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9499A - 전력 증폭 모듈의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증폭 모듈의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9499A
KR20110069499A KR1020090126258A KR20090126258A KR20110069499A KR 20110069499 A KR20110069499 A KR 20110069499A KR 1020090126258 A KR1020090126258 A KR 1020090126258A KR 20090126258 A KR20090126258 A KR 20090126258A KR 20110069499 A KR20110069499 A KR 20110069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ignal
low frequency
signal
high frequenc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5145B1 (ko
Inventor
장대석
송영진
박주영
배효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6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145B1/ko
Publication of KR20110069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16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 G01R23/165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using fil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1Subjecting similar articles in turn to test, e.g. "go/no-go" tests in mass production; Testing objects at points as they pass through a testing st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증폭 모듈의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 전력 증폭 모듈과 제2 전력 증폭 모듈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입력받는 제1 스위치와, 기본 고주파 신호를 제거하는 제1 고역 통과 필터; 제1 스위치에서 연결된 제2 스위치; 제1 전력 증폭 모듈과 제2 전력 증폭 모듈로부터 저주파 신호를 입력받는 제3 스위치와, 기본 저주파 신호를 제거하는 제2 고역 통과 필터; 제3 스위치에서 연결된 제4 스위치를 포함하며, 동시에 2개의 전력 증폭 모듈을 검사할 수 있어 생산 효율을 향상시킨다.
Figure P1020090126258
전력 증폭기, 성능 검사, 스위치, 스펙트럼 분석, 듀얼밴드 송신기

Description

전력 증폭 모듈의 검사 장치{Detection apparatus of the power amplification module}
본 발명은 전력 증폭 모듈의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송신단에는 안테나를 통해서 전송되는 송신신호의 전력을 증폭하기 위한 전력증폭 모듈이 사용되는데, 이 전력 증폭 모듈은 적절한 전력으로 송신신호를 증폭하여야 한다.
이러한 전력 증폭 모듈을 포함하는 듀얼밴드 송신기의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듀얼밴드 송신기는 고주파(제1 밴드) 신호의 전력 또는 저주파(제2 밴드)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력 증폭 모듈(11)과, 상기 전력 증폭 모듈(11)에서 출력하는 고주파 신호와 저주파 신호에서 해당하는 신호를 저역 통과시키는 한쌍의 저역 통과 필터(12a, 12b), 저역 통과 필터(12a, 12b)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안테나로 스위칭하는 스위치(1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듀얼밴드 송신기에 있어서 원하는 출력을 얻기 위해서는 전력 증폭 모듈의 성능이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제작 단계에서 전력 증폭 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가를 검사하고 있다.
이처럼 전력 증폭 모듈의 정상 동작 여부를 검사하는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감쇠기, 스위치, 고역 통과 필터로 이루어진 검사 장치가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검사 장치는 한번에 하나의 전력 증폭 모듈만을 검사할 수 있어 생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한번에 2개 이상의 전력 증폭 모듈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 효율을 향상시킨 전력 증폭 모듈의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력 증폭 모듈의 검사 장치는, 제1 전력 증폭 모듈과 제2 전력 증폭 모듈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입력받아, 어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1 스위치;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에서 기본 고주파 신호를 제거하고, 하모닉 고주파 신호가 포함된 고주파 신호를 스펙트럼 분석 장치의 하모닉 고주파 신호 입력포트로 출력하는 제1 고역 통과 필터; 제1 스위치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스펙트럼 분석 장치의 기본 고주파 신호 입력 포트로 출력하고, 제1 스위치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일부 샘플링하여 상기 제1 고역 통과 필터로 출력하는 제1 커플러; 제1 전력 증폭 모듈과 제2 전력 증폭 모듈로부터 저주파 신호를 입력받아, 어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2 