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6946A - 모바일 단말기용 쌍안정 슬라이딩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용 쌍안정 슬라이딩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6946A
KR20110066946A KR1020117009010A KR20117009010A KR20110066946A KR 20110066946 A KR20110066946 A KR 20110066946A KR 1020117009010 A KR1020117009010 A KR 1020117009010A KR 20117009010 A KR20117009010 A KR 20117009010A KR 20110066946 A KR20110066946 A KR 20110066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assembly
main part
elastic
main
elastic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9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매그너스 스테이즈너
Original Assignee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filed Critical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10066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9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34Portable

Abstract

모바일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어셈블리로서, 평면 제1 주요부, 및 제1 주요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된 평면 제2 주요부를 포함하고, 제2 주요부는 제1 및 제2 주요부를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압박하도록 구성된 제1 탄성 모듈에 의해 스프링 장착되어 있으며, 제2 주요부는 제1 주요부 쪽으로 뻗어 있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제1 탄성 모듈과 협력하게 배열된 함몰부를 가지는 제1 주요부 내의 잠금 요소를 더 포함하여 잠금 요소가 돌출부에 대해 압박되며, 제2 주요부는 제1 탄성 모듈과 협력하게 배열되어 돌출부가 잠금 요소에 대해 압박되고,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제2 주요부가 중앙 위치에 보유되며,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외력을 받을 때 탄성 요소에 의해 잠금 요소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극복하도록 배열된 작동기를 더 포함하고, 따라서 제1 탄성 모듈의 탄성력으로 인해 잠금 요소와 돌출부 간의 계합을 해제하고 제2 주요부를 제1 단부 위치로 가게 하는 슬라이딩 어셈블리.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제2 탄성 모듈에 포함된 정지부 핀과 협력하는 안내 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용 쌍안정 슬라이딩 어셈블리{BI-STABLE SLIDING ASSEMBLY FOR MOBILE TERMINALS}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구성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안정 위치를 가지는 슬라이딩 구성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 형태의 모바일 송수신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의 시장은 십여년 전에 처음 소개된 이래로 급속히 커져 왔다. 이들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한가지 분명한 경향은 크기의 감소(길이 및 두께 둘다)와 더 많은 기술적 특징, 예컨대 미디어 플레이어 기능, GPS 기능, QWERTY-레이아웃(layout)을 가지는 미니 키보드 및 기타를 그 안에 포함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소위 슬라이더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단말기가 점점 더 보편화되었다. 슬라이더 기능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의 2개의 반부(half)가 서로에 대해 이동될 수 있고, 따라서 이 2개의 반부가 서로를 완전히 덮고 있는 기본 위치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기본 기능만이 이용가능하다.
모바일 단말기의 하부 반부(lower half)가 상부 반부(upper half)로부터 벗어나게 이동되는 다른 위치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부가 기능이 노출된다. 보통, 이 상황에서 노출되는 것은 키패드이다.
모바일 단말기 분야에서의 가장 최근의 개발에 의해 3개의 서로 다른 위치를 가지는 슬라이드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단말기가 얻어졌다. 제1 및 제2 단부 위치는 본질적으로 앞서 기술한 슬라이더 모바일 단말기와 동일하지만, 제2 단부 위치에서, 하부 반부는 상부 반부 위쪽으로 슬라이딩되어 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작동시키는 것, 브라우징 또는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된 게임에 대한 키를 노출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 개발된 슬라이딩 메커니즘은 완전히 안정되지 않은 중앙 위치라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를 2개의 단부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보다 간단하고 사용자에게 친숙하도록 만들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공지의 기술에 관계된 문제점들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슬라이딩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이들 및 기타 문제점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어셈블리에 의해 해결되며, 이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평면 제1 주요부, 및 제1 주요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된 평면 제2 주요부를 포함하고, 제2 주요부는 제1 및 제2 주요부를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압박하도록 구성된 제1 탄성 모듈에 의해 스프링 장착되어 있으며, 제2 주요부는 제1 주요부 쪽으로 뻗어 있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제1 탄성 모듈과 협력하게 배열된 함몰부를 가지는 제1 주요부 내의 잠금 요소를 더 포함하여 잠금 요소가 돌출부에 대해 압박되며, 제2 주요부는 제1 탄성 모듈과 협력하게 배열되어 돌출부가 잠금 요소에 대해 압박되고,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제2 주요부가 중앙 위치에 보유되며,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외력을 받을 때 탄성 요소에 의해 잠금 요소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극복하도록 배열된 작동기를 더 포함하고, 따라서 제1 탄성 모듈의 탄성력으로 인해 잠금 요소와 돌출부 간의 계합을 해제하고 제2 주요부를 제1 단부 위치로 가게 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한 변형예에서, 제2 주요부는 정지부를 더 포함하고, 한 방향에서의 제1 탄성 모듈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외력이 반대 방향으로 가해질 때 제2 단부 위치로 가게 될 수 있도록 제1 주요부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3개의 잘 정의된 위치, 즉 단지 적절한 힘을 사용하여 슬라이딩 어셈블리가 신속하게 이동해갈 수 있는 중앙 및 2개의 단부 위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이한 위치 간의 전환이 보다 사용자에게 친숙하게 행해진다.