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8652A - 광학 센서 내장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센서 내장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8652A
KR20110068652A KR1020090125709A KR20090125709A KR20110068652A KR 20110068652 A KR20110068652 A KR 20110068652A KR 1020090125709 A KR1020090125709 A KR 1020090125709A KR 20090125709 A KR20090125709 A KR 20090125709A KR 20110068652 A KR20110068652 A KR 20110068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nsor
liquid crystal
gat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3733B1 (ko
Inventor
김일호
강희광
박용찬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5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733B1/ko
Publication of KR20110068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by tracing or scanning a light beam on a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04Matrix technologies
    • G09G2300/0413Details of dummy pixels or dummy lines in fla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1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conveying information used for selecting or modulating the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
    • G09G2360/142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conveying information used for selecting or modulating the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 the light being detected by light detection means within each pix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 센서 내장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 타이밍 신호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구동부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콘트롤러; 및 발진기로부터 입력되는 클럭신호를 기준으로 광학 센서들의 출력을 처리하는 센서 출력 처리부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센서 콘트롤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광학 센서 내장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OPTICALH SENSOR AND DRIVING METHOD}
본 발명은 광학 센서 내장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구동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 액정표시장치는 노트북 PC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 사무 자동화 기기, 오디오/비디오 기기, 옥내외 광고 표시장치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투과형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층에 인가되는 전계를 제어하여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데이터전압에 따라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본원 출원인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63236(2007.06.1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20860(2008.03.0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8888호(2009.06.1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0096호(2009.11.24) 등을 통해 광학 센서 내장 액정표시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광학 센서는 이미지 센서나 터치 센서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센서 내장 액정표시장치는 입력 영상을 재현하는 디스플레이 본래의 기능과 함께 이미지 스캔장치나 터치 입력 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광학센서 내장 액정표시장치는 광학 센서 구동과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하여 외부의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클럭 신호와 동기 신호 등의 타이밍 신호들을 입력 받는다.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타이밍 신호들은 항상 일정한 주기로 발생되지 않고 일시적으로 그 주기가 변동될 수 있다. 광학 센서 구동과 디스플레이 구동에 필요한 타이밍 신호들을 공유하면, 광학 센서 구동과 디스플레이 구동 간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영상의 해상도 변화에 따라 외부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타이밍 신호가 변동되면 광학 센서의 충전(charge) 및 방전(discharge) 시간이 변동될 수 있다. 광학 센서들의 충/방전 시간이 변동으로 인하여, 이미지 스캔 시에 광학 센서들의 출력에서 스캐닝된 이미지에 가로 줄무늬 등의 잡음이 나타나고 터치 입력 시에 터치 인식률과 감도를 떨어 뜨린다.
본 발명은 광학 센서 구동에 필요한 타이밍 신호를 디스플레이 구동에 필요한 타이밍 신호와 분리하여 광학 센서 구동과 디스플레이 구동 간의 간섭 현상을 방지하고 광학 센서의 출력을 안정화하도록 한 광학 센서 내장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의 광학 센서 내장 액정표시장치는 상부기판과 하부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형성되고, 데이터라인들, 상기 데이터라인들과 교차되는 게이트라인들, 상기 데이터라인들을 통해 공급되는 비디오 데이터 전압을 표시하기 위한 픽셀들, 및 상기 상부기판 위에 놓여진 물체로부터 반사된 광을 감지하기 위한 광학 센서를 포함한 액정표시패널;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들을 구동하는 백라이트 구동부;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상기 비디오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게이트라인들에 상기 비디오 데이터전압에 동기되는 게이트펄스를 공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구동부; 외부 타이밍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콘트롤러; 상기 광학 센서들의 출력 전압을 샘플링하고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센서 출력 처리부; 및 발진기로부터 입력되는 클럭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센서 출력 처리부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센서 콘트롤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구동에 필요한 타이밍 신호와 광학 센서 구동에 필요한 타이밍 신호를 분리하여 디스플레이 구동에 필요한 타이밍 신호를 공유하여 광학 센서를 구동할 때 초래되는 광학 센서의 충/방전 타이밍 변동을 억제하여 로스 캔 이미지의 노이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로스캔 이미지에 노이즈가 작기 때문에 별도의 수직 및 수평 랜덤 노이즈 제거 알고리즘을 미디언 필터링으로 대체하여 이미지를 복원하기 위한 알고리즘과 하드웨어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센서 내장 표시장치는 입력 영상을 재현하는 디스플레이 모드, 표시패널 상에 놓여진 피인쇄물 이미지를 스캔하는 이미지 스캔 모드, 표시패널 상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 모드 등의 다양한 동작 모드로 구동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액정모드로 구분할 때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FFS(Fringe Field Switching) 등의 액정모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투과율 대 전압 특성으로 구분할 때 노말리 화이트 모드(Normally White Mode) 또는 노말리 블랙 모드(Normally Black mode)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등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으로, 실제 제품의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100), 백라이트 유닛(140), 백라이트 구동부(141), 디스플레이 구동부, 광학 센서 구동부, 타이밍 콘트롤러(101), 전원부(130), 호스트 컴퓨터(120) 등을 구비한다.
