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3161A -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3161A
KR20110073161A KR1020100020907A KR20100020907A KR20110073161A KR 20110073161 A KR20110073161 A KR 20110073161A KR 1020100020907 A KR1020100020907 A KR 1020100020907A KR 20100020907 A KR20100020907 A KR 20100020907A KR 20110073161 A KR20110073161 A KR 20110073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nt
information
context
reali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말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2/883,74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10154384A1/en
Priority to CN2010105172858A priority patent/CN102103875A/zh
Publication of KR20110073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31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environmental sensors, e.g. for detecting temperature, luminosity, pressure,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컨텍스트를 관리하는 사용자 컨텍스트 관리부 및 컨텐츠를 재생 가능한 컨텐츠 재생 장치를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라 제어하는 장치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offering user-oriented sensory effect contents service}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컨텍스트에 맞는 컨텐츠의 실감 효과(Sensory effect)를 다양한 컨텐츠 재생 장치를 통하여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는 컨텐츠의 이용에 있어서, 사용자에 대한 정보, 사용자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고려하지 못하였다.
또한, 종래의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는 컨텐츠의 이용에 있어서, 사용자에 대한 정보, 사용자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고려하여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기반의 다양한 센서 및 센서 네트워크 활용을 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의 상황과 선호에 맞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를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컨텍스트를 관리하는 사용자 컨텍스트 관리부 및 컨텐츠를 재생 가능한 컨텐츠 재생 장치를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라 제어하는 장치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는, 컨텐츠를 재생 가능한 컨텐츠 재생 장치를 검색하는 장치 검색부와, 사용자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컨텍스트를 관리하는 사용자 컨텍스트 관리부 및 컨텐츠의 전개 중 일정 시점마다 컨텐츠를 분기하고, 검색된 컨텐츠 재생 장치가 분기시의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라 분기된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컨텍스트를 관리하는 사용자 컨텍스트 관리 단계 및 컨텐츠를 재생 가능한 컨텐츠 재생 장치를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라 제어하는 장치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은 사용자 컨텍스트에 맞는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가 고려된 컨텐츠의 실감 효과(Sensory effect)를 다양한 컨텐츠 재생 장치를 통하여 즐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컨텍스트를 관리하고, 컨텐츠(Contents)의 전개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 가능한 컨텐츠 재생 장치(Contents playing device)를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라 제어한다.
여기서, 사용자 컨텍스트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컨텍스트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성별 정보, 나이 정보, 키 정보, 몸무게 정보, 사용자 주변 배경 정보, 주변 지역의 환경 파라미터(Enviromental parameter) 정보 및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컨텍스트는 사용자의 직접 입력, 저장 장치(예: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 센서(예: 압력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가스 센서, 풍속 센서, 가속도 센서, 지문 인식기, 센서 네트워크 등), GPS, RFID 태그, 영상처리기법 등을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재생 장치는 영상 표시 장치(Video display device) 또는 음향 장치 (Audio device)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재생 장치는 향 분사기, 진동기, 온도조절기, 압력조절기 등 사용자의 오감을 자극하여 감각적 효과를 생성하는 실감 재현 장치(Single-media Multi device : SMMD)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컨텍스트를 관리하고, 컨텐츠 재생 장치가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라 분기된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분기점이 있는 컨텐츠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10)가 입력받아 각 분기점에서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라 재생할 수도 있고,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10)가 컨텐츠에 분기점을 생성하여 각 분기점에서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라 재생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각 분기점에서 사용자 컨텍스트, 예컨테 사용자의 위치와, 그 위치에서의 온도, 습도 등에 따라, 향분사기, 온도 조절기를 제어하여, 분기시점에서의 사용자의 정보 또는 주변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컨텐츠를 서비스 할 수 있다.
즉, 컨텐츠의 전개가 분기점마다 사용자의 정보, 주변 환경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이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는 컨텐츠의 전개 중에 있어서 컨텐츠 내용의 분기가 이루어지는 분기점(Divergence Point : DP)를 가질 수 있고, 컨텐츠의 전개가 이루어지는 도중 분기점이 있으면, 컨텐츠는 분기될 수 있다.
