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8168A -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율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율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8168A
KR20110068168A KR1020090125016A KR20090125016A KR20110068168A KR 20110068168 A KR20110068168 A KR 20110068168A KR 1020090125016 A KR1020090125016 A KR 1020090125016A KR 20090125016 A KR20090125016 A KR 20090125016A KR 20110068168 A KR20110068168 A KR 20110068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frame
data
received
averag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우
김경표
이우용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5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8168A/ko
Publication of KR20110068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1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데이터 프레임의 에러 여부에 따라 데이터 전송율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율 제어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데이터 전송율 제어 방법에서는 우선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의 에러를 검증하여 에러 개수를 카운팅한다. 그리고, 카운팅된 에러 개수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한 다음, 에러 평균값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율을 제어한다.
데이터 프레임, 에러, 평균값, 전송율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율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ATA TRANSMISSION-R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에러 여부에 따라 데이터 전송율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율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는 지식경제부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7-S-002-03, 과제명: Multi-Gigabit 무선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채널 상태에 따라 적합한 비트-심볼 매핑 방식을 선택하고, 선택된 비트-심볼 매핑 방식에 따라 심볼 매핑 한 후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비트-심볼 매핑 단계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송 데이터 비트를 심볼(symbol)의 위상(phase)과 크기(amplitude) 정보로 변환한다. 대표적인 비트-심볼 매핑 방식으로는, BPSK, QPSK, 8-PSK, 16-QAM, M-QAM 방식 등이 있다. 상술한 비트-심볼 매핑 방식에서는 각 심볼당 1, 2, 3, 4, 의 비트가 매핑된다.
데이터 전송율은 채널 코딩 방법이 동일한 경우 심볼 당 비트 매핑 수에 비 례하여 증가하지만, 심볼 당 매핑되는 비트 수가 적을수록 신호 대 잡음 비 (Eb/No)는 커지므로, 심볼 당 비트 수가 적을수록 수신단에서의 복조 성능은 우수하다. 따라서, 송신단은 높은 데이터 전송율 뿐만 아니라 수신단에서의 높은 복조 성능을 위해 적절한 심볼-매핑 방식을 선택해야 한다.
적절한 비트-심볼 매핑을 위하여 비트-심볼 매핑 단계 이전에 채널 코드를 이용한 순방향 에러 정정(FEC; forward error correction)을 수행한다. 순방향 에러 정정에 이용하는 채널 코드의 일예로 리드-솔로몬(RS;Reed-Solomon) 코드 및 컨벌루셔널(Convolutional) 코드가 있다. 리드-솔로몬 코드는 블록 코드로서, 원래의 정보 뒤에 패리티 정보가 덧붙여져서 전송된다. 리드-솔로몬(RS) 코드의 디코더는 컨벌루셔널 코드의 디코더인 비터비(viteri) 디코더에 비해서 적은 하드웨어로 구현이 가능하며, 병렬화가 용이하여 고속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
한편, 비트-심볼 매핑을 통해 매핑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신단와 수신단은 전송율 적응과정(rate adaptation)을 통해 채널의 상태를 검사하고, 그 결과에 따라 데이터 전송율을 변경한다.
종래의 데이터 전송율 적응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수신단은 송신단로부터의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수신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한다. 수신단은 측정된 채널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해진 테이블을 이용하여 비교한 후에 전송율을 결정한다. 여기서, 채널 상태 정보는 수신 신호 감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및 링크 품질(LQI; Link Quality Indicator)이다. 만약 전송율의 변경이 필요할 경우, 수신단은 전송율 변경을 위한 제어 정 보를 갖도록 제어 프레임을 구성하여 송신단으로 전송한다. 송신단은 수신된 제어 프레임에 따라 전송율을 제어한다.