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의 한가지 다른 변형예에서, 잠금 요소는 피봇에 회전가능하게 탑재되고, 잠금 요소의 한쪽 단부는 작동기에 연결되어 있다. 잠금 요소는 긴 부분과 곡면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긴 부분은 작동기에 연결되고 피봇에 회전가능하게 탑재되어 있다. 또한, 잠금 요소의 곡면 부분은, 슬라이딩 어셈블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돌출부를 계합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의 한가지 다른 변형예에서, 곡면 부분은 돌출부를 곡면 부분에 있는 함몰부로 안내하도록 배열된 챔퍼(chamfer)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제2 주요부의 돌출부는 잠금 요소의 곡면 부분의 함몰부로 안내될 수 있고 슬라이딩 어셈블리를 제1 단부 위치로부터 중앙 위치로 가게 한다.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예에서, 잠금 요소는 작동기에 외력이 가해질 때 피봇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 요소 쪽으로 회전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잠금 요소는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부분들 중 하나에 고정 부착된 이어(ear) 및 잠금 요소에 힘을 가하도록 배열된 느슨한 탄성 레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어셈블리에서의 제2 주요부와 관련하여, 제2 주요부는 제2 주요부가 제1 단부 위치를 넘어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제1 정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주요부는 제2 주요부가 제2 단부 위치를 넘어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제2 정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공지의 기술에 관계된 문제점은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어셈블리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이 제2 실시예에서, 모바일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평면 제1 주요부, 및 제1 주요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된 평면 제2 주요부를 포함하고, 제2 주요부는 제1 탄성 모듈에 의해 스프링 장착되고 제1 주요부는 탄성 부분 및 제2 주요부 쪽으로 돌출해 있는 돌출부를 가지는 제2 탄성 모듈을 포함하며, 제2 주요부는 차례로 함몰 부분을 가지는 안내 구성(guiding arrangement)을 포함하고, 제2 주요부의 함몰 부분, 제2 탄성 모듈 및 제1 탄성 모듈은 제2 탄성 모듈의 돌출 부분이 안내 구성의 함몰 부분에 대해 압박되도록 협력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따라서 제2 주요부가 중앙 위치에 유지되고, 안내 구성은 외력이 가해질 때 제1 탄성 모듈의 탄성력을 극복함으로써 슬라이딩 어셈블리가 중앙 위치로부터 제1 단부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2 탄성 모듈의 돌출 부분을 안내 구성의 함몰 부분에서 벗어나게 안내하도록 배열된 긴 부분을 더 포함한다.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르면, 긴 부분은 외력이 가해질 때 제2 주요부를 제1 주요부와 인접하게 압박하는 제1 탄성 모듈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슬라이딩 어셈블리가 제1 단부 위치로부터 중앙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2 탄성 모듈의 돌출 부분을 제1 단부 위치로부터 중앙 위치로 안내하도록 추가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외력이 가해질 때 제2 탄성 모듈의 돌출 부분을 압박하는 제1 탄성 모듈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안내 구성의 함몰 부분과의 계합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안내 구성의 긴 부분을 따라 중앙 위치로부터 제2 단부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외력이 가해질 때 제2 주요부를 제1 주요부와 인접하게 압박하는 제1 탄성 모듈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안내 구성의 함몰 부분과 계합하도록 안내 구성의 긴 부분의 배면을 따라 제2 단부 위치로부터 중앙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장점이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구성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성의 중앙 위치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성의 중간 위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성의 제1 단부 위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성의 제2 단부 위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구성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성의 중앙 위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성의 중앙 위치와 제1 단부 위치 사이의 제1 중간 위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성의 제2 단부 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성의 중앙 위치와 제1 단부 위치 사이의 제2 중간 위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성의 제2 단부 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성(10)을 나타낸 것이다. 동 도면에서, 슬라이딩 구성(10)은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한 2개의 본질적으로 평면인 주요부(100, 200)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제1 주요부(100)는 그 직경이 제2 주요부(200)를 그 안에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홈(102, 104)을 포함하며, 따라서 제2 주요부(200)는 제1 주요부(100)에 대해 레일(220, 222)을 따라 화살표(20)로 나타낸 상부 방향으로도 화살표(22)로 나타낸 하부 방향으로도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주요부(100, 200)는 제1 탄성 모듈(30)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1 탄성 모듈(30)은 제1 및 제2 주요부(100, 200)에 힘을 가해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구동하여 제2 주요부(200)가 화살표(22)로 표시된 아래쪽 방향 또는 화살표(20)로 표시된 위쪽 방향으로 압박되도록 바이어스된다.
이제, 모바일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쪽 반부에 연결될 수 있는 제1 주요부(100)는 제2 탄성 모듈(110)을 포함하고, 제2 탄성 모듈(110)은 차례로 제1 주요부(100)에 고정 부착된 이어(112) 및 판 스프링 형태의 느슨한 탄성 부분(114)을 포함한다.
게다가, 이 실시예에서 제1 주요부(100)는 또한 긴 부분(132) 및 곡면 부분(134)을 가지는 L자형 레버(130)를 포함한다. 또한, 곡면 부분(134)은 챔퍼(136)를 포함하고, 이 챔퍼의 기능에 대해서는 도 2와 관련하여 나중에 설명할 것이다.
