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7244A - 간접 취수방식의 다중 수평여과장치 - Google Patents

간접 취수방식의 다중 수평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7244A
KR20110067244A KR1020090123754A KR20090123754A KR20110067244A KR 20110067244 A KR20110067244 A KR 20110067244A KR 1020090123754 A KR1020090123754 A KR 1020090123754A KR 20090123754 A KR20090123754 A KR 20090123754A KR 20110067244 A KR20110067244 A KR 20110067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take
filtered
filtra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3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철
김용제
김광성
김용우
윤인수
김국한
황창엽
Original Assignee
(주)휠탑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휠탑,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주)휠탑
Priority to KR1020090123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7244A/ko
Publication of KR20110067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2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4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surface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4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by means of horizontal or oblique w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곡이나 개천 등의 바닥부에 적정면적으로 여과층을 인위적으로 형성하고 이 여과층에 일정간격으로 구비하는 급수관에 의하여 내부 여과층에 강제적으로 공급되는 원수를 각 급수관의 사이에 위치한 취수구를 통해 유입시키어 취수정으로 모여지도록 하는 다중 수평여과 설비에 의하여 여과된 처리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하는 간접 취수방식의 다중 수평여과장치이다.
본 발명은 계곡이나 개천의 바닥부에 적정면적을 갖는 여과층을 형성하고 이 여과층에 일정간격으로 급수관을 수직상으로 구비함과; 상기 급수관의 사이에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방향으로 취수관을 구비함과; 상기 취수관의 한 측에 취수정을 구비하여 각 취수관을 연결함과; 상기 취수정에 모아진 처리수를 펌핑하여 외부로 송수하는 펌핑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수평여과, 급수관, 취수관, 취수정

Description

간접 취수방식의 다중 수평여과장치{slow filtering method and the apparatus for artifical groundwater of valley}
본 발명은 개천이나 계곡에 여과지를 인공적으로 시설하고 그 원수를 다중 수평여과에 의해 여과되는 여과수를 취수하여 여러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간접 취수방식의 다중 수평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상 여과에 의한 취수는 하상 대수층에 수평 집수관을 설치하여 하천 표류수가 대수층을 통과하여 여과되는 하천수를 유도하여 상수원 원수를 취수하는 간접취수방법이다.
그런데 대수층에 설치되는 수평집수관이 방사상으로 설치되거나 일렬방식으로 설치되어 하천수가 충척층을 통과하는 여과수를 취수하도록 하고 있으나 자연적으로 층적층을 통과하면서 취수되기 때문에 수평집수관을 통해 집수하는 과정이 오랫동안 이루어지게 되고 그 집수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충분한 취수량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집수 효율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상여과층의 표면에 슬러지나 이물질, 뻘 등에 의하여 원수가 원활히 통과하지 못하여 더더욱 집수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계곡이나 개천 등의 바닥부에 적정면적으로 여과층을 인위적으로 형성하고 이 여과층에 일정간격으로 구비하는 급수관에 의하여 내부 여과층에 강제적으로 공급되는 원수를 각 급수관의 사이에 위치한 취수구를 통해 유입시키어 취수정으로 모여지도록 하는 다중 수평여과 설비에 의하여 여과된 처리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하는 간접 취수방식의 다중 수평여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해결수단에 대하여 살펴보면,
계곡이나 개천의 채수지점의 바닥부에 적정면적을 갖는 여과층을 형성하고 이 여과층에 일정간격으로 급수관을 수직상으로 구비함과; 상기 급수관의 사이에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방향으로 취수관을 구비함과; 상기 취수관의 한 측에 취수정을 구비하여 각 취수관을 연결함과; 상기 취수정에 모아진 처리수를 펌핑하여 외부로 송수하는 펌핑수단을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을 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계곡이나 개천에 흐르는 원수 간단한 설비에 의하여 다량의 여과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설비 및 시공비가 대폭적으로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일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급수관의 입수구를 보인 확대 단면도를 예시한바 이들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계곡이나 개천의 바닥부에 적정면적을 갖는 여과층(10)을 형성하고 이 여과층(10)에 일정간격으로 급수관(20)을 수직상으로 구비하며, 상기 급수관의 상단부에 공간이 확장된 입수구(21)를 형성하여 1차적으로 이물질들을 걸러낼 수 있는 망사체 등의 걸름부재(22)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급수관(20)은 긴 관체로 둘레에 무수한 급수공이 형성되어 원수가 배출되어 주변에 있는 여과층(10)으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각 급수관(20)의 사이에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방향으로 취수관(30)을 구비하여 각 급수관(20)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가 여과층(10)을 거쳐 취수관(30)으로 유입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취수관(30)은 긴 관체로 둘레에 무수한 취수공이 형성되어 여과층(10)을 거친 처리수가 유입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취수관(30)의 한 측에는 취수정(40)을 구비하여 각 취수관(30)을 연결하여 취수관(30)을 통해 취수되는 여과수가 모여져 취수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취수정(40)에는 유입된 처리수를 펌핑하여 외부로 송수하는 펌핑수 단(50)을 구비한다.
상기 여과층(10)의 하부에는 세정설비(60)을 구비하여 외부에서 처리수를 공급하여 여과층에 끼여지는 슬러지, 이물질 등을 세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호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원수가 각 급수관(20)의 상단에 형성한 입수구(21)를 통해 유입되는 과정에서 각종 이물질들이 걸름부재(22)에 의하여 1차적으로 걸러지면서 급수관(20)에 형성된 급수공을 통해 배수되어 여과층(10)에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여과층(10)에 공급된 원수는 여과층을 거치면서 여과처리 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각 급수관(20)의 사이에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방향으로 구비하는 각 취수관(30)의 취수공을 통해 유입되어 취수관(30)이 연결된 취수정(40)으로 여과된 여과수가 모여지게 된다.
이렇게 취수정(40)에 모여지는 여과수는 펌핑수단(50)에 의하여 펌핑되어 외부로 배출시키어 각 용도에 활용하도록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여과하여 처리하는 과정이 어느 정도가 되면 각종 부유물이나 이물질들이 여사에 끼게 되어 정상적인 여과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역세척기능을 수행할 경우에는 관용된 기술수단인 세정설비(60)를 작동시키어 여과층(10)에 끼는 부유물이나 슬러지, 이물질 등을 여과층(10) 위로 부상시키어 여과층(10)의 세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A선 일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급수관의 입수구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여과층 20: 급수관
21: 입수구 22: 걸름부재
30: 취수관 40: 취수정
50: 펌핑수단 60: 세정수단