액정표시패널(100)은 두 장의 기판들(GLS1, GLS2)을 포함하고, 그 기판들(GLS1, GLS2) 사이에는 액정층(LC)과, 액정층(LC)의 셀갭(Cell gap)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CS)가 형성된다. 상부기판(GLS1)에는 컬러필터(CF)와 블랙 매트릭스(BM)를 포함한 컬러필터 어레이가 형성되고, 컬러필터 어레이에 공통전극(COM)이 형성된다. 상부기판(GLS1)의 상면에는 상부 편광판(POL1)이 접착된다. 하부기판(GLS2)은 데이터라인들(104), 게이트라인들(105), 리드아웃라인들(106), 픽셀들(10), 및 광학 센서들(20) 등을 포함한 화소 어레이를 포함한다. 화소 어레이는 광학 센서들을 구동하기 위한 센서 구동전압 공급라인들을 더 포함한다. 하부기판(GLS2)의 하면에는 하부 편광판(POL2)이 접착된다.
픽셀들(10) 각각은 도 3과 같이 픽셀 TFT(T1), 액정셀(Clc) 및 제1 스토리지 커패시터(Storage Capacitor, Cst1)를 포함한다.
픽셀 TFT(T1)는 제n(n은 양의 정수) 게이트라인(105)으로부터의 게이트펄스{Vg(n)}에 따라 턴-온되어 제m(m은 양의 정수) 데이터라인(104)으로부터의 비디 오 데이터전압{Vd(m)}을 액정셀(Clc)의 화소전극에 공급한다. 픽셀 TFT(T1)의 게이트전극은 제n 게이트라인(105)에 접속된다. 픽셀 TFT(T1)의 드레인전극은 제m 데이터라인(105)에 접속되고, 그 소스전극은 액정셀(Clc)의 화소전극에 접속된다. 제1 스토리지 커패시터(Cst1)는 화소전극 전압과 공통전극 전압의 차전압을 충전하여 액정셀(Clc)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광학 센서들(20) 각각은 도 3과 같이 센서 TFT(T2), 제2 스토리지 커패시터(Cst2), 및 스위치 TFT(T3)를 포함한다.
센서 TFT(T2)는 피인쇄물이나 터치개체(OBJ)로부터 반사된 빛을 광전류로 변환하여 제2 스토리지 커패시터(Cst2)에 저장한다. 센서 TFT(T2)에 입사되는 빛이 간섭되지 않도록 센서 TFT(T2)와 대향한 상부기판(GLS1)의 일부분에는 블랙 매트릭스(BM)가 형성되지 않는다. 센서 TFT(T2)와 대향한 상부기판(GLS1)의 일부분에는 컬러필터(CF)도 제거될 수 있다. 센서 TFT(T2)의 게이트전극은 스토리지 기준전압 공급라인(116)에 접속된다. 스토리지 기준전압 공급라인(116)에는 0V의 스토리지 기준전압(Vsto)이 공급된다. 센서 TFT(T2)의 드레인전극은 센서 구동전압 공급라인(115)에 접속되고, 그 소스전극은 노드 'S'를 경유하여 제2 스토리지 커패시터(Cst2)와 스위치 TFT(T3)의 드레인전극에 접속된다. 센서 구동전압 공급라인(115)에는 12V의 센서 구동전압(Vdrv)이 공급된다.
제2 스토리지 커패시터(Cst2)는 센서 TFT(T2)로부터의 전류(Is)를 축적하여 센서 출력 전압을 충전한다. 제2 스토리지 커패시터(Cst2)의 일측 전극은 노드 S를 경유하여 센서 TFT(T2)의 소스전극에 접속되고, 그 타측 전극은 스토리지 기준 전압 공급라인(116)에 접속된다.
스위치 TFT(T3)는 제n-1 게이트라인(105)으로부터의 게이트펄스{Vg(n-1)}에 따라 턴-온되어 노드 S의 전압을 리드아웃라인(106)을 통해 센서 출력 처리부(110)에 공급한다. 스위치 TFT(T3)의 게이트전극은 제n-1 게이트라인(105)에 접속된다. 스위치 TFT(T3)의 드레인전극은 노드 S를 경유하여 제2 스토리지 커패시터(Cst2)와 센서 TFT(T3)의 소스전극에 접속된다. 스위치 TFT(T3)의 소스전극은 리드아웃라인(106)에 접속된다.
