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810A -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공정 - Google Patents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2810A
KR20110072810A KR1020090129895A KR20090129895A KR20110072810A KR 20110072810 A KR20110072810 A KR 20110072810A KR 1020090129895 A KR1020090129895 A KR 1020090129895A KR 20090129895 A KR20090129895 A KR 20090129895A KR 20110072810 A KR20110072810 A KR 20110072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ship
vessel
liquid
cap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용
최정호
나희승
권혁
장나형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9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2810A/ko
Publication of KR20110072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8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00Storing fluids in natural or artificial cavities or chambers in the ear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2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liquefied g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를 포집 및 저장(CCS) 사업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이동을 포함하며 사업 운용비용과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공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공정은 이산화탄소 공급원에서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흡수식 냉동사이클을 통하여 액화시킨 후에, 액화된 이산화탄소를 선박을 통하여 저장소로 이송하고, 상기 선박에서 하역된 액체 이산화탄소를 펌프를 통하여 가압한 후 저장소로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이산화탄소 공급원에서 이산화탄소를 액화한 후 이산화탄소 운반 선박에 선적할 수 있게 되므로, 기존의 대용량 고압축 컴프레서의 설치를 배제하여 이산화탄소 공급원의 시설비용 및 운용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CS

Description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공정{CCS PROCESS WITH VESSEL TRANSPORTING}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를 포집 및 저장(CCS) 사업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이동을 포함하며 사업 운용비용과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공정에 관한 것이다.
화석 연료의 사용 증가에 따라 대량으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는 지구온난화 현상을 야기하는 온실가스(Greenhouse Gas, GHG)중 하나로 지정되어 있다. 이산화탄소는 지구온난화지수는 다른 온실가스에 비하여 낮지만, 전체 온실가스 배출의 대략 80%를 차지하는 점과 또한 배출량을 규제 가능한 점에서 매우 중요한 온실가스로 분류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국제 협약을 통하여 각국에서 온실가스의 배출을 저감하도록 규제하고 있으며, 이산화탄소의 포집 및 저장(Carbon capture and storage, 이하 'CCS'라고 함) 기술은 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회수하여 별도의 장소에 격리 저장함으로써 대기 중에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량을 저감시키는 이산화탄소 처리 기술이 중 하나이다.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저감하기 위한 처리 단계는 크게 이산화탄소의 포집, 수송, 저장의 네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산업현장에서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출가스는 회수되어, 이산화탄소만이 고농도로 분리 농축된다. 분리된 이산화탄소는 컴프레서 압축기를 이용하여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여 초임계 유체(supercritical fluid) 상태로 상변화시킨다. 대략 70bar를 초과하여 압축된 액체 이산화탄소는 초임계 유체 상태가 됨으로써, 밀도는 액체와 유사하면서 점성은 기체 상태와 유사해지므로 파이프를 통한 이송에 적합하게 된다.
파이프를 통하여 저장소까지 이산화탄소를 이송하는 도중에 이산화탄소 이송의 효율을 위하여 부스터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운반된 이산화탄소는 해양, 지중, 지표에 저장될 수 있으나, 해양저장은 해양 생태계 문제가 있으며, 지표저장은 이산화탄소를 고착시킨 광물의 저장소 문제가 아직은 해결되지 아니하였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산화탄소를 지중에 저장은 많은 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저장 방법은 이산화탄소를 특정한 지질구조를 가지는 지중(G)에 강제적으로 주입하여 오랜 기간 동안 누출되지 않도록 가두어 두는 방법이다.
지중저장 방법은 고갈된 유전 및 가스전 저장(Depleted Oil and Gas Reservoir), 유전에 액체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석유의 회수를 증진시키는 원유회수 증진 저장(Enhanced Oil Recovery)이 대표적이다.
통상 이산화탄소를 지중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컴프레서(2)와 가열기 등을 통하여 5~25℃이며, 대략 200bar 정도의 고압으로 가압한 후, 지중에 주입된다.
