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6244A - Fpcb 커넥터 - Google Patents

Fpcb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6244A
KR20110066244A KR1020090120833A KR20090120833A KR20110066244A KR 20110066244 A KR20110066244 A KR 20110066244A KR 1020090120833 A KR1020090120833 A KR 1020090120833A KR 20090120833 A KR20090120833 A KR 20090120833A KR 20110066244 A KR20110066244 A KR 20110066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pcb
pad
pad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태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0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6244A/ko
Publication of KR20110066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2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Printing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Between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핀이 순차적으로 다수의 패드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FPCB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형성된 다수의 패드 중 최 외곽에 위치하는 패드의 단면이 다른 패드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FPCB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패드, 핀, 크랙, FPCB, 커넥터

Description

FPCB 커넥터{Flexible Printed Circuits Board Connector}
본 발명은 FPCB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FPCB에 형성된 다수의 패드 중 최 외곽에 위치하는 패드의 단면을 다른 패드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하여 납땜 영역을 증가시킴으로써 커넥터의 탈/부착시 크랙 및 커넥터 분리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FPCB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기기에는 다양한 부가장치와의 신호전달 및 전원공급 등을 위해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휴대폰, 엠피쓰리(MP3),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이 사용자가 직접 휴대하면서 사용하는 단말기에는 인쇄회로기판(PCB)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은 별도의 커넥터를 통해 디스플레이 또는 송수화기(phoneset)에 연결된다.
이러한 일례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에는 드라이브 IC(20)가 구비되고, 이는 입력 및/또는 출력 인터페이스로서 FPCB(Flexible Printed Circuits Board)를 통해 별도의 인쇄회로기판(PCB, 미도시)과 상호 신호전달을 하거나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이때, 상기 FPCB에는 디스플레이 및/또는 송수화기 인터페이스 사이의 연결부품으로서 커넥터(connector)가 구비된다.
도 2는 종래의 FPCB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FPCB 커넥터(40)에는 동일한 크기를 갖는 다수의 패드(50)가 순차적으로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패드(50)은 납땜을 통해 FPBC에 고정된다.
하지만, 상기 FPCB 커넥터(40)에 형성된 다수의 패드(50) 중 최 외곽에 위치하는 패드(50)은 FPCB 커넥터(40)의 탈/부착시 가해지는 힘이 집중되어 땜 크랙(crack)이 종종 발생하고, 경우에 따라 FPCB와 커넥터(40)가 분리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패드가 형성된 FPCB 커넥터를 탈/부착시킬 경우 다수의 패드 중 최 외곽에 위치하는 패드의 땜 크랙 또는 커넥터의 분리현상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핀이 순차적으로 다수의 패드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FPCB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형성된 다수의 패드 중 최 외곽에 위치하는 패드의 단면이 다른 패드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FPCB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FPCB 커넥터는 커넥터의 탈/부착할 경우 패드를 고정하기 위한 납땜의 땜 크랙 및 커넥터 분리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다수의 핀이 순차적으로 다수의 패드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FPCB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형성된 다수의 패드 중 최 외곽에 위치하는 패드의 단면이 다른 패드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FPCB 커넥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FPCB 커넥터는 입력 및/또는 출력 인터페이스인 FPCB(Flexible Printed Circuits Board)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모듈 및 송수화기 등의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어 상호 신호전달을 하거나 전원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커넥터는 다수의 패드가 형성,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패드가 순차적으로 다수의 핀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패드는 각각 납땜을 통해 FPCB에 고정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FPCB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FPCB 커넥터(40)는 다수의 핀이 순차적으로 다수의 패드(5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패드(50) 중 최 외곽에 위치하는 패드(50)의 단면이 다른 패드(50)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FPCB(Flexible Printed Circuits)는 단말기, 특정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부품,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 송수화기, 인쇄회로기판 등의 입력 및/또는 출력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FPCB의 일측에는 커넥터(40), 특정적으로 FPCB 커넥터(40)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FPCB 커넥터(40)는 FPCB(30)에 다수의 패드(50)가 납땜을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패드(50)는 각각 신호 또는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핀(미도시)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적으로, 상기 FPCB 커넥터(40)를 구성하는 다수의 패드(50)는 절연하우징(60)에 내입된 형태로 FPCB(30)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절연하우징(60)은 다수의 패드(50)을 지지하고, 고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FPCB 커넥터(40)를 구성하는 다수의 패드(50)는 동일한 크기를 갖지만, 상기 다수의 패드(50) 중 최 외곽에 위치하는 패드(50), 즉 FPCB 커넥터(40)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패드(50)의 단면은 다른 패드(50)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최 외곽에 위치하는 패드(50)의 크기는 그 단면을 기준으로 최 외곽이 아닌 다른 위치에 구비된 패드(50)의 크기보다 약 2배 이상의 크기를 갖는 것이 좋다.
특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FPCB 커넥터(40)를 구성하는 최 외곽에 위치하는 패드, 즉 최 외곽의 패드(50)는 최 외곽의 인접핀 2개와 납땜 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최 외곽에 위치하는 핀은 접지핀(Ground Pin)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최 외곽에 위치하는 패드(50)의 크기를 크게 형성시킴으로써 FPCB(30)에 최 외곽에 위치하는 패드(50)을 납땜하여 고정할 경우, 다른 패드(50) 보다 큰 납땜 영역을 제공하여 해당부분에서 FPCB 커넥터(40)의 탈/부착시 크랙 및 커넥터 분리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FPCB 커넥터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FPCB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FPCB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패널 20 : 드라이브 IC
30 : FPCB 40 : 커넥터
50 : 패드 60 : 절연하우징