화소 어레이에 형성된 TFT들(T1~T3) 중에서 센서 TFT(T2)를 제외한 TFT들(T1, T3)은 블랙 매트릭스(BM)에 의해 가려진다. 따라서, 픽셀 TFT(T1)와 스위치 TFT(T3)에는 피인쇄물이나 터치개체(OBJ)로부터 반사되는 빛이나 외부광이 수광되지 않는다.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BLU)(140)은 액정표시패널(100)의 아래에 배치된다. 백라이트 유닛(140)은 백라이트 구동부(141)에 의해 점등 및 소등되는 다수의 광원들을 포함하여 액정표시패널(100)로 균일하게 빛을 조사한다. 백라이트 유닛(140)은 직하형(direct type) 백라이트 유닛 또는, 에지형(edge type)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은 HCFL(Hot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LED(Light Emitting Diode)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구동부(141)는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타이밍 콘트롤러(101)의 제어 하에 입력 영상에 따라 달라지는 디밍신호(DIM)의 펄스폭 변조 신호(Pulse Width Modulation)에 응답하여 백라이트 유닛(140)의 광원들을 점등 및 소등한다. 백라이트 구동부(141)는 이미지 스캔 모드에서 타이밍 콘트롤러(101)의 제어 하에 백라이트 유닛(140)의 광원들을 최대 밝기로 점등한다.
디스플레이 구동부는 디스플레이 모드와 터치 입력 모드에서 액정표시패널에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구동부는 데이터 구동부(102)와, 게이트 구동부(103)를 포함한다.
데이터 구동부(102)는 타이밍 콘트롤러(101)의 제어 하에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샘플링하고 래치한다. 데이터 구동부(102)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정극성/부극성 감마보상전압(GMA1~N)으로 변환하여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킨다. 데이터 구동부(102)로부터 출력되는 정극성/부극성 데이터전압은 게이트 구동부(103)로부터 출력되는 게이트펄스에 동기된다. 데이터 구동부(102)의 소스 드라이브 IC(Integrated Circuit)들 각각은 COG(Chip On Glass) 공정이나 TAB(Tape Automated Bonding) 공정으로 액정표시패널(100)의 데이터라인들(104)에 접속될 수 있다. 소스 드라이브 IC는 타이밍 콘트롤러(101) 내에 집적되어 타이밍 콘트롤러(101)와 함께 원칩 IC로 구현될 수도 있다.
액정표시패널(100)이 노말리 화이트 모드로 구동된다면, 데이터 구동부(102)는 타이밍 콘트롤러(101)의 제어 하에 이미지 스캔 모드에서 액정표시패널(100)의 투과율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최저 전압을 출력한다. 액정표시패널(100)이 노말리 블랙 모드로 구동된다면, 데이터 구동부(102)는 타이밍 콘트롤러(101)의 제어 하에 이미지 스캔 모드에서 액정표시패널(100)의 투과율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최저 전압을 출력한다.
게이트 구동부(103)는 타이밍 콘트롤러(101)의 제어 하에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게이트펄스(또는 스캔펄스)를 순차적으로 출력을 발생하고 그 출력의 스윙전압을 게이트 하이 전압(VGH)과 게이트 로우 전압(VGH)으로 쉬프트시킨다. 게이트 구동부(103)로부터 출력되는 게이트펄스는 데이터 구동부(102)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전압에 동기되어 게이트라인들(105)에 순차적으록 공급된다. 게이트 하이 전압(VGH)은 화소 어레이에 형성된 TFT들(T1~T3)의 문턱 전압 이상의 전압이고, 게이트 로우 전압(VGL)은 화소 어레이에 형성된 TFT들(T1~T3)의 문턱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다. 게이트 구동부(103)의 게이트 드라이브 IC들은 TAP 공정을 통해 액정표시패널(100)의 하부기판(GLS2)의 게이트라인들(105)에 연결되거나 GIP(Gate In Panel) 공정으로 화소 어레이와 함께 액정표시패널(100)의 하부기판(GLS2)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센서 구동부는 이미지 스캔 모드와 터치 입력 모드에서 광학센서들(20)로부터 출력되는 로스캔 이미지 데이터 전압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통신 프로토콜에 적합한 데이터 포맷 단위로 변환하여 호스트 컴퓨터(120)에 전송한다. 광학 센서 구동부는 센서 출력 처리부(110), 센서 콘트롤러(111), 센서 구동용 발진기(Oscillator for driving sensor)(114), 라인 메모리(112), 및 통신 인터페이스(113)를 구비한다.