이러한 종래의 CCS 저장방법은 이산화탄소를 파이프로 수송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 공급원(1)에 대용량의 컴프레서(2)가 필요한데, 이러한 대용량의 컴프레서(2)를 통한 이산화탄소의 고압 압축에는 전력소모가 크므로 운영비용이 많이 들게 되며, 컴프레서(2)를 작동하기 위한 대량 전력의 공급은 또 다른 이산화탄소의 발생이 수반되는 단점을 갖는다.
한편, 운영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력소비가 큰 컴프레서를 대체하여, 이산화탄소를 냉각하고 적당한 압력으로 가압한 후에 펌프를 이용하여 가압 이송하는 것이 제시된 바 있다. 일례로 이산화탄소를 -30℃, 17bar 정도로 냉각, 압축하여 액화시킨 상태가 되게 하고, 펌프로 추가 가압하여 파이프를 통하여 저장소까지 이송하는 것이다. 이 경우, 이송되는 액체 이산화탄소의 온도를 유지가 하기 위하여 파이프에 열차단을 위한 추가 설비가 필요하게 되어 파이프의 설비비용 및 장거리 이송시에 파이프의 중간에 설치되어야 하는 냉동시설과 그 운영비용에 의하여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기존 CCS 공정에서 벗어나 운용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이산화탄소 발생원과 이산화탄소 저장소의 거리에 따른 비용의 제약에 덜 민감한 새로운 CCS 공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CCS 공정 중에 이산화탄소를 초임계 상태로 가압하지 아니함으로써, 이산화탄소의 고압축을 위한 장비의 설비비용 및 운용비용을 절감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이산화탄소 공급원과 이산화탄소 저장소가 멀리 떨어져 위치되는 경우에도 경제적인 CCS 공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이산화탄소 공급원에서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흡수식 냉동사이클을 통하여 액화시킨 후에, 액화된 이산화탄소를 선박을 통하여 저장소로 이송하고, 상기 선박에서 하역된 액체 이산화탄소를 펌프를 통하여 가압한 후 저장소로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공정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선박을 통한 액체 이산화탄소의 운반시 온도 범위는 상기 흡수식 냉동사이클에서 냉각되어 토출되는 액체 이산화탄소의 온도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공정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선박을 통한 액체 이산화탄소의 운반시 온도 범위는 -55℃ 내지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공정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원에서 전송되는 액체 이산화탄소는 상기 항만시 설에 구비되는 임시저장시설에 파이프를 통하여 임시 저장되었다가 상기 선박에 선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공정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원은 상기 선박에 액체 이산화탄소를 선적하는 항만시설의 주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공정을 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공정에 따르면, 이산화탄소 공급원에서 이산화탄소를 액화한 후 이산화탄소 운반 선박에 선적할 수 있게 되므로, 기존의 대용량 고압축 컴프레서의 설치를 배제하여 이산화탄소 공급원의 시설비용 및 운용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액체 이산화탄소를 선박을 통하여 이송함으로써 기존 파이프 이송 방식에 비하여 부스터 펌프나 단열 파이프 설치 등의 추가 비용 없이, 장거리 이송이 경제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적되는 액체 이산화탄소의 온도가 이산화탄소 공급원에서 생성되는 액체 이산화탄소의 냉각된 온도인 경우에, 액체 이산화탄소의 선적과정 중 액체 이산화탄소의 온도 조절에 따른 관련설비비용 및 운용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적되는 액체 이산화탄소의 온도를 삼중점 부근으로 설정함으로써, 선박의 압력탱크시설의 제조비용 및 이송비용이 저렴해져, 특히 장거리 수송에 따른 비용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임시저장시설이 항만시설에 구비되는 경우, 이산화탄소 공급원의 저장시설 관련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다수의 이산화탄소 공급원과 선박간, 또는 선박들 간의 이산화탄소 물류의 허브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인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공정의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컴프레서란 비압축성이거나 저압축성인 상태로 밀도가 낮은 기체를 가압하는 장비를 의미하며, 펌프란 밀도 높은 유체, 일례로 액체를 더욱 밀도가 높도록 압축하는 장비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산화탄소의 압축함에 있어, 토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압력범위에 따라 왕복동 컴프레서(reciprocating compressor; 500bar), 원심 펌프(centrifugal pump; 200bar ~ 300bar), 스크루 펌프(screw pump; 100bar) 등의 다양한 타입의 컴프레서나 펌프가 다수의 업체에 의하여 제공되고 있으며, 시간당 처리량에 따라 기어조합된 펌프(integrally geared pump) 등 고용량 컴프레서나 펌프가 제공되고 있으므로, 구체적인 컴프레서, 펌프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공급원에서의 이산화탄소 처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공정은, 이산화탄소 공급원(10)에서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흡수식 냉동사이클(11)을 통하여 액화시킨 후에, 액화된 이산화탄소를 선박(20)을 통하여 저장소(30)로 이송하고, 상기 선박(20)에서 하역된 액체 이산화탄소를 펌프(32)를 통하여 가압한 후 저장소(30)로 주입하는 것이다.
