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5685A - Connector having multi-driving mode - Google Patents

Connector having multi-driving m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5685A
KR20110075685A KR1020090132206A KR20090132206A KR20110075685A KR 20110075685 A KR20110075685 A KR 20110075685A KR 1020090132206 A KR1020090132206 A KR 1020090132206A KR 20090132206 A KR20090132206 A KR 20090132206A KR 20110075685 A KR20110075685 A KR 20110075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pressing member
contact pin
connector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2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준언
Original Assignee
(주)케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미텍 filed Critical (주)케미텍
Priority to KR1020090132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5685A/en
Publication of KR20110075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568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5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 H01R4/500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using rotatable c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PURPOSE: A connector for multi-driving is provided to enable a connector to implement rotation operation and to minimize frictional force which is generated in a contact pin. CONSTITUTION: A contact pin(110) is pressurized according to a first horizontal direction. The contact pin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 plug(150). A pressing member(130) selectively pressurizes the contact pin. A driving member(120) is arranged in the pressing member. The driving member presses the pressing member.

Description

멀티 구동형 커넥터{Connector having multi-driving mode}Connector having multi-driving mode

본 발명은 무삽입력(zero insertion force, 이하, 'ZIF'라 한다)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 구동과 직진 구동이 가능한 멀티 구동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zero insertion for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ZIF')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driven connector capable of rotary drive and straight drive.

전자부품을 시험하는 시험장치에는 전자부품을 설치하고 신호의 입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커넥터가 사용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테스터 헤드 측에 설치되는 플러그와 맞물려 테스터 헤드와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플러그를 수용하고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콘택트 핀을 내부에 구비한다.In the test apparatus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connectors for install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performing input / output of signals are used. Such a connector serve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ester head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in engagement with a plug provided on the tester head side, and has a contact pin therein that accommodates the plug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점차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전자부품 시험장치에 설치되는 커넥터의 수와, 단위 커넥터당 커넥터에 내장되는 콘택트 핀의 수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콘택트 핀의 증가는 플러그와 콘택트 핀 사이에 과도한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As technology gradually develops, the number of connectors installed in the electronic component test apparatus and the number of contact pins embedded in the connectors per unit connector are gradually increasing. However, the increase in contact pins has the problem of generating excessive friction between the plug and the contact pins.

또한, 전자부품의 시험을 위해서 플러그를 커넥터에 반복적으로 삽입/분리하게 되는데, 이러한 반복적인 플러그의 삽입/분리 행위 역시 콘택트 핀에 마찰력으로 인한 문제를 발생시킨다.In addition, the plug is repeatedly inserted / removed into the connector for the test of the electronic component. The repetitive insertion / removal of the plug also causes a problem due to friction on the contact pin.

콘택트 핀에 발생하는 마찰력의 영향으로 인해 콘택트 핀뿐만 아니라 주변 부품들까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콘택트 핀 및 주변 부품의 변형은, 콘택트 핀과 플러그 사이의 접촉 불량이나 콘택트 핀의 파손 및 그로 인한 커넥터 성능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Due to the influence of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on the contact pins, there is a problem in that not only the contact pins but also peripheral parts are deformed. The deformation of such contact pins and peripheral components has a problem of poor contact between the contact pins and the plug, breakage of the contact pins, and consequent deterioration of the reliability of connector performance.

상기와 같은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종래의 커넥터는 플러그의 삽입/분리에 따른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ZIF 방식의 커넥터를 사용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onventional connector uses a ZIF type connector that can reduce the frictional force due to the insertion / detachment of the plug.

구체적으로, ZIF 커넥터는 콘택트 핀이 플러그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어서, 플러그를 콘택트 핀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커넥터의 일측에 콘택트 핀을 플러그에 대해 가압/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별도로 구비된다. 따라서, 플러그의 삽입/분리시 힘을 가하지 않아도 되고, 접속/분리는 별도의 수단에 의해 추후에 이루어지므로 플러그와 콘택트 핀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ZIF connector, the contact pin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lug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y inserting the plug without contacting the contact pins. And one side of the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means for allowing the contact pin to be pressed / released against the plug.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apply a force at the time of insertion / removal of the plug, and since the connection / disconnection is made later by a separate means,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plug and the contact pin can be reduced.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ZIF 커넥터는 플러그와 콘택트 핀을 결합/분리시키기 위한 구동 방법에 제약이 있어 사용하는데 많은 불편이 따르고 있다.However, the ZIF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limited in the driving method for coupling / disconnecting the plug and the contact pin, which causes a lot of inconveniences.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ZIF 커넥터는 회전 구동 또는 직진 구동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만 구동이 가능하며, 커넥터의 구동 방식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커넥터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또는 추가부품을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 었다.In more detail, the ZIF connect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can be driven only by one of a rotary drive and a straight drive method, and in order to change the drive method of the connector,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connector or install additional parts. There was an inconvenience.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ZIF 커넥터는 외부의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재가 콘택트 핀을 직접 가압하는 구조임에 따라, 구동부재와 콘택트 핀 사이에서도 마찰력이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ZIF 커넥터는 마찰력으로 인한 콘택트 핀의 변형 및 그에 따른 접속불량을 궁극적으로 해소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since the ZIF connect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structure in which a driving member driven by an external driving means directly presses a contact pin, there is a problem that excessive friction may occur between the driving member and the contact pin. Therefore, the ZIF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 situation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ultimately eliminate the deformation of the contact pin and the connection failure due to the frictional force.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As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ZIF 방식의 커넥터에서 회전 구동과 직진 구동이 모두 가능하도록 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driven connector which enables both rotational drive and straight drive in a ZIF type connector.

또한, 본 발명은 콘택트 핀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driven connector that minimizes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on the contact pins.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수직 방향을 따라 진입하는 플러그를 수용하는 하우징;A housing accommodating the plug entering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에 접근하도록 제 1 수평방향을 따라 가압되어 상기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콘택트 핀;A contact pin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pressed along a first horizontal direction to access the plug, the contact pin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콘택트 핀이 상기 플러그와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상기 콘택트 핀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A pressing membe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selectively pressing the contact pin so that the contact pin contacts or separates from the plug; And

상기 가압부재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콘택트 핀을 가압하도록 상기 가압부재를 밀어주는 구동부재를 포함하고, A driving member disposed adjacent to the pressing member to push the pressing member to press the contact pin;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압부재를 선택적으로 밀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돌기를 갖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구동돌기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수용홈을 가지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구동돌기가 상기 수용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것 에 의해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를 제공한다.The driving member has at least one driving protrusion for selectively pushing the pressing member, the pressing member has a receiving groove into which the driving protrusion is selectively inserted, and the pressing member has the driving protrusion selective at the receiving groove. It provides a multi-driven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moved by being inserted into.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는 회전 운동을 하는 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drive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m to rotate.

또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 운동에 의해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ing member may be disposed below the pressing member, and the pressing member may be disposed to be movable along a vertical direction by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driving member.

여기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drive member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press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member is arranged to be movable along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drive member.

한편,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제 1 수평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rive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d moving in a second horizontal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의 직진 운동에 의해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ing member may be disposed below the pressing member, and the pressing member may be disposed to be movabl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by a straight motion of the driving member.