센서 출력 처리부(110)는 센서 콘트롤러(111)의 제어 하에 리드아웃라 인(106)을 통해 공급되는 광학 센서(20)의 출력 전압을 샘플링하여 그 전압을 증폭한 후에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로스캔 이미지 데이터(Raw scan image data)를 출력한다.
센서 콘트롤러(111)는 호스트 컴퓨터(120)로부터 입력된 모드신호(MODE)에 응답하여 이미지 스캔 모드와 터치 입력 모드를 판단한다. 센서 콘트롤러(111)는 센서 구동용 발진기(114)로부터 입력되는 클럭신호를 기준으로 센서 출력 처리부(110)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와, 라인 메모리(112)의 동작 타임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센서 구동용 발진기(114)는 센서 콘트롤러(111)에 내장될 수 있다. 센서 구동용 발진기(114)는 호스트 컴퓨터(120)로부터 입력되는 타이밍 신호들과는 독립된 클럭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센서 콘트롤러(111)는 디스플레이 모드 타이밍 제어신호와 분리된 센서 구동용 발진기(114)로부터의 클럭을 기준으로 센서 출력 처리부(110)와 라인 메모리(112)의 동작 타이밍을 디스플레이 타이밍 변동에 무관하게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센서 콘트롤러(111)는 이미지 스캔 모드와 터치 입력 모드에서 도 3에 도시된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OE)를 게이트 구동부(103)에 공급한다. 따라서, 게이트 구동부(103)는 이미지 스캔 모드와 터치 입력 모드에서 제n-1 게이트라인(105)에 게이트 하이 전압(VGH)의 게이트펄스를 공급하여 광학 센서(20)의 스위치 TFT(T3)를 턴-온시킨다.
1 라인 데이터 전송 시간 동안 호스트 컴퓨터(120)로 전송되는 이미지 스캔 데이터의 개수는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2.0의 데이터 전송 규격에 만족하기 위해서는 1 라인 데이터 전송 시간 동안 전송되는 이미지 스캔 데이터의 개수는 512 Byte의 배수가 전송되어야 한다. 1 라인의 광학 센서들의 개수는 통신 프로토콜의 1 라인 데이터 전송 시간에 전송되는 데이터 포멧의 데이터 개수와 다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센서 콘트롤러(111)는 라인 메모리(112)의 도 6과 같이 센서 출력 처리부(110)로부터 출력되는 1 라인의 이미지 스캔 데이터(SDATA)와 함께 더미 데이터(DUMDATA)를 라인 메모리(112)에 저장할 수 있다. 더미 데이터(DUMDATA)는 센서 출력 처리부(110)로부터 출력되지 않고 센서 콘트롤러(111) 내의 레지스터로부터 생성된다.
라인 메모리(112)는 센서 콘트롤러(111)의 제어 하에 로스캔 이미지 데이터(SDATA)와 더미 데이터(DUMDATA)를 저장한 후에 그 데이터들(SDATA+DUMDATA)을 통신 인터페이스(113)에 공급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3)는 호스트 컴퓨터(120)로부터 입력된 모드신호(MODE)를 센서 콘트롤러(111)에 전송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3)는 라인 메모리(112)로부터 입력되는 로스캔 이미지 데이터와 더미 데이터를 통신 프로토콜의 1 라인 데이터 전송에 맞는 데이터 패킷으로 포맷팅하여 호스트 컴퓨터(120)로 전송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3)의 통신 프로토콜은 USB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어떠한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도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인터페이스(113)의 통신 프로토콜은 USB,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and Tranceiver), PMCIA(Personal Com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RS232 등의 통신 프로토콜로 적용될 수 있다. 적용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라인 메모리에 저장되고 1 라인 데이터 전송 시간 단위로 호스트 컴퓨터(120)에 전송될 데이터 개수와 더미 데이터 개수가 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 센서 구동부는 디스플레이 모드의 동작 타이밍 제어와 이미지 스캔 모드의 동작 타이밍에서 서로 분리된 클럭을 사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드 동작이 이미지 스캔 모드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한다. 여기서, 이미지 스캔 모드의 동작 타이밍과 디스플레이 모드 동작 타이밍은 시간적으로 완전히 분리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드의 타이밍 제어 신호들과 광학 센서의 동작 타이밍 제어신호들이 서로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광학 센서들(20)의 충/방전 동작이 일정하게 되어 광학 센서들(20)로부터 얻어진 로스캔 이미지(Raw scan image)의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 로스캔 이미지에 잡음이 적어지면 이미지 스캔 알고리즘의 복잡도가 낮아지게 되고,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이 간단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센서 구동부는 광학 센서들(20)로부터 얻어진 로스캔 이미지 데이터를 라인 메모리로 1 라인 데이터 단위로 수집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광학 센서 구동부는 로스캔 이미지 데이터를 호스트 컴퓨터(120)로 전송할 때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광학 센서들(20)의 스캔 동작이 간섭되지 않도록 로스캔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 밴드폭을 통신 프로토콜에 적합하게 변환한다. 본 발명의 광학 센서 구동부는 프레임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고 라인 메모리만을 사용하여 회로 비용과 로스캔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타이밍 콘트롤러(101)는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120)로부터 입력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입력 받아 재정렬하여 데이터 구동부(102)에 전송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01)는 LVDS 인터페이스, TMDS 인터페이스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120)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드 구동을 위한 타이밍 신호들을 입력 받는다. 디스플레이 모드 구동을 위한 타이밍 신호들은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메인 클럭(MCLK) 등을 포함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01)는 호스트 컴퓨터(120)로부터의 타이밍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구동부(102, 103)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들을 발생한다.