이러한 종래 방식에 의한 데이터 전송율 제어 방식은 RSSI와 LQI 측정을 통해 채널상태를 검사하기 때문에 RSSI와 LQI를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가 동작해야 할 뿐만 아니라, 알고리즘에 따라 하드웨어의 동작이 달라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RSSI와 LQI 측정 값이 측정 알고리즘에 따라 달라지므로, 이 값을 미리 정해진 테이블에 따라 비교하는 매체 접근 제어기(Media Access Control)의 내부 테이블도 달라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배경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RSSI 및 LQI를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가 불필요하며, RSSI 및LQI를 측정 알고리즘에 상관 없이 매체 접근 제어기가 동일한 테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율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적절한 데이터 전송율을 선택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율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데이터 전송율 제어 방법은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의 에러를 검증하는 단계와, 에러 검증 단계에서 검증된 에러 개수를 카운팅하는 단계와, 카운팅된 에러 개수를 이용하여 결정된 전송율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 있어서, 프레임 생성 단계는 기 설정된 길이의 데이터 프레임이 수신될 때까지 에러 개수를 누적하여 에러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에러 평균값에 따라 데이터 전송율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전송율에 따라 전송율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통해 생성될 수 있다,
또는, 프레임 생성 단계는 확인 응답 프레임에 카운팅된 에러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를 삽입하는 과정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데이터 전송율 제어 방법은 수신단으로부터 에 러 개수와 관련된 전송율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전송율 제어 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 전송율을 제어하는 단계, 및 제어된 데이터 전송율에 따라 수신단으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 있어서, 전송율 제어 단계는 기 설정된 길이의 프레임이 수신될 때까지 에러 개수를 누적하여 에러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에러 평균값에 따라 데이터 전송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 데이터 프레임의 에러 평균값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율 변경 여부를 판단 및 제어를 함으로써, 별도의 복잡한 하드웨어와 알고리즘을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써, 데이터 전송율 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율 제어 시스템 구성도로서,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 프레임을 상호 송수신하는 송신단(10)과 수신단(2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단(10)은 수신단(20)으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고, 수신단(20)으로부터 데이터 전송율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프레임이 수신되면, 그 결과에 따라 데이터 전송율을 제어한다.
송신단(10)은 매체 접근 제어기(MAC; Media Acces Controller,11)와, 송수신 모뎀(12) 및 RF 모듈(13)을 포함한다. 매체 접근 제어기(11)는 데이터 전송율에 따른 변조 방식을 선택하고, 전송할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한다. 송수신 모뎀(12)은 매체 접근 제어기(11)에서 선택한 변조 방식에 따라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변조 또는 수신단(20)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프레임의 복호화를 수행한다. RF 모듈(13)은 변조된 데이터 프레임을 고주파 신호에 실어 수신단(20)으로 전송하거나, 수신단(10)으로부터 전송율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부호화된 제어 프레임을 수신한다.
수신단(20)은 송신단(10)으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의 에러 여부에 따라 데이터 전송율 변경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프레임을 생성하여 송신단(10)으로 전송한다. 수신단(20)은 RF 모듈(21)과 송수신 모뎀(22) 및 매체 접근 제어기(23)를 포함한다.
RF 모듈(21)은 송신단(10)으로부터 고주파 신호에 실려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거나, 부호화된 제어 프레임을 송신단(10)으로 전송한다.
송수신 모뎀(22)은 RF 모듈(21)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에러 검증, 에러 카운팅 및 에러 정정을 한다. 그리고, 송수신 모뎀(22)은 프레임 구조에 에러 개수 정보가 삽입된 에러 필드를 추가하여 매체 접근 제어기(23)로 전달한다. 또한, 송수신 모뎀(22)은 매체 접근 제어기(23)에서 전달되는 제어 프레임을 부호화하여 RF 모듈(21)로 전달한다.
도 2는 수신단(20)의 송수신 모뎀(22)에서 매체 접근 제어기(23)로 전달하는 프레임의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은 PHY 헤더와, MAC 헤더, HCS 에러, 페이로드/FCS, 및 에러 필드로 구성된다. 즉, 프레임은 잘 알려진 PHY 헤더와, MAC 헤더, HCS 에러, 페이로드/FCS 필드에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에러 필 드가 추가된 구조를 갖는다.
