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438A -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72438A KR20110072438A KR1020090129354A KR20090129354A KR20110072438A KR 20110072438 A KR20110072438 A KR 20110072438A KR 1020090129354 A KR1020090129354 A KR 1020090129354A KR 20090129354 A KR20090129354 A KR 20090129354A KR 20110072438 A KR20110072438 A KR 201100724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ation
- user
- information
- communication service
- mobile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단말기 카메라에 의해 나타나는 사용자 주변의 실사 화면 위에, 그 화면이 가리키는 방향의 지역에 위치하는 다른 사용자들의 캐릭터들을 중첩하여 보여주고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 캐릭터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와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characters of other users located in an area of a direction indicated by the screen on a live screen around a user indicated by a mobile terminal camer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which allows the user to receive a communication service with a corresponding user by selecting and displaying a specific character.
최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이 점차 확대되는 가운데,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임의의 사용자가 자신의 현 위치를 알고 싶을 때, 소지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에 대한 정보 즉, 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 위치 정보를 요구했을 경우, 그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기본적인 위치 정보를 제공해주는 시스템이 최근 소개되고 있다.Recently, various services and additional functions have been gradually expande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various service systems for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to users have been developed. For example, when an arbitrary user wants to know his / her current location, and requests information on his / her location, that i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his mobile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Recently, a system for providing basic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has been introduced.
이러한 위치 정보를 제공해주는 기술의 하나로써, 종래에는 증강현실 분야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위치 측정 장치(global position system, GPS)와 자이로(GYRO)를 이용하여 파악하고 난 후 씨-쓰루(see-through)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실사와 함께 부가 정보를 정합하여 제공하는 기술이 있었다. 이러한 기술은 현실 세계에서는 불가능한 영상 표현이나 정보 제공을 위하여 최근 실세계와 컴퓨터로 생성한 사이버 세계를 혼합하여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며, 이러한 기술을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술이라고 한다.As one of the technologies for providing such location information, in the conventional augmented reality field, the position of the user is determined using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and a gyro (GYRO), and then see-through. There has been a technology of matching and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user by using a head mounted display (HMD) device. This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provides more useful information by mixing the real world and computer-generated cyber world to provide image expression or information that is impossible in the real world, and this technology is called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상세히 설명하면, 증강현실 기술이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기술에서 파생된 기술로서 실세계에 대한 인지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을 말하는데, 이때 실세계와의 상호작용을 배제하고 오직 미리 구축해 놓은 가상공간 내에서의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가상현실 기술과는 달리, 실시간 처리를 바탕으로 미리 구축된 실세계 정보(이를 '증강정보'라 함)가 특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제로 관찰되는 실세계의 영상에 겹쳐서 표현되고, 실제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관찰자가 실세계 관찰 지역에 대한 신속하고 편리한 상황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기술은 관광을 하는 여행객에게 주변 관광 정보를 비롯한 여러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로 활용할 수 있었다.In detail,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s a technology derived from virtual reality technology that improves the perception of the real world, which excludes interaction with the real world and only interacts with each other in the pre-established virtual space. Unlike the virtual reality technology that processes the action, real-world information (called 'augmentation information'), which is built in advance based on real-time processing, is superimposed on the image of the real world actually observed through a special interface, and interacts with reality. It is a technology that allows observers to make quick and convenient situational judgments about real-world observation areas. This technology could be used as a technology to provide tourists with a variety of information, including surrounding tourist information.