디스플레이 구동부들(102, 103)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들은 게이트 구동부(103)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와, 데이터 구동부(102)의 동작 타이밍과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를 포함한다.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GSC),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ate Output Enable, GOE) 등을 포함한다.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는 게이트 구동부(103)로부터 매 프레임기간마다 가장 먼저 게이트펄스를 출력하는 첫 번째 게이트 드라이브 IC에 인가되어 그 게이트 드라이브 IC의 쉬프트 시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은 게이트 구동부(103)의 게이트 드라이브 IC들에 공통으로 입력되어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를 쉬프트시키기 위한 클럭신호이다.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OE)는 게이트 구동부(103)의 게이트 드라이브 IC들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는 소스 스타트 펄스(Source Start Pulse, SSP),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SSC), 극성제어신호(Polarity : POL), 및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urce Output Enable, SOE) 등을 포함한다. 소스 스타트 펄스(SSP)는 데이터 구동부(102)에서 가장 먼저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첫 번째 소스 드라이브 IC에 인가되어 데이터 샘플링 시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라이징 또는 폴링 에지에 기준하여 소스 드라이브 IC들 내에서 데이터의 샘플링 타이밍을 제어하는 클럭신호이다. 극성제어신호(POL)는 소스 드라이브 IC들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제어한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E)는 소스 드라이브 IC들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 mini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구동부(102)에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가 입력된다면, 소스 스타트 펄스(SSP)와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생략될 수 있다.
타이밍 콘트롤러(101)는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입력 영상을 분석하여 글로벌 디밍, 로컬 디밍, 및 스캐닝 백라이트 구동에 필요한 디밍 신호(DIM)를 발생하여 백라이트 구동부(141)를 제어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01)는 호스트 컴퓨터(120)로부터 모드신호(MODE)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경우에, 타이밍 콘트롤러(101)는 이미지 스캔 모드에서 백라이트 유닛(140)의 밝기가 최대가 되고 액정표시패널(100)의 광투과율이 최대가 되도록 백라이트 구동부(141)의 디밍신호(DIM)의 PWM 신호의 듀티비를 최대로 제어하고 데이터 구동부(102)의 출력 전압과 타이밍을 이미지 스캔 모드에 적합하게 제어할 수 있다.
타이밍 콘트롤러(101)는 호스트 컴퓨터(120)로부터 입력 받은 프레임 주파수를 i(i는 2 이상의 양의 정수)배만큼 체배하여 액정표시패널(100)을 60×iHz의 프레임 주파수로 구동시킬 수 있다.
전원부(130)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변조회로, 부스트 컨버터(Boost converter), 레귤레이터(Regulater), 차지펌프(Charge pump), 분압회로 , 연산 증폭기(Operation Amplifier) 등을 포함한 DC-DC 컨버터(Convertor)로 구현된다. 전원부(130)는 호스트 컴퓨터(120)로부터의 입력 전압(Vin)을 조정하여 액정표시패널(100), 디스플레이 구동부(102, 103), 광학센서 구동부(110~114), 타이밍 콘트롤러(101), 백라이트 구동부(141)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발생한다. 전원부(130)로부터 출원되는 전원들은 로직 전원전압(Vcc), 고전위 전원전압(VDD), 게이트 하이전압(VGH), 게이트 로우전압(VGL), 공통전압(Vcom), 정극성/부극성 감마기준전압들(VGMA1∼VGMAi), 광학 센서의 스토리지 기준전압(Vsto), 광학 센서의 구동전압(Vdrv), 광학 센서의 기준 전압(Vref) 등을 포함한다.
