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128A - 일정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일정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2128A
KR20110072128A KR1020090128941A KR20090128941A KR20110072128A KR 20110072128 A KR20110072128 A KR 20110072128A KR 1020090128941 A KR1020090128941 A KR 1020090128941A KR 20090128941 A KR20090128941 A KR 20090128941A KR 20110072128 A KR20110072128 A KR 20110072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chedule
images
user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은선
김재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8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2128A/ko
Publication of KR20110072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1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20Processor architectures; Processor configuration, e.g. pipel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방법은 일정 등록을 위한 복수의 항목들 중 제1 항목 및 제2 항목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선택받는 단계; 선택된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를 합성하여 일정을 나타내는 제3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제3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일정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schedule}
본 발명은 일정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등록한 일정을 이미지로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휴대용 단말기 단말기에서 일정 관리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상기 일정 관리 기능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미리 약속된 일정, 날짜, 시간, 장소 및 그날에 해야할 일을 저장하고 알람 표시 방법을 설정해 두면, 해당 날짜가 되기 이전 또는 약속 시간이 도래하기 몇 시간 이전에 알람이나 문자를 디스플레이하여 설정된 일정을 수행하여야 함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을 용이하게 등록 및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일정 관리 방법,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방법은, 일정 등록을 위한 복수의 항목들 중 제1 항목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를 선택받는 단계; 제2 항목에 대응되는 제2 이미지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를 합성하여 일정을 나타내는 제3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3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일정 관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일정 관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정 관리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선택한 복수의 이미지들을 조합하여 일정을 등록 및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일정의 내용을 사용자에게 보다 용이하 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일정을 입력받아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일정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등록된 일정은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방법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사용자로부터 일정을 등록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방법은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정 등록을 위한 복수의 항목들 중 제1 항목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선택받는다(S1 단계).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복수의 항목들 중 제2 항목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선택받는다(S2 단계).
예를 들어, 일정 등록을 위한 내용을 구성하는 복수의 항목들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항목들은 해당 일정의 대상 및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일정은 그의 종류로서 '생일', '제사', '기념일', '시험', '운동' 또는 '모임'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일정의 종류의 주체가 되는 일정의 대상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일정을 구성하는 복수의 항목들 각각에 대해, 해당 항목에 해당하는 내용들을 각각 이미지로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정 등록을 위한 화면(10) 상에 일정 등록을 위한 복수의 항목들 중 제1 항목에 해당하는 복수의 이미지들, 즉 이미지 1 내지 이미지 4가 표시될 수 있으며, 그와 동시에 제2 항목에 해당하는 복수의 이미지들, 즉 이미지 5 내지 이미지 8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항목에 해당하는 이미지 1 내지 이미지 4 중 등록하고자 하는 일정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하고, 제2 항목에 해당하는 이미지 5 내지 이미지 8 중 상기 등록하고자 하는 일정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일정의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화면(10)상에 표시되는 이미지들 중 자신이 등록하고자 하는 일정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일정을 입력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항목에 속하는 어느 하나의 이미지 및 제2 항목에 속하는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연속으로 선택함으로써 하나의 일정을 등록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 항목에 속하는 이미지들 중 이미지 3을 선택한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항목에 속하는 이미지들 중 이미지 5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일정을 상기 두개의 이미지, 즉 이미지 3 및 이미지 5를 선택함으로써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항목은 등록하고자하는 일정의 대상을 나타내는 복수의 이미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항목은 해당 일정의 종류를 나타내는 복수의 이미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제1 항목에 속하는 이미지들 중 등록하고자하는 일정의 대상을 나타내는 어느 하나의 이미지들 선택하고, 상기 제2 항목에 속하는 이미지들 중 해당 일정의 종류를 나타내는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일정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해 연결된 원격 제어 장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화면 상에 터치 가능한 물체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을 이용해 상기한 바와 같은 입력 동작, 예를 들어 특정 이미지의 선택 또는 특정 버튼의 입력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여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공간 리모컨 또는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프레이 장치는 특정 물체에 의해 접촉된 위치 또는 상기 접촉된 물체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패널(touch panel)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 또는 특정 물체를 이용해 화면에 접촉하며 상기한 바와 같은 사용자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이미지들이 표시된 화면(10) 상에 상기 입력 수단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포인터(30)가 표시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포인터(30)는 상기 입력 수단을 이용해 사용자가 포인팅(pointing) 하고자 하는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입력 수단을 이용해 화면(10) 상의 포인터(30)를 어느 한 이미지에 위치시킨 후 특정 선택 버튼을 눌러 해당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2 항목 각각에 대응되는 이미지들의 선택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들, 즉 제1 항목의 이미지 및 제2 항목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해당 일정을 나타내는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하고(S3 단계), 상기 생성된 이미지를 표시한다(S4 단계).