또한, 제1 주요부(100)는 또한 L자형 레버(130)가 회전가능하게 탑재되어 있는 피벗(120)을 포함한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L자형 레버(130)는 제2 주요부(200)로부터 제1 주요부(100) 쪽으로 돌출해 있는 정지부 핀(210)에 대해 제2 스프링 모듈(110)의 느슨한 탄성 부분(114)에 의해 스프링 장착되어 있다. 정지부 핀(210) 및 L자형 레버(130)의 이 위치는 슬라이딩 어셈블리(10)의 중앙 위치로서 정의될 수 있다.
게다가, L자형 레버(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핀(304) 및 연결 부분(302)을 통해 작동기(300)에 연결된다.
버튼 형태의 작동기(300)가 제1 주요부(100)에 연결되거나 제1 주요부(100)와 제2 주요부(200) 사이에 위치하거나 부분적으로 슬라이딩 구성(1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고 말해질 수 있다. 작동기(300)의 주된 임무는 슬라이딩 구성(10)을 앞서 언급한 중앙 위치로부터 제1 단부 위치로 가게 하는 것이며, 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또한, 부가하여, 제2 주요부(200)가 제1 주요부(200)에 대해 화살표(20, 22)로 나타낸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한 반면, 수평 방향으로, 즉 제1 주요부(100)에 대해 좌측으로 또한 우측으로, 똑같이 슬라이딩가능할 수 있다. 이것은 물론 그에 따라 제1 주요부(200)의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에 측방 홈을 배열하는 것을 필요로 할 것이다. 게다가, 부가하여, 제1 및 제2 주요부(100, 200)이 본질적으로 평면일 수 있지만, 그의 형상이 또한 원형이거나 어떤 다른 적당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주요부에 있는 홈(102, 104) 및 대응하는 함몰부(220, 222)는 이어서 그에 따라 형성되어, 제1 주요부(100)와 관련하여 제2 주요부(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L자형 레버(130)가 꼭 L자형일 필요는 없을 수 있지만 적어도 하나의 곡면 부분 및 적어도 하나의 본질적으로 긴 부분을 포함해야만 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슬라이딩 구성(10)의 한 부분이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130), 느슨한 탄성 부분(114) 및 정지부 핀(210)이 위치해 있는 위치는 슬라이딩 구성(10)의 중앙 위치(400)로서 앞서 정의되었다. 탄성력이 레버(130)에 가해지고 레버(130)의 곡면 부분(134)이 차례로 정지부 핀(210)에 대해 압박되는 것으로 인해, 도 1에서 화살표(22)로 표시된 아래쪽 방향으로의 제2 부분(200)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제1 스프링 모듈(30)의 탄성력에 의해 제2 주요부(200)가 아래쪽으로 압박된다. 따라서, 제1 탄성 모듈(30) 및 제2 탄성 모듈(110)의 탄성력은, L자형 레버(130)와 정지부 핀(210)의 계합과 함께, 슬라이딩 어셈블리(10)의 잘 정의되고 안정된 중앙 위치를 제공한다.
제1 및 제2 주요부(100, 200)가 모바일 단말기의 2개의 반부에 연결되어 있는 도 1로부터의 슬라이딩 구성의 응용에서, 중앙 위치(400)는 모바일 단말기의 기본 기능만이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닫힌"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슬라이딩 구성은 또한 휴대용 오디오/비디오 플레이어, GPS 수신기 및 기타와 같은 다른 휴대용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중앙 위치(400)와 도 4에서 더 상세히 설명할 제1 단부 위치 사이에 위치해 있는 중간 위치(410)에 있는 슬라이딩 어셈블리(10)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딩 어셈블리(10)의 중간 위치(410)에서, 작동기(300)는 작동기(300)를 아래로 누르는 외력을 받았고, 작동기(300)의 연결 부분(302)을 화살표(310)가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시켰다. 작동기(300)가 연결 핀(304)을 통해 레버(13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 부분(302)의 이러한 병진 이동은 회전가능하게 탑재된 레버(130)를 피벗(12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제2 탄성 모듈(110)의 느슨한 탄성 부분(114)의 탄성력에 맞서 회전시킬 것이다. 이것은 제1 주요부(100)에 있는 레버(130)의 곡면 부분과 제2 주요부(200)에 있는 정지부 핀(210) 사이의 계합을 해제시킬 것이다. 동시에, 제1 스프링 모듈(30)로부터의 탄성력은 제2 주요부를 아래쪽 방향[화살표(22)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압박할 것이다.