매체 접근 제어기(23)는 송수신 모뎀(22)에서 카운팅된 에러 개수를 이용하여 전송율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프레임을 생성한다. 이때, 매체 접근 제어기(23)는 미리 정한 페이로드 길이 만큼의 데이터 프레임이 수신될 때까지 에러 개수를 누적한 후 에러 평균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에러 평균값을 미리 정해진 테이블과 비교하여 적절한 데이터 전송율을 선택한다. 매체 접근 제어기(23)는 데이터 전송율 변경이 필요할 경우 데이터 전송율 변경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프레임을 생성하여, 송신단(10)으로 전송함으로써 전송율이 제어되도록 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율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송신단(10)은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단(20)으로 전송한다(100). 수신단(20)은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의 에러 검증을 통해 에러 위치와 크기를 검출한다(102). 수신단(20)은 에러가 검출되면 에러 개수를 카운팅한다(104). 수신단은 카운팅된 에러 개수를 누적한 후 에러 평균값을 산출한다(106). 에러 개수 누적은 미리 정한 페이로드 길이 만큼의 데이터 프레임이 수신될 때까지 진행한다. 수신단은 에러 평균값을 이용하여 데이터 변경이 필요할 경우 테이블에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데이터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프레임을 생성한다(108). 수신단은 생성된 제어 프레임을 송신단으로 전송한다(110). 송신단은 수신된 제어 프레임을 이용하여 데이터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데이터를 변경해야 할 경우 데이터 전송율을 변경한다(112). 송신단은 변경된 데 이터 전송율에 따라 데이터 프레임을 재전송한다(114).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복잡한 하드웨어 구성이나 알고리즘 없이 에러 평균값으로 채널 상태를 검사하고, 카운팅된 에러 개수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율을 제어함으로써 간단한 하드웨어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율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데이터 전송율 제어를 위해 RSSI와 LQI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와 알고리즘을 필요로 하였고, 이에 따라 측정된 값을 비교하기 위한 매체 접근 제어기 내부의 테이블로 달라져야 했다. 그런데, 본 발명은 에러 평균값을 내부 테이블과 비교하여 전송율을 제어함에 따라 RSSI와 LQI 측정을 위한 하드웨어의 구성이 불필요하고, 전송율 변경을 위한 알고리즘 또한 간단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단(10)은 수신단(20)으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고, 수신단(20)으로부터 에러 개수와 관련된 전송율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확인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며, 그 결과에 따라 데이터 전송율을 제어한다.
수신단(20)은 RF 모듈(21)을 통해 송신단(10)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다. 데이터 프레임이 수신되면 송수신 모뎀(22)은 데이터 프레임의 에러를 검증하여 에러 위치와 크기를 검출하고, 에러 개수를 카운팅한다. 송수신 모뎀(22)은 데이터 프레임에 카운팅된 에러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에러 필드를 삽입하여 매체 접근 제어기(23)로 전달한다. 매체 접근 제어기(23)는 에러 개수 정보가 삽입된 확인 응답 프레임을 생성한다. 송수신 모뎀(22)은 확인 응답 프레임을 부호화하여 RF 모듈(21)로 전달한다. RF 모듈(21)을 부호화된 확인 응답 프레임을 송신단(10)으로 전송한다.
송신단(10)은 RF 모듈(13)을 통해 확인 응답 프레임이 수신되면, 송수 모뎀(12)을 통해 수신된 확인 응답 프레임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한다. 매체 접근 제어기(11)는 복호화된 확인 응답 프레임에 삽입된 에러 개수를 누적한 후 에러 평균값을 산출한다. 에러 개수 누적은 미리 정한 페이로드 길이 만큼의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될 때까지 진행한다. 매체 접근 제어기(11)은 산출된 에러 평균값을 미리 정해진 테이블과 비교하여, 전송율 변경이 필요할 경우 적절한 데이터 전송율을 선택하여 변경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율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송신단(10)은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단(20)으로 전송한다(200). 수신단(20)은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의 에러 검증을 통해 에러 위치와 크기를 검출한다(202). 수신단(20)은 에러가 검출되면 에러 개수를 카운팅한다(204). 수신단(20)은 에러 개수 정보가 삽입된 확인 응답 프레임을 생성한다(206).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앰블, PHY 헤더, MAC로 구조에 에러 정보를 삽입한 확인 응답(ACK) 프레임을 생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확인 응답 프레임 구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확인 응답 프레임이 생성되면, 수신단(20)은 생성된 확인 응답 프레임을 송신단(10)으로 전송한다(208). 