호스트 컴퓨터(120)는 입력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와, 디스플레이 모드 구동에 필요한 타이밍 신호들(Vsync, Hsync, DE, MCLK) 등을 LVDS 인터페 이스, TMDS 인터페이스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이밍 콘트롤러(101)에 전송한다. 또한, 호스트 컴퓨터(120)는 이미지 스캔 모드와 터치 입력 모드를 지시하는 모드 신호(MODE)를 광학 센서 구동부의 통신 인터페이스(113)에 전송한다. 모드 신호(MODE)는 이미지 스캔 모드와 터치 입력 모드에서 서로 다른 논리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모드신호(MODE)는 타이밍 콘트롤러(101)에 전송될 수도 있다.
호스트 컴퓨터(120)는 이미지 스캔 모드에서 광학 센서 구동부로부터 입력되는 로스캔 이미지 데이터를 도 7과 같은 이미지 스캔 알고리즘의 처리 수순에 따라 원 이미지에 가깝게 복원하여 저장한다. 호스트 컴퓨터(12)는 터치 입력 모드에서 광학 센서 구동부로부터 입력되는 로스캔 이미지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터치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터치점의 좌표를 산출한다.
도 5는 광학 센서(20)와 센서 출력 처리부(110)를 상세히 보여 주는 회로도이다. 도 6은 센서 콘트롤러(111)로부터 발생되는 센서 타이밍 제어신호와 로스캔 이미지 데이터 포맷을 보여 주는 파형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센서 출력 처리부(110)는 연산 증폭기, 제1 및 제2 스위치소자{SW(SH0), SW(SH1)},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 Digigtal Converter, 이하 "ADC"라 함)(151) 등을 구비한다. 연산 증폭기의 반전 입력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는 리셋 스위치소자{SWC(Reset)}와 피드백 커패시터(Cfb)가 접속된다. 연산 증폭기의 반전 입력단자는 커패시터(Co)와 스위치 TFT(T3)의 소스 단자에 접속된다. 커패시터(Co)는 센서 출력 처리부(110)의 입력 단자와 기저전압원(GND) 사이에 접속되어 광학 센서(20)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의 노이즈 성분을 제 거한다. 연산 증폭기(OPamp)의 비반전 입력단자에는 2V의 기준전압(Vref)이 공급된다.
리셋 스위치소자{SWC(RST)}는 도 6과 같은 로우 로직 레벨의 리셋신호(RST)에 따라 턴-온되어 피드백 커패시터(Cfb)의 양단 전압을 초기화시킨다. 제1 스위치소자{SW(SH0)}는 제1 스위치 제어신호(SHO)에 따라 턴-온되어 피드백 커패시터(Cfb)에 저장된 기준전압(Vref)을 샘플링하여 그 샘플링 전압(SD0)을 ADC(151)로 출력한다. 제1 스위치소자{SW{SH0)}가 턴-오프되고, 제n-1 게이트라인(106)에 게이트펄스{Vg(n-1)}가 공급되면 스위치 TFT(T3)는 노드 S의 전압을 센서 출력 처리부(110)에 입력한다. 제2 스위치소자{SW(SH1)}는 제1 스위치 제어신호(SH0) 이후에 발생되는 제2 스위치 제어신호(SH1)에 따라 턴-온되어 피드백 커패시터(Cfb)에 저장된 이미지 스캔 전압을 샘플링하여 그 전압(SD1)을 ADC(151)로 출력한다. ADC(151)는 기준 데이터(SD0)과 로스캔 이미지 데이터(SD1)의 차 전압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데이터 전송 제어신호(DTS)에 응답하여 그 디지털 데이터를 센서 콘트롤러(111)로 출력한다.
센서 콘트롤러(111)는 센서 구동용 발진기(114)로부터 입력된 클럭 신호를 기준으로 1 수평기간(1H)의 주기를 갖는 내부 수평동기신호(IHsync), 리셋신호(RST), 제1 및 제2 스위치 제어신호(SHO, SH1),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OE), 데이터 전송 제어신호(DTS) 등 광학 센서 구동에 필요한 타이밍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센서 출력 처리부(110)는 1 수평기간 내에 1 라인의 광학 센서들로부터 출력되는 센서 출력 전압을 샘플링한 후에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1 라인의 로스캔 이 미지 데이터(SDATA)와 더미 데이터(DUMDATA)를 센서 콘트롤러(111)에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이미지 스캔 알고리즘의 제어 수순을 단계적으로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이미지 스캔 알고리즘의 실험 결과를 보여 주는 샘플 이미지이다.