또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의 직진 운동에 의해 상기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member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press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member is arranged to be movable along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by the linear motion of the driving member.

나아가,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제 2 수평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drive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able axis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다른 한편,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구동부재가 하우징 외부로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rive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opper to prevent the drive member is completely separated out of the housing.

아울러, 상기 멀티 구동형 커넥터는 다수 개가 인접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구동부재는 인접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의 구동부재와 연결되어 하나로 동작하게 하는 연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multi-driven connector is disposed adjacent, each of the drive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nection to be connected to the drive member of the adjacent multi-driven connector to operate as one.

이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동부재의 적어도 일 단부에 형성되는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formed on at least one end of the drive member.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By providing a multi-driven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구동부재와 가압부재를 분리함으로써 회전 구동과 직진 구동 모두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따라서, 구동 방식 변경에 따라 커넥터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추가 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회전 구동 또는 직진 구동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or capable of both rotary drive and straight drive by separating the drive member and the pressing memb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apply the rotational drive or the straight drive as desired by the user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connector or installing additional part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riving method.

그리고, 콘택트 핀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최소화하므로 마찰에 의한 콘택트 핀의 변형을 방지하여 커넥터의 수명 및 성능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riction force applied to the contact pin is minimized, the deformation of the contact pin due to friction can be prevented,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of the life and performance of the connector.

또한, 커넥터 내부에서 구동부재와 가압부재 위치를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의 크기를 조절하는 데 유리하다.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driving member and the pressing member in the connector can be variously arranged, it is advantageous to adjust the size of the connecto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 구조물들이 다른 구조물들의 "상에", "상부"에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에는 각 구조물들이 직접 다른 구조물들 위에 위치하거나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또 다른 구조물들이 상기 구조물들 사이에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조물들이 "제 1", "제 2" 및/또는 "제3"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러한 부재들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단지 각 구조물들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 1", "제 2" 및/또는 "제 3"은 각 구조물들에 대하여 각기 선택적으로 또는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in an enlarged scale than actual for clarity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each structure is referred to as being located "on", "top" or "bottom" of other structures, it means that each structure is located directly above or below other structures, or Still further structures may be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structures. In addition, when each structure is referred to as "first", "second" and / or "third",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se members but merely to distinguish the respective structures. Thus, "first", "second" and / or "third" may be used selectively or interchangeably for each structure.

실시예 1Example 1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ulti-driven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넥터의 정면도이며, 도 3, 도 4 및 도 6은 도 1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직진 구동을 설명하는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회전 구동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connector of FIG. 1, and FIGS. 3, 4 and 6 are sectional views of the connector of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traight drive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rotational drive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100)는 ZIF 방식의 커넥터로서, 플러 그(150)가 수용되는 하우징(101) 내부에는, 플러그(1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콘택트 핀(110), 이 콘택트 핀(110)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130) 및 이 가압부재(13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재(120)가 배치된다. The multi-driven connec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ZIF type connector. The contact pin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150 in the housing 101 in which the plug 150 is accommodated. The pressing member 130 for selectively pressing the pin 110 and the driving member 120 for moving the pressing member 130 are disposed.

ZIF 방식의 커넥터에서는, 플러그(150)의 삽입 동작과, 콘택트 핀(110)을 가압하여 플러그(150)에 접속시키는 동작이 분리되어 이루어진다.In the ZIF type connector, the insertion operation of the plug 150 and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contact pin 110 to connect the plug 150 are separated.

즉, 콘택트 핀(110)은 플러그(150)의 플러그 핀(15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어서, 힘을 가하지않고 플러그 핀(151)을 멀티 구동형 커넥터(100) 내부로 삽입한다. 그리고 하우징(101) 외부에 별도로 제공되는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콘택트 핀(110)이 가압되어 플러그 핀(151)에 접속된다. 따라서, 플러그 핀(151)과 콘택트 핀(110) 사이의 삽입 및 결합 동작시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소화함과 더불어,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하다. That is, the contact pins 110 are spaced apart from the plug pins 151 of the plug 15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by inserting the plug pins 151 into the multi-driven connector 100 without applying force. In addition, the contact pin 110 is pressed by the driving means (not shown) provided outside the housing 101 and connected to the plug pin 151. Therefore, the friction force generated during the insertion and coupling operation between the plug pin 151 and the contact pin 110 is minimized, and stable connection is possible.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상의 커넥터에서 플러그와 결합되는 삽입부(102)가 형성된 쪽을 "상부"라 하고, 상부에 대향되어 기판(미도시)에 접속되는 쪽을 "하부"라 칭하며, 상부와 하부를 따르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을 "수직 방향", 수직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콘택트 핀(110)이 가압되는 방향을 "제 1 수평 방향", 그리고 제 1 수평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제 2 수평 방향"이라 칭함을 밝혀둔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ide on which the insert 102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plug in the connector on the drawing is referred to as "upper", and the side opposite to the upper side and connected to the substrate (not shown) is referred to as "lower". , "Vertical direction"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direction along the top and bottom,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ntact pin 110 is pressed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Note that the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surface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멀티 구동형 커넥터(100)을 구성하는 하우징(101) 상부에는 플러그(150)가 삽입되는 삽입부(102)가 형성된다. 그리고, 멀티 구동형 커넥터(100)의 하부에는 콘택트 핀(110)이 하우징(101)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기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접 속되는 기판 접속부(113)가 형성된다. 그리고 기판 접속부(113) 및 콘택트 핀(110)을 지지하고, 기판 접속부 및 콘택트 핀(110)을 하우징(101)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몰드(105)가 하우징(101)의 내부에 제공된다. An insertion part 102 into which the plug 150 is inserted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1 constituting the multi-driven connector 100. In addition, a contact pin 110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1 at a lower portion of the multi-driven connector 100 to form a substrate connection portion 113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ubstrate (not shown). In addition, a fixing mold 105 for supporting the substrate connecting portion 113 and the contact pin 110 and fixing the substrate connecting portion and the contact pin 110 to the housing 101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1.

가압부재(130)는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 하도록 배치되고, 구동부재(120)는 상기 가압부재(130)가 콘택트 핀(110)을 밀어줄 수 있도록 콘택트 핀(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The pressing member 130 is disposed to be movabl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driving member 120 is disposed under the contact pin 110 so that the pressing member 130 can push the contact pin 110.

하우징(101) 내부에는 다수의 콘택트 핀(110)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콘택트 핀(110)은 플러그(150)의 플러그 핀(151) 양측에서 접촉할 수 있도록 2열로 배열됨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contact pins 110 are disposed in the housing 101. Preferably, the contact pins 110 are preferably arranged in two rows to be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plug pin 151 of the plug 150.

콘택트 핀(110)은 가압부재(130)에 의해 효율적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재(130) 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한 가압부(11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콘택트 핀(110)의 상부는 플러그 핀(151)에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플러그 핀(151) 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한 접촉부(111)가 형성된다. 즉, 콘택트 핀(110)은 전체적으로 'S'자 형상을 가진다.The contact pin 110 may be formed with a convexly curved pressing portion 112 toward the pressing member 130 so as to be efficiently pressed by the pressing member 130.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ct pin 110 is formed with a convexly curved contact portion 111 toward the plug pin 151 so as to reliably contact the plug pin 151. That is, the contact pin 110 has a 'S' shape as a whole.