도 2 및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2 항목 각각에 대응되는 두 이미지, 즉 이미지 3 및 이미지 5를 각각 선택한 후 이미지 합성을 위해 'SYN' 버튼(11)을 선택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10) 상에 상기 선택된 이미지 3 및 이미지 5를 합성하여 생성된 일정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생성된 이미지를 확인한 후 'SAVE' 버튼(12)을 선택하여, 상기 일정 이미지를 새로운 일정을 추가 등록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화면(10) 상에 일정의 대상을 나타내는 복수의 이미지들(100)과 일정의 종류를 나타내는 복수의 이미지들(150)이 표시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화면(10) 상에 사용자가 등록할 일정의 대상들, 예를 들어 '할아버지', '할머니', '아버지', '어머니', '아들' 및 '딸'을 각각 나타내는 이미지들(100)이 표시될 수 있다.
그와 동시에, 화면(10) 상에 사용자가 등록할 일정의 종류들, 예를 들어 '생일', '제사', '기념일', '시험', '여행' 및 '운동'을 각각 나타내는 이미지들(150)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화면(10)의 특정 영역, 예를 들어 좌측 영역(200)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들이 표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들이 합성되어 생성된 일정을 나타내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일정의 대상을 나타내는 이미지들(100) 중 등록하고자 하는 일정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이미지, 예를 들어 '할아버지'를 나타내는 이미지(101)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좌측 영역(200)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 즉 '할아버지'를 나타내는 이미지(101)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일정의 종류를 나타내는 이미지들(150) 중 등록하고자 하는 일정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이미지, 예를 들어 '생일'를 나타내는 이미지(151)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좌측 영역(200)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 즉 '생일'를 나타내는 이미지(151)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일정의 대상을 나타내는 이미지들(100) 중 '할아버지'를 나타내는 이미지(101)를 선택한 후, 일정의 종류를 나타내는 이미지들(150) 중 '생일'를 나타내는 이미지(151)를 연속하여 선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좌측 영역(200)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두 이미지를 합성하여 생성되는 일정 이미지(210)가 표시될 수 있다.