스위치; 입력되는 저주파 신호에서 기본 저주파 신호를 제거하고 하모닉 저주파 신호가 포함된 저주파 신호를 스펙트럼 분석 장치의 하모닉 저주파 신호 입력포트로 출력하는 제2 고역 통과 필터; 및 제2 스위치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스펙트럼 분석 장치의 기본 저주파 신호 입력 포트로 출력하고, 제2 스위치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일부 샘플링하여 상 기 제2 고역 통과 필터로 출력하는 제2 커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전력 증폭 모듈과 제2 전력 증폭 모듈의 신호 출력단과 상기 1 스위치 또는 제2 스위치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제1 전력 증폭 모듈과 제2 전력 증폭 모듈의 출력 신호를 감쇠시켜 출력하는 4개의 감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펙트럼 분석 장치는, 제1 커플러에 연결된 기본 고주파 신호 입력 포트와, 제1 고역통과필터에 연결된 하모닉 고주파 신호 입력 포트와, 제2 커플러에 연결된 기본 저주파 신호 입력 포트와, 제2 고역통과필터에 연결된 하모닉 저주파 신호 입력 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포트들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스; 및 상기 멀티플렉스에서 출력되는 기본 고주파 신호와, 하모닉 고주파 신호와, 기본 저주파 신호와, 하모닉 저주파 신호의 전력 세기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스펙트럼 분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전력 증폭 모듈은, 제1 밴드 신호 입력 포트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1 밴드 전력 증폭기; RFIC 칩과 상기 제1 밴드 전력 증폭기의 임피던스 정합을 제공하는 제1 입력 매칭 회로; 상기 제1 밴드 전력 증폭기와 대역 통과 필터의 임피던스 정합을 제공하는 제1 출력 매칭 회로; 제2 밴드 신호 입력 포트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 밴드 전력 증폭기; RFIC 칩과 상기 제2 밴드 전력 증폭기의 임피던스 정합을 제공하는 제2 입력 매칭 회로; 및 상기 제2 밴드 전력 증폭기와 대역 통과 필터의 임피던스 정합을 제공하 는 제2 출력 매칭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커플러는 입력 신호의 λ/4 길이를 갖고 있으며, 제1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입력받아 스펙트럼 분석 장치의 고주파 신호 입력 포트로 출력하는 제1 도선; 및 상기 제1 도선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 도선과 전자기적 결합에 의해 상기 신호를 일부를 샘플링하여 제1 고역 통과 필터로 출력하는 제1 커플링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커플러는 입력 신호의 λ/4 길이를 갖고 있으며, 제2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저주파 신호를 입력받아 스펙트럼 분석 장치의 저주파 신호 입력 포트로 출력하는 제2 도선; 및 상기 제2 도선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2 도선과 전자기적 결합에 의해 상기 신호를 일부를 샘플링하여 제2 고역 통과 필터로 출력하는 제2 커플링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한번에 2개의 전력 증폭 모듈을 검사할 수 있어 생산 효율이 향상된다. 그리고, 생산 효율의 증가로 인하여 전력 증폭 모듈의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의 검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력 증폭 모듈의 검사 장치는 고주파 무선 신호와 저주파 무선 신호를 입력받아 전력을 증폭하여 증폭된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2개의 전력 증폭 모듈(110a, 110b)에 대한 성능을 검사하는 장치로, 4개의 감쇠기(120a~120d), 2개의 스위치(130a, 130b), 2개의 커플러(140a, 140b), 2개의 고역 통과 필터(150a, 150b)로 이루어져 있으며, 멀티플렉스(160a)와 스펙트럼 분석기(160b)로 이루어진 스펙트럼 분석 장치(160)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4개의 감쇠기(120a~120d)중에서 제1 감쇠기(120a)는 제1 전력 증폭 모듈(110a)의 고주파 신호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전력 증폭 모듈(110a)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감쇠시켜 출력한다.
그리고, 제2 감쇠기(120b)는 제1 전력 증폭 모듈(110a)의 저주파 신호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전력 증폭 모듈(110a)에서 출력되는 저주파 신호를 감쇠시켜 출력한다.
다음으로, 제3 감쇠기(120c)는 제2 전력 증폭 모듈(110b)의 고주파 신호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2 전력 증폭 모듈(110b)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감쇠시켜 출력한다.
그리고, 제4 감쇠기(120d)는 제2 전력 증폭 모듈(110b)의 저주파 신호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2 전력 증폭 모듈(110b)에서 출력되는 저주파 신호를 감쇠시켜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전력 증폭 모듈(110a, 110b) 출력은 대략 33dBm~35dBm을 가지고 있어, 스펙트럼 분석기(160b)가 손상이 되지 않을 정도의 출력을 얻기 위해서 약 30dB 정도의 감쇠율을 갖는 감쇠기(120a~120d)가 사용된다.