도 8a는 광학 센서들(20)과 센서 출력 처리부(110)를 통해 출력된 로스캔 이미지를 보여 주는 것으로 광학 센서 편차와 센서 출력 처리부(110)의 출력 채널별 편차가 반영되어 노이즈를 포함하고 있다.(S1) 이미지 스캔 알고리즘은 수학식 1과 같이 도 8a와 같은 로스캔 이미지의 데이터(Ri,j') 각각에 소정의 옵셋값(Oi,j)을 빼 로스캔 이미지에 혼입된 노이즈를 제거한다.(S2) 도 8b는 도 8a의 로스캔 이미지로부터 옵셋값을 뺀 이미지이다.
Ri,j = Ri,j' - Oi,j
이어서, 이미지 스캔 알고리즘은 수학식 2와 같이 노이즈가 제거된 로스캔 이미지의 데이터(Pi,j)에 소정의 이득값(A)을 곱하고 옵셋갑(Oi,j)을 더하여 로스캔 이미지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킨다.(S3) 도 8c는 도 8b의 로스캔 이미지에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킨 결과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P'i,j = A·Pi,j + Oi,j
이어서, 이미지 스캔 알고리즘은 미디언 필터(Median Filter)의 마스크를 이 용하여 콘트라스트가 향상된 이미지(P'i,j)의 데이터 각각을 주변 데이터들의 중간값으로 변환하여 가로/세로선의 노이즈를 제거한다.(S4) 도 8d는 도 8c의 이미지를 미디언 필터를 통해 중간값으로 변환한 이미지이다.
이어서, 이미지 스캔 알고리즘은 미디언 필터를 통해 중간값으로 변환된 스캔 이미지 데이터들에 대하여 신호 보간을 실시하여 해상도를 향상시킨다.(S5) 여기서, 신호 보간 방법은 바이큐빅 인터폴레이션(Bicubic interpolation)이 이용될 수 있다. 도 8e는 바이큐빅 인터폴레이션를 이용하여 도 8d의 이미지 해상도를 향상시킨 결과를 보여 주는 이미지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구동에 필요한 타이밍 신호와 광학 센서 구동에 필요한 타이밍 신호를 분리하여 광학 센서들로부터 출력된 로스캔 이미지의 노이지를 최소화한다. 그 결과, 기존의 이미지 스캔 알고리즘에서 필요하였던 수직 및 수평 랜덤 노이즈 제거 알고리즘(vertical/horizontal random noise rejection)을 미디언 필터로 대체할 수 있어 이미지 프로세싱(image processing)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미지 스캔 알고리즘은 기존의 이미지 스캔 알고리즘에서 사용하지 않은 해상도 향상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고화질의 컬러 스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기존의 이미지 스캔 알고리즘에서는 S3 단계에서 명암비를 최대로 크게 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의 이미지 스캔 알고리즘은 안정적인 명암비 향상을 위하여 선형 해상도 향상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 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정표시패널과 그 위에 놓여진 물체를 보여 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화소 어레이에 형성된 픽셀과 광학 센서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광학 센서의 동작을 보여 주는 회로도이다.
도 5는 광학 센서와 센서 출력 처리부를 상세히 보여 주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센서 콘트롤러에서 발생되는 센서 타이밍 제어신호와 로스캔 이미지 데이터 포맷을 보여 주는 파형도이다.