즉, 화면(10)의 좌측 영역(200)에 표시되는 일정 이미지(2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일정의 대상을 나타내는 제1 이미지와 일정의 종류를 나타내는 제2 이미지를 합성함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생성되는 일정 이미지(210)는 상기 제1, 2 이미지의 단순 조합이 아니라, 상기 선택된 제1, 2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이미지가 추가된 새로운 이미지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을 나타내는 일정 이미지(210)는 상기 선택된 '할아버지' 이미지(101)와 '생일' 이미지(151)를 합성한 후, 상기 일정의 종류인 '생일'과 관련된 이미지(201)가 추가되어 생성되는 새로운 이미지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일정의 대상을 나타내는 이미지들(100) 중 '할머니'를 나타내는 이미지(102)를 선택한 후, 일정의 종류를 나타내는 이미지들(150) 중 '제사'를 나타내는 이미지(152)를 연속하여 선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좌측 영역(200)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두 이미지를 합성하여 '할머니 제사'라는 일정을 나타내기 위해 새롭게 생성된 일정 이미지(220)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공간 리모컨(301)을 이용하여 도 1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사용자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공간 리모콘(301)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 수단 중 하나로서,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RF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300)에는 공간 리모콘(30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포인터(30)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공간 리모콘(301)을 상하, 좌우, 앞뒤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표시된 포인터(30)는 공간 리모콘(30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동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공간 리모콘(301)을 왼쪽으로 이동시키면,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표시된 포인터(30)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 리모콘(301)은 움직임을 판별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공간 리모콘(301)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공간 리모콘(301)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공간 리모콘(301)의 동작을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는 포인터(302)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공간 리모콘(301)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소정 명령이 입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공간 리모콘(301)의 앞뒤로 움직일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가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12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일정 관리 방법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예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400)는 무선 통신부(410), A/V 입력부(420), 사용자 입력부(430), 센싱부(440), 출력부(450), 메모리(460), 인터페이스부(470), 제어부(480) 및 전원 공급부(49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410)는 휴대용 단말기(4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휴대용 단말기(400)와 휴대용 단말기(400)가 위치한 네트워크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410)는 방송 수신 모듈(411), 이동통신 모듈(412), 무선 인터넷 모듈(413), 근거리 통신 모듈(414) 및 위치정보 모듈(4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4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4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4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4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4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인터넷 모듈(4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4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4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415)은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4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421)와 마이크(4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 라(4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4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4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4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4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4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4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4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4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4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440)는 휴대용 단말기(400)의 개폐 상태, 휴대용 단말기(4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휴대용 단말기의 방위, 휴대용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4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용 단말기(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인터페이스부(470)는 휴대용 단말기(4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 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출력부(4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451)과 음향 출력 모듈(452), 알람부(4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51)는 휴대용 단말기(4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음향 출력 모듈(4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4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4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알람부(453)는 휴대용 단말기(4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메모리(460)는 제어부(4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480)는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4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4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481)은 제어부(4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4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490)는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부(451)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화면(10) 및 이미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46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일정 항목들 각각에 포함되는 이미지들(100, 150)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일정 관리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수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일정 관리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9는 일정 관리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0 및 도 11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2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Claims (9)

  1. 일정 등록을 위한 복수의 항목들 중 제1 항목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를 선택받는 단계;
    제2 항목에 대응되는 제2 이미지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를 합성하여 일정을 나타내는 제3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3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정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항목은 등록하고자 하는 일정의 대상을 나타내는 일정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항목은 등록하고자 하는 일정의 종류를 나타내는 일정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항목에 해당하는 복수의 이미지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미지는 상기 표시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선택되는 일정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항목에 해당하는 복수의 이미지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표시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선택되는 일정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를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된 이미지에 상기 제1, 2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제4 이미지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정 관리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정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정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90128941A 2009-12-22 2009-12-22 일정 관리 방법 KR201100721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941A KR20110072128A (ko) 2009-12-22 2009-12-22 일정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941A KR20110072128A (ko) 2009-12-22 2009-12-22 일정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128A true KR20110072128A (ko) 2011-06-29

Family

ID=4440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941A KR20110072128A (ko) 2009-12-22 2009-12-22 일정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21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148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one or more objects based on the relationships of the objects
US9338116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nd interacting with display objects
KR2015011224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9242931A (zh) 用于使用图像识别布置图像的方法和设备
KR20180037844A (ko) 이동 단말기
CN114466102B (zh) 显示应用界面的方法、相关装置以及交通信息显示系统
CN103581426A (zh) 用于在电子装置中发起呼叫的方法和设备
EP2846518A1 (en)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data
KR2016003692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54197A (ko) 시간 정보 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6302982B (zh) 移动终端以及用于控制该移动终端的方法
KR20120083159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
KR2011012643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3743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10072128A (ko) 일정 관리 방법
KR2016001146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32915A (ko) 이동 단말기
KR10164386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A2855162C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nd interacting with display objects
JP2011221661A (ja) 携帯端末装置
KR2018003123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59684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601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스크롤 바를 이용한 정보 정렬 방법
KR10164518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07569A (ko) 동적 위젯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