상기한 바와 같은 가압부(112)와 접촉부(111)를 갖는 콘택트 핀(110)의 형상은, 콘택트 핀(110)을 플러그 핀(151)에 접촉시키기 위한 힘뿐만 아니라, 콘택트 핀(110)이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힘을 적게 요구한다. 따라서, 콘택트 핀(110)의 접속 시 마찰을 적게 발생시키면 콘택트 핀(110)의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리하여, 커넥터의 접속 신뢰성을 높여준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콘택트 핀(110)의 형상은 콘택트 핀(110)이 탄성력을 가지도 록 하는 부가적인 효과가 있어 콘택트 핀(110)의 복원력이 효율적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데 유리하다.The shape of the contact pin 110 having the pressing portion 112 and the contact portion 111 as described above is not only a force for contacting the contact pin 110 with the plug pin 151, but also the contact pin 110. It requires less power to stay connected. Therefore, if the friction is less generated when the contact pin 110 is connected, it is advantageous to keep the contact state of the contact pin 110 stable, thereby improving the connection reliability of the connector.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contact pin 110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ditional effect that the contact pin 110 has an elastic force is advantageous for the effective restoring force of the contact pin 110 to work effectively.

콘택트 핀(110)의 상부에는, 콘택트 핀(110)을 플러그 핀(151) 쪽으로 안내하는 핀 가이드(103)가 구비된다. The pin guide 103 which guides the contact pin 110 toward the plug pin 151 is provided on the contact pin 110.

가압부재(130)는 콘택트 핀(110)의 하부와 하우징(101) 사이의 공간에서 콘택트 핀(110)에 접촉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가압부재(130)가 콘택트 핀(110)의 가압부(112)의 만곡면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 콘택트 핀(110)을 안쪽으로 밀어주게 되고, 콘택트 핀(110)이 플러그 핀(151)에 대해 가압된 상태로 접속된다. 그리고 가압부재(130)에 가해지던 힘이 제거되면 콘택트 핀(110)의 복원력에 의해 콘택트 핀(110) 및 가압부재(130)의 위치가 복원되고, 콘택트 핀(110)과 플러그 핀(151) 사이의 접속이 해제된다.The pressing member 130 is disposed to contact the contact pin 110 in a space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ct pin 110 and the housing 101. Therefore, when the pressing member 130 moves upward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112 of the contact pin 110, the contact pin 110 is pushed inward, and the contact pin 110 is connected to the plug pin ( 151 is connected in a pressurized state.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pressing member 130 is removed, the positions of the contact pin 110 and the pressing member 130 are restor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ntact pin 110, and the contact pin 110 and the plug pin 151 are restored. The connection between them is released.

가압부재(130)는 콘택트 핀(110)과의 원활한 접촉 및 가압시의 마찰력 감소를 위해 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압부(112)와 하우징(101) 내부 공간이 상부로 갈수록 줄어들므로 가압부재(130)는 하부에 비해 상부의 직경이 작은 단면형상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The pressing member 13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for smooth contact with the contact pin 110 and reduction of the frictional force at the time of pressing, more preferably the pressing portion 112 and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1. Since the pressure member 130 is reduced toward the upper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ing member 130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which the diameter of the upper portion is smaller than that of the lower portion.

가압부재(130)의 하부에는 가압부재(130)와 인접하여 가압부재(130)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재(12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동부재(120)는 직진 구동 및 회전 구동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캠 프로파일(cam profile)을 갖는 로드(rod)이다.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member 130 is provided with a driving member 120 for moving the pressing member 130 in the vertical direction adjacent to the pressing member 130. Such a driving member 120 is a rod having a cam profile to selectively apply the straight drive and the rotary drive.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재(120)는 가압부재(130)를 선 택적으로 밀어주는 다수의 구동돌기(121)를 구비하고,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직진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동부재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가압부재(130)는 구동돌기(121)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수용홈(131)을 갖는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the driving member 120 includes a plurality of driving protrusions 121 that selectively push the pressing member 130, and is disposed to move straight along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driving member, the pressing member 130 has a receiving groove 131 into which the driving protrusion 121 is selectively inserted.

또한, 구동부재(120)는 제 2 수평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는 캠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되고, 가압부재(13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In addition, the driving member 120 is formed to have a cam profile that rotates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in the rotation axis,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pressing member 130.

따라서, 직진 구동 방식으로 커넥터(100)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구동부재(120)가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직진 이동함에 따라, 구동돌기(121)가 수용홈(13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가압부재(130)가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Therefore, in the case of driving the connector 100 in a straight driving manner, the driving protrusion 121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31 as the driving member 120 moves straight along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The pressing member 130 is mov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회전 구동 방식으로 커넥터(100)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구동부재(120)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부재(120)의 직경 차에 의해 가압부재(130)가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In the case of driving the connector 100 in a rotational driving manner, as the driving member 120 rotates, the pressing member 130 move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due to the diameter difference of the driving member 120.

한편, 구동부재(120)는 하우징(101)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 노출되도록 연장되어, 하우징(101) 외부에 제공되는 별도의 구동수단(미도시)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구동수단(미도시)에서 구동력이 전달되는 것에 의해 구동부재(120) 및 커넥터(100)의 직진 구동 또는 회전 구동 방식이 결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drive member 120 is extended to expose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1, is connected to a separate drive means (not shown) provided outside the housing 101 receives a driving force. By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means (not shown), the straight driving or rotational driving method of the driving member 120 and the connector 100 is determined.

구동부재(120)는 직진 구동시 구동부재(120)가 하우징(10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stopper)(122)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스토퍼(122)는 구동돌기(121)가 형성된 부분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동부재(120)의 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하우징(101)의 단부에는 작 은 직경을 갖는 스토퍼(122)만이 통과하도록 하는 개방부(106)가 형성된다. 따라서, 구동부재(120)는 스토퍼(122)에 의해 하우징(101) 내에서 구속되어 왕복 이동하게 된다.The driving member 120 preferably has a stopper 122 that prevents the driving member 1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1 during the straight driving. Specifically, the stopper 122 may be a portion formed stepped at the end of the driving member 120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portion where the driving protrusion 121 is formed. Correspondingly, an opening 106 is formed at the end of the housing 101 to allow only the stopper 122 having a small diameter to pass therethrough. Therefore, the driving member 120 is restrained in the housing 101 by the stopper 122 to reciprocate.

한편, 콘택트 핀(110)에 대한 가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압부재(130)는 수직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우징(101) 내부에 구속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구동부재(130) 역시 제 2 수평 방향을 따르는 직진 이동과 제 2 수평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는 제자리에서의 회동만이 가능하도록 하우징(101)에 구속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so that the pressing on the contact pin 110 can be made stable, the pressing member 130 is preferably confined inside the housing 101 to move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driving member 130 is also preferably constrained to the housing 101 so that only the linear movement along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rotation in place using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as the rotation axis.