도 4에, 슬라이딩 어셈블리(10)의 제1 단부 위치(420)가 나타내어져 있고, 여기서 제2 주요부(200)는 그의 단부 위치 중 하나에 있다. 도 3의 작동기(300)가 눌러진 후에, 제2 주요부(200)는 제1 스프링 모듈(30)의 탄성력에 의해 도 3의 중간 위치로부터 도 4의 단부 위치(420)로 압박될 것이다. 또한,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지부 핀(120)은 아래쪽으로 제1 주요부(10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어셈블리(10)의 장점은, 작동기(300)에 쉽게 외력을 가하는 것으로 인해, 슬라이딩 어셈블리가 안정된 중앙 위치(400)로부터 잘 정의되고 안정된 제1 단부 위치(420)로 이동된다는 것이다. 제1 단부 위치가 잘 정의되고 안정된 이유는 제2 주요부(200)가 제1 탄성 모듈(3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단부 위치(420)에 유지되는 반면 이와 동시에 제1 주요부(100)에 있는 홈(102, 104)의 가장자리에 대해 제1 정지부(230, 232)의 접합점에 의해 추가의 하향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이로써, 슬라이딩 어셈블리(10)를 제1 단부 위치(420)에서 벗어나게 이동시키기 위해, 제1 탄성 모듈(30)의 탄성력을 극복할 힘을 제2 주요부(200)에 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1 탄성 모듈(30)의 탄성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히 강한 힘을 가함으로써, 슬라이딩 어셈블리(10)가 제1 단부 위치(420)로부터 다시 중앙 위치(410)로 가게 될 수 있다. L자형 레버(130)가 그의 곡면 부분(134) 상에 챔퍼를 포함하기 때문에, 제1 주요부의 정지부 핀(210)은 제2 주요부(200)에 가해지는 외력을 챔퍼(136)에 전달함으로써 L자형 레버(130)를 제2 탄성 모듈(110)의 탄성력에 맞서 반시계 방향 회전으로 압박할 것이다. 반시계 방향으로의 L자형 레버(130)의 회전은 아주 적을 것이며, 정지부 핀(210)이 L자형 레버(130)의 곡면 부분의 끝 부분을 지나자마자, 정지부 핀(210)은 제1 및 제2 탄성 모듈(30, 110)의 탄성력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될 것이다. 제1 탄성 모듈(30)의 탄성력은 제2 주요부(200)를 아래쪽으로 압박할 것인 반면, 제2 탄성 모듈(110)의 탄성력은 L자형 레버(130)의 곡면 부분을 정지부 핀(210) 쪽으로 압박할 것이다. 이러한 L자형 레버(130)의 약간의 회전은 사용자가 제2 주요부(200)에 외력을 단지 약간만 가하는 것을 필요로 하며, 이는 사용자에게 하나의 잘 정의되고 안정된 위치[제1 단부 위치(430)]로부터 다른 위치[중앙 위치(400)]로 빠르게 전환하는 느낌을 줄 것이다.
부가하여, 슬라이딩 어셈블리가 모바일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응용에서, 슬라이딩 어셈블리(10)의 이 제1 단부 위치는 모바일 또는 휴대용 단말기 상의 미디어 기능 또는 웹 브라우징에 관계된 키가 보이는 위치에 대응한다.
도 5에서, 슬라이딩 어셈블리(10)는 제2 단부 위치(430)에 나타내어져 있다. 여기서, 제2 주요부(200)는 위쪽으로 화살표(20)의 방향으로 제2 단부 위치 쪽으로 이동되었다. 슬라이딩 어셈블리(10)의 제2 주요부(200)를 중앙 또는 제1 단부 위치(410, 42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2 단부 위치(430)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2 주요부(200)를 아래쪽으로 누르는 제1 탄성 모듈(30)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힘이 제2 주요부(200)에 가해져야만 한다. 제1 탄성 모듈(30)의 힘이 극복되면, 제1 탄성 모듈(30)은 그의 탄성력에 의해 제2 주요부(200)를 제2 단부 위치로 밀어낼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주요부(200)에 외력을 적절히 사용하면 제2 주요부(200)를 제2 단부 위치로 빠르게 가게 할 것이다. 제2 주요부는, 제2 단부 위치(430)로 간 후에, 제1 탄성 모듈(30)의 탄성력에 의해 그곳에 유지되어, 제1 주요부(100)에 있는 홈(102, 104)의 가장자리에 대해 제2 주요부(200)의 하부 정지부(234, 236)를 압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어셈블리(10)의 제3의 잘 정의된 위치가 달성된다.
슬라이딩 어셈블리(10)가 사용되는 모바일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따라서 제1 단부 위치 또는 중앙 위치로부터 잘 정의되고 안정된 제2 단부 위치로 빠르게 전환하는 느낌을 가질 것이다.
여기서, 부가하여, 슬라이딩 어셈블리가 모바일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응용에서, 슬라이딩 어셈블리(10)의 이 제2 단부 위치(430)는 모바일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가 보이는 위치에 대응한다.
도 6은 아래로부터 또는 배면으로부터 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어셈블리(40)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어셈블리(40)는 제1 주요부(150) 및 제2 주요부(250)를 포함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5에서의 제1 주요부와 유사하게, 도 6의 제1 주요부(150)는, 제2 주요부(250)가 제1 주요부(150)와 관련하여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제2 주요부(250)의 레일(252, 254)을 수용하기 위한 홈(152, 154)을 포함한다. 제1 주요부(150)와 제2 주요부(250) 사이의 슬라이딩 연결 외에, 2개의 주요부는 또한 제1 탄성 모듈(50)에 의해 서로에 연결되어 있다.