하지만, 종래의 씨-쓰루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기술은 단순히 사용자가 주시하는 지역의 실사만을 획득하여 이를 화면으로 출력하여 주는 단순한 정보 제공만 이루어졌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ology using the see-through head-mounted display device is merely to provide a simple information to obtain only due diligence of the area that the user watches and outputs it to the screen.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카메라를 통해 보이는 주변의 실사화면에 중첩된 상대방의 캐릭터를 선택하여 전화통화, 쪽지, 문자, 친구맺기 등의 다양한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또는 상품 직거래, 예약, 예매 등의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 등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생동감 있게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즐길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such a problem,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phone calls, messages, texts, friends, etc. by selecting the character of the person superimposed on the live action screen visible through the camera, direct merchandise, By using a mobile commerce service such as reservation, advance reservation, etc., the purpose is to make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more vividly enjoyabl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각 사용자의 이동단말기로부터 그 이동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위치정보 수집모듈; 각 사용자의 이동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를 실제 그 위치에 해당하는 주소정보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용자 위치정보 분석모듈; 상기 주소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들을 그룹핑 하는 사용자 그룹핑 모듈; 그룹핑된 결과 정보(이하 '그룹정보'라 한다)를 각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사용자 위치정보 제공모듈; 각 사용자의 이동단말기의 위치정보, 상기 위치정보로부터 변환된 주소정보 및 각 사용자에 해당하는 그룹정보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일련의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ystem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user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from a mobile terminal of each user; A user location information analysis module for converting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of each user into addr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thereof; A user grouping module for grouping users based on the address information; A user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for providing grouped result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group information) to each user terminal; A user information database for stor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of each user, address information convert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group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user, and the lik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each component of the location-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to perform a series of processes related to providing a location-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는, 상기 이동단말기가 위치한 위도 및 경도 값일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may be a latitude and longitude value at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상기 사용자 그룹핑 모듈이 그룹핑하는 기준에는, 상기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시스템에 기 등록된 각 사용자들 간의 관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criteria grouped by the user group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relationship between each user who is pre-registered in the location-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상기 그룹정보에는, 상기 그룹정보가 제공되는 단말기가 속한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가 누구인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group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garding who is a user included in a group to which the terminal to which the group information is provided belongs.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기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단말기는, 이동단말기가 위치한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위치정보 측정부; 상기 위치정보 측정부가 측정한 위치정보를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측정 위치정보 제공모듈;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시스템이 사용자들을 그룹핑한 정보(이하 '그룹정보'라 한다)를 수신하는 그룹정보 수신모듈; 주변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해 주는 카메라 및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단말기의 방향 및 자세를 측정하는 방향 및 자세 측정부; 상기 그룹정보로부터 현재 사용자 단말기가 향하고 있는 방향의 지역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들을 파악하여, 그 사용자 각각에 해당하는 캐릭터를 카메라에 의한 실사화면 위에 중첩시키는 사용자 매핑모듈;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특정 캐릭터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상대방으로 하여 각종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서비스 제공모듈; 및 상기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단말기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함과 관련된 일련의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the location information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 measurement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which serves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measurement unit to a location-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A group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by the location-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grouping us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group information'); A camera and a display unit for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s and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A direction and posture measuring unit configured to measure a direction and a posture of the user terminal; A user mapping module for identifying the users existing in the area of the direction that the user terminal is currently facing from the group information, and superimposing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each user on the live-action screen by the camera;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module for providing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to a user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haracter selected from the user as a counterpar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each component of the mobile terminal providing the location-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o perform a series of processes related to providing the location-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user.
상기 측정되는 위치정보는, 상기 이동단말기가 위치한 위도 및 경도 값일 수 있다.The measured position information may be latitude and longitude values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방향 및 자세 측정부는, 나침판, 가속도센서 또는 지자기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rection and attitude measurement unit may include a compass, an acceleration sensor, or a geomagnetic sensor.
상기 캐릭터는, 아이콘, 아바타, 버디카드, 인물사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character may include one or more of an icon, an avatar, a buddy card, and a portrait.
