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5730A - 전방향 카메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전방향 카메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5730A
KR20110075730A KR1020090132256A KR20090132256A KR20110075730A KR 20110075730 A KR20110075730 A KR 20110075730A KR 1020090132256 A KR1020090132256 A KR 1020090132256A KR 20090132256 A KR20090132256 A KR 20090132256A KR 20110075730 A KR20110075730 A KR 20110075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amera device
unit
omni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7058B1 (ko
Inventor
김승훈
박창우
황정훈
이종배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32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058B1/ko
Publication of KR20110075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5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향 카메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복수의 카메라 장치부; 상기 복수의 카메라 장치 각각의 카메라 모듈이 360도 전방향을 구분하여 바깥으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받침부; 및 상기 각각의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화상 신호를 합성하여 전방향의 영상을 출력하는 화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카메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로봇, 카메라, 해상도, 전방향, 해상도

Description

전방향 카메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Omni-directional Camera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카메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의 해상도를 높이고 그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방향을 촬영할 수 있는 전방향 카메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동 인구가 많은 사무용 빌딩이나 은행과 같은 각종 영업소 및 아파트의 외각이나 주차장 등에는 그 지역의 진행 상황을 파악하거나 안전을 위하여 CCTV를 설치하여 감시하고 있다. CCTV에 사용되는 종래의 감시 카메라는 일정 화각 이내의 매우 제한적인 영역만을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제한된 일부 영역뿐만 아니라 보다 넓은 영역을 촬영하여 감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더 많은 감시 카메라를 설치해야 하는데, 이로 인하여 카메라 구입과 설치에 드는 비용이 증가하고, 설치에 따른 작업 시간도 증가할 수밖에 없다.
파노라마 카메라는 일반 감시 카메라보다는 훨씬 더 넓은 화각을 갖기 때문에 보다 더 넓은 영역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파노라마 카메 라 역시 360도 전방향을 촬영할 수 있는 것은 아니어서 그 기능이 제한적이기는 마찬가지다. 이 화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360도 전방향을 촬영할 수 있는 전방향 카메라(omni-directional camera)가 사용된다.
전방향 카메라는 카메라 주변의 전방향(360도)을 촬영할 수 있어 한대만 설치하더라도 은폐물에 의해 가려진 곳을 제외한 거의 모든 방향을 촬영할 수 있어 감시 카메라의 용도로서는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카메라로 전방향을 촬영할 수 있어, 로봇 등에도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감시 및 로봇 분야 등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 전방향(omni-directional) 카메라 시스템은 넓은 시야각을 제공한다. 하지만, 기존의 360도 광학 시스템 또는 단일 카메라를 이용한 전방향 카메라는 해상도가 낮고 광학적 특성 등이 우수하지 못하여 물체 인식 등에 불리하다. 또한 처리 속도가 늦어서 로봇의 자율주행 등에 적용하기 어려워 주변 환경을 모니터링 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로봇에 탑재 가능하면서 물체인식 또는 자율주행 등에 충분한 해상도와 속도를 복수개의 카메라를 통해 구현할 수 있는 전방향 카메라와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카메라 장치부, 받침부 및 화상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방향 카메라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카메라 장치부는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 장치 각각의 카메라 모듈이 360도 전방향을 구분하여 바깥으로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각각의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화상 신호를 합성하여 전방향의 영상을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대향하는 영역을 촬영하여 광학적 화상 신호를 전기적 화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 상기 화상 신호를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 모듈; 및 상기 변환된 화상 신호를 상기 화상 처리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해상도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내장하는 부채꼴 형태의 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채꼴 형태의 틀은 부 채꼴의 상면 및 하면; 상기 상면 및 