이제, 제2 주요부(250)는 또한, 도 6의 실시예에서 2개의 개별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는, 제1 V자형 안내 트랙(262) 및 제2의 본질적으로 긴 안내 트랙(264)을 가지는 안내 구성(260)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안내 구성(260)이 또한, 원하는 바에 따라, 하나의 일체형 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제1 주요부(150)는, 차례로, 제1 주요부(150)의 표면에 고정 부착된 이어(162), 느슨한 탄성 부분(164), 및 느슨한 탄성 부분(166)의 단부에 위치하고 제2 주요부(250) 쪽으로 뻗어 있는 정지부 핀(166)을 가지는 제2 탄성 모듈(16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슬라이딩 어셈블리(40)의 기능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제1 탄성 모듈(50)에 의해, 제1 탄성 모듈(50)의 탄성력이 제1 및 제2 주요부(150, 250)을 화살표(42)(아래쪽) 및 화살표(44)(위쪽)로 표시된 반대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제1 및 제2 주요부(150, 250)가 스프링 장착되어 있다. 동시에, 제1 탄성 모듈(50)의 이 탄성력은 도 6에 예시된 상황에서 제2 탄성 모듈(160)의 정지부 핀(166)을 안내 구성(260)의 V자형 안내 트랙(266)의 함몰부와 계합하도록 압박할 것이다. 또한, 제1 탄성 모듈(50)의 탄성력은 제2 탄성 모듈(160)의 느슨한 탄성 부분(164)을 도 6의 바이어스된 위치로 바이어스할 것이다. 제1 주요부(150)와 관련한 제2 주요부(250)의 이 중앙 위치는 도 7에 더 상세히 나타내어질 것이다.
이제, 제2 주요부(250)를 도 6의 위치에서 벗어나게, 즉 안내 구성(260)의 V자형 안내 트랙(266)의 함몰부와의 계합으로부터 벗어나게 이동시키기 위해, 화살표(42)의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향하는 제1 탄성 모듈(50)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외력이 제2 주요부(250)에 가해져야만 한다. 제2 탄성 모듈(160)의 탄성력이 극복될 필요는 없는데, 그 이유는 제2 탄성 모듈(160)의 탄성 부분(164)이 직선인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정지부 핀(166)을 도 9 및 도 11에 예시된 단부 위치들 중 하나로부터 V자형 안내 트랙(266)의 함몰부 내로 또는 그로부터 벗어나게 안내하도록 하기 위해, 안내 구성(260)은 또한 긴 안내 트랙(264)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2 주요부(250)를 중앙 위치로부터 화살표(42)의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제1 단부 위치로 이동시킬 때, 정지부 핀(166)은 V자형 안내 트랙(262) 내의 함몰부로부터 벗어나 긴 안내 트랙(264)을 따라 안내된다. 한편, 정지부 핀(166)은, 아래쪽 위치로부터 V자형 안내 트랙(266) 내의 함몰부 내로 다시 이동될 때, 긴 안내 트랙(264)의 배면 상에서 안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 어셈블리(40)의 장점들 중 하나는 제1 주요부(150)와 관련한 제2 주요부(250)의 적어도 3개의 잘 정의되고 안정된 위치의 존재 및 제1 탄성 모듈(50)로부터의 탄성력의 작용으로 인해 이들 위치 사이의 빠른 전환이다. 본 설명의 나머지 부분에서, 이들 3개의 위치는 물론 이들 간의 전환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7은 도 6의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중앙 위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위치에서, V자형 안내 트랙(262)의 함몰부에 위치하는 정지부 핀(166)은 제1 탄성 모듈(50)의 탄성력에 의해 트랙에 대해 압박되어, 제2 주요부를 아래쪽 방향으로 압박한다. 동시에, 제2 탄성 모듈의 탄성 부분은 V자형 안내 트랙(262)의 함몰부 쪽으로 구부러진다. 앞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중앙 위치는 슬라이딩가능한 모바일 단말기 또는 미디어 플레이어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으며, 여기서 단지 기본 기능만이 장치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다.
도 8은 중앙 위치(500)와 슬라이딩 어셈블리(40)의 제1 단부 위치 사이에 제1 중간 위치(503)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중간 위치(503)에서, 제2 탄성 모듈(160)의 정지부 핀(166)은 안내 구성(260)의 외부에 위치한다. 또한, 이 중간 위치에서, 제2 탄성 모듈(160)의 탄성 부분(164)은 바이어스되지 않는다. 제1 중간 위치(503)로부터, 제2 주요부(250)는 이어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제1 단부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딩 어셈블리(40)를 중앙 위치(500)로부터 제1 중간 위치(503)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1 주요부(150)의 정지부 핀(166)을 제2 주요부(250) 내의 안내 구성(260)의 V자형 트랙(262) 내의 함몰부와 계합하도록 압박하는 제1 탄성 모듈(50)의 탄성력의 효과에 대항하기 위해 외력이 가해져야만 한다. 제1 탄성 모듈(50)의 탄성력이 극복되면, 정지부 핀(166)은 V자형 트랙(262)의 안내 부분(263)을 따라 도 8에 나타낸 제1 중간 위치 쪽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외력을 적당한 사용만이 가해져야만 한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또한, 제2 탄성 모듈(160)의 탄성력이 바이어스된 탄성 부분(162)을 다시 바이어스되지 않은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것은 도 8의 중간 위치로의 정지부 핀(166)의 이동을 가속시킬 것이다. 그로써, 정지부 핀(166)은 궤적(26)을 따라 이동될 것이다.