상기 통신서비스 제공모듈이 제공하는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는, 통화, 쪽지, 메신저, 문자, 친구맺기 및 모바일 상품거래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d by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modu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all, a message, a messenger, a text message, a friend, and a mobile product transaction service.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를 통해 보이는 주변의 실사화면에 중첩된 상대방의 캐릭터를 선택하여 전화통화, 쪽지, 문자, 친구맺기 등의 다양한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또는 상품 직거래, 예약, 예매 등의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 등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생동감 있게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즐길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lecting the character of the other party superimposed on the live-action screen seen through the camera,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phone calls, messages, texts, friends, etc. or mobile commerce services such as direct merchandise, reservation, advance booking, etc. By using the, it is effective to enjoy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more vivid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having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network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a location-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고객은 통화서비스, SMS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웹 사이트에 고객 회원으로서 가입한 자로서, 이동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300)를 통해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시스템(100)에 접속한다. 여기서 이동통신망(300)의 형태는 WiFi, WiBro, 3G 등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며, 이동단말기(200)는 스마트폰, 노트북, 휴대전화와 같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모바일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이동단말기(200)는 인공위성(400)과의 통신을 이용한 GPS 또는 WiFi, (W)CDMA 등의 위치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시스템(100)에 보내고,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시스템(100)은 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들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며, 이를 기반으로 각 사용자 단말기를 다수의 그 룹(200.1, 200.2, 200.3)으로 그룹핑(grouping)하여 그룹정보를 각 단말기로 보내준다. 각 사용자가 이동단말기(200)의 카메라를 통해 주변의 실사화면을 보는 경우, 각 이동단말기(200)는 자신의 자세 및 향하는 방향을 측정하고, 위에서 수신한 그룹 내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현재 자신이 향하고 있는 방향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들에 해당하는 캐릭터를 그 실사화면 위에 중첩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은 증강현실 화면에서 사용자는 특정 캐릭터를 직접 선택하여 각종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그 캐릭터에 해당하는 사용자와 이용할 수 있다.The customer is a person who has subscribed to the web site as a customer member in order to us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cluding a call service, an SMS service, and the like, and uses a
도 2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서의 도면이다.2 is a diagram as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that a location-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is provided to a user.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단말기(200)에서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실행시키면,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200)는 위치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시스템(100)에 보내고,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시스템(100)으로부터 자신(200)이 속한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이동단말기(200)가 특정 방향(10)을 향하면 이동단말기(200)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하여 그 방향(10)의 실사화면이 이동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나며, 이동단말기(200)는 자신의 자세 및 향하는 방향(10)을 측정하여, 위에서 수신한 그룹 내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현재 자신이 향하고 있는 방향의 지역(11, 12)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1, 2)들을 파악하게 된다. 이때 그 사용자(1, 2) 각각에 해당하는 캐릭터를 카메라에 의한 실사화면 위에 중첩시켜주게 되고, 이로부터 사용자는 특정 캐릭터를 직접 선택하여 각종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그 캐릭터에 해당하는 사용자와 이용할 수 있다.When a user executes a location-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 his or her
이동단말기(200)의 향하는 방향이 바뀌면(20), 카메라에 의한 실사화면이 그 향하는 방향의 모습으로 바뀜과 함께, 중첩되는 캐릭터 역시 그 방향(20)의 지역(21, 22)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3, 4)에 해당하는 캐릭터로 바뀌게 된다.When the facing direction of the
도 3은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location-based mobile
제어부(110)는 이하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일련의 처리를 수행한다.The
사용자정보 관리모듈(120)은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할 사용자의 등록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사용자 계정관리, 부가정보 등록 등을 수행한다. 또한 등록한 사용자의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사용시, 등록 사용자 여부 확인 또는 로그인 등의 과정을 수행한다.The user
사용자 위치정보 수집모듈(130)은 각 사용자의 이동단말기(200)가 GPS, WiFi, (W)CDMA 등의 위치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위치정보를 수신한다.The user location
