR1020090132977A 2009-12-29 2009-12-29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recognition of vision dead zone based on vehicle information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1007630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977A KR20110076300A (en) 2009-12-29 2009-12-29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recognition of vision dead zone based on vehicle information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977A KR20110076300A (en) 2009-12-29 2009-12-29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recognition of vision dead zone based on vehicle information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300A true KR20110076300A (en) 2011-07-06

Family

ID=44916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977A KR20110076300A (en) 2009-12-29 2009-12-29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recognition of vision dead zone based on vehicle information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6300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4762A (en) * 2012-05-07 2013-11-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round view monitor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KR20150052148A (en) * 2012-08-27 2015-05-13 포토내이션 리미티드 Rearview imaging systems for vehicle
KR20190048285A (en) *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Surround view monitoring system
KR20210043036A (en) * 2019-10-10 2021-04-21 송해성 Peripheral Video Display Of Automobile
CN114643933A (en) * 2021-05-28 2022-06-21 义隆电子股份有限公司 Safety system of mobile carr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4762A (en) * 2012-05-07 2013-11-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round view monitor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KR20150052148A (en) * 2012-08-27 2015-05-13 포토내이션 리미티드 Rearview imaging systems for vehicle
KR20190048285A (en) *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Surround view monitoring system
KR20210043036A (en) * 2019-10-10 2021-04-21 송해성 Peripheral Video Display Of Automobile
CN114643933A (en) * 2021-05-28 2022-06-21 义隆电子股份有限公司 Safety system of mobile carr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9719B2 (en) Vehicular vision system with console video display and mirror video display for exterior viewing cameras
US20190315275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121396B1 (en) Parking Assistance Method and Parking Assistance Device
JP6746480B2 (en) Rear view system for car
US20160355133A1 (en) Vehicle Display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103587469B (en) Device and method for assisting automobile in turning at night
US10434947B2 (en) Driver sitting position controlled vehicle collision avoidance
JP4901326B2 (en) Rear warning system using vehicle outside mirror
JP6081034B2 (en) In-vehicle camera control device
US11498485B2 (en) Techniques for vehicle collision avoidance
CN113165667A (en) Panoramic monitoring system for vehicle and method for adjusting visual angle of camera
US11027652B2 (en) Vehicle collision avoidance system
CN105691293A (en) Automatic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utomobile steering lamps
CN105501106A (en) Automobile steering system and vehicle adopting same
KR20110076300A (en) Adaptive multi-mode view system for recognition of vision dead zone based on vehicle information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EP3166307B1 (en) Captur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driver assistance system as well as motor vehicle
JP2016049953A (en) Back confirmation apparatus and back confirmation method
KR102188269B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zoom magnification
JP2009120146A (en) Vehicular lamp control system
JP6573218B2 (en) VEHICLE IMAGE DISPLAY DEVICE AND SETTING METHOD
JP4161861B2 (en) Night vision system for vehicles linked to headlights for curved roads
JP2004082918A (en) Vehicular noctovision and rearview mirror
JP2004051063A (en) Device for visual recognition around vehicle
JP4055686B2 (en) Night vision system for vehicles linked to headlights for curved roads
US20200108721A1 (en) Hud park assi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