컨텐츠는 분기점에서 컨텐츠1-1 및 컨텐츠1-2로 분기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컨텐츠1-1은 다른 분기점에서 컨텐츠2-1 및 컨텐츠2-2로 분기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또 다른 분기점이 있으면, 컨텐츠는 분기점에서 분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컨텍스트를 관리하고, 컨텐츠 재생 장치가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되는 분기된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20)는 사용자 컨텍스트 관리부(100)와 장치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사용자 컨텍스트 관리부(100)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컨텍스트(User context)를 관리한다.
장치 제어부(200)는 컨텐츠를 재생 가능한 컨텐츠 재생 장치(Contents playing device)를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라 제어한다.
또한, 장치 제어부(200)는 컨텐츠의 전개 중 컨텐츠를 분기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가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라 분기된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제어부(200)는 컨텐츠의 전개 중 일정 시점마다 컨텐츠를 분기하고, 컨텐츠 재생 장치가 분기시의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라 분기된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컨텍스트는 수집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 주변 상황 정보에 따라 갱신되는 것일 수 있고, 사용자 컨텍스트 관리부(100)는 갱신된 사용자 컨텍스트를 관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장치 제어부(200)는 컨텐츠의 전개 중 사용자의 지시 시점마다 컨텐츠를 분기하고, 컨텐츠 재생 장치가 분기시의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라 분기된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컨텍스트는 수집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 주변 상황 정보에 따라 갱신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컨텍스트 관리부(100)는 갱신된 사용자 컨텍스트를 관리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해당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30)는 사용자 컨텍스트 관리부(100)와 장치 제어부(200)를 포함하고, 위치정보관리부(300) 및 센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관리부(300)는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 및 관리한다.
센서부(400)는 사용자 주변 상황을 센싱하여 주변 지역의 환경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한다.
한편, 사용자 컨텍스트 관리부(100)는 위치정보관리부(300) 및 센서부(40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환경 파라미터 정보를 제공받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관리부(300)는 사용자의 직접 입력, 사용자 위치 정보가 포함된 저장 장치(예: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 GPS, RFID 태그, 영상처리기법 등을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400)가 획득하는 주변 지역의 환경 파라미터 정보는 압력, 온도, 습도, 가스, 풍속, 가속도, 지문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센서부(400)는 다양한 센서(예: 압력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가스 센서, 풍속 센서, 가속도 센서, 지문 인식기, 센서 네트워크 등)를 통하여 사용자의 주변 상황을 센싱하고, 주변 지역의 환경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컨텍스트 관리부(100)는 위치정보관리부(300) 및 센서부(40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환경 파라미터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 컨텍스트를 관리하고, 장치 제어부(200)는 더 효과적으로 사용자 컨텍스트에 맞는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가 고려된 컨텐츠의 실감 효과(Sensory effect)를 다양한 컨텐츠 재생 장치를 통하여 즐길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컨텍스트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성별 정보, 나이 정보, 키 정보, 몸무게 정보, 사용자 주변 배경 정보, 주변 지역의 환경 파라미터(Enviromental parameter) 정보 및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는 사용자 컨텍스트 관리부(200)에서 관리하였던 과거 사용자 컨텍스트,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이용 기록,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재생 기록, 컨테츠 및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는 사용자의 직접 입력에 따른 컨텐츠 및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 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컨텍스트 관리부(100)는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및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User Preference) 정보를 수집하고, 장치 제어부(200)는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따라서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선호도 정보는 사용자의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정보 입력값,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작동 계속 시간(Duration),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작동 강도(Intensity),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작동 빈도 및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작동 순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선호도 정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 선호도 정보가 변경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컨텍스트 관리부(100)는 컨텐츠 재생 장치와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매칭시켜 사용자 선호도 정보가 포함된 메타 데이터(Meta data)를 생성하고,
장치 제어부(200)는 사용자 선호도 정보가 포함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메타 데이터는 사용자 컨텍스트, 컨텐츠 재생 장치와 관련된 많은 정보들 중 사용자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30)가 원하는 정보를 쉽게 접근하고 변경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구조화된 데이터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컨텍스트 관리부(100)는 사용자의 선호도와 사용자의 사용자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가 고려된 컨텐츠의 실감 효과(Sensory effect)를 제공하기 위하여 메타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컨텍스트 관리부(100)는 사용자의 선호도에 맞는 다양한 컨텐츠 재생 장치를 선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의 실감 효과(Sensory effect)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메타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해당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40)는 사용자 컨텍스트 관리부(100)와 장치 제어부(200)를 포함하고, 표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500)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정보 및 사용자 컨텍스트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따라서, 장치 제어부(200)가 사용자 컨텍스트에 맞는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 하는데 있어서, 사용자가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정보 및 사용자 컨텍스트를 표시부(500)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표시부(500)를 통해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정보 및 사용자 컨텍스트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직접 입력 또는 사용자 선호도 정보의 변경을 통해 사용자 컨텍스트를 변경 및 관리할 수 있고, 장치 제어부(200)가 제어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변경 및 관리를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50)는 사용자 컨텍스트 관리부(100)와 장치 제어부(200)를 포함하고, 장치 검색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컨텍스트 관리부(100)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컨텍스트(User context)를 관리한다.