여기서 이산화탄소 공급원(10)은 시설의 운영에 따라 이산화탄소가 다량으로 발생되는 전력발전소, 제철공장 또는 시멘트공장 등일 수 있다. 그 중 본 발명이 적용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갖춘 이산화탄소 공급원은 기체 이산화탄소의 분리, 냉각 등 전처리를 위한 전력 공급이 우수하며, 폐열이 발생되는 전력발전소이다.
이산화탄소 공급원(10)에서는 발생된 기체 이산화탄소를 냉각하여 액체 이산화탄소로 상변화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압축장치(12)를 통하여 7bar 이상으로 초기 압축하여 기체 이산화탄소의 밀도를 증대시킨다.
이후, 이산화탄소 공급원(10)에 구비된 냉각장치를 통하여, 기체 이산화탄소를 액체 이산화탄소로 상변화시킨다. 이때, 냉각장치는 천연가스의 액화에 널리 사용되는 팽창법, 다단냉각법, 혼합냉각법 등 다양한 공지수단을 전용한 냉각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탄소 공급원에서 배출되는 폐열을 활용한 흡수식 냉동사이클(11)이 적용된다.
이산화탄소 공급원이 발전소인 경우에 폐열은 발전기를 회전시키고 배출되는 고온의 스팀이며, 이 스팀 배출라인은 흡수식 냉동사이클(11)의 공급라인(11a)에 연결되어 유입된 고온 스팀은 기체 이산화탄소를 액화시키는 에너지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흡수식 냉동사이클(11)의 작동원리는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흡수식 냉동사이클은 증발열이 큰 암모니아를 사용하는 암모니아 흡수식 냉동사이클일 수 있으며, 암모니아 흡수식 냉동사이클에 의하여 기체 이산화탄소는 -55℃ 내지 -20℃까지 냉각되어 액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폐열을 이용하는 암모니아 흡수식 냉동사이클을 사용함으로써, 기체 이산화탄소의 액화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이는 종래의 기술에서 초임계 유체 상태에 이르기까지 70bar 이상으로 기체 이산화탄소를 가압하는 컴프레서가 더 이상 필요 없게 되는 것으로, 대용량 고압 컴프레서의 설비비용 및 운용비용을 매우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선박(20)에는 고압, 저온으로 냉각된 이산화탄소의 액화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압력탱크(21)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액체 이산화탄소의 냉각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냉동설비를 보유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를 운반 하는 선박(20)은 고압 저온의 액체화물을 수송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천연가스 이송선과 유사한 것이며, 그 구성은 이산화탄소 운반용 선박에 대한 다수의 출원을 통하여 공지된 것이다.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운반은 이송거리가 1000km 이상인 경우에 파이프에 의한 이송 방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경제적인 것으로, 주로 국가 간의 이산화탄소 거래에 활용된다.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운반에서 총 소요비용은 선박의 건조비용과 함께 액체 이산화탄소의 온도와 압력과 관계된 운용비용으로 볼 수 있으며, 이미 건조된 선박을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운반시에 비용의 절감은 액체 이산화탄소의 온도와 압력 범위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액체 이산화탄소가 저온일수록 선박의 냉동설비의 운용비용이 증대되며, 압력이 높을수록 증발기체의 처리비용이 증대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선박을 통한 액체 이산화탄소의 운반시 온도 범위는 -55℃ 내지 -20℃일 수 있다. 이산화탄소의 삼중점은 대략 -57.3℃, 5.17bar에서 형성되므로, 액체 이산화탄소가 안정되게 온도제어될 수 있는 하한을 -55℃로 설정한다. 