사용자 위치정보 분석모듈(140)은 각 사용자의 이동단말기(200)가 측정한 위치정보, 예를 들어 GPS 정보(위도,경도 값) 등을 수집하여 실제 그 위치에 해당하 는 주소정보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변환된 주소정보는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된다.The user location
사용자 그룹핑 모듈(150)은 상기 사용자 위치정보 분석모듈(140)에 의해 변환된, 각 사용자 단말기(200)가 위치하는 주소정보를 기반으로 지정된 구역별로 사용자들을 그룹핑 하며, 이러한 그룹정보 역시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다. 이러한 그룹핑은 반드시 단말기가 위치한 구역만을 기준으로 하는 것은 아니며, 각 등록 사용자들의 관계에 따른 그룹 등도 포함할 수 있고, 구역과 이러한 관계 등을 함께 고려하여 그룹핑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사용자 위치정보 제공모듈(160)은 각 사용자 단말기(200)로 그룹핑된 정보를 제공한다. 그룹핑된 정보에는 각 사용자 단말기(200)에게, 그 단말기(200)가 속한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가 누구인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The user location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170)는 사용자 계정관리, 각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부가서비스 정보, 각 이동단말기(200)가 GPS, WiFi, (W)CDMA 등의 위치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위치정보, 이러한 위치정보로부터 변환된 주소정보, 각 단말기가 위치한 구역 또는 각 등록 사용자들의 관계에 따라 설정된 그룹정보 등을 저장한다.The
도 4는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제어부(210)는 이하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2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함과 관련된 일련의 처리를 수행한다.The
위치정보 측정부(220)는 GPS, WiFi, (W)CDMA 등을 이용하여 현재 단말기(200)가 위치한 위치정보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GPS로 측정할 경우는 위치정보 값은 단말기(200)가 위치한 위도 및 경도 값이 된다.The location
측정 위치정보 제공모듈(230)은 위치정보 측정부(220)가 측정한 위치정보를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시스템(100)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시스템(100)은 이를 수신하여 실제 그 위치에 해당하는 주소정보로 변환하고, 그 주소정보를 기반으로 지정된 구역별로 사용자들을 그룹핑하게 된다.The measurement location
그룹정보 수신모듈(240)은 위와 같이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시스템(100)이 그룹핑한 정보, 즉 그룹정보를 수신한다. 그룹정보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가 속한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가 누구인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The group
그룹정보 데이터베이스(250)는 전술한 그룹정보가 저장된다.The
카메라 및 디스플레이부(260)는 주변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해 준다. The camera and
방향 및 자세 측정부(27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방향 및 자세를 측정하며, 예를 들어 디지탈나침판, 가속도센서 또는 지자기센서 등의 기기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The direction and
사용자 매핑모듈(280)은 현재 사용자 단말기(200)가 향하고 있는 방향의 지 역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들을 상기 그룹정보로부터 파악하여, 그 사용자 각각에 해당하는 캐릭터를 카메라에 의한 실사화면 위에 중첩시키도록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캐릭터는 아이콘, 아바타, 버디카드, 인물사진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The
통신서비스 제공모듈(29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실사화면 위에 각 사용자에 해당하는 캐릭터가 중첩된 증강현실 화면에서, 사용자가 특정 캐릭터를 선택하여 그 캐릭터에 해당하는 사용자와 이용할 각종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예를 들어 통화, 쪽지, 메신저, 문자, 친구 맺기 등의 서비스 등을 수행할 수 있고, 나아가 모바일 상품거래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도 5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location-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200)에서, 단말기(200)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인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시스템(100)에 로그인한다(S501). 이때 사용자 캐릭터가 가상공간에 표시될 수 있다. 이동단말기(200)는 위치정보 측정부(220)에 의해 이동단말기(200)가 위치하는 위치정보를 측정한다(S502).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정보는 GPS, WiFi, (W)CDMA 등을 이용하여 측정가능하며, 예를 들어 GPS로 측정할 경우는 위치정보 값은 단말기(200)가 위치한 위도 및 경도 값이 된다. 이후 측정된 위치정보를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S503).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시스템(100)은 이러한 위치정보를 수신하여(S504), 실제 그 위치에 해당하는 주소정보로 변환하고(S505), 주소정보에 기반하여 일정구역으로 나누어진 구역정보에 따라 각 사용자를 그룹핑(grouping)하고, 그룹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갱신하여 저장한다(S506). 각 사용자 단말기(200)로, 그 단말기(200)가 속한 그룹정보를 송신한다(S507). 그룹정보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가 속한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가 누구인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자신의 방향 및 자세를 측정하고(S508), 현재 사용자 단말기(200)가 향하고 있는 방향의 지역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들을 상기 그룹정보로부터 파악하여(S509), 그 사용자 각각에 해당하는 캐릭터를 카메라에 의한 실사화면 위에 중첩시키도록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S510). 이러한 실사화면 위에 각 사용자에 해당하는 캐릭터가 중첩된 증강현실 화면에서, 사용자가 특정 캐릭터를 선택하여 그 캐릭터에 해당하는 사용자와 이용할 각종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예를 들어 통화, 쪽지, 문자, 친구 맺기 등의 서비스 등을 수행할 수 있고, 나아가 모바일 상품거래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511).In the
도 6은 이동단말기(200)에 나타난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화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나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location-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creen displayed on the