여기서, 가압부재(130)는 이동거리가 짧고 콘택트 핀(110)에 대해서도 변위차가 거의 없어서, 커넥터(100)의 가압시, 가압부재(130)와 콘택트 핀(110) 사이에 마찰력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특히, 커넥터를 회전 구동 방식으로 구동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는 종래의 커넥터에 비해 콘택트 핀(110)에 발생하는 마찰력의 감소 효과가 탁월하다.Here, since the pressing member 130 has a short moving distance and there is almost no displacement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in 110, when the connector 100 is pressed, there is little friction force between the pressing member 130 and the contact pin 110. Do not. In particular, when driving the connector in a rotational drive method, the connec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reducing the friction force generated in the contact pin 110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onnector.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구동부재(120)의 직진 구동에 대해 설명한다.First, straight driving of the driving member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5.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재(120)가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직진 운동함에 따라 수용홈(131)에서 구동돌기(121)가 빠져나오면서 구동돌기(121)의 높이만큼 가압부재(130)가 위쪽으로 밀려 올라간다. 따라서, 가압부재(130)에 의해 콘택트 핀(110)이 플러그 핀(151) 쪽으로 가압되면서 접속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as the driving member 120 moves straight along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as the driving protrusion 121 exits from the receiving groove 131, the pressing member 130 moves upward by the height of the driving protrusion 121. Pushed up. Therefore, the contact pin 110 is presse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plug pin 151 by the pressing member 130.

그리고, 구동부재(120)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면 구동돌기(121)가 수용홈(131)에 삽입되어 가압부재(130)에 가해지던 힘이 제거되고, 콘택트 핀(110)의 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가압부재(130) 및 콘택트 핀(110)이 초기 위치로 복귀하고 콘택트 핀(110)과 플러그 핀(151) 간의 접속이 해제된다. Then, when the driving member 120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the driving protrusion 121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31 to remove the force applied to the pressing member 130, so that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ntact pin 110 acts. do. Accordingly, the pressing member 130 and the contact pin 110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tact pin 110 and the plug pin 151 is released.

여기서, 구동부재(120)의 스토퍼(122)에 의해 하우징(101)에 대한 이동이 제한되므로, 구동부재(120)가 하우징(101)에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Here, since the movement to the housing 101 is limited by the stopper 122 of the driving member 120, the driving member 12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1.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동부재(120)의 회전 구동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rotational drive of the drive member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7.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재(120)가 제 2 수평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여 구동부재(120)의 직경이 큰 부분이 가압부재(130)와 접촉하게 되면서 가압부재(130)가 위쪽으로 밀려 올라간다. 따라서, 가압부재(130)가 콘택트 핀(110)을 안쪽으로 밀어주어 콘택트 핀(110)이 플러그 핀(151)에 접속하게 된다.As shown, the driving member 120 is rotated about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as the axis of the large diameter of the driving member 120 is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member 130, the pressing member 130 is pushed upwards . Therefore, the pressing member 130 pushes the contact pin 110 inward so that the contact pin 110 is connected to the plug pin 151.

그리고, 구동부재(120)의 직경이 작은 부분이 가압부재(130)에 접촉하게 되면, 콘택트 핀(110)의 복원력에 의해 가압부재(130)가 아래쪽으로 밀려나고, 콘택트 핀(110)이 초기 위치로 복원되면서, 콘택트 핀(110)과 플러그 핀(151)이 분리된다.When the portion of the driving member 120 having a smaller diameter contacts the pressing member 130, the pressing member 130 is pushed downwar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ntact pin 110, and the contact pin 110 is initially initialized. Restoring to position, the contact pin 110 and the plug pin 151 are separated.

이때, 구동부재(120)는 제한된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운동 하도록 하거나, 일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이와 같은 구동부재(120)는 외부에 제공되는 구동수단(미도시)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riving member 120 may be to reciprocate the rotary motion within a limited angle range, or to continue to rotate in one direction. In particular, the driving member 120 may be controlled by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eans (not shown) provided to the outside.

실시예 2Example 2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ulti-driven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커넥터의 직진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8의 커넥터의 회전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aight drive of the connector of FIG. 8, and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otational drive of the connector of FIG. 8.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200)는, 수직 방향을 따라 진입하는 플러그(150, 도 3 참조)를 수용하는 하우징(201)과,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콘택트 핀(210), 콘택트 핀(210)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230), 및 가압부재(23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재(220)로 이루어진다.The multi-driven connecto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201 for accommodating a plug 150 (see FIG. 3) entering along a vertical direction and a contact pi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 210, a pressing member 230 for selectively pressing the contact pin 210, and a driving member 220 for moving the pressing member 230.

하우징(201)의 하부에는 콘택트 핀(210)이 하우징(201)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기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213)가 구비되고, 기판 접속부(213) 및 콘택트 핀(210)을 하우징(201)에 고정시키는 고정 몰드(205)가 제공된다.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201 is provided with a substrate connecting portion 213 that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01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ubstrate (not shown). The substrate connecting portion 213 and the contact pin ( A fixing mold 205 is provided to secure 210 to housing 201.

콘택트 핀(210)은 플러그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부(211)와 상기 가압부재(230)에 접촉되는 가압부(212)로 이루어진다. 특히, 접촉부(211)는 안쪽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고, 가압부(212)는 가압부재(230)가 설치된 바깥쪽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어, 콘택트 핀(210)은 전체적으로 'S'자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콘택트 핀(210)은 작은 힘으로도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하고, 커넥터 성능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contact pin 210 includes a contact portion 211 selectively contacting the plug and a pressing portion 212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member 230. In particular, the contact portion 211 is formed to be convex toward the inside, the pressing portion 212 is formed to be convex toward the outside installed the pressing member 230, the contact pin 210 has a 'S' shape as a whole Have Therefore, the contact pin 210 can be connected stably with a small force, and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connector performance.

가압부재(230)는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콘택트 핀(210)을 가압하도록 콘택트 핀(210)의 측면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특히, 가압부재(230)와 콘택트 핀(210)이 접촉될 때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가압부재(230)는 컨택트 핀(210)에 인접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다.The pressing member 230 is disposed side by side of the contact pin 210 to move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to press the contact pin 210. In particular, the pressing member 230 is preferably installed adjacent to the contact pin 210 so that an impact is not applied when the pressing member 230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in 210.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200)는, 가압부재(230)가 콘택트 핀(21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콘택트 핀(210)을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가압/해제하게 되므로, 가압부재(230)와 콘택트 핀(210) 사이에는 마찰이 발생하지 않는다.Accordingly, in the multi-driven connecto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pin 210 is moved along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while the pressing member 230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in 210. Since it is pressed / released, friction does not occur between the pressing member 230 and the contact pin 210.

가압부재(230)에 가해지던 힘이 제거되면 콘택트 핀(210)의 복원력에 의해 콘택트 핀(210) 및 가압부재(230)의 위치가 복원되고, 콘택트 핀(210)이 플러그 핀(도 3의 도면 부호 151 참조)에서 분리된다.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pressing member 230 is removed, the position of the contact pin 210 and the pressing member 230 is restor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ntact pin 210, and the contact pin 210 is connected to the plug pin (FIG. 3). Reference numeral 151).

구동부재(220)는 직진 구동 및 회전 구동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캠 프로파일을 갖는 로드이다.The drive member 220 is a rod having a cam profile to selectively apply straight drive and rotary drive.

