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6591A - 터치 감도 조절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감도 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6591A
KR20110066591A KR1020090123314A KR20090123314A KR20110066591A KR 20110066591 A KR20110066591 A KR 20110066591A KR 1020090123314 A KR1020090123314 A KR 1020090123314A KR 20090123314 A KR20090123314 A KR 20090123314A KR 20110066591 A KR20110066591 A KR 20110066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ensitivity
touch
user interface
modes
sensi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3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진
윤일현
신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니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니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니틱스
Priority to KR1020090123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6591A/ko
Publication of KR20110066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5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입력 방식을 사용하는 기기들 중 특히, 휴대폰 등에 구비된 터치패드의 터치 감도를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터치 감도 모드를 복수개 규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규정된 복수개의 터치 감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어진 터치 감도 모드에 해당하는 터치 감도를 터치 패널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도 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휴대폰 등에서의 터치 감도 조절방법은 사용자가 터치 감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마다 다른 감도 특성을 대부분 수용하는 장점이 있다.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터치, 휴대폰, 감도

Description

터치 감도 조절방법{METHOD FOR CONTROL TOUCH SENSITIVITY}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입력 방식을 사용하는 기기들 중 특히, 휴대폰 등에 구비된 터치패드의 터치 감도를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은, 내비게이션, 산업용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 금융 자동화기기, 게임기 등의 각종 모니터로부터, 휴대전화기, 엠피쓰리, PDA, PMP, PSP, 휴대용 게임기, DMB 수신기 등 각종 휴대용 단말기는 물론, 냉장고, 전자레인지, 세탁기와 같은 각종 가전제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전기전자장치의 입력장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은 소정의 내용이 디스플레이 되는 표시장치와 함께 사용되며, 표시장치 위에 적층된 터치패널에 손가락 등을 접촉하면 그 아래의 표시장치에 표시된 내용 등이 입력되도록 하는 장치로서, 그 구조와 동작원리에 따라 저항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정전용량 방식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정전용량 방식은 기판 위에 극판을 배치하여 극판에 전압을 인가한 구조로서, 사람의 손이 극판에 접촉될 때 손과 극판 사이의 유전율에 따른 기생 정전용량(Parasitic Capacitance)을 검출하여 그 위치좌표를 결정하는 원리로 작동되며, 투명도와 내구성은 저항막 방식에 비해 개선되었으나 기생 정전용량을 발생할 수 있는 사람의 손과 같은 도체에만 반응을 하고, 또한 사람에 따라 발생되는 기생 정전용량(이하, 터치 감도)이 서로 달라 정밀도가 다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그럼에도 정전용량 방식은 현재 상용화된 기술 중 유일하게 멀티터치가 구현 가능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터치 감도가 다소 떨어지는 문제를 보완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정형화된 하나의 터치 감도에서 탈피한, 터치 감도가 서로 다른 여러 가지의 터치 감도 모드를 사전에 휴대폰 등의 기기에 탑재하여 사용자가 자신에게 맞는 터치 감도 모드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하고,
더 나아가 터치 감도 조절 범위는 사전에 휴대폰 등의 기기에 탑재하되, 세밀한 터치 감도 조절은 사용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상기 제1 목적은 서로 다른 터치 감도 모드를 복수개 규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규정된 복수개의 터치 감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어진 터치 감도 모드에 해당하는 터치 감도를 터치 패널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도 조절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2 목적은 서로 다른 터치 감도 영역을 갖는 터치 감도 조절 범위를 사전에 규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규정된 터치 감도 조절 범위의 각 터치 감도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어진 터치 감도 영역에 해당하는 터치 감도를 터치 패널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도 조절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터치 감도가 아닌 다양한 터치 감도 모드, 또는 터치 감도를 사용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는 환경으로 인해 사용자 자신에게 맞는 터치 감도를 선택할 수 있어, 터치스크린 방식을 이용하는 휴대폰 등과 같은 기기의 오동작이 줄어들고, 정밀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터치 감도 모드를 복수개 규정하는 단계(S10)와;
상기 (S10)단계에 의해 규정된 복수개의 터치 감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마련하는 단계(S20)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어진 터치 감도 모드에 해당하는 터치 감도를 터치 패널에 적용하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도 조절방법과,
서로 다른 터치 감도 영역을 갖는 터치 감도 조절 범위를 사전에 규정하는 단계(S100)와;