본 도면은 도 2에서 이동단말기(200)가 특정 방향(10)을 사용할 경우에 나타나는 이동단말기(200) 화면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디스플레이 화면(260)에는 현재 카메라가 촬영하고 있는 그 방향(10)의 실사화면이 나타나 있고, 그 위에 현재 자신(200)이 향하고 있는 방향의 지역(11, 12)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1, 2)들이 그 사용자(1, 2) 각각에 해당하는 캐릭터로써 중첩되어 있다. 캐릭터는 아이콘, 아바타, 버디 카드, 인물사진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며, 본 도면과 같이 더 멀리 떨어진 지역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캐릭터(2)는 더 작게 표시해 줌으로써 원근감을 줄 수도 있다. 각 캐릭터 위에는 그 캐릭터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누구인지 식별할 수 있도록 텍스트 정보를 표시해 줄 수도 있다.FIG. 2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screen of the
이로부터 사용자는 특정 캐릭터를 직접 선택하여 각종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203)를 그 캐릭터에 해당하는 사용자와 이용할 수 있다.From this, the user can directly select a specific character and use various
도 1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a network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a location-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도 2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서의 도면.2 is a diagram as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that a location-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is provided to the user.
도 3은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location-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도 4는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도 5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location-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도 6은 이동단말기에 나타난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화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나는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location-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creen shown in a mobile terminal.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9354A KR101193535B1 (en) | 2009-12-22 | 2009-12-22 |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9354A KR101193535B1 (en) | 2009-12-22 | 2009-12-22 |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2438A true KR20110072438A (en) | 2011-06-29 |
KR101193535B1 KR101193535B1 (en) | 2012-10-22 |
Family
ID=44403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9354A KR101193535B1 (en) | 2009-12-22 | 2009-12-22 |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93535B1 (en)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49855A2 (en) * | 2011-09-30 | 2013-04-04 | Ioculi, Inc. | Location 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exchange of items based on location sensing and methods and devices related thereto |
US20130271491A1 (en) * | 2011-12-20 | 2013-10-17 | Glen J. Anderson | Local sensor augmentation of stored content and ar communication |
KR20140061620A (en) * | 2012-11-13 | 2014-05-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devices |
KR101502530B1 (en) * | 2013-09-19 | 2015-03-16 | 가부시키가이샤 디에누에 |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with reward |
KR101525936B1 (en) * | 2013-12-30 | 2015-06-16 |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Based on SNS |
KR101533886B1 (en) * | 2013-10-24 | 2015-07-06 | (주)굿게이트 | Method for generating augmented reality for virtual experiential of cultural relics |
KR20180025740A (en) * | 2016-09-01 | 2018-03-09 | 에이케이엔코리아 주식회사 | Method for setting connection based on input of connection means, server and user equipment for the method |
WO2020018431A1 (en) * | 2018-07-15 | 2020-01-23 | Magical Technologies, Llc | Systems and methods to administer a chat session in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
WO2020138541A1 (en) * | 2018-12-26 | 2020-07-02 | 포디리플레이코리아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ulti-channel video using mobile terminal |
KR20200108272A (en) * | 2018-02-08 | 2020-09-17 |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hat rooms in three-dimensional for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
KR102377941B1 (en) * | 2021-02-18 | 2022-03-22 | 공영일 |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healing experience service using subway hitstory experience center and method thererof |
US11770356B2 (en) | 2020-10-15 | 2023-09-26 | LINE Plus Corporation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avatar messenger ser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0680B1 (en) | 2013-07-26 | 2015-12-29 | 팅크웨어(주) | Transaction processing method and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using communication device |
-
2009
- 2009-12-22 KR KR1020090129354A patent/KR101193535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81758B2 (en) | 2011-09-30 | 2019-11-19 | Ioculi, Inc. | Location 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exchange of items based on location sensing and methods and devices related thereto |
WO2013049855A3 (en) * | 2011-09-30 | 2013-07-11 | Ioculi, Inc. | Location 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exchange of items based on location sensing and methods and devices related thereto |
US9626070B2 (en) | 2011-09-30 | 2017-04-18 | Ioculi, Inc. | Location 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exchange of items based on location sensing methods and devices related thereto |