이제, 이 제1 중간 위치(503)로부터, 슬라이딩 어셈블리(40)의 제2 주요부(250)는 제1 탄성 모듈(50)의 탄성력에 의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부 위치로 압박될 것이다. 따라서, 외력을 단지 적절히 사용하는 것만으로 제1 중간 위치(503)로부터 도 9의 제1 단부 위치로의 빠른 전환이 달성된다.
도 9는 슬라이딩 구성(40)의 제1 단부 위치(504)를 나타낸 것이며, 여기서 제2 주요부(250)는 아래쪽 단부 위치로 이동되어 있다. 이 단부 위치에서, 제2 주요부(250)의 상부 정지부(272, 274)는 제1 주요부(150) 내의 홈(152, 154)의 가장자리와 인접하게 되었다. 동시에, 제2 주요부(250)는 홈(152, 154)의 상기한 가장자리에 대해 상부 정지부(272, 274)를 압박하는 제1 탄성 모듈(50)의 탄성력에 의해 이 제1 단부 위치(504)에 유지된다. 이 단부 위치에서, 슬라이딩 어셈블리(40)를 단부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하기 위해 외력이 제2 주요부(250)에 가해져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어셈블리(40)는 잘 정의되고 안정된 제1 단부 위치를 가진다. 이 제1 단부 위치(504)에서, 슬라이딩 어셈블리(40)를 포함하는 모바일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모바일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웹 브라우징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키를 제시받을 수 있다.
도 10에서, 중앙 위치(500)와 슬라이딩 어셈블리(40)의 제2 단부 위치 사이의 제2 중간 위치(505)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중간 위치(505)는 아래쪽 방향으로 제2 주요부(250)에 가해지는 제1 탄성 모듈(50)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외력을 가함으로써 달성된다. 제2 탄성 모듈(160)로부터의 탄성력을 극복할 필요가 없는데, 그 이유는 이 탄성력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이어스되지 않은 위치로 탄성 부분(162)을 압박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제2 탄성 모듈(160)의 정지부 핀(166)이 중앙 위치로부터 제2 중간 위치(505)로 안내되는 궤적이 파선(26)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제2 중간 위치(505)는 제2 탄성 모듈(160)의 정지부 핀(166)이 안내 구성(260)의 긴 안내 트랙(264)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2 중간 위치(505)로부터, 제2 주요부(250)는 제1 탄성 모듈(50)의 탄성력에 의해 위쪽으로 도 11에 상세히 나타낸 위치로 이동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어셈블리(40)의 제2 단부 위치(506)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제2 단부 위치에서, 제2 주요부(250)는 그의 위쪽 단부 위치에 있다. 여기서, 제2 주요부(250)의 하부 정지부(276, 278)는 제1 주요부(150) 내의 홈(152, 154)의 가장자리와 인접한다. 동시에, 제2 주요부(250)는 위쪽 방향으로 제2 주요부를 압박하는 제1 탄성 모듈(50)의 탄성력에 의해 홈(152, 154)의 가장자리와 인접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어셈블리(40)에 대한 제3의 별개의 안정된 단부 위치가 달성된다.
제2 주요부(250)를 도 7에 나타낸 중앙 위치로부터 제2 단부 위치(506)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1 탄성 모듈(160) 및 제2 탄성 모듈(50)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화살표(44)의 방향으로 위쪽으로 향하는 외력이 제2 주요부(250)에 가해져야만 한다.
한편, 슬라이딩 어셈블리(40)가 처음에 제1 단부 위치(504)에 있는 경우, 제1 탄성 모듈(50)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위쪽 방향으로 제2 주요부(250)를 이동시키는 외력이 가해져야만 한다. 이 탄성력이 극복되면, 제1 탄성 모듈(50)은 제2 주요부를 도 9의 제2 단부 위치(506)로 밀어낼 것이다.
게다가, 제2 주요부(250)를 제2 단부 위치(506)로부터 도 7의 중앙 위치(500)로 이동시킬 때, 제2 주요부(250)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고 제1 탄성 모듈(50)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외력이 가해져야만 한다. 동시에, 제1 탄성 모듈(50)의 탄성력은 제2 탄성 모듈(160)의 정지부 핀(166)을 안내 구성(260)의 긴 안내 트랙(264)의 배면에 대해, 또한 도 11의 화살표(29)로 나타낸 선을 따라 V자형 안내 트랙(262)의 함몰부 내로 밀어낼 것이다.