Claims (4)

  1. 다수의 핀이 순차적으로 다수의 패드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FPCB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형성된 다수의 패드 중 최 외곽에 위치하는 패드의 단면이 다른 패드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FPCB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 외곽에 위치하는 패드는 최 외곽의 인접핀 2개와 납땜 결합된 FPCB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 외곽에 위치하는 핀이 접지핀인 FPCB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패드가 절연하우징에 내입된 FPCB 커넥터.
KR1020090120833A 2009-12-07 2009-12-07 Fpcb 커넥터 KR20110066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833A KR20110066244A (ko) 2009-12-07 2009-12-07 Fpcb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833A KR20110066244A (ko) 2009-12-07 2009-12-07 Fpcb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244A true KR20110066244A (ko) 2011-06-17

Family

ID=44399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833A KR20110066244A (ko) 2009-12-07 2009-12-07 Fpcb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62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300A (ko) 2018-04-20 2019-10-30 이승희 2개의 회로기판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 필름 및 이를 이용한 2개의 회로기판의 접속방법
KR20210022452A (ko) 2019-08-20 2021-03-03 주식회사 엘지화학 Fpcb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300A (ko) 2018-04-20 2019-10-30 이승희 2개의 회로기판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 필름 및 이를 이용한 2개의 회로기판의 접속방법
KR20210022452A (ko) 2019-08-20 2021-03-03 주식회사 엘지화학 Fpcb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115762U (zh) 一种电路板组件和电子设备
MY146726A (en) Insulation displacement plug-in connector and device for telecommunications and data technology
KR100678187B1 (ko) 휴대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간 연결 케이블 장치
JP2009081009A (ja) 極細同軸ハーネス,配線板接続体,配線板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KR20110066244A (ko) Fpcb 커넥터
CN103730790B (zh) 用于电子装置的电子元器件的连接装置
JP2007311548A (ja) 回路基板の接続構造
CN205945928U (zh) 一种摄像头连接结构、摄像头及电子设备
CN105449476A (zh) 电路板连接组件和移动终端
KR101451553B1 (ko) 크랙 방지 효과가 우수한 fpcb 커넥터
JP4358269B2 (ja) 電子部品モジュール
KR100645874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전기적 연결 장치
CN108306351B (zh) 一种充电装置及电子移动终端
CN113179579A (zh) 电路板和电子设备
TW200608655A (en) Connector module
TW200820843A (en) Flexible printed circuit
CN219068491U (zh) 一种嵌套型印制电路板
CN202534809U (zh) 插座连接器
TWI640131B (zh) Board to board connector module
JP2008010712A (ja) フレキシブル基板
JP2006332455A (ja) フレキシブル基板の接続構造
KR101053243B1 (ko) 카메라 모듈
KR20090066754A (ko) 기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기판 모듈
TWI581679B (zh) 電子總成
KR101105453B1 (ko) 에프에프씨의 피씨비 연결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