하면을 연결하며 상기 부채꼴의 호를 이루는 호면; 및 상기 상면 및 하면을 연결하며 상기 부채꼴의 반지름을 이루는 양 옆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호면이 일부 제거된 호면 홀을 통해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다른 장치와의 연결을 매개하는 설치부; 상기 설치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이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면의 중심 부분에 대해서 방사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 장치부가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부는 상기 하면 및 양 옆면에는 상기 받침부의 돌출부와 결합되도록 일부가 제거되어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부는 상기 슬롯 안으로 돌출된 핀을 구비하며, 상기 핀은 상기 받침부의 돌출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부가 상기 받침부에 설치될 때,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돌출부에 각각 카메라 장치부의 슬롯이 결합되어 고정되되, 상기 돌출부의 반은 상기 카메라 장치부의 각 슬롯에 삽입 되고, 반은 상기 슬롯이 형성된 옆면 밖으로 돌출되며, 상기 받침부에 설치된 상기 카메라 장치부의 옆면 밖으로 돌출된 상기 돌출부 부분에는 다른 카메라 장치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 장치부는 상기 받침부에 서로 대칭되는 방향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받침부에 설치된 상기 카메라 장치부의 수에 따라 360도 전방향을 구분하여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카메라 장치의 구동 방법은, 카메라 장치부가 장착되는 위치 및 수를 센싱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 및 수에 따라 각 카메라 모듈에 필요한 해상도를 요청하는 과정과, 각 카메라 모듈로부터 요청한 해상도에 따른 화상 신호들을 수신하는 과정과, 수신한 화상 신호들을 합성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카메라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과정은 상기 카메라 장치부의 수가 증가할수록 낮은 해상도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카메라 장치는 받침부에 복수의 카메라를 필요에 따라 배치하고, 필요한 해상도를 조절하여 사용함으로써, 높은 해상도를 가지는 화면을 얻을 수 있으며, 전방향을 분할하여 촬영함으로써, 그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향 카메라 장치의 외형을 도시하는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향 카메라 장치의 카메라 모듈의 상면이 투시된 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향 카메라 장치는 복수의 카메라 장치부(100), 받침부(200) 및 화상 처리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카메라 장치부(100)는 각각 하나의 카메라 모듈(110)을 내장하며, 카메라 모듈(100)은 영상 촬영을 수행한다. 받침부(200)에는 카메라 장치부(100)가 필요한 수에 따라 서로 대칭되도록 설치되며, 복수의 카메라 장치부(100)의 카메라 모듈(110)이 360도 전방향을 구분하여 바깥으로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화상 처리부(300)는 복수의 카메라 장치부(100)의 각 카메라 모듈(110)이 촬영한 화상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한 화상 신호를 합성하여 전방향의 영상을 출력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전방향 카메라 장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메라 장치부(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형태의 틀에 카메라 모듈(110)이 내장된 구조를 갖는다.
부채꼴 형태의 틀은 부채꼴의 상면(10) 및 하면(20)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하고, 부채꼴의 호에서 상면(10)에서 하면(20)을 연결하는 호면(30), 부채꼴의 반지름을 이루는 선분에서 상면(10)과 하면(20)을 연결하는 양 옆면(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호면(30)에는 카메라 모듈(110)의 렌즈가 돌출되도록 그 일부가 제거된 호면 홀(5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카메라 모듈(110)의 렌즈는 호면(30)의 중심 부분에 접선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양 옆면(40)이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호면(30)의 지점에 카메라 모듈(110)의 렌즈가 설치될 수 있다.
하면(20) 및 양 옆면(40)에는 받침부(200)의 돌출부(210)와 결합되도록 일부가 제거되어 슬롯(6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슬롯(60)은 받침부(200)의 돌출부(210)의 형태에 대응하는 요(凹)부 형태로 형성된다. 예컨대 받침부(200)의 돌출부(210)가 직육면체 형태를 갖기 때문에, 슬롯(60)은 그에 대응되게 옆면(40)에서 안쪽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요부로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다. 하지만 받침부(200)의 돌출부(210)의 형태에 따라 슬롯(60)은 다양한 형태의 요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부(100)는 각각 하나의 카메라 모듈(110)을 내장한다. 카메라 모듈(110)은 부채꼴 형태의 틀에 내의 양 옆면(40)을 연결하는 수직면(70)으로부터 호면(30)의 호면 홀(50)을 관통하도록 개재된다.
특히, 부채꼴 형태의 틀 양 옆면(40)의 내벽에는 결합부(80)가 형성되며, 결 합부(80)는 슬롯(60)이 형성된 하부로 돌출된 핀(81)을 구비한다. 이 핀은 받침부(200)의 돌출부(210)에 형성된 관통홀(211)에 끼워져 카메라 장치부(100)를 받침부(200)에 결합 및 고정시킨다.