구체적으로는, 구동부재(220)는 가압부재(230)를 선택적으로 밀어주는 다수의 구동돌기(221)가 갖고,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직진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가압부재(230)에는 구동돌기(221)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수용홈(231)이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driving member 220 has a plurality of driving protrusions 221 for selectively pushing the pressing member 230, it is arranged to move straight along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The pressing member 230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231 into which the driving protrusion 221 is selectively inserted.

또한, 구동부재(220)는 제 2 수평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는 캠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되고, 가압부재(230)와 인접하게 가압부재(230)의 측부에 배치된다.In addition, the driving member 220 is formed to have a cam profile to rotate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in the rotation axis, and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pressing member 230 adjacent to the pressing member 230.

따라서, 직진 구동 방식으로 커넥터(200)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구동부 재(220)가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직진 운동을 하면 구동돌기(221)가 수용홈(23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가압부재(230)는 구동돌기(221)의 높이만큼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Therefore, in the case of driving the connector 200 in a straight driving method, when the driving member 220 moves straight along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the driving protrusion 221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31. The pressing member 230 is moved along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by the height of the driving protrusion 221.

그리고 회전 구동 방식으로 커넥터(200)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구동부재(220)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부재(220)의 직경 차이에 의해 가압부재(230)가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In the case of driving the connector 200 by the rotation driving method, the pressing member 230 moves along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diameter of the driving member 220 as the driving member 220 rotates.

한편, 구동부재(220)는 하우징(201)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 노출되도록 연장되어, 하우징(201) 외부에 제공된 별도의 구동수단(미도시)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다.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member 220 is extended to expose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01, is connected to a separate driving means (not shown) provided outside the housing 201 receives a driving force.

구동수단(미도시)에서 구동력이 전달되는 것에 의해 구동부재(220) 및 커넥터(200)의 직진 구동 또는 회전 구동 방식이 결정된다.By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means (not shown), the straight driving or rotational driving method of the driving member 220 and the connector 200 is determined.

구동부재(220)는 직진 구동시 구동부재(220)가 하우징(20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도 5의 122 참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스토퍼는 구동돌기(221)가 형성된 부분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동부재(220)에서 단부가 단차지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The driving member 220 preferably includes a stopper (see 122 of FIG. 5) to prevent the driving member 2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using 201 during the straight driving. Specifically, the stopper may be one end formed in the driving member 220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portion where the driving protrusion 221 is formed.

이하,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먼저, 직진 구동시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재(220)가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직진 이동하면, 구동돌기(221)가 수용홈(231)에서 이탈된다. 따라서, 가압부재(230)가 구동돌기(221)의 높이만큼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콘택트 핀(210)을 밀어주게 되고, 콘택트 핀(210)이 플러그(150, 도 2 참조)에 대해 접속된다.First, in the straight driving, as shown in FIG. 9, when the driving member 220 moves straight along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the driving protrusion 221 is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groove 231. Therefore, the pressing member 230 is moved along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by the height of the driving protrusion 221 to push the contact pin 210, the contact pin 210 with respect to the plug 150 (see Fig. 2) Connected.

그리고, 구동부재(22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면, 구동돌기(221)가 수용홈(231)에 삽입되면서 콘택트 핀(210)의 복원력이 작용하면서 가압부재(230) 및 콘택트 핀(210)이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콘택트 핀(210)이 플러그에서 분리된다. When the driving member 220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the driving protrusion 221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31 while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ntact pin 210 is acted on, so that the pressing member 230 and the contact pin 210 are operated.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Thus, the contact pin 210 is disconnected from the plug.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구동부재(220)의 회전 구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재(220)는제 2 수평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단면에서 각 부분마다 직경이 다른 캠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구동부재(220)의 직경이 큰 부분이 가압부재(230)에 접촉하게 되면 가압부재(230)가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콘택트 핀(210)을 밀어준다. 따라서, 상기 콘택트 핀(210)이 플러그에 가압되어 접속된다.Next, the rotational drive of the drive member 2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As shown, the drive member 220 is rotated with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as the rotation axis, and is formed to have a cam profile having a different diameter for each part in the cross section. Therefore, when the large diameter of the driving member 220 is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member 230, the pressing member 230 is moved along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to push the contact pin 210. Thus, the contact pin 210 is pressed against the plug and connected.

그리고 구동부재(220)의 직경이 작은 부분이 가압부재(230)에 접촉하게 되면, 콘택트 핀(210)의 복원력에 의해 가압부재(230) 및 콘택트 핀(210)이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콘택트 핀(210)이 플러그에서 분리된다.When the portion of the driving member 220 having a smaller diameter contacts the pressing member 230, the pressing member 230 and the contact pin 210 return to their initial positions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ntact pin 210. Thus, the contact pin 210 is disconnected from the plug.

이때, 구동부재(220)는 제한된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운동하도록 설치되거나, 일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구동부재(220)는 하우징(201)의 외부에 제공되는 구동수단(미도시)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riving member 220 may be installed to reciprocate the rotary motion within a limited angle range, or may continue to rotate in one direction. In addition, the driving member 220 may be controlled by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eans (not shown) provided outside the housing 201.

실시예 3Example 3

이하,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multi-driven connec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도 11과 도 12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도 11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의 직진 구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2는 회전 구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1 and 12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multi-driven connec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G. 11 is a view showing a straight drive of the multi-driven connec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nd FIG. 12 is a view showing a rotational drive. .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멀리 구동형 커넥터(300)는, 수직 방향을 따라 진입하는 플러그를 수용하는 하우징(301)과, 하우징(301) 내부에 배치되어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콘택트 핀(310)과, 하우징(301) 내부에 배치되어 콘택트 핀(310)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330) 및 가압부재(33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재(320)로 이루어진다.The far-driven connector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301 for accommodating a plug entering along a vertical direction and a contact pin disposed inside the housing 301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310 and a pressing member 33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301 to selectively press the contact pin 310 and a driving member 320 to move the pressing member 330.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에서는 가압부재(330)와 구동부재(320)는 콘택트 핀(310)의 하부에 배치되고, 구동부재(320)가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직진 이동함에 따라 가압부재(330)가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콘택트 핀(310)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necto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pressing member 330 and the driving member 320 are disposed under the contact pin 310, and the driving member 320 is pressurized as it moves straight along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The member 330 may mov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o selectively press the contact pin 310.

이상에서 설명한 제 1 및 제 2 실시예들과의 차이점은, 상술한 실시예들의 구동부재가 직진 이동과 회전 이동이 모두 가능한 구조를 갖지만, 제 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동부재는 직진 이동만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는 것이다.The difference from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s that the driving member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s a structure in which both the linear movement and the rotational movement are possible, but the driving member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the linear movement only. It is possible to have a structure.

한편, 본 제 3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에서 하우징(301) 및 콘택트 핀(310) 등의 구성요소는 상술한 제 1, 제 2 실시예와 그 구조 및 기능이 유사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multi-driven connec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components such as the housing 301 and the contact pin 310 are similar in structure and function to thos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do.