한편, 상기 2개의 스위치(130a, 130b)와 2개의 커플러(140a, 140b)는 서로 대응되게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도면부호 130a의 스위치와 도면부호 140a의 커플러가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도면부호 130b의 스위치와 도면부호 140b의 커플러가 연속적으로 연결됨), 2개의 입력을 받아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에, 선택된 신호를 2개의 출력단자로 출력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2개의 스위치(130a, 130b)중 제1 스위치(130a)는 제1 감쇠기(120a)와 제3 감쇠기(120c)의 출력을 입력받아 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제1 커플러(140a)는 제1 스위치(130a)의 출력을 입력받아 멀티플렉스(160a)의 기본 고주파 신호 입력 포트에 제공하거나, 제1 고역 통과 필터(150a)의 입력으로 제공한다.
다음으로, 제2 스위치(130b)는 제2 감쇠기(120b)의 출력과 제4 감쇠기(120d)의 출력을 입력받아 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제2 커플러(140b)는 제2 스위치(130b)의 출력을 입력받아 멀티플렉스(160a)의 기본 저주파 신호 입력 포트에 제공하거나, 제2 고역 통과 필터(150b)의 입력으로 제공한다(상기 제1 커플러와 제2 커플러의 구성에 대하여는 아래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제2 커플러(140a)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1 고역 통과 필터(150a)는 제1 커플러(140a)에서 제공되는 고주파 신호에서 기본 고주파 신호를 제거한 후에, 기본 고주파 신호가 제거된 하모닉 고주파 신호를 멀티플렉스(160a)의 하모닉 고주파 신호 입력 포트에 제공한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커플러(140a)에 연결된 고역 통과 필터(150a)는 기본 고주파 주파수(fH0)와, 기본 고주파 주파수(fH0)신호가 체배된 2fH0, 3fH0 등을 하모닉 고주파 신호가 포함된 고주파 신호를 입력받아,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에서 기본 고주파 주파수(fH0)를 차단하고 체배된 신호를 통과시킨다.
다음으로, 제2 고역 통과 필터(150b)는 제2 커플러(140b)에서 제공되는 저주파 신호에서 기본 저주파 신호를 제거하고 하모닉 저주파 신호만을 통과시킨다.
이를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커플러(140b)에 연결된 제2 고역 통과 필터(150b)는 기본 저주파 주파수(fL0)와, 기본 저주파 주파수(fL0)신호가 체배된 2fL0, 3fL0 등의 하모닉 저주파 신호를 포함한 저주파 신호를 입력받아,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에서 기본 저주파 주파수(fL0)를 차단하고 체배된 저주파 신호를 통과시킨다.
상기 멀티플렉스(160a)는 기본 고주파 신호 입력포트, 하모닉 고주파 신호 입력포트, 기본 저주파 신호 입력포트, 하모닉 저주파 신호 입력 포트의 4개의 포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구비된 포트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스펙트럼 분석기(160b)로 제공한다.
그러면, 스펙트럼 분석기(160b)는 입력되는 기본 고주파 신호, 하모닉 고주파 신호, 기본 저주파 신호, 하모닉 저주파 신호에 대하여 전력 세기를 측정하여 출력한다.
이를 도 3과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펙트럼 분석기(160b)는 멀티플렉스(160a)에서 입력되는 기본 고주파 신호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세기 PH0 를 측정하여 출력하고, 멀티플렉스(160a)에서 입력되는 하모닉 고주파 신호에 대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세기 2PH0와 3PH0를 측정하여 출력한다.
또한, 스펙트럼 분석기(160b)는 멀티플렉스(160a)에서 입력되는 기본 저주파 신호에 대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세기 PL0 를 측정하여 출력하며, 멀티플렉스(160a)에서 입력되는 하모닉 저주파 신호에 대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세기 2PL0와 3PL0를 측정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력 증폭 모듈의 검사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2 스위치(130b)가 제2 감쇠기(120b)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면, 제2 커플러(140a)는 제2 스위치(130b)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멀티플렉스(160a)의 기본 저주파 입력 포트로 출력하고, 입력되는 신호의 일부를 샘플링하여 제1 고역 통과 필터(150a)로 출력한다. 그러면, 멀티플렉스(160a)는 기본 저주파 입력 포트를 통하여 입력된 기본 저주파 신호를 스펙트럼 분석기(160b)로 출력하고, 스펙트럼 분석기(160b)는 입력되는 기본 저주파 신호의 전력 세기를 측정하여 출력한다.