장치 제어부(200)는 컨텐츠를 재생 가능한 컨텐츠 재생 장치(Contents playing device)를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라 제어한다.
장치 검색부(600)는 컨텐츠(Contents)를 재생 가능한 컨텐츠 재생 장치를 검색한다.
한편, 장치 검색부(600)가 검색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는 영상 표시 장치(Video display device) 또는 음향 장치(Audio device)일 수 있다.
또한, 장치 검색부(600)가 검색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는 향 분사기, 진동기, 온도조절기, 압력조절기 등 사용자의 오감을 자극하여 감각적 효과를 생성하는 실감 재현 장치(Single-media Multi device : SMMD)일 수 있다.
또한, 장치 검색부(600)는 일정 시점마다 컨텐츠 재생 장치를 검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장치 검색부(600)는 사용자의 지시 시점마다 컨텐츠 재생 장치를 검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장치 검색부(600)는 컨텐츠 분기시마다 컨텐츠 재생 장치를 검색하는 것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해당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60)는 사용자 컨텍스트 관리부(100)와 장치 제어부(200) 및 장치 검색부(600)를 포함하고, 위치정보관리부(300)와 센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관리부(300)는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 및 관리한다.
센서부(400)는 사용자 주변 상황을 센싱하여 주변 지역의 환경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한다.
한편, 장치 검색부(600)는 위치정보관리부(300) 및 센서부(40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환경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재생 가능한 컨텐츠 재생 장치를 검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사용자 컨텍스트에 맞는, 장치 검색부(600)에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환경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검색한 컨텐츠 재생 장치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장치 검색부(600)는 사용자의 위치 변경 또는 사용자의 위치 변경 등에 따른 환경 파라미터 정보의 변경에 따라 컨텐츠 재생 장치 검색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60)가 도 6에서 위치정보관리부(300) 및 센서부(400)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장치 검색부(60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 주변 상황의 센싱에 의해 획득된 주변 지역의 환경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재생 가능한 컨텐츠 재생 장치를 검색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 주변 상황의 센싱에 의해 획득된 주변 지역의 환경 파라미터 정보는 사용자의 직접 입력, 저장 장치(예: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 센서(예: 압력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가스 센서, 풍속 센서, 가속도 센서, 지문 인식기, 센서 네트워크 등), GPS, RFID 태그, 영상처리기법 등을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70)는 사용자 컨텍스트 관리부(100), 장치 제어부(200), 위치정보관리부(300), 센서부(400), 표시부(500) 및 장치 검색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컨텍스트 관리부(100)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컨텍스트(User context)를 관리한다.
장치 제어부(200)는 컨텐츠를 재생 가능한 컨텐츠 재생 장치(Contents playing device)를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라 제어한다.
위치정보관리부(300)는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 및 관리한다.
센서부(400)는 사용자 주변 상황을 센싱하여 주변 지역의 환경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한다.