이하에서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의 구동부재(320) 및 가압부재(330)와, 커넥터(3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operations of the driving member 320 and the pressing member 330 and the connector 300 of the connector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구동부재(320)는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로드로서, 가압부재(330)를 선택적으로 밀기 위한 다수의 구동돌기(321)를 갖는다. 가압부재(320)는 구동돌기(321)와 대응되어 구동돌기(321)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수용홈(331)을 갖는다.The driving member 320 is a rod moving along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and has a plurality of driving protrusions 321 for selectively pushing the pressing member 330. The pressing member 320 has a receiving groove 331 in which the driving protrusion 321 is selectively inser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driving protrusion 321.

가압부재(330)는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콘택트 핀(310)을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콘택트 핀(310)의 하부에 인접하여 배치된다.The pressing member 33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ct pin 310 so as to mov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o selectively press the contact pin 310.

특히, 가압부재(330)는 가압시 콘택트 핀(310)과 접촉되는 면에 발생하는 마찰이 최소가 되도록 콘택트 핀(310)에 접촉된 상태로 가압/해제하도록 배치된다.In particular, the pressing member 330 is arranged to press / releas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in 310 so that the friction generated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in 310 is minimized during pressing.

그리고 구동부재(320)는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직진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가압부재(330)를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압부재(330)의 하부에 인접하여 배치된다.In addition, the driving member 320 is disposed to move straight along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member 330 to move the pressing member 330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moving along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Is placed adjacent to.

이하, 제 3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300)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ulti drive connector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먼저, 콘택트 핀(310)을 접속시킬 때는 구동부재(320)가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직진 이동하여 구동돌기(321)가 수용홈(331)에서 빠져나온다. 따라서, 가압부재(330)가 구동돌기(321)의 높이만큼 위쪽으로 밀려나면서 콘택트 핀(310)을 가압하여 플러그에 접속시킨다.First, when the contact pin 310 is connected, the driving member 320 moves straight along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driving protrusion 321 exits from the receiving groove 331. Accordingly, the pressing member 330 is pushed upward by the height of the driving protrusion 321 to press the contact pin 310 to connect to the plug.

다음으로, 콘택트 핀(310)을 분리할 때는 구동부재(320)가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구동돌기(321)가 수용홈(331)에 삽입된다. 따라서, 가압부재(330)에 가해지던 힘이 해제되면서 콘택트 핀(310)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가압부재(330) 및 콘택트 핀(310)이 초기위치로 복귀된다.Next, when the contact pin 310 is removed, the driving member 320 is moved along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driving protrusion 321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331. Therefore, while the force applied to the pressing member 330 is released,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ntact pin 310 acts to return the pressing member 330 and the contact pin 310 to the initial position.

실시예 4Example 4

이하,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ulti-driven connect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도 13과 도 14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도 13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의 직진 구동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4는 회전 구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3 and 14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multi-driven connect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FIG. 13 is a view showing a straight drive of the multi-driven connect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nd FIG. 14 is a view showing a rotational drive. .

제 4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400)는 플러그가 수용되는 하우징(401) 내부에 배치되어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콘택트 핀(410)과, 하우징(401) 내부에 배치되어 콘택트 핀(410)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430) 및 가압부재(43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재(420)로 이루어진다.The multi-driven connector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disposed in the housing 401 in which the plug is accommodated, the contact pin 41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and the contact pin (in the housing 401). It consists of a pressing member 430 for selectively pressing the 410 and the driving member 420 to move the pressing member 430.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400)에서는 가압부재(430)와 구동부재(420)가 콘택트 핀(410)의 측면에 배치되고, 구동부재(420)의 직진 운동에 의해 가압부재(430)가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necto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pressing member 430 and the driving member 420 are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ct pin 410, and the pressing member 430 is removed by the straight motion of the driving member 420. It is characterized by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한편, 하우징(401) 및 콘택트 핀(410) 등의 구성요소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components of the housing 401 and the contact pin 410 are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제 4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400)의 구동부재(420) 및 가압부재(430)와, 커넥터(4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operations of the driving member 420 and the pressing member 430 of the connector 400 and the connector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가압부재(430)는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콘택트 핀(410)을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콘택트 핀(410)의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된다.The pressing member 43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ide of the contact pin 410 so as to move along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to selectively press the contact pin 410.

특히, 가압부재(430)는 가압시 콘택트 핀(410)과 접촉되는 면에서 마찰이 최소로 발생하도록 콘택트 핀(410)과 접촉된 상태로 가압/해제하도록 배치된다.In particular, the pressing member 430 is arranged to press / releas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in 410 so that the friction is minimal i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in 410 during the pressing.

구동부재(420)는 가압부재(430)를 선택적으로 밀어주기 위한 다수의 구동돌기(421)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직진 운동하는 로드이며, 가압부재(430)는 구동돌기(421)가 삽입되는 수용홈(431)를 구비하도록 형성된다.The driving member 420 is a rod formed to have a plurality of driving protrusions 421 for selectively pushing the pressing member 430 to move straight along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pressing member 430 is the driving protrusion 421. ) Is formed to have a receiving groove 431 is inserted.

그리고, 구동부재(420)는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가압부재(430)를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압부재(430)의 측부에 인접하여 배치된다.In addition, the driving member 42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ide of the pressing member 430 so as to move the pressing member 430 along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by moving along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한편, 하우징(401) 내부에서 가압부재(430) 및 구동부재(420)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커넥터(400)의 작동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오목부를 형성하여 가압부재(430) 및 구동부재(420)를 수용할 수 있다. 즉, 하우징(401) 내부에서 가압부재(430)는 제 1 수평 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구속되며, 가압부재(430)가 수용된 내측으로 구동부재(420)를 배치함으로써, 구동부재(420)를 수용함과 더불어, 제 2 수평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속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ncrease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connector 400 by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member 430 and the driving member 420 in the housing 401, a recess is formed to form the pressing member 430 and the driving member 420 ) Can be accommodated. That is, in the housing 401, the pressing member 430 is constrained to move only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driving member 420 is accommodated by disposing the driving member 420 in the housing in which the pressing member 430 is accommodated. In addition, it can be restrained to move only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다른 한편, 구동부재(420)의 단부에는 구동부재(420)가 하우징(401)에서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4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스토퍼(422)는 구동부재(420) 단부에 직경이 작아져 단차지게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stopper 422 may be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driving member 420 to prevent the driving member 420 from leaving the housing 401 completely. The stopper 422 may be a portion formed stepped with a smaller diameter at the end of the driving member 420.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재(420)가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직진 운동하면, 구동돌기(421)가 수용홈(431)에서 이탈되어 구동돌기(421)의 높이만큼 가압부재(430)를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콘택트 핀(410)이 플러그(150, 도 2 참조)에 대해 가압된 상태로 접속된다. As shown in FIG. 13, when the driving member 420 moves straight along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the driving protrusion 421 is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groove 431, and the pressing member 430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driving protrusion 421. ) Is pushed along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Therefore, the contact pin 410 is connected in the pressurized state with respect to the plug 150 (refer FIG. 2).