여기서, 부가하여, 제1 탄성 모듈(50)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데 탄성력의 적절한 사용만으로 충분하도록 제1 탄성 모듈(50)의 탄성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주요부(150, 250)가 본질적으로 평면이지만 임의의 특수 형상에 의해 제약되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따라서, 이들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삼각형, 원형일 수 있거나, 임의의 다른 기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부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상기 2개의 실시예를 살펴본 당업자라면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형상을 꼭 가질 필요는 없는 버튼 및 스프링 장착된 레버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 내지 도 11에 나타낸 안내 구성(26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는 이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지만, 똑같이 S자 형상 또는 C자 형상의 다른 형상의 하나의 일체형 유닛일 수 있거나, 함몰부 및 2개의 안내 트랙을 포함하는 한, 임의의 다른 기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14)

  1. 모바일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어셈블리로서,
    평면 제1 주요부; 및
    상기 제1 주요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된 평면 제2 주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주요부는 상기 제1 및 제2 주요부를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압박하도록 되어있는 제1 탄성 모듈에 의해 스프링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주요부는 상기 제1 주요부 쪽으로 뻗어 있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탄성 모듈과 협력하게 배열된 함몰부를 가지는 상기 제1 주요부 내의 잠금 요소를 더 포함하여 상기 잠금 요소가 상기 돌출부에 대해 압박되며, 상기 제2 주요부는 상기 제1 탄성 모듈과 협력하게 배열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잠금 요소에 대해 압박되고, 이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상기 제2 주요부가 중앙 위치에 유지되며,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외력을 받을 때 탄성 요소에 의해 상기 잠금 요소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극복하도록 배열된 작동기를 더 포함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제1 탄성 모듈의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잠금 요소와 상기 돌출부 간의 계합을 해제하고 상기 제2 주요부를 제1 단부 위치로 가게 하는 슬라이딩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요부는 정지부를 더 포함하고, 한 방향에서의 상기 제1 탄성 모듈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외력이 반대 방향으로 가해질 때 제2 단부 위치로 가게 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주요부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한 슬라이딩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요소는 피봇에 회전가능하게 탑재되고, 상기 잠금 요소의 한쪽 단부는 상기 작동기에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딩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요소는 긴 부분과 곡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긴 부분은 상기 작동기에 연결되고 피봇에 회전가능하게 탑재되는 슬라이딩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부분은,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돌출부를 계합시키도록 배열되는 슬라이딩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부분은 상기 돌출부를 상기 곡면 부분에 있는 함몰부로 안내하도록 배열된 챔퍼(chamfer)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주요부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잠금 요소의 상기 곡면 부분의 상기 함몰부로 안내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를 제1 단부 위치로부터 중앙 위치로 가게 하는 슬라이딩 어셈블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요소는 상기 작동기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피봇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탄성 요소 쪽으로 회전하도록 배열되는 슬라이딩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는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부분들 중 하나에 고정 부착된 이어(ear) 및 상기 잠금 요소에 힘을 가하도록 배열된 느슨한 탄성 레그(leg)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요부는 상기 제2 주요부가 제1 단부 위치를 넘어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제1 정지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요부는 상기 제2 주요부가 제2 단부 위치를 넘어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제2 정지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어셈블리.
  11. 모바일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어셈블리로서,
    평면 제1 주요부; 및
    상기 제1 주요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된 평면 제2 주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주요부는 제1 탄성 모듈에 의해 스프링 장착되고, 상기 제1 주요부는 탄성 부분 및 상기 제2 주요부 쪽으로 돌출해 있는 돌출부를 가지는 제2 탄성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주요부는 차례로 함몰 부분을 가지는 안내 구성(guiding arrangement)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주요부의 상기 함몰 부분, 상기 제2 탄성 모듈 및 상기 제1 탄성 모듈은 상기 제2 탄성 모듈의 상기 돌출 부분이 상기 안내 구성의 상기 함몰 부분에 대해 압박되도록 협력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서 상기 제2 주요부가 중앙 위치에 유지되고, 상기 안내 구성은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제1 탄성 모듈의 탄성력을 극복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가 중앙 위치로부터 제1 단부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탄성 모듈의 상기 돌출 부분을 상기 안내 구성의 상기 함몰 부분에서 벗어나게 안내하도록 배열된 긴 부분을 더 포함하는 슬라이딩 어셈블리.
  1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긴 부분은 또한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제2 주요부를 상기 제1 주요부와 인접하게 압박하는 상기 제1 탄성 모듈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가 제1 단부 위치로부터 중앙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제2 탄성 모듈의 상기 돌출 부분을 제1 단부 위치로부터 중앙 위치로 안내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슬라이딩 어셈블리.
  13.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제2 탄성 모듈의 상기 돌출 부분을 압박하는 상기 제1 탄성 모듈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상기 안내 구성의 상기 함몰 부분과의 계합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상기 안내 구성의 상기 긴 부분을 따라 중앙 위치로부터 제2 단부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슬라이딩 어셈블리.
  14.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제2 주요부를 상기 제1 주요부와 인접하게 압박하는 상기 제1 탄성 모듈의 탄성력을 극복하기 위해 상기 안내 구성의 상기 함몰 부분과 계합하도록 상기 안내 구성의 상기 긴 부분의 배면을 따라 제2 단부 위치로부터 중앙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슬라이딩 어셈블리.