받침부(200)는 설치부(230)와, 설치부(2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부(220) 및 지지부(220)의 상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돌출부(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설치부(2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향 카메라 장치가 설치될 로봇 등의 임의의 장치 등과 결합을 위해 그 임의의 장치와의 결합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지지부(220)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카메라 장치부(100)의 카메라 모듈(110)이 수평인 상태에서 화상을 촬영 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예컨대 지지부(220)는 360도 전방향으로 카메라 장치부(1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원판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돌출부(210)는 지지부(220)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돌출부(210)에 카메라 장치부(100)의 슬롯(60)이 결합된다. 이때, 결합의 견고함을 더 하기 위하여, 돌출부(210)는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홀(211)을 구비하며, 이 관통홀(211)에 슬롯(60) 안으로 돌출된 결합부(80)의 핀(81)이 끼워진다. 지지부(220)의 상면에 설치된 복수의 돌출부(210)는 카메라 장치부(100)가 전방향을 촬영할 수 있도록, 지지부(220) 상면의 중심 부분에 대해서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또한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돌출부(210)와 지지부(220) 상면의 중심 부분이 이루는 각과 거리가 동일한 위치에 복수의 돌출부(21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서는 8개의 돌출부(210)가 지지부(220) 상면에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카메라 장치부(100)가 받침부(200)에 설치될 때, 이웃하는 두 개의 돌출부(210)에 각각 카메라 장치부(100)의 슬롯(60)이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돌출부(210)의 반은 카메라 장치부의 각 슬롯(60)에 삽입되고, 반은 슬롯(60)이 형성된 옆면(40) 밖으로 돌출된다. 즉 받침부(200)에 설치된 카메라 장치부(100)의 옆면(40) 밖으로 돌출된 돌출부(210) 부분에는 다른 카메라 장치부(100)가 설치될 수 있다.
화상 처리부(300)는 복수개의 카메라 장치부(100)가 받침부(200)에 연결되면, 그 연결을 감지한다. 그런 다음, 화상 처리부(300)는 각 카메라 모듈(110)이 촬영한 화상 신호들을 수신하여, 수신한 화상 신호들을 합성한 후, 합성한 화상 신호를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부의 설치 방법에 따른 카메라 모듈 개수 및 렌즈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카메라 장치부(100)가 부채꼴 형태로 제작됨에 따라, 카메라 장치부의 카메라 모듈(110)의 카메라 렌즈가 대향하는 촬영 영역은 전방향(360도)을 부채꼴의 각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향(360도)을 복수개의 카메라 모듈(110)로 균등 분할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8개의 카메라 장치부(100)를 받침부(200)에 설치하여 전방향(360도)을 균등 분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방향을 복수의 카메라 장치부(100)로 그 촬영 영역을 분할하고, 분할하여 촬영한 화상 신호를 합성하면, 그 합성한 영상의 해상도는 하나의 카메라 모듈(110)이 촬영한 영상의 해상도에 비해 카메라 모듈(110)의 수만큼 해상도를 올릴 수 있다.
또한, 전방향을 복수의 카메라 장치부(100)로 그 촬영 영역을 분할하므로, 각 카메라 모듈(110)은 분할된 영역만큼의 화상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므로, 그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a는 8개의 카메라 장치부(100)가 받침부(200)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b는 4개의 카메라 장치부(100)가 받침부(200)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c는 2개의 카메라 장치부(100)가 받침부(200)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 및 도 4c와 같이 받침부(200)에 설치할 수 있는 최대의 카메라 장치부(100)의 수보다 적게 카메라 장치부(100)를 설치하는 경우, 복수의 카메라 장치부(100)는 받침부(200)의 지지부(220) 상면의 중심에서 360도를 카메라 장치부(100)의 개수 만큼 분할하는 지점, 즉 서로 대칭되는 지점에 설치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b의 경우, 지지부(220) 상면의 중심에서 4개의 카메라 장치부(100)는 서로 90도가 되는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c의 경우, 지지부(220) 상면의 중심에서 2개의 카메라 장치부(100)는 서로 180도가 되는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도 4b의 경우 90도가 되는 지점에 카메라 장치부(100)의 카메라 모듈(110)이 위치하고, 도 4c 경우 180도가 되는 지점에 카메라 장치부(100)의 카메라 모듈(110)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조합에 의해 카메라 장치부(100)의 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110)의 성능에 따라, 그 수 및 위치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카메라 장치는 최대 8개의 카메라 장치부(100)를 설치할 수 있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 장치부(100)가 소형화될수록 더 많은 카메라 장치부로 전방향 카메라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복수개의 카메라 모듈을 통한 전방향 카메라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카메라 모듈(110)은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이 촬영한 화상 신호는 화상 처리부(300)에 제공된다.
카메라 모듈(110)은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 모듈(110)은 카메라 센서(111), 신호 처리 모듈(113) 및 영상 처리 모듈(1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센서(111)는 그 카메라 센서(111)에 대향하는 영역을 촬영하며, 촬영된 영역인, 광학적 화상 신호를 전기적 화상 신호로 변환하는 광학 센서이다. 여기서 광학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신호 처리 모듈(113)은 카메라 센서(111)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디지털 화상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신호 처리 모듈(113)은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115)은 신호 처리 모듈(113)로부터 디지털 화상 신호를 기 설정된 규격 또는 제어 신호에 따라 일정 해상도로 조절하여 출력한다.