따라서 액체 이산화탄소의 운반시에 압력탱크에 저장된 이산화탄소의 온도 제어 범위의 마진을 확보하면서, 가용 압력을 가능한 낮추어 압력탱크의 가용 압력을 낮출 수 있게 된다. 한편, 압력탱크에 저장되는 액체 이산화탄소의 온도가 -20℃를 넘는 경우에는 액체 이산화탄소의 기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대략 20bar 이상으로 가압하여야 한다. 이 경우, 경제성을 고려하여 현실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압력탱크의 압력의 상한에 다다르게 되는 것으로, 상기 이산화탄소의 운반시 온도가 -20℃를 넘는 경우에는 이산화탄소의 액상 운송이 비경제적이게 된다.
한편, 상기 선박(20)을 통한 액체 이산화탄소의 운반시 온도 범위는 상기 흡수식 냉동사이클(11)에서 냉각되어 토출되는 액체 이산화탄소의 온도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선박(20)의 압력탱크(21)에 저장되는 액체 이산화탄소의 운반 온 도가 대략 흡수식 냉동사이클에서 배출되는 액체 이산화탄소의 냉각된 온도와 같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암모니아 흡수식 냉동사이클(11)이 적용되어 이산화탄소 공급원(10)에서 -40℃의 온도로 액체 이산화탄소가 냉각 배출되는 경우에 선박(20)을 통한 액체 이산화탄소의 운반 온도 역시 -40℃ 부근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도록 압력탱크(21)를 설계, 제조하는 것이다.
이로써, 이산화탄소 공급원에서 생성된 냉각된 액체 이산화탄소는 별도의 추가 냉각이나 가열 없이 바로 선박에 선적될 수 있어, 추가 냉각 등을 위한 설비나 그 설비의 운용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원(10)은 상기 선박에 액체 이산화탄소를 선적하는 항만시설(H)의 주변에 위치하거나, 대용량 이산화탄소 공급권 주변에 전용 항만 시설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산화탄소 공급원(10)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주로 전력발전소나 기타 산업시설이며, 이들 시설들은 원자재나 용수 확보의 용이성을 위하여 주로 해안가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이산화탄소 공급원(10)의 주변에는 선박(20)의 이산화탄소 선적이나 하역이 가능한 항만시설(H)이 설비되어, 이산화탄소 공급원에서 액화된 이산화탄소가 선박까지 이동되는 이송거리를 가능한 줄여 이산화탄소 이송에 따른 경비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공정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 공급원(10)에서 전송되는 액 체 이산화탄소는 상기 항만시설(H)에 구비되는 임시저장시설(13)에 파이프를 통하여 임시 저장되었다가 상기 선박(20)에 선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시저장시설(13)은 기본적으로 이산화탄소 공급원(10)에서 공급된 액체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저장탱크(13a)와, 저장탱크(13a) 내의 이산화탄소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냉각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저장탱크 내에서 발생되는 증발기체(BOG)를 처리하기 위한 재액화장치와, 서로 다른 이산화탄소 선박간의 이산화탄소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산화탄소의 선적장치 및 하역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임시저장시설(13)이 항만시설(H)에 구비됨으로써 이산화탄소 공급원(10)에서 연속적으로 생성되는 액체 이산화탄소는 임시저장시설(13)에 저장되었다가, 단속적으로 항만시설(H)에 정박하는 선박(20)에 선적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임시저장시설은 항만시설에 구비되어 다수의 이산화탄소 공급원에서 액화이산화탄소를 취합하여 임시 보관할 수 있으므로, 각 이산화탄소 공급원에서 생성된 액체 이산화탄소를 선적시까지 보관하는 추가 시설비용과 그 운용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항만시설에 선박에서 액체 이산화탄소를 하역을 겸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경우에는 임시저장시설의 저장탱크를 통하여 선박 간의 이산화탄소 거래가 가능하므로, 항만시설이 이산화탄소 거래의 허브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이산화탄소를 선적한 선박(20)에 의하여 액체 이산화탄소는 저장소(30) 가까이로 운반된다. 