KR1020117009010A 2008-10-03 2009-04-01 모바일 단말기용 쌍안정 슬라이딩 어셈블리 KR201100669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44,831 US8090421B2 (en) 2008-10-03 2008-10-03 Bi-stable sliding assembly
US12/244,831 2008-10-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946A true KR20110066946A (ko) 2011-06-17

Family

ID=40843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010A KR20110066946A (ko) 2008-10-03 2009-04-01 모바일 단말기용 쌍안정 슬라이딩 어셈블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090421B2 (ko)
EP (1) EP2359580B1 (ko)
JP (1) JP2012504884A (ko)
KR (1) KR20110066946A (ko)
CN (1) CN102172000A (ko)
TW (1) TW201015950A (ko)
WO (1) WO20100375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09306A1 (en) * 2008-02-19 2009-08-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ulti-function slide mechanism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5338136A (zh) * 2015-09-24 2016-02-17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自动取卡装置及方法
CN106971673B (zh) * 2017-05-26 2019-07-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CN113810523A (zh) * 2020-06-16 2021-12-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组件和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510883A (zh) * 2002-12-24 2004-07-07 北京嘉盛联侨信息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旋翼式手机及其控制方法
CN1510884A (zh) * 2002-12-24 2004-07-07 ������ʢ������Ϣ���̼������޹�˾ 旋翼式数字移动通讯设备的旋转轴及其安装方式
KR100506261B1 (ko) * 2003-01-22 2005-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
US20050054397A1 (en) 2003-09-08 2005-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sliding-typ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locking apparatus thereof
KR100563696B1 (ko) * 2003-09-09 2006-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구조
KR100617690B1 (ko) * 2003-11-10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TWM260061U (en) 2004-06-11 2005-03-21 Quanta Comp Inc Automatic sliding mechanism
JP2006074444A (ja) * 2004-09-02 2006-03-16 Advanex Inc スライド装置及び携帯電話
KR100651471B1 (ko) * 2005-01-12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ATE410878T1 (de) 2005-02-11 2008-10-15 Nokia Corp In der hand tragbares elektronisches gerät mit mehreren betriebsarten
CN1905573B (zh) * 2005-07-29 2011-06-0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池盖卡锁结构
EP1793568B1 (en) 2005-11-30 2010-02-10 Laird Technologies MAP Co., Ltd Sliding mechanism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US7778663B2 (en) * 2006-04-24 2010-08-17 Virgin Mobile Usa, L.P. Hinge module for three-step open type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EP1871076A1 (en) * 2006-06-19 2007-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 module for mobile phone
KR100865351B1 (ko) * 2006-10-02 2008-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US8029309B2 (en) * 2006-10-03 2011-10-04 Ht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s with sliding and tilting mechanisms, and associated methods
JP2008196525A (ja) * 2007-02-08 2008-08-28 Omron Corp ヒンジ機構および携帯端末
DE102007059693B4 (de) * 2007-06-13 2015-04-02 Lg Electronics Inc. Tragbares Endgerät
CN201064012Y (zh) * 2007-06-29 2008-05-21 联想(北京)有限公司 卡钩以及具有卡钩的电子设备
TWI341449B (en) * 2007-07-06 2011-05-01 Inventec Corp Electronic apparatus
KR101356167B1 (ko) * 2007-11-02 2014-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CN101460023B (zh) * 2007-12-10 2012-03-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滑动机构
CN101567918B (zh) * 2008-04-25 2012-07-1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旋盖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59580B1 (en) 2012-08-15
WO2010037568A1 (en) 2010-04-08
US20120129583A1 (en) 2012-05-24
JP2012504884A (ja) 2012-02-23
US8090421B2 (en) 2012-01-03
CN102172000A (zh) 2011-08-31
EP2359580A1 (en) 2011-08-24
TW201015950A (en) 2010-04-16
US20100087231A1 (en) 201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1059B1 (ko) 휴대단말기슬라이드기구
US20080119248A1 (en) Music control key
US7930009B2 (en) Slide mechanism and electronic apparatus
JP4717032B2 (ja)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20110066946A (ko) 모바일 단말기용 쌍안정 슬라이딩 어셈블리
US8319135B2 (en) Electronic device and slide switch thereof
JP4790696B2 (ja) 相対移動付勢装置並びに相対移動付勢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US20090239594A1 (en) Communication device
KR100693180B1 (ko) 휴대기기
US8740459B2 (en) Relative displacement device with both slight push force and strong elastic pull force
KR100785103B1 (ko) 회동가능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슬라이딩 및회동가능한 힌지모듈
KR101142554B1 (ko) 단말기 및 이의 슬라이딩장치
KR200397454Y1 (ko) 휴대폰용 슬라이딩 장치
KR100721178B1 (ko)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딩 장치
KR20110093010A (ko) 단말기
KR100997748B1 (ko) 슬라이드 힌지모듈
KR101008708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기기
KR10086639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KR100975664B1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964146B1 (ko) 휴대폰의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20060095299A (ko) 양방향 슬라이드가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80099591A (ko) 슬라이더 힌지 장치
KR100824385B1 (ko) 슬라이더 힌지 장치
KR20110108294A (ko) 소형 전자기기의 개폐 장치 및 소형 전자기기
KR100783625B1 (ko) 전자기기용 개폐장치의 슬라이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