상기 (S100)단계에 의해 규정된 터치 감도 조절 범위의 각 터치 감도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마련하는 단계(S200)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어진 터치 감도 영역에 해당하는 터치 감도를 터치 패널에 적용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도 조절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터치 감도 조절방법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푸시 버튼, 음성 인식 시스템, 터치 스크린 방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들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감도 조절방법은 서로 다른 터치 감도 모드를 복수개 규정하는 단계(S10)를 포함한다.
예컨대, 서로 다른 터치 감도 모드란, 손으로 터치패널을 살짝만 건드려도, 또는 손이 터치패널의 표면에 근접(공간인식)해도 해당 메뉴가 활성화 되게 하는 레벨 1단계의 터치 감도 모드부터 강하게 눌러야 해당 메뉴가 활성화 되게 하는 레벨 10 단계의 터치 감도 모드까지를 일컫는다. 이러한 복수개의 터치 감도 모드는 휴대폰이 공장에서 출하하기 전 사전에 셋팅된 모드들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미리 셋팅된 터치 감도 모드 중 자신에게 가장 알맞는 터치 감도 모드를 선택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터치 감도 모드를 셋팅하는 것은 사람(남녀노소 등)에 따라, 사람의 상태(장갑착용 여부 등)에 따라, 사용하는 도구(스타일러스 펜 등)의 재질에 따라 터치 패널이 감지하는 감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상기 (S10)단계에 의해 서로 다른 터치 감도 모드가 복수개 규정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터치 감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축(S20) 된다. 즉, 사전에 규정된 터치 감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모드를 활성화(S1000)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구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은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휴대폰(30)의 터치스크린 방식으로써 터치스크린에 제1 입력부(31)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입력부(31)를 손(300)으로 터치하면 도 6과 같은 선택모드가 디스플레이 된다.
도 4는 휴대폰(30)의 기능 중 하나인 음성 인식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음성 인식 시스템은 음성(S)(예컨대, '감도모드'라고 발성)에 의해 도 6과 같은 선택모드를 디스플레이 한다.
도 5는 푸시 버튼(휴대폰에서는 사이드키 등)을 이용한 것으로써 휴대폰(30)의 측면에 버튼 형식의 제2 입력부(32)를 마련하여 이를 누르면 도 6과 같은 선택모드가 디스플레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당업자는 이 밖에도 여러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이어서, 이에 한정 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터치 감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축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터치 감도 모드를 선택(S2000)하면, 선택된 터치 감도 모드에 해당하는 터치 감도를 터치 패널에 적용(S30)(S3000)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터치 감도 모드를 만족하면 휴대폰은 사용자가 선택한 터치 감도 모드를 지속적으로 적용하여 별도의 터치 감도 모드가 조절되지 않는 한 선택한 터치 감도 모드를 제공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만족할 때까지 터치 감도 모드를 재차 선택하게 한 후 휴대폰을 사용(S5000)하면 된다.
한편, 터치 감도 조절방법은 도 2와 같은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터치 감도 조절방법은 공장에서 미리 여러 가지의 터치 감도 모드를 지정한 것이어서, 터치 감도의 선택의 폭을 넓혔을 뿐 정량화의 틀에서는 벗어나지 못한 형태인데 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터치 감도 조절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터치 감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즉, 이하에 설명되는 터치 감도 조절방법은, 터치 감도의 최대값과 최소값은 미리 규정하고, 최대값과 최소값의 사이의 값들은 일일이 규정하지 않고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했다는 점이 다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감도의 최대값과 최소값은 휴대폰이 공장에서 출하하기 전 사전에 규정(S100)한다. 그리고 최대값과 최소값을 포함하고 그 사이에 포함 된 터치 감도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S200)한다. 다음 선택된 터치 감도를 터치 패널에 적용(S300)하여 휴대폰을 사용한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용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도 7과 같은 터치 감도 조절모드가 활성화되면, 사용자는 좌측의 안내용 제1 텍스트 문자(51), 제2 텍스트 문자(52)를 참고하여 스크롤바(53)로 원하는 터치 감도를 조절한다.
이상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감도 조절 방법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감도 조절 방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양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에 따른 터치 감도 조절 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터치 감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모드가 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2에 따른 터치 감도 조절 방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터치 감도 모드를 세밀하게 선택할 수 있는 선택모드가 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1에 따른 터치 감도 조절 방법에서 서로 다른 터치 감도 모드를 데이터 베이스화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2에 따른 터치 감도 조절 방법에서 터치 감도 최대값과, 터치 감도 최소값 및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터치 감도를 데이터 베이스화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감도 조절 방법을 휴대폰에 적용하여 터치 감도를 조절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레벨 1단계의 터치 감도 모드
12: 레벨 2단계의 터치 감도 모드
13: 레벨 3단계의 터치 감도 모드
15: 레벨 N단계의 터치 감도 모드
30: 휴대폰 31: 제1 입력부
32: 제2 입력부 S: 음성
41: 레벨 1단계의 터치 감도 모드 선택부
42: 레벨 2단계의 터치 감도 모드 선택부
43: 레벨 3단계의 터치 감도 모드 선택부
45: 레벨 N단계의 터치 감도 모드 선택부
51: 제1 텍스트 문자 52: 제2 텍스트 문자
53: 선택 스크롤바 100: 터치 감도 최소값
200: 터치 감도 최대값
300: 손