이후, 선박의 압력탱크에 저장된 이산화탄소는 저장소의 주입스테이션(31)으로 하역되고, 주입스테이션(31)의 펌프(32)를 통하여 가압되어 저장소(30)로 주입된다.
이때, 펌프(32)는 액상의 이산화탄소를 대략 200 bar정도로 압축하는 유체 펌프로 이루어진다. 펌프(32)에 의한 가압 과정 중 상승된 액체 이산화탄소의 온도가 충분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별도의 가열기(도시 생략)를 통하여 주입에 적당한 온도, 대략 5℃ 내지 25℃로 액체 이산화탄소의 온도를 추가 상승시킨 후 저장소로 주입한다.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공급원에서 이산화탄소를 액화하여 선박에 선적하여 이송함으로써, 이산화탄소 공급원에서 대용량 고압축 컴프레서가 요구되지 아니하여 이산화탄소 공급원에서의 이산화탄소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폐열을 이용한 흡수식 냉동사이클을 통한 냉각으로 기체 이산화탄소의 액화에 소요되는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액화된 이산화탄소는 선박으로 저장소 부근까지 수송되므로, 부스터 펌프가 요구되는 기존 파이프 이송 방식에 비하여 장거리 수송에 소요되는 비용이 저렴하며, 특히 파이프로 연결할 수 없는 멀리 떨어진 양 국가 간의 이산화탄소 거래가 액화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원과 연동되어 이루어지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나아가, 이산화탄소의 운반은 액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저장소에 주입하 기 위한 이산화탄소의 압력 상승이 펌프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펌프는 기존의 CCS 공정에서 고비용을 가져오는 컴프레서를 대체하는 것이어서 설비비용 및 운용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CCS 공정은 이산화탄소 공급원에 설치되는 대용량 고압축 컴프레서로 인하여 이산화탄소 공급원에 많은 시설투자가 요구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공급원과 저장소로 나뉘어 분배된 시설투자가 가능케 한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포집원의 시설투자비용의 부담이 저감되어 CCS 사업을 촉진하는 계기가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공급원에서의 이산화탄소 처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의 기술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이산화탄소 공급원 11 : 흡수식 냉동사이클
11a : 공급라인 12 : 압축장치 H : 항만시설
13 : 임시저장시설 13a : 저장탱크 20 : 선박
21 : 압력탱크 30 : 저장소 32 : 펌프 31 : 주입스테이션

Claims (5)

  1. 이산화탄소 공급원(10)에서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흡수식 냉동사이클(11)을 통하여 액화시킨 후에, 액화된 이산화탄소를 선박(20)을 통하여 저장소(30)로 이송하고, 상기 선박(20)에서 하역된 액체 이산화탄소를 펌프(32)를 통하여 가압한 후 저장소(30)로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공정.
  2. 제1항에서,
    상기 선박(20)을 통한 액체 이산화탄소의 운반시 온도 범위는
    상기 흡수식 냉동사이클(11)에서 냉각되어 토출되는 액체 이산화탄소의 온도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공정.