화상 처리부(300)는 카메라 장치부(100)가 장착되는 돌출부(210) 상의 위치 및 수를 인지하여, 각 카메라 장치부(100)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제어 신호를 영상 처리 모듈(115)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어 신호를 각 카메라 모듈(110)의 영상 처리 모듈(115)은 필요한 해상도의 화상 신호를 화상 처리부(300)에 제공한다. 그러면, 화상 처리부(300)는 각 카메라 모듈(110)의 영상 처리 모듈(115)로부터 필요한 해상도의 화상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결합하고, 결합한 화상 신호를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향 카메라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향 카메라 장치의 구동에 따라 생성된 화상 신호의 출력 화면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화상 처리부(300)는 S601 단계에서 카메라 장치부(100)가 장착되는 돌출부(210) 상의 위치 및 수를 센싱한다.
그런 다음, 화상 처리부(300)는 S603 단계에서 상기 센싱된 위치 및 수에 따라 각 카메라 장치부(100)의 카메라 모듈(110)에 필요한 해상도를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화상 처리부(300)는 장착되는 카메라 장치부(100)의 수가 많아질수록 낮은 해상도의 화상 신호를 요청할 수 있다. 즉, 카메라 장치부(100)의 수에 따라 카메라 모듈(110)이 많아지면, 더 많은 수의 카메라 모듈(110)이 전방향을 구 분하여 촬영하므로, 각 카메라 모듈(110)로부터 낮은 해상도의 화상 신호를 수신하여도, 그 화상 신호들을 합산한 후의 영상은 목적하는 해상도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낮은 해상도를 요구할 시 카메라 모듈(110)의 영상 처리 시간은 감소하여, 그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 처리부(300)는 S605 단계에서 각 카메라 모듈(110)이 촬영한 화상 신호들을 수신한다. 이어서, 화상 처리부(300)는 S605 단계에서 수신한 화상 신호들을 합성하여 영상을 생성한다.
그런 다음, 화상 처리부(300)는 S605 단계에서 생성한 영상을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한다. 도 7에 화상 처리부(300)가 출력한 화상 신호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향 카메라 장치는 카메라의 개수와 그 카메라의 렌즈를 조절하여, 전방향 카메라를 구성하는데 유연하며, 높은 해상도와 빠른 처리 속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향 카메라 장치의 외형을 도시하는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향 카메라 장치의 카메라 모듈의 상면이 투시된 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부의 설치 방법에 따른 카메라 모듈 개수 및 렌즈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복수개의 카메라 모듈을 통한 전방향 카메라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향 카메라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향 카메라 장치의 구동에 따라 생성된 화상 신호의 출력 화면의 화면 예시도.

Claims (13)

  1. 전방향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복수의 카메라 장치부;
    상기 복수의 카메라 장치 각각의 카메라 모듈이 360도 전방향을 구분하여 바깥으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받침부; 및
    상기 각각의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화상 신호를 합성하여 전방향의 영상을 출력하는 화상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카메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대향하는 영역을 촬영하여 광학적 화상 신호를 전기적 화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
    상기 화상 신호를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 모듈; 및
    상기 변환된 화상 신호를 상기 화상 처리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해상도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영상 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카메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내장하는 부채꼴 형태의 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전방향 카메라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채꼴 형태의 틀은
    부채꼴의 상면 및 하면;
    상기 상면 및 하면을 연결하며 상기 부채꼴의 호를 이루는 호면; 및
    상기 상면 및 하면을 연결하며 상기 부채꼴의 반지름을 이루는 양 옆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카메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호면이 일부 제거된 호면 홀을 통해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카메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다른 장치와의 연결을 매개하는 설치부;
    상기 설치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이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면의 중심 부분에 대해서 방사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 장치부가 결합되는 돌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카메라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부는
    상기 하면 및 양 옆면에는 상기 받침부의 돌출부와 결합되도록 일부가 제거되어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카메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부는
    상기 슬롯 안으로 돌출된 핀을 구비하며, 상기 핀은 상기 받침부의 돌출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카메라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부가 상기 받침부에 설치될 때,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돌출부에 각각 카메라 장치부의 슬롯이 결합되어 고정되되, 상기 돌출부의 반은 상기 카메라 장치부의 각 슬롯에 삽입되고, 반은 상기 슬롯이 형성된 옆면 밖으로 돌출되며, 상기 받침부에 설치된 상기 카메라 장치부의 옆면 밖으로 돌출된 상기 돌출부 부분에는 다른 카메라 장치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카메라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 장치부는
    상기 받침부에 서로 대칭되는 방향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카메라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받침부에 설치된 상기 카메라 장치부의 수에 따라 360도 전방향을 구분하여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카메라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방향 카메라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장치부가 장착되는 위치 및 수를 센싱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 및 수에 따라 각 카메라 모듈에 필요한 해상도를 요청하는 과정과,