Claims (4)

  1. 서로 다른 터치 감도 모드를 복수개 규정하는 단계(S10)와;
    상기 (S10)단계에 의해 규정된 복수개의 터치 감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마련하는 단계(S20)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어진 터치 감도 모드에 해당하는 터치 감도를 터치 패널에 적용하는 단계(S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도 조절방법.
  2. 서로 다른 터치 감도 영역을 갖는 터치 감도 조절 범위를 사전에 규정하는 단계(S100)와;
    상기 (S100)단계에 의해 규정된 터치 감도 조절 범위의 각 터치 감도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마련하는 단계(S200)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어진 터치 감도 영역에 해당하는 터치 감도를 터치 패널에 적용하는 단계(S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도 조절방법.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푸시 버튼, 음성 인식 시스템, 터치 스크린 방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도 조절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감도 조절방법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도 조절 방법.
KR1020090123314A 2009-12-11 2009-12-11 터치 감도 조절방법 KR201100665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314A KR20110066591A (ko) 2009-12-11 2009-12-11 터치 감도 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314A KR20110066591A (ko) 2009-12-11 2009-12-11 터치 감도 조절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591A true KR20110066591A (ko) 2011-06-17

Family

ID=44399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314A KR20110066591A (ko) 2009-12-11 2009-12-11 터치 감도 조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659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4316A1 (ko) * 2012-07-19 2014-01-23 주식회사 멜파스 터치 센싱 방법 및 장치
KR101439855B1 (ko) * 2013-01-25 2014-09-17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스크린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5630151A (zh) * 2015-10-30 2016-06-01 东莞酷派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响应灵敏度调节方法、装置和移动终端
WO2024019477A1 (ko) * 2022-07-18 2024-0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의 터치 감도를 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가전기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4316A1 (ko) * 2012-07-19 2014-01-23 주식회사 멜파스 터치 센싱 방법 및 장치
KR101383589B1 (ko) * 2012-07-19 2014-04-09 (주)멜파스 터치 센싱 방법 및 장치
CN104471515A (zh) * 2012-07-19 2015-03-25 麦孚斯公司 触摸感测方法及装置
CN104471515B (zh) * 2012-07-19 2018-11-09 麦孚斯公司 触摸感测方法及装置
KR101439855B1 (ko) * 2013-01-25 2014-09-17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스크린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5630151A (zh) * 2015-10-30 2016-06-01 东莞酷派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响应灵敏度调节方法、装置和移动终端
WO2024019477A1 (ko) * 2022-07-18 2024-0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의 터치 감도를 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가전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111B1 (ko) 복수의 터치 감지 장치를 가지는 핸드 헬드 전자 장치
JP5759660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る携帯式情報端末および入力方法
CN101133385B (zh) 手持电子设备、手持设备及其操作方法
KR101405928B1 (ko) 이동 단말기의 키 신호 발생 방법 및 이동 단말기
JP5753432B2 (ja) 携帯電子機器
EP3382516B1 (en) Tactile sense presentation device and tactile sense presentation method
US20120154315A1 (en) Input apparatus
US20110141047A1 (en) Input device and method
KR20040105207A (ko) 정교하고 거친 입력 해상도를 지닌 터치패드
JPWO2012108203A1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KR20100069842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및 그 방법
WO2014024363A1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46640B2 (ja) 電子機器
RU2008142904A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клавиша с прокруткой
KR20140106801A (ko)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음성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장치
US2011012823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120137258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scree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screen control program
TW201601048A (zh) 電子設備以及電子設備的工作方法
US9092198B2 (en) Electronic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operation control program
KR20110066591A (ko) 터치 감도 조절방법
US20120218207A1 (en) Electronic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operation control program
KR20110103540A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JPWO2012102055A1 (ja) 電子機器
KR101678213B1 (ko) 터치 영역 증감 검출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1794194A (zh) 在触摸屏上模拟鼠标右键输入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