다음으로, 멀티플렉스(160a)는 제2 고역 통과 필터(160b)로부터 입력되는 하모닉 저주파 신호를 스펙트럼 분석기(160b)로 출력하고, 스펙트럼 분석기(160b)는 입력된 하모닉 저주파 신호의 전력 세기를 측정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제1 전력 증폭 모듈(110a)의 저주파 신호의 출력 특성이 분석되면, 다음으로 제1 전력 증폭 모듈(110a)의 고주파 신호에 대하여 출력 특성을 분석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제1 스위치(130a)가 제1 감쇠기(120a)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제1 커플러(140a)가 제1 스위치(130a)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멀티플렉스(160a)의 기본 고주파 입력 포트로 출력하고, 그 일부를 샘플링하여 제1 고역통과 필터(150a)로 출력한다. 그러면, 멀티플렉스(160a)는 기본 고주파 신호를 스펙트럼 분석기(160b)로 출력하여 스펙트럼 분석기(160b)가 기본 고주파 신호의 전력 세기를 측정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이후에, 멀티플렉스(160a)는 제1 고역 통과 필터(150a)로부터 입력되는 하모닉 고주파 신호를 스펙트럼 분석기(160b)로 출력하여, 스펙트럼 분석기(160b)가 입력되는 하모닉 고주파 신호의 전력 세기를 측정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전력 증폭 모듈(110a)에 대한 검사가 완료되면, 이후에 제2 전력 증폭 모듈(110b)에 대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검사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제2 스위치(130b)와 제2 커플러(140b)의 조작에 의해 제2 전력 증폭 모듈(110b)의 저주파 신호에 대하여 전력 세기를 측정하는 과정과, 이후에 제1 스위치(130a)와 제1 커플러(140a)의 조작에 의해 고주파 신호에 대하여 전력 세기를 측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위의 제1 전력 증폭 모듈(110a)의 검사 과정과 유사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한편, 위에서 전력 증폭 모듈(110a, 110b)에 대하여 설명한 검사 과정은 하 나의 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 다른 순서에 의해 검사를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검사 대상이 되는 전력 증폭 모듈(110a, 110b)은 2개의 밴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듀얼밴드 전력 증폭 모듈로서 이에 대한 하나의 예를 아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전력 증폭 모듈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력 증폭 모듈은 3단의 고주파(제1 밴드 신호) 전력 증폭기(210a-1~210a-3), 고주파 입력 매칭 회로(220a), 고주파 출력 매칭 회로(230a), 3단의 저주파(제2 밴드 신호) 전력 증폭기(210b-1~210b-3), 저주파 입력 매칭 회로(220b), 저주파 출력 매칭 회로(230b), 제어 회로(240)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3단의 고주파 전력 증폭기(210a-1~210a-3)는 고주파 신호 입력 포트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며, 고주파 입력 매칭 회로(220a)는 RFIC 칩과의 임피던스 정합을 제공하고, 고주파 출력 매칭 회로(230a)는 대역 통과 필터와 임피던스 정합을 제공한다.
그리고, 3단의 저주파 전력 증폭기(210b-1~210b-3)는 저주파 신호 입력 포트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며, 저주파 입력 매칭 회로(220b)는 RFIC 칩과의 임피던스 정합을 제공하고, 저주파 출력 매칭 회로(230b)는 대역 통과 필터와 임피던스 정합을 제공한다.
한편, 제어 회로(240)는 3단의 전력 증폭기(210a-1~210a-3, 210b-1~210b-3)의 온오프와 증폭량을 제어한다.