  3. 제1항에서,
    상기 선박(20)을 통한 액체 이산화탄소의 운반시 온도 범위는 -55℃ 내지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공정.
  4. 제1항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원(10)은 상기 선박(20)에 액체 이산화탄소를 선적하는 항만시설(H)의 주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공정.
  5. 제4항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원(10)에서 전송되는 액체 이산화탄소는 상기 항만시설(H)에 구비되는 임시저장시설(13)에 파이프를 통하여 임시 저장되었다가 상기 선박(20)에 선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공정.
KR1020090129895A 2009-12-23 2009-12-23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공정 KR201100728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895A KR20110072810A (ko) 2009-12-23 2009-12-23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공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895A KR20110072810A (ko) 2009-12-23 2009-12-23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공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810A true KR20110072810A (ko) 2011-06-29

Family

ID=4440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895A KR20110072810A (ko) 2009-12-23 2009-12-23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공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281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533A (ko) 2015-06-01 2016-12-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lng의 천연가스 인입시스템 및 천연가스 인입방법
KR20160141532A (ko) 2015-06-01 2016-12-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lng의 천연가스 인입시스템 및 천연가스 인입방법
CN106823674A (zh) * 2017-01-09 2017-06-13 神华集团有限责任公司 气体处理方法及装置
KR20180025649A (ko) * 2016-09-01 2018-03-09 (주)아이시스텍 운반 컨테이너를 이용한 액상 이산화탄소의 해양 지중 저장 공법
KR20230039457A (ko) 2021-09-14 2023-03-21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 연료 공급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533A (ko) 2015-06-01 2016-12-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lng의 천연가스 인입시스템 및 천연가스 인입방법
KR20160141532A (ko) 2015-06-01 2016-12-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lng의 천연가스 인입시스템 및 천연가스 인입방법
KR20180025649A (ko) * 2016-09-01 2018-03-09 (주)아이시스텍 운반 컨테이너를 이용한 액상 이산화탄소의 해양 지중 저장 공법
CN106823674A (zh) * 2017-01-09 2017-06-13 神华集团有限责任公司 气体处理方法及装置
KR20230039457A (ko) 2021-09-14 2023-03-21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 연료 공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831B1 (ko) 전력 생산 시스템 및 상응하는 방법
CN100420907C (zh) 天然气生产、运输、卸载、储存及向销售地分送的方法
CN109386316B (zh) 一种lng冷能和bog燃烧能联合利用系统及方法
CN106287221B (zh) 一种液化天然气接收站蒸发气直接输出工艺和装置
KR20110072810A (ko) 선박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공정
CN104203745B (zh) 二氧化碳管理系统及方法
EP3914848A1 (en) Proces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liquid hydrocarbon and co2 for producing hydrogen with co2 capture
KR101748784B1 (ko) 선박 lng벙커링용 기화 천연가스 처리장치
CN105452751A (zh) 蒸发气体临时存储系统
US20240053095A1 (en) Combined cycle natural gas processing system
KR101333947B1 (ko) Lng 처리 시스템
KR20140140772A (ko)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선의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24537A (ko) 이산화탄소 하역과 화물 하역이 가능한 항구
KR20140143038A (ko) Lng 처리 시스템
KR101722598B1 (ko) 가스공정을 테스트하기 위한 가스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47304A (ko)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N110469768B (zh) 一种lng冷能利用与水合物开采的co2捕集装置及其捕集方法
CN105863951B (zh) 高压液态天然气节能减压汽化系统及汽化方法
KR100976599B1 (ko)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20200115892A (ko) 선박의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KR102175560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Lee et al. A study on re-liquefaction process of boil-off gas of LCO2 transfer ship
CA3108849C (en) Boil-off gas recycle subsystem in natural gas liquefaction plants
Timmerhaus Low temperature technology utilization in the solution of energy problems
KR101378799B1 (ko) 액화천연가스 공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