그리고, 구동부재(42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면, 구동돌기(421)가 수용홈(431)에 삽입되면서 콘택트 핀(410)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가압부재(430) 및 콘택트 핀(410)이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콘택트 핀(410)에 가해지던 힘이 해제되면서 플러그에서 분리된다.When the driving member 420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the driving protrusion 421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431, and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ntact pin 410 acts so that the pressing member 430 and the contact pin 410 are actuated.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Therefore, the force applied to the contact pin 410 is released from the plug.

실시예 5Example 5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는 다수의 커넥터를 연결하는 것에 대한 실시예이다.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connectors.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둘 이상의 커넥터를 직렬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며, 좀더 상세하게는, 다수의 커넥터의 구동부재를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별도로 구비되는 구동수단에 의해 동시에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connect at least two or more connectors in series,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drive by the drive means provided separately by connecting the drive members of the plurality of connectors in series. .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ulti-driven connecto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제 5 실시예는 구동부재의 연결에 대해서 설명하고, 하우징이나 콘택트 핀 등의 커넥터의 구성요소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ifth embodiment describes the connection of the drive member, and the components of the connector such as the housing or the contact pin are similar to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재(510,520)의 단부에는 서로 연결되는 연 결부(512,522)가 또한 형성된다. 이 연결부(512,522)는 구동부재(510,520)의 단부가 부분적으로 돌출된 돌기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connection portions 512 and 522 connected to each other are also formed at the ends of the driving members 510 and 520. The connection parts 512 and 522 may be protrusions in which ends of the driving members 510 and 520 partially protrude.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구동부재(510)와 제 1 가압부재(550), 제 2 구동부재(520)와 제 2 가압부재(560)로 나누어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제 1" 및 "제 2"는 단지 구분을 위한 명칭으로서, "제 1", "제 2"는 각기 선택적으로 또는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by dividing the first driving member 510, the first pressing member 550, the second driving member 520, and the second pressing member 560. However, the "first" and "second" are only names for distinguishing, and the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selectively or interchangeably, respectively.

제 1 구동부재(510)와 제 1 가압부재(550)는 하나의 커넥터에 포함되고, 제 2 구동부재(520)와 제 2 가압부재(560)는 다른 커넥터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이다.The first driving member 510 and the first pressing member 550 are included in one connector,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520 and the second pressing member 560 are components included in another connector.

먼저, 제 1 구동부재(510)는 제 1 가압부재(550)를 선택적으로 밀기 위한 다수의 구동돌기(511)를 갖고, 그 단부에는 제 2 구동부재(520)와 직렬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512)를 갖는다.First, the first driving member 510 has a plurality of driving protrusions 511 for selectively pushing the first pressing member 550, and at the end thereof, a connection part for connecting in series with the second driving member 520 ( 512).

제 2 구동부재(520)는 제 2 가압부재(550)를 선택적으로 밀기 위한 다수의 구동돌기(521)를 갖고, 그 단부에는 제 1 구동부재(510)와 연결되는 연결부(522)를 갖는다.The second driving member 520 has a plurality of driving protrusions 521 for selectively pushing the second pressing member 550, and has a connecting portion 522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member 510 at an end thereof.

제 1 연결부(512)와 제 2 연결부(522)는 서로 맞물려서 결합될 수 있는 대응하는 형상의 돌기임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512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522 are preferably protrusions of a corresponding shape that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연결부(512)가 상부로 돌출된 돌기를 가지며, 제 2 연결부(522)는 제 1 연결부(512)와 대응되어 하부로 돌출된 돌기를 가진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5,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512 has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522 has a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512. .

이하, 제 5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multi-driven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여기서, 제 1 구동부재(510)의 일단이 외부의 구동수단(미도시)에 연결되어, 직진 이동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각 구동부재(510)는 각 커넥터 내부에서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직진 이동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Here, one end of the first driving member 51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riving means (not shown), and moves straight.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each driving member 510 is preferably installed to move straight along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in each connector.

먼저, 제 1 연결부(512)에 제 2 연결부(522)를 맞물리는 것에 의해 구동부재(510,520)가 직렬로 연결된다. 구동수단이 작동함에 따라 제 1 구동부재(510)가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제 1 구동부재(510)가 동시에 제 2 구동부재(520)가 이동하게 된다. First, the driving members 510 and 520 are connected in series by engaging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522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512. As the driving means operates, the first driving member 510 moves along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irst driving member 510 simultaneously moves the second driving member 520.

따라서, 제 1 구동돌기(511) 및 제 2 구동돌기(521)가 각 가압부재(550,560)의 수용홈(551,561)에서 빠져나오고, 각 가압부재(550,560)는 구동돌기(511,521)의 높이만큼 위로 밀려 올라간다. 그리고, 각 가압부재(550,560)가 콘택트 핀을 가압하여 플러그에 접속시킨다.Accordingly, the first driving protrusion 511 and the second driving protrusion 521 exit from the receiving grooves 551 and 561 of the pressing members 550 and 560, and the pressing members 550 and 560 move upward by the height of the driving protrusions 511 and 521. Pushed up Then, the pressing members 550 and 560 press the contact pins to connect the plugs.

다음으로, 각 구동부재(510,52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면, 각 구동돌기(511,521)는 대응되는 수용홈(551,561)에 삽입된다. 따라서, 각 가압부재(550,560) 및 콘택트 핀이 초기위치로 복귀하고, 콘택트 핀과 플러그가 분리된다. Next, when the driving members 510 and 520 return to their initial positions, the driving protrusions 511 and 521 are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receiving grooves 551 and 561. Thus, the pressing members 550 and 560 and the contact pins return to their initial positions, and the contact pins and the plugs are separated.

본 제 5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에 의하며, 다수의 커넥터를 직렬로 연결하여 동시에 작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다수의 커넥터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동시에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multi-driven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operate a plurality of connectors stably and efficiently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nnectors in series.

한편, 구동부재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부재의 일 단부는 미도시된 구동수단에 연결되며, 타 단부는 다른 커넥터의 구동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구동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부재의 양쪽 단부에 모두 연결부를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부재의 일 단부에는 다른 커넥터의 구동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갖고, 타 단부에는 연결부나 다른 부재와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갖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riving member, one end of the driv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eans not shown, the other end may be in the form having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driving member of the other connector.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driving member, both ends of the driving member may be in the form having a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driving member, one end of the driving member may have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driving member of the other connector, and the other end may not have a structure capable of connecting to the connecting portion or the other member.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 1 구동부재와 제 2 구동부재를 직렬로 연결하여 작동시키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구동부재의 양쪽 단부에 모두 연결부를 갖는 구동부재를 사용하여 3개 이상의 구동부재를 직렬로 연결하여 구동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drive member and the second drive member have been described in series to operate. However, three or more drive members are connected in series by using a drive member having a connection portion at both ends of the drive member. It will also be possible to connect and driv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 구동부재와 가압부재를 콘택트 핀의 측부에 배치하는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커넥터의 전체적인 높이를 줄이는 데 유리하다. 마찬가지로 구동부재와 가압부재를 콘택트 핀의 하부에 배치하는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커넥터의 폭을 줄이는 데 유리하다.In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disposing the driving member and the pressing member on the side of the contact pin is advantageous in reducing the overall height of the connector. Likewise,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which the driving member and the pressing member are disposed under the contact pin is advantageous in reducing the width of the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를 도시한 평면도, 1 is a plan view showing a multi drive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멀티 구동형 커넥터의 정면도, 2 is a front view of the multi-driven connector of FIG.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도 3의 멀티 구동형 커넥터에서 구동부재의 직진 구동에 의해 콘택트 핀이 가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pin is pressed by the straight drive of the drive member in the multi-driven connector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에서 구동부재의 직진 구동을 보여주기 위해 구동부재와 가압부재만 도시한 구성도,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only the drive member and the pressing member to show the straight drive of the drive member in the multi-driven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3의 멀티 구동형 커넥터에서 구동부재의 회전 구동에 의해 콘택트 핀이 가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pin is pressed by the rotational drive of the drive member in the multi-driven connector of FIG.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에서 구동부재의 회전 구동을 보여주기 위해 구동부재와 가압부재만 도시한 구성도,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only the drive member and the pressing member to show the rotational drive of the drive member in the multi-driven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의 단면도,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 drive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의 커넥터에서, 구동부재의 직진 구동에 의해 콘택트 핀이 가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pin is pressed by the straight drive of the drive member in the connector of FIG.