송신단(10)은 수신된 확인 응답 프 레임에 삽입된 에러 정보를 이용하여 에러 개수를 누적한 후 에러 평균값을 산출한다(210). 에러 개수 누적은 미리 정한 페이로드 길이 만큼의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될 때까지 진행한다. 송신단(10)은 에러 평균값을 이용하여 데이터 변경이 필요할 경우 테이블에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적절한 데이터 전송율을 선택하여 변경한다(212). 송신단(10)은 변경된 데이터 전송율로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여 수신단(20)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송신단이 수신단으로부터 에러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확인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면, 에러 개수 누적 및 평균값 산출을 한 다음 에러 평균값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율 변경 여부를 판단하여 데이터 전송율을 제어한다. 이로써, 채널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복잡한 하드웨어나 알고리즘을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데이터 전송율 제어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신부(20)의 송수신 모뎀(22)은 도 6과 같은 구성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수신단 송수신 모뎀의 일부 구성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FO부(first in first out, 221)와, 에러 검증부(222)와, 에러 카운팅부(223)와, 에러 정정부(224)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에러를 검증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FIFO(221)는 RF 모듈(21)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을 일정 시간 동안 저장하였다가 입력 순서대로 출력한다. 에러 검증부(222)는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의 에러 위치와 크기를 검증한다. 에러 카운팅부(223)는 에러 검증부(222) 에서의 에러 검증 결과에 따라 에러 개수를 카운팅한다. 에러 정정부(224)는 에러 검증부(222)의 검증된 에러 위치 정보와 에러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FIFO(221)에서 순차로 출력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에러를 정정한다.
에러 검증부(222)는 예를 들어, 리드-솔로몬(RS;Reed-Solomon)(240,224) 코드를 사용하여 수신 데이터 프레임을 복호화하고 에러를 검증할 수 있다. 리드-솔로몬 코드는 RS(n,k)의 형태로 표시하는데, 이는 k개 입력 데이터 심볼에 오류 수정을 위한 패리티(parity) 심볼을 더하여 n개의 심볼을 출력한다는 의미이다. 즉, n-k 개의 패리티(parity)가 데이터에 추가된다. 리드-솔로몬(RS;Reed-Solomon) 코드의 에러 정정 능력은 패리티 코드의 양과 관련 있으며, 에러 정정 가능한 최대 심볼수(t)는 (N-k)=2t를 만족해야 한다. 따라서, 리드-솔로몬(RS;Reed-Solomon)(240,224)를 이용하는 경우, (240-224)=2t에 의해 최대 에러 정정 가능한 심볼수(t)는 8이 되므로, 최대 8 바이트(byte)의 에러를 정정할 수 있다.
리드-솔로몬(RS;Reed-Solomon) 코드를 이용하는 에러 검증부(222)는 신드롬 계산부(222a)와, 수정 유클리드 알고리즘부(222b)와, 치엔 서치 알고리즘부(222c) 및 포니 알고리즘부(222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에러 검증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은 FIFO부(221)와 신드롬 계산부(222a)로 입력된다. 신
드롬 계산부(222a)는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신드롬을 계산하여 수정 유클리드 알고리즘 연산부(222b)로 출력한다. 이때, 에러 정정 가능 심볼 수가 8일 경우 총 2*8 개의 신드롬이 출력된다. 수정 유클리드 연산부(222b)는 키 방정식을 풀어 내어 에러위치 다항식 σ(χ)과 에러크기 다항식 ω(χ)를 출력하는데, 두 다항식의 계수를 병렬적으로 한번에 출력한다. 치엔-서치부(222c)는 에러위치 다항식 σ(χ)과 에러위치 다항식의 미분값인 α'(χ)에 α12...αN- 1를 차례대로 대입한 결과를 출력한다. 다항식 σ(αi)이면, σ-i가 에러의 위치이므로, 치엔-서치부(222c)는 σ(αi)=0이면, 에러 표시 신호를 출력한다. 포니 알고리즘 연산부(222d)는 에러위치 다항식의 미분 다항식과 에러크기 다항식을 이용하여 에러의 크기 ω(αi)/σ(αi)를 출력한다.
한편, 에러 카운팅부(223)는 에러 검증부(222)에서의 에러 검증 결과에 따라 에러 개수를 카운팅한다. 에러 정정부(224)는 에러 검증부(222)의 검증된 에러 위치 정보와 에러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FIFO(221)에서 순차로 출력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에러를 정정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율 제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2의 수신단 송수신 모뎀에서 생성하는 프레임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율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율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확인 응답 프레임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1의 수신단 송수신 모뎀의 일부 구성 블록도이다.