도 7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이미지 스캔 알고리즘의 제어 수순을 단계적으로 보여 주는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액정표시패널 101 : 타이밍 콘트롤러
102 : 데이터 구동부 103 : 게이트 구동부
110 : 센서 출력 처리부 111 : 센서 콘트롤러
112 : 라인 메모리 113 : 통신 인터페이스
114 : 센서 구동용 발진기 120 : 호스트 컴퓨터
130 : 전원부 140 : 백라이트 유닛
141 : 백라이트 구동부

Claims (10)

  1. 상부기판과 하부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형성되고, 데이터라인들, 상기 데이터라인들과 교차되는 게이트라인들, 상기 데이터라인들을 통해 공급되는 비디오 데이터 전압을 표시하기 위한 픽셀들, 및 상기 상부기판 위에 놓여진 물체로부터 반사된 광을 감지하기 위한 광학 센서를 포함한 액정표시패널;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들을 구동하는 백라이트 구동부;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상기 비디오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게이트라인들에 상기 비디오 데이터전압에 동기되는 게이트펄스를 공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구동부;
    외부 타이밍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콘트롤러;
    상기 광학 센서들의 출력 전압을 샘플링하고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센서 출력 처리부; 및
    발진기로부터 입력되는 클럭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센서 출력 처리부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센서 콘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내장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외부 타이밍 신호를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에 공급하고, 상기 로스캔 이미지의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는 호스트 컴퓨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내장 액정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출력 처리부로부터 출력된 로스캔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더미 데이터를 저장하는 라인 메모리; 및
    상기 라인 메모리로부터의 로스캔 이미지 데이터와 더미 데이터를 통신 프로토콜을 만족하는 데이터 개수씩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공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내장 액정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는 이미지 스캔 모드에서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투과율을 최대로 하기 위한 전압을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공급하고,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는 상기 이미지 스캔 모드에서 상기 광원들의 밝기를 최대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내장 액정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는,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의 제어 하에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상기 비디오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와 상기 센서 콘트롤러의 제어하에 상기 게이트라인들에 게이트펄스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내장 액정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콘트롤러는,
    상기 이미지 스캔 모드에서 상기 광학 센서들이 접속된 게이트라인들에 게이트 펄스가 공급되도록 상기 게이트 구동부에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내장 액정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출력 처리부는,
    반전 입력 단자, 비반전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가지는 연산 증폭기;
    상기 연산 증폭기의 반전 입력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 피드백 커패시터;
    상기 연산 증폭기의 반전 입력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리셋 신호에 응답하여 온/오프되는 리셋 스위치;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제1 스위치 제어신호에 따라 턴-온되어 상기 피드백 커패시터에 저장된 기준 전압을 출력하는 제1 스위치소자;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제1 스위치 제어신호 이후에 발생되는 제2 스위치 제어신호에 따라 턴-온되어 상기 피드백 커패시터에 저장된 샘플링된 전압을 출력하는 제2 스위치소자; 및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소자들로부터 입력되는 전압들의 차전압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 전송 제어신호에 따라 그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센서 콘트롤러로 출력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내장 액정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콘트롤러는,
    상기 발진기로부터의 클럭을 기준으로 1 수평기간의 주기를 갖는 내부 수평동기신호, 상기 내부 수평 동기신호의 1 수평기간 내에서 활성화되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제어신호 및 상기 데이터 전송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센서 출력 처리부로 공급하고,
    상기 센서 출력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로스캔 이미지를 상기 라인 메모리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내장 액정표시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는,
    상기 로스캔 이미지에 대한 노이즈 제거, 명암비 향상, 미디안 필터링 및 해 상도 향상을 처리하는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내장 액정표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패널은 상기 데이터라인들 및 상기 게이트라인들과 독립적인 리드아웃라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출력 처리부는 상기 리드아웃라인들을 통해 상기 광학 센서들의 출력 전압을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내장 액정표시장치.
KR1020090125709A 2009-12-16 2009-12-16 광학 센서 내장 액정표시장치 KR101613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709A KR101613733B1 (ko) 2009-12-16 2009-12-16 광학 센서 내장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709A KR101613733B1 (ko) 2009-12-16 2009-12-16 광학 센서 내장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652A true KR20110068652A (ko) 2011-06-22
KR101613733B1 KR101613733B1 (ko) 2016-04-20

Family

ID=44400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709A KR101613733B1 (ko) 2009-12-16 2009-12-16 광학 센서 내장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7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72246B2 (en) 2014-02-26 2018-05-15 Samsung Display Co., Ltd. Pix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20200055597A (ko) * 2018-11-13 2020-05-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57377A (ko) * 2018-11-16 2020-05-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72246B2 (en) 2014-02-26 2018-05-15 Samsung Display Co., Ltd. Pix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20200055597A (ko) * 2018-11-13 2020-05-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57377A (ko) * 2018-11-16 2020-05-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860134B2 (en) 2018-11-16 2020-12-08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3733B1 (ko)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3012B1 (en)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367133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구동 장치
KR101667046B1 (ko) 터치 센서 내장 표시장치
JP6494736B2 (ja) 表示装置
US20060201931A1 (en) Touch sensible display device, and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070030222A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7948471B2 (en) Liquid crystal device displaying and sensing image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140184485A1 (en) Backlight driver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00015223A (ko) 액정표시장치
KR101653006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소비전력 저감방법
KR101696458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613733B1 (ko) 광학 센서 내장 액정표시장치
KR101853022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공통전압 조정 방법
KR102043824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846544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615765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JP2005091385A (ja) 液晶表示装置
KR20170122887A (ko) 표시장치
KR101789330B1 (ko) 광센서를 포함한 액정표시패널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2148489B1 (ko) 표시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
KR102071952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전압 강하 제한 방법
KR101774559B1 (ko) 액정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20110066483A (ko) 스캐너 일체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스캔 모드 구동방법
KR101385468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667047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