Claims (2)

  1. 계곡이나 개천의 바닥부에 형성한 여과층(10)을 통해 원수를 통과시키어 여과수를 얻도록 하는 간접 취수방식의 다중 수평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층(10)내에 원수를 각각 공급하도록 일정간격으로 급수관(20)을 수직상으로 구비함과; 상기 급수관(20)의 사이에 여과층을 통과한 여과수를 취수하도록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방향으로 취수관(30)을 구비함과; 상기 취수관(30)의 한 측에 취수되는 여과수가 모여지도록 취수정(40)을 구비함과; 상기 취수정(30)에 모아진 여과수를 펌핑하여 외부로 송수하는 펌핑수단(50)으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취수방식의 다중 수평여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의 상단부에 공간이 확장된 입수구(21)를 형성하여 1차적으로 이물질들을 걸러낼 수 있는 걸름부재(22)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취수방식의 다중 수평여과장치.
KR1020090123754A 2009-12-14 2009-12-14 간접 취수방식의 다중 수평여과장치 KR20110067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754A KR20110067244A (ko) 2009-12-14 2009-12-14 간접 취수방식의 다중 수평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754A KR20110067244A (ko) 2009-12-14 2009-12-14 간접 취수방식의 다중 수평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244A true KR20110067244A (ko) 2011-06-22

Family

ID=4439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754A KR20110067244A (ko) 2009-12-14 2009-12-14 간접 취수방식의 다중 수평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72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98542B2 (en) 2011-11-25 2017-03-21 Lg Chem, Ltd. Curable com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98542B2 (en) 2011-11-25 2017-03-21 Lg Chem, Ltd. Curable compos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1481B2 (ja)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装置濾材層の洗浄方法
CN103908832A (zh) 一种用于吸污车的多级污水处理循环再利用系统
CN104338350B (zh) 自动连续清洗过滤流砂装置
JP2008168295A (ja) 湿地型水質浄化処理装置における汚泥の処理方法
KR20160010952A (ko) 비점오염저감시설
CN101274159A (zh) 过滤器滤料层的液面波动清洗方法
JP6544525B2 (ja) 逆流洗浄装置移動型ろ過装置、逆流洗浄装置、逆流洗浄方法
KR101560158B1 (ko) 역세척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0760969B1 (ko) 빗물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N104208941A (zh) 一种纤维转盘滤池
KR20110067244A (ko) 간접 취수방식의 다중 수평여과장치
CN209155320U (zh) 一种防堵塞的过滤装置
CN103111104B (zh) 一种油田污水过滤装置
KR100968579B1 (ko) 저비중세척액을 이용한 변기장치
CN104016495B (zh) 高效环保污水处理系统
KR20100047032A (ko) 월류수 처리장치
KR100884825B1 (ko) 수평 여과에 의한 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100067165A (ko) 무동력 수평정 청소장치
KR20110024784A (ko) 비점오염물질 정화 장치
CN204973191U (zh) 一种多级布水多仓室连续流砂过滤装置
KR20090048137A (ko) 오수 여과장치
CN205182306U (zh) 一种自动清洗过滤器
CN206027204U (zh) 一种新型全自动篮式过滤器
KR200190730Y1 (ko) 여과기공기 역세척 산기장치
CN212523242U (zh) 一种易于清洁的净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