도 6은 도 2의 커플러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커플러(140a)는 고주파 신호가 입출력되며 입력 신호의 λ/4 길이를 갖는 제1 도선(300a)과 상기 도선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도선과 전자기적 결합에 의해 상기 신호를 일부를 샘플링하는 제1 커플링 라인(310a)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제2 커플러(140b)는 저주파 신호가 입출력되며 입력 신호의 λ/4 길이를 갖는 제2 도선(300b)과 상기 도선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도선과 전자기적 결합에 의해 상기 신호를 일부를 샘플링하는 제2 커플링 라인(310b)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제1 도선(300a)을 통과한 고주파 신호는 멀티플렉스(160a)의 기본 고주파 신호 입력 포트로 입력되고, 상기 제2 도선(300b)을 통과한 저주파 신호는 멀티플렉스(160a)의 기본 저주파 신호 입력 포트로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커플링 라인(310a)을 통하여 샘플링된 고주파 신호는 제1 고역 통과 필터(150a)로 입력되고, 상기 제2 커플링 라인(310b)을 통하여 샘플링된 저주파 신호는 제2 고역 통과 필터(150b)로 입력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듀얼밴드 송신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의 검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력 증폭 모듈의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 분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전력 증폭 모듈의 저주파 신호의 주파수 분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전력 증폭 모듈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2의 커플러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a, 110b: 전력 증폭 모듈 120a~120d : 감쇠기
130a, 130b : 스위치 140a, 140b : 커플러
150a, 150b : 고역 통과 필터 160 : 스펙트럼 분석 장치
160a : 멀티플렉스 160b : 스펙트럼 분석기
210a-1~210a-3, 210b-1~210b-3 : 전력 증폭기
220a, 220b, 230a, 230b : 매칭 회로
300a, 300b : 도선 310a, 310b : 커플링 라인

Claims (5)

  1. 제1 전력 증폭 모듈과 제2 전력 증폭 모듈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입력받아, 어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1 스위치;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에서 기본 고주파 신호를 제거하고, 하모닉 고주파 신호가 포함된 고주파 신호를 스펙트럼 분석 장치의 하모닉 고주파 신호 입력포트로 출력하는 제1 고역 통과 필터;
    제1 스위치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스펙트럼 분석 장치의 기본 고주파 신호 입력 포트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스위치에서 입력되는 신호의 일부를 샘플링하여 상기 제1 고역 통과 필터로 출력하는 제1 커플러;
    제1 전력 증폭 모듈과 제2 전력 증폭 모듈로부터 저주파 신호를 입력받아, 어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2 스위치;
    입력되는 저주파 신호에서 기본 저주파 신호를 제거하고 하모닉 저주파 신호가 포함된 저주파 신호를 스펙트럼 분석 장치의 하모닉 저주파 신호 입력포트로 출력하는 제2 고역 통과 필터; 및
    제2 스위치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스펙트럼 분석 장치의 기본 저주파 신호 입력 포트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스위치에서 입력되는 신호의 일부를 샘플링하여 상기 제2 고역 통과 필터로 출력하는 제2 커플러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 모듈의 검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증폭 모듈과 제2 전력 증폭 모듈의 신호 출력단과 상기 1 스위치 또는 제2 스위치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제1 전력 증폭 모듈과 제2 전력 증폭 모듈의 출력 신호를 감쇠시켜 출력하는 4개의 감쇠기를 더 포함하는 전력 증폭 모듈의 검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펙트럼 분석 장치는,
    제1 커플러에 연결된 기본 고주파 신호 입력 포트와, 제1 고역 통과 필터에 연결된 하모닉 고주파 신호 입력 포트와, 제2 커플러에 연결된 기본 저주파 신호 입력 포트와, 제2 고역 통과 필터에 연결된 하모닉 저주파 신호 입력 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포트들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스; 및
    상기 멀티플렉스에서 출력되는 기본 고주파 신호와, 하모닉 고주파 신호와, 기본 저주파 신호와, 하모닉 저주파 신호의 전력 세기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스펙트럼 분석기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 모듈의 검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 모듈은,
    제1 밴드 신호 입력 포트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1 밴드전력 증폭기;
    RFIC 칩과 상기 제1 밴드 전력 증폭기의 임피던스 정합을 제공하는 제1 입력 매칭 회로;
    상기 제1 밴드 전력 증폭기와 대역통과 필터의 임피던스 정합을 제공하는 제1 출력 매칭 회로;
    제2 밴드 신호 입력 포트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 밴드전력 증폭기;
    RFIC 칩과 상기 제2 밴드 전력 증폭기의 임피던스 정합을 제공하는 제2 입력 매칭 회로; 및
    상기 제2 밴드 전력 증폭기와 대역 통과 필터의 임피던스 정합을 제공하는 제2 출력 매칭 회로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 모듈의 검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러는,
    입력 신호의 λ/4 길이를 갖고 있으며, 제1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입력받아 스펙트럼 분석 장치의 고주파 신호 입력 포트로 출력하는 제1 도선; 및
    상기 제1 도선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 도선과 전자기적 결합에 의해 상기 신호를 일부를 샘플링하여 제1 고역 통과 필터로 출력하는 제1 커플링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커플러는,
    입력 신호의 λ/4 길이를 갖고 있으며, 제2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저주파 신호를 입력받아 스펙트럼 분석 장치의 저주파 신호 입력 포트로 출력하는 제2 도선; 및
    상기 제2 도선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2 도선과 전자기적 결합에 의해 상기 신호를 일부를 샘플링하여 제2 고역 통과 필터로 출력하는 제2 커플링 라인을 포함하는 전력 증폭 모듈의 검사 장치.