    각 카메라 모듈로부터 요청한 해상도에 따른 화상 신호들을 수신하는 과정과,
    수신한 화상 신호들을 합성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카메라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과정은
    상기 카메라 장치부의 수가 증가할수록 낮은 해상도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카메라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090132256A 2009-12-28 2009-12-28 전방향 카메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087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256A KR101087058B1 (ko) 2009-12-28 2009-12-28 전방향 카메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256A KR101087058B1 (ko) 2009-12-28 2009-12-28 전방향 카메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730A true KR20110075730A (ko) 2011-07-06
KR101087058B1 KR101087058B1 (ko) 2011-11-28

Family

ID=44915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256A KR101087058B1 (ko) 2009-12-28 2009-12-28 전방향 카메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0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6352A1 (en) * 2016-04-06 2017-10-12 Facebook, Inc. Three-dimensional, 360-degree virtual reality camera system
WO2018164317A1 (ko) * 2017-03-07 2018-09-13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전방향 영상의 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20180102482A (ko) * 2017-12-01 2018-09-17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전방향 영상의 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947B1 (ko) * 2011-12-27 2013-09-12 전자부품연구원 랩어라운드 영상을 이용한 로봇 원격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305944B1 (ko) * 2011-12-27 2013-09-12 전자부품연구원 랩어라운드 영상을 이용한 로봇 원격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256861B1 (ko) 2011-12-27 2013-04-22 전자부품연구원 칼리브레이션을 위한 체커 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칼리브레이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709Y1 (ko) 2002-03-14 2002-06-07 주식회사 게일게이트 돔형 감시카메라 장치
KR100545903B1 (ko) * 2003-11-12 2006-01-31 김배훈 360°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장치 및 그 운영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6352A1 (en) * 2016-04-06 2017-10-12 Facebook, Inc. Three-dimensional, 360-degree virtual reality camera system
US10230904B2 (en) 2016-04-06 2019-03-12 Facebook, Inc. Three-dimensional, 360-degree virtual reality camera system
WO2018164317A1 (ko) * 2017-03-07 2018-09-13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전방향 영상의 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N110383819A (zh) * 2017-03-07 2019-10-25 林克物流有限公司 生成全方位图像的方向信息的方法及执行该方法的装置
US10911658B2 (en) 2017-03-07 2021-02-02 Linkflow Co., Ltd Method for generating direction information of omnidirectional image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180102482A (ko) * 2017-12-01 2018-09-17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전방향 영상의 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7058B1 (ko) 201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058B1 (ko) 전방향 카메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10291828B1 (en) Scalable three-dimensional, 360-degree virtual reality camera system
US7877007B2 (en) Omni-directional stereo camera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US20210219049A1 (en) Microphone pattern based on selected image of dual lens image capture device
EP1367819A1 (en) Image input device
US8947781B2 (en) Monitoring system for generating 3-dimensional image and method of measuring distance by using the image
KR20020007211A (ko) 전방위 시각 센서
KR100545903B1 (ko) 360°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장치 및 그 운영방법
EP3758357A1 (en) Camera module
US10057473B2 (en) Circuit board device and image capturing module having the circuit board device
US20200314334A1 (en) Audio data acquisition device
TW201734948A (zh) 用於在廣角圖像系統中生成相關的音頻和視覺信號的方法、系統及設備
KR20010016639A (ko) 전방향 카메라와 다 수의 능동 카메라가 연동된 감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99008A (ko) 3d 영상 촬영용 파노라마 카메라장치
US11228708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image pickup system
KR101859380B1 (ko) 멀티 카메라 장치
CN214627103U (zh) 摄像组件和电子设备
JP2014236346A (ja) 収音システム
TWI288561B (en) Digital camera module with solid-imaging
JP2001258050A (ja) 立体映像撮像装置
JP2021145242A (ja) 全方向撮像装置、狭長空間内撮像装置、その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JP2023108568A (ja) 監視カメラ
KR20230089235A (ko) 광시야 카메라에 기반한 객체 추적 팬틸트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8180324A (ja) パノラマ画像撮像システム
KR20170071947A (ko)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