표시부(500)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정보 및 사용자 컨텍스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장치 검색부(600)는 컨텐츠(Contents)를 재생 가능한 컨텐츠 재생 장치를 검색한다.
여기서,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는 과거 사용자 컨텍스트,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이용 기록,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재생 기록, 컨테츠 및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는 사용자의 직접 입력에 따른 컨텐츠 및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 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컨텍스트 관리부(100)는 컨텐츠 및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User Preference) 정보를 수집하고, 장치 제어부(200)는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따라서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선호도 정보는 사용자의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정보 입력값,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작동 계속 시간(Duration),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작동 강도(Intensity),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작동 빈도 및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작동 순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선호도 정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 선호도 정보가 변경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위치정보관리부(300)는 사용자의 직접 입력, 사용자 위치 정보가 포함된 저장 장치(예: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 GPS, RFID 태그, 영상처리기법 등을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400)가 획득하는 주변 지역의 환경 파라미터 정보는 압력, 온도, 습도, 가스, 풍속, 가속도, 지문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센서부(400)는 다양한 센서(예: 압력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가스 센서, 풍속 센서, 가속도 센서, 지문 인식기, 센서 네트워크 등)를 통하여 사용자의 주변 상황을 센싱하고, 주변 지역의 환경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장치 검색부(600)는 위치정보관리부(300) 및 센서부(40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환경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재생 가능한 컨텐츠 재생 장치를 검색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컨텍스트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성별 정보, 나이 정보, 키 정보, 몸무게 정보, 사용자 주변 배경 정보, 주변 지역의 환경 파라미터(Enviromental parameter) 정보 및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사용자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컨텍스트를 관리하는 사용자 컨텍스트 관리부; 및
    컨텐츠를 재생 가능한 컨텐츠 재생 장치를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라 제어하는 장치 제어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전개 중 상기 컨텐츠를 분기하여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가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라 상기 분기된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
    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전개 중 일정 시점마다 상기 컨텐츠를 분기하고,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가 상기 분기시의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라 상기 분기된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이고,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 주변 상황 정보에 따라 갱신되는 것
    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전개 중 사용자의 지시 시점마다 상기 컨텐츠를 분기하고,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가 상기 분기시의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라 상기 분기된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이고,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는 수집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 주변 상황 정보에 따라 갱신되는 것
    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는
    영상 표시 장치, 음향 장치 및 사용자의 오감을 자극하여 감각적 효과를 생성하는 실감 재현 장치(Single-media Multi device : SMMD)중 어느 하나인 것
    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성별 정보, 나이 정보, 키 정보, 몸무게 정보, 사용자 주변 배경 정보, 주변 지역의 환경 파라미터 정보 및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 및 관리하는 위치정보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주변 상황을 센싱하여 주변 지역의 환경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 관리부는 상기 위치정보관리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환경 파라미터 정보를 제공받는 것
    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장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것
    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정보 입력값,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작동 계속 시간,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작동 강도,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작동 빈도 및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작동 순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가 변경될 수 있는 것
    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 관리부는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와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매칭시켜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가 포함된 메타 데이터(Meta data)를 생성하고
    상기 장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가 포함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것
    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13. 컨텐츠를 재생 가능한 컨텐츠 재생 장치를 검색하는 장치 검색부;
    사용자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컨텍스트를 관리하는 사용자 컨텍스트 관리부; 및
    상기 컨텐츠의 전개 중 일정 시점마다 상기 컨텐츠를 분기하고, 상기 검색된 컨텐츠 재생 장치가 상기 분기시의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라 상기 분기된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검색부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 주변 상황의 센싱에 의해 획득된 주변 지역의 환경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재생 가능한 컨텐츠 재생 장치를 검색하는 것
    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15. 사용자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컨텍스트를 관리하는 단계; 및