WO2013049855A2 (en) * | 2011-09-30 | 2013-04-04 | Ioculi, Inc. | Location 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exchange of items based on location sensing and methods and devices related thereto |
US20130271491A1 (en) * | 2011-12-20 | 2013-10-17 | Glen J. Anderson | Local sensor augmentation of stored content and ar communication |
KR20140061620A (en) * | 2012-11-13 | 2014-05-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devices |
KR101502530B1 (en) * | 2013-09-19 | 2015-03-16 | 가부시키가이샤 디에누에 |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with reward |
KR101533886B1 (en) * | 2013-10-24 | 2015-07-06 | (주)굿게이트 | Method for generating augmented reality for virtual experiential of cultural relics |
KR101525936B1 (en) * | 2013-12-30 | 2015-06-16 |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Based on SNS |
KR20180025740A (en) * | 2016-09-01 | 2018-03-09 | 에이케이엔코리아 주식회사 | Method for setting connection based on input of connection means, server and user equipment for the method |
KR20200108272A (en) * | 2018-02-08 | 2020-09-17 |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hat rooms in three-dimensional for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
WO2020018431A1 (en) * | 2018-07-15 | 2020-01-23 | Magical Technologies, Llc | Systems and methods to administer a chat session in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
WO2020138541A1 (en) * | 2018-12-26 | 2020-07-02 | 포디리플레이코리아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ulti-channel video using mobile terminal |
KR20200080041A (en) * | 2018-12-26 | 2020-07-06 | 포디리플레이코리아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ulti channel images using mobile terminal |
US11770356B2 (en) | 2020-10-15 | 2023-09-26 | LINE Plus Corporation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avatar messenger service |
KR102377941B1 (en) * | 2021-02-18 | 2022-03-22 | 공영일 |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healing experience service using subway hitstory experience center and method therer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93535B1 (en) | 2012-10-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93535B1 (en) |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 |
KR100651508B1 (en) | Method for providing local information by augmented reality and loc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therefor | |
US8531514B2 (en) | Image providing system and image providing method | |
KR102494540B1 (en) | Creation of collectible item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 |
US8280405B2 (en) | Location based wireless collaborative environment with a visual user interface | |
KR101407670B1 (en) | Mobile terminal, server and method for forming communication channel using augmented reality | |
US20130201214A1 (en) |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Providing Interactive Navigational Assistance Using Movable Guidance Markers | |
KR2012002388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orizing use of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 |
US20220279309A1 (en) | Social media systems and methods and mobile devices therefor | |
KR20100124947A (en) | Ar contents providing system and method providing a portable terminal real-time regional information by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 |
US20200234502A1 (en) | Social Media Platfor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Microlocation | |
JP2012128779A (en) | Virtual object display device | |
US10939230B2 (en) | Interaction information obtaining method, interaction information setting method, user terminal, system, and storage medium | |
US20150113426A1 (en) | Crisis information delivery device, crisis information delivery system, method, and program | |
KR20140108436A (en) | System and method for exercise game of social network type using augmented reality | |
JP6093841B2 (en) |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JP2013228311A (en) | Navigation system, navigation method, and navigation program | |
JP2013128221A (en) | Program, inform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system | |
JP2012141779A (en) | Device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and progra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 |
US20150371449A1 (en) | Method for the representation of geographically located virtual environments and mobile device | |
EP4211887A1 (en) | Augmented reality messenger system | |
CN109243576A (en) | Food recommended method and device | |
KR20140018341A (en) | Method, device and terminal equipment for message generation and processing | |
CN113315694B (en) | Instant messag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WO2009110276A1 (en) | User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user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user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and program for user information present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