KR1020090126258A 2009-12-17 2009-12-17 전력 증폭 모듈의 검사 장치 KR101095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258A KR101095145B1 (ko) 2009-12-17 2009-12-17 전력 증폭 모듈의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258A KR101095145B1 (ko) 2009-12-17 2009-12-17 전력 증폭 모듈의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499A true KR20110069499A (ko) 2011-06-23
KR101095145B1 KR101095145B1 (ko) 2011-12-16

Family

ID=44401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258A KR101095145B1 (ko) 2009-12-17 2009-12-17 전력 증폭 모듈의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1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72267A (zh) * 2013-09-16 2013-12-25 无锡莱吉特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led信号转接装置
CN114325340A (zh) * 2021-12-31 2022-04-12 南京矽典微系统有限公司 射频芯片的测试系统及测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162Y1 (ko) 2001-09-20 2001-12-31 세원텔레텍 주식회사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72267A (zh) * 2013-09-16 2013-12-25 无锡莱吉特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led信号转接装置
CN114325340A (zh) * 2021-12-31 2022-04-12 南京矽典微系统有限公司 射频芯片的测试系统及测试方法
CN114325340B (zh) * 2021-12-31 2024-01-19 南京矽典微系统有限公司 射频芯片的测试系统及测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5145B1 (ko) 201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7068B1 (en) Frequency multiplexer for use with instruments for measuring passive intermodulation (PIM)
KR101164243B1 (ko) 분배기 및 통신 방법
CN101183138A (zh) 一种功率放大器的批量检测方法和装置
CN109274422A (zh) 一种光模块测试系统及方法
CN103226168B (zh) 一种pim+s参数测试仪
CN103227687A (zh) 一种无源多阶互调测试仪
WO2019000034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IDENTIFYING DEFECTS IN A RADIO FREQUENCY DEVICE OR A SYSTEM
CN104880621A (zh) 自校准无源互调测试仪
KR101095145B1 (ko) 전력 증폭 모듈의 검사 장치
CN105703849A (zh) 一种射频切换箱及终端射频一致性测试系统
CN103001712A (zh) 一种多频段、多信号二阶互调测试系统
CN105323015A (zh) 一种实现无源器件测试的装置
CN106452471A (zh) 一种gsm射频电路及包括该电路的终端
CN106405272B (zh) 射频功率放大器射频矩阵测试装置
CN115459866A (zh) 一种驻波检测方法及装置
CN108802447B (zh) 一种提高大功率半导体放大器测试安全性的方法
KR101095249B1 (ko) 전력 증폭 모듈의 검사 장치
CN204008853U (zh) 一种扫频仪
JP4908650B2 (ja) 歪測定装置
CN102388552A (zh) 测试控制方法、装置和系统
KR100809511B1 (ko) 이동통신 중계기용 pim 신호 감시시스템 및 그을 이용한pim 신호 감시방법
CN101598751B (zh) 高功率射频模块动态阻抗的一种测量方法及其测量装置
EP3549258B1 (en) Rf module and method for testing an rf module
CN203278844U (zh) 一种无源多阶互调测试仪
CN103346851B (zh) 一种多制式高集成的多阶互调测试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