    컨텐츠를 재생 가능한 컨텐츠 재생 장치를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전개 중 상기 컨텐츠를 분기하여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가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라 상기 분기된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전개 중 사용자의 지시 시점마다 상기 컨텐츠를 분기하고,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가 상기 분기시의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라 상기 분기된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 주변 상황 정보에 따라 갱신되는 것
    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전개 중 일정 시점마다 상기 컨텐츠를 분기하고,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가 상기 분기시의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라 상기 분기된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는 수집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 주변 상황 정보에 따라 갱신되는 것
    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성별 정보, 나이 정보, 키 정보, 몸무게 정보, 사용자 주변 배경 정보, 주변 지역의 환경 파라미터 정보 및 상기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00020907A 2009-12-21 2010-03-09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KR2011007316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83,742 US20110154384A1 (en) 2009-12-21 2010-09-16 Apparatus and method for offering user-oriented sensory effect contents service
CN2010105172858A CN102103875A (zh) 2009-12-21 2010-10-19 用于提供面向用户的感官效果内容服务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27719 2009-12-21
KR1020090127719 2009-1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161A true KR20110073161A (ko) 2011-06-29

Family

ID=44403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907A KR20110073161A (ko) 2009-12-21 2010-03-09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316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427B1 (ko) * 2011-11-14 2014-09-29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홈 미디어용 4d 이펙트 구현 시스템 및 방법
US9084014B2 (en) 2013-02-20 2015-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oviding user specific interaction using device and digital television(DTV), the DTV, and the user device
WO2019035587A1 (ko) * 2017-08-16 2019-02-21 자이글 주식회사 어육류 조리시 탄화 시점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0861221B2 (en) 2017-07-14 2020-12-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ensory effect adaptation method, and adaptation engine and sensory device to perform the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427B1 (ko) * 2011-11-14 2014-09-29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홈 미디어용 4d 이펙트 구현 시스템 및 방법
US9084014B2 (en) 2013-02-20 2015-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oviding user specific interaction using device and digital television(DTV), the DTV, and the user device
US9432738B2 (en) 2013-02-20 2016-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oviding user specific interaction using device and digital television (DTV), the DTV, and the user device
US9848244B2 (en) 2013-02-20 2017-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oviding user specific interaction using device and digital television (DTV), the DTV, and the user device
US10861221B2 (en) 2017-07-14 2020-12-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ensory effect adaptation method, and adaptation engine and sensory device to perform the same
WO2019035587A1 (ko) * 2017-08-16 2019-02-21 자이글 주식회사 어육류 조리시 탄화 시점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43880A1 (en) Media content playback with state prediction and caching
US2017016138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usic play system and method
CA2832557C (en) Recommending digital content based on implicit user identification
US20120159329A1 (en) System for creating anchors for media content
US201101543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ffering user-oriented sensory effect contents service
KR20070083408A (ko) 재생장치, 콘텐츠 선택 방법, 콘텐츠 분배 시스템,정보처리장치, 콘텐츠 전송방법 및 기억매체
WO2016108087A1 (en) Location-based tagging and retrieving of media content
JP4389950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730619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10073161A (ko) 사용자 맞춤형 실감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US2022024613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130054535A (ko) 콘텐츠 리스트를 추천하는 방법, 서버, 단말기 및 기록매체
CN104681048A (zh) 多媒体读取控制装置、曲线获取装置、电子设备、曲线提供装置及方法
KR20110075207A (ko) 가상 공간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2639759A (zh) 上下文数字媒体处理系统和方法
JP2009289244A (ja) 音楽再生端末、および位置対応リスト作成システム
JP2019008779A (ja) テキスト抽出装置、コメント投稿装置、コメント投稿支援装置、再生端末および文脈ベクトル計算装置
CN106936830A (zh) 一种多媒体数据的播放方法和装置
KR101624172B1 (ko) 컨텐츠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60094108A (ko) 인터넷 만화 컨텐츠에 대해 음원을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JP5273079B2 (ja) 歌唱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7265362A (ja) コンテンツ再生リスト検索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リスト検索装置、及びコンテンツ再生リスト検索方法
JP2017084235A (ja) コンテンツデータ管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データ管理方法
JP2005159903A (ja) コンテンツ連動型コメント表示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及びクライアント装置及びコメント表示プログラム及びコメント表示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KR20140038866A (ko) 미디어 신 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