Claims (10)

  1. 송신단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의 에러를 검증하는 단계;
    상기 에러 검증 단계에서 검증된 에러 개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상기 카운팅된 에러 개수를 이용하여 결정된 전송율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프레임을 송신단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율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생성 단계는,
    기 설정된 길이의 데이터 프레임이 수신될 때까지 에러 개수를 누적하여 에러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에러 평균값에 따라 데이터 전송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전송율에 따라 전송율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율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생성 단계는,
    확인 응답 프레임에 상기 카운팅된 에러 개수 정보가 삽입된 에러 필드를 삽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율 제어 방법.
  4. 수신단으로부터 에러 개수와 관련된 전송율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전송율 제어 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 전송율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된 데이터 전송율에 따라 상기 수신단으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율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율 제어 단계는,
    기 설정된 길이의 프레임이 수신될 때까지 에러 개수를 누적하여 에러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에러 평균값에 따라 데이터 전송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율 제어 방법.
  6.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의 에러를 검증하는 에러 검증부와,
    상기 에러 검증부의 검증 결과에 따라 에러를 카운팅하는 에러 카운팅부와,
    상기 에러 검증부의 에러 검증 결과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의 에러를 정정하는 에러 정정부를 포함하는 송수신 모뎀; 및
    상기 카운팅된 에러 개수를 이용하여 전송율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매체 접근 제어기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율 제어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접근 제어기는,
    기 설정된 길이의 프레임이 수신될 때까지 에러 개수를 누적하여 에러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에러 평균값에 따라 데이터 전송율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프레임을 생성하는 데이터 전송율 제어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접근 제어기는 카운팅된 에러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에러 필드를 확인 응답 프레임에 삽입하는 데이터 전송율 제어 장치.
  9. 수신단으로부터 에러 개수와 관련된 전송율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확인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송수신 모뎀; 및
    상기 전송율 제어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수신단으로 전송할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율을 제어하는 매체 접근 제어기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율 제어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접근 제어기는,
    기 설정된 길이의 프레임이 수신될 때까지 에러 개수를 누적하여 에러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에러 평균값에 따라 데이터 전송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율 제어 장치.
KR1020090125016A 2009-12-15 2009-12-15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율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100681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016A KR20110068168A (ko) 2009-12-15 2009-12-15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율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016A KR20110068168A (ko) 2009-12-15 2009-12-15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율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168A true KR20110068168A (ko) 2011-06-22

Family

ID=44400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016A KR20110068168A (ko) 2009-12-15 2009-12-15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율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81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8149A (ko) * 2015-04-28 2016-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단말기
US9668212B2 (en) 2013-10-14 2017-05-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hysical layer low power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8212B2 (en) 2013-10-14 2017-05-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hysical layer low power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160128149A (ko) * 2015-04-28 2016-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401B1 (ko) 이더넷 네트워크에서 순방향 오류 정정 코딩
AU20123024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in a broadcasting/communication system
EP1580917B1 (en) Retransmission request method and apparatu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128763A (en) Dynamically changing forward error correction and automatic request for repetition
JP5524266B2 (ja) パケットサイズに基づくfec符号及び符号レート選択
KR102023181B1 (ko) 집합된 패킷 전송들에서의 패킷-레벨 소거 보호 코딩
US20040161052A1 (en) Encoding and decoding ultra-wideband information
US9503298B2 (en) Techniques for encoding PLCP headers
JP5079406B2 (ja) データパケットの伝送に適合された通信方法
EP2264930A1 (en) Distributed code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EP2784965B1 (en)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forward error correction
US86772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transmission return channel error detection
WO2006106864A1 (ja) データ伝送方法、データ伝送システム、送信方法、受信方法、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KR2011006816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율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0900069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rst error detection and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US72872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odeword errors in error correction code or cyclic redundancy check code
US7616636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data blocks
KR20140116769A (ko) 순방향 오류 정정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1017958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전달되는 데이터의 비트 에러 레이트를추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연관된 방법
JP2008178099A (ja) 通信ステーションにおいて受信されるデータセグメントを無効として拒絶するかどうかを選択する装置、および関連する方法
US20120300886A1 (en) Methods for early termination of reception of a bit stream
JP2002217876A (ja) 復号化装置および復号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