도 10은 도 8의 커넥터에서, 구동부재의 회전 구동에 의해 콘택트 핀이 가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pin is pressed by the rotational drive of the drive member in the connector of FIG.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의 단면도,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 drive connec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도 11의 커넥터에서 구동부재의 직진 구동에 의해 콘택트 핀이 가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pin is pressed by the straight drive of the drive member in the connector of FIG.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의 단면도,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 drive connect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도 13의 커넥터에서 구동부재의 직진 구동에 의해 콘택트 핀이 가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1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pin is pressed by the straight drive of the drive member in the connector of FIG.

도 15a와 도 15b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멀티 구동형 커넥터에서 커넥터의 연결 및 동작에 대해 보여주기 위해 구동부재와 가압부재만 도시한 구성도. 15A and 15B are views illustrating only the driving member and the pressing member to show the connection and operation of the connector in the multi-driven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200, 300, 400: 멀티 구동형 커넥터100, 200, 300, 400: Multi-Drive Connector

101, 201, 301, 401: 하우징101, 201, 301, 401: housing

102: 삽입부 103 : 핀 가이드102: insertion portion 103: pin guide

105, 205: 고정 몰드105, 205: fixed mold

110, 210, 310, 410: 콘택트 핀110, 210, 310, 410: contact pins

111: 접촉부 112 : 가압부111: contact portion 112: pressing portion

113, 213: 기판 접속부113,213: board | substrate connection part

120, 220, 320, 420, 510, 520: 구동부재120, 220, 320, 420, 510, 520: drive member

121, 221, 321, 421, 511, 521: 구동돌기121, 221, 321, 421, 511, 521: driving protrusion

122: 스토퍼122: stopper

130, 230, 330, 430, 550, 560: 가압부재130, 230, 330, 430, 550, 560: pressure member

131, 231, 331, 431, 551, 561: 수용홈131, 231, 331, 431, 551, 561: accommodation home

150 : 플러그 151 : 플러그 핀150: plug 151: plug pin

Claims (11)

수직 방향을 따라 진입하는 플러그를 수용하는 하우징;A housing accommodating the plug entering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에 접근하도록 제 1 수평방향을 따라 가압되어 상기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콘택트 핀;A contact pin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pressed along a first horizontal direction to access the plug, the contact pin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콘택트 핀이 상기 플러그와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상기 콘택트 핀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A pressing membe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selectively pressing the contact pin so that the contact pin contacts or separates from the plug; And 상기 가압부재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콘택트 핀을 가압하도록 상기 가압부재를 밀어주는 구동부재를 포함하고, A driving member disposed adjacent to the pressing member to push the pressing member to press the contact pin;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압부재를 선택적으로 밀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돌기를 갖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구동돌기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수용홈을 가지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구동돌기가 상기 수용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The driving member has at least one driving protrusion for selectively pushing the pressing member, the pressing member has a receiving groove into which the driving protrusion is selectively inserted, and the pressing member has the driving protrusion selective at the receiving groove. Multi-driven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moved by being inserted into.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부재는 회전 운동을 하는 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The drive member is a multi-driven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am to rotate.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 운동에 의해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The driving member is disposed under the pressing member, the pressing member is a multi-driven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member is arrang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driving member.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The driving member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pressing member, the pressing member is a multi-driven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member is arranged to be movable along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driv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제 1 수평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And the drive member is a rod moving along a second horizontal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의 직진 운동에 의해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The driving member is disposed under the pressing member, the pressing member is a multi-driven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member is arranged to be movabl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linear movement of the drive memb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의 직진 운동에 의해 상기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가 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6. The multi-driven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driving member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pressing member, and the pressing member is disposed to be movable along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by a straight motion of the driving member.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제 2 수평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8. The multi-driven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drive member is rotatable about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구동부재가 하우징 외부로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And the drive member has a stopper to prevent the drive member from completely leaving the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멀티 구동형 커넥터는 다수 개가 인접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구동부재는 인접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의 구동부재와 연결되어 하나로 동작하게 하는 연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A plurality of the multi-driven connector i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each of the drive member is connected to the drive member of the adjacent multi-driven connector multi-driven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nection to operate as one. 제 10 항에 있어서, 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동부재의 적어도 일 단부에 형성되는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구동형 커넥터.The connector is a multi-driven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formed on at least one end of the drive member.
KR1020090132206A 2009-12-28 2009-12-28 Connector having multi-driving mode KR2011007568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206A KR20110075685A (en) 2009-12-28 2009-12-28 Connector having multi-driving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206A KR20110075685A (en) 2009-12-28 2009-12-28 Connector having multi-driving mo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685A true KR20110075685A (en) 2011-07-06

Family

ID=44915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206A KR20110075685A (en) 2009-12-28 2009-12-28 Connector having multi-driving m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568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3851B2 (en) Connector assemblies and systems including flexible circuits
TWI433413B (en) Extension cord plug device
US20110141685A1 (en) Docking station for connecting to a notebook computer
EP1956686B1 (en) Connector with an elastic slider
US5795174A (en) Multi-connector supporting device with connection/disconnection mechanism
KR101450736B1 (en) Connector
JP2009217990A (en) Connector device, and connecting method thereof
EP2846411A1 (en) Contact, connector, and connecting device
EP2840660B1 (en) Electric connector
JP2006032338A (en) Plug connecto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16207598A (en) connector
KR101141107B1 (en) Connector
US7040908B2 (en) Card connector which can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kinds of cards different in width
KR100793261B1 (en) Connector having multi-driving mode
US8342866B2 (en) Connector assemblies having mating sides moved by fluidic coupling mechanisms
US8282290B2 (en) Connectors and assemblies having a plurality of moveable mating arrays
KR100902668B1 (en) Loading device for testing ssd
JP7199205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KR20110075685A (en) Connector having multi-driving mode
US20130260591A1 (en) Card edge connector
JP6166764B2 (en) Terminal block having engagement structure
US11835772B2 (en) Optical receptacle and module and optical connector module using the same
US7658634B2 (en)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with an improved driver member
JP2006059724A (en) Connector for flexible board
JP2014032857A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