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5671A - Strawberry cleaning up system, strawberry washing/sterizing apparatus utilized to the same and strawberry drying apparatus utilized to the same - Google Patents

Strawberry cleaning up system, strawberry washing/sterizing apparatus utilized to the same and strawberry drying apparatus utilized to the same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5671A
KR20110065671A KR1020090122274A KR20090122274A KR20110065671A KR 20110065671 A KR20110065671 A KR 20110065671A KR 1020090122274 A KR1020090122274 A KR 1020090122274A KR 20090122274 A KR20090122274 A KR 20090122274A KR 20110065671 A KR20110065671 A KR 20110065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rame
lifting
strawberry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2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12050B1 (en
Inventor
홍성기
박회만
조광환
이선호
오성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090122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050B1/en
Publication of KR20110065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6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0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6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combined with subsequent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58Inorganic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03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PURPOSE: A strawberry cleaning system including a strawberry washing/sterilizing apparatus and a strawberry drying apparatus is provided to prevent the decomposition of strawberries by controlling the activation of microorganisms. CONSTITUTION: A strawberry cleaning system comprises the following an inserting apparatus(100) transferring a container(50) containing plural strawberri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 washing apparatus(200) washing the strawberries with washing water; a sterilizing apparatus sterilizing the strawberries; a drying apparatus(400) drying the strawberries; a controller(500) controlling the inserting apparatus, the washing apparatus, the sterilizing apparatus, and the drying apparatus; and a frame including plural rollers(231) rotatably installed from the left side of the frame to the right side.

Description

딸기 세정 시스템, 이에 사용된 딸기 세척/살균장치와 딸기 건조장치 {STRAWBERRY CLEANING UP SYSTEM, STRAWBERRY WASHING/STERIZING APPARATUS UTILIZED TO THE SAME AND STRAWBERRY DRYING APPARATUS UTILIZED TO THE SAME}Strawberry Cleaning System, Strawberry Washing / Sterilizer and Strawberry Drying Machine {STRAWBERRY CLEANING UP SYSTEM

본 발명은 딸기 세정 시스템, 딸기 세정 시스템에 사용된 딸기 세척/살균장치와 딸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awberry cleaning system, a strawberry washing / sterilizing apparatus and a strawberry drying apparatus used in a strawberry cleaning system.

농가에서 재배되는 딸기는 수확 후, 생식전이나 가공전에 일일히 수작업으로 세척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흐르는 물로 딸기를 세척하는 세척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Strawberries grown in farmhouses are washed manually by hand after harvest, before reproduction and before processing. In order to alleviate this inconvenience, a washing device for washing strawberries with running water has been developed and used.

그러나, 딸기는 표피가 습하고 연약하여 쉽게 이물질이 붙고, 습도가 높아서 미생물이 생육하기 좋은 조건이다. 이로인해, 종래의 세척장치로 딸기를 세척만 할 경우에는 청결히 세정할 수 없고, 미생물이 활성화되어 쉽게 부패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strawberry is a good condition for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because the epidermis is wet and soft and easily attaches foreign substances, and the humidity is high. Due to this, when only washing the strawberry with a conventional washing device can not be cleaned cleanly,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microorganism is activated and easily rot.

그리고, 딸기의 표면에 묻어 있는 세척수를 건조하는 아무런 수단이 없으므로, 수작업으로 세척수를 닦아야 한다. 따라서, 불편한 단점이 있다.And, since there is no means to dry the wash water on the surface of the strawberry, you need to clean the wash water by hand. Therefore, there is an inconvenient disadvanta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청결히 세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미생물의 활성화를 방지하여 부패를 억제할 수 있는 딸기 세정 시스템, 이에 사용된 딸기 세척/살균장치와 딸기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eaned cleanly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activation of microorganisms strawberry cleaning system, strawberry used therein It provides a cleaning / sterilization apparatus and a strawberry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딸기 세정 시스템, 이에 사용된 딸기 세척/살균장치와 딸기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awberry cleaning system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strawberry washing / sterilizing apparatus and strawberry drying apparatus used therei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딸기 세정 시스템은, 일측으로 유입된 복수의 딸기가 저장된 용기를 타측으로 이송하여 사용처로 투입하는 투입장치; 상기 투입장치로부터 상기 용기를 전달받아 세척수로 상기 딸기를 세척하는 세척장치; 상기 세척장치로부터 상기 용기를 전달받아 상기 딸기를 살균하는 살균장치; 상기 살균장치로부터 상기 용기를 전달받아 상기 딸기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상기 투입장치, 상기 세척장치, 상기 살균장치 및 상기 건조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Strawberry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 input device for transferring a container in which a plurality of strawberries flowed into one side is stored to the other side and put into use; A washing device for washing the strawberries with washing water by receiving the container from the feeding device; A sterilizer for sterilizing the strawberries by receiving the container from the washing device; A drying device receiving the container from the sterilization device and drying the strawberr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eeding device, the washing device, the sterilizing device, and the drying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딸기 세척/살균장치는, 바닥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며 세척수 또는 살균수가 저장되는 저장조;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에 설치되고, 딸기가 저장된 용기가 탑재됨과 동시에 상기 승강프레임의 일측으로 전달된 상기 용기를 상기 승강프레임의 타측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승강프레임에 승강함에 따라 상기 용기를 상기 저장조의 내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용기로부터 빼내는 복수의 롤러; 상기 승강프레임이 하사점에 도달하여 상기 용기가 상기 저장조의 내부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저장조의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 또는 살균수에 공기방울을 발생하는 블로워를 구비한다.In addition, strawberry washing /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xed frame installed on the bottom; A storage tank located inside the fixed frame and storing washing water or sterilizing water; An elevating frame installed to be movable inside of the fixed frame; The container is installed in the lifting frame, and the container in which the strawberry is stored is mounted and the container delivered to one side of the lifting frame is transferred to the other side of the lifting frame, and the container is moved inside the storage tank as the lifting frame is lifted. A plurality of rollers positioned and withdrawn from said container; When the lifting frame reaches the bottom dead center and the container is located inside the reservoir, there is provided a blower for generating air bubbles in the washing or sterilizing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딸기 건조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일측으로 유입된 상기 용기를 상기 프레임의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벨트;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가 상기 용기의 이송방향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쌍의 지지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압축기; 상기 압축기와 연통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벨트에 탑재된 상기 용기측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딸기를 건조하는 노즐을 구비한다.In addition, strawberry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A conveyance belt installed on the frame to convey the container introduced to one side of the frame to the other side of the frame; A pair of support bars installed on the frame to prevent the container from being separated out of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container; A compress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ame; And a nozzle communicating with the compressor and rotatably installed to inject air to the container side mounted on the conveyance belt to dry the strawberry.

본 발명에 따른 딸기 세정 시스템, 이에 사용된 딸기 세척/살균장치와 딸기 건조장치는 딸기를 세척, 살균 및 건조하여 처리하므로 딸기를 청결하게 세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살균 및 건조에 의하여 미생물의 활성화가 방지되므로, 부패가 방지된다.Strawberry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wberry washing / sterilizing device and the strawberry drying device used in this process can be cleaned by washing, sterilizing and drying the strawberries clean strawberries. In addition, since the activation of microorganisms is prevented by sterilization and drying, decay is prevented.

또한, 자동으로 건조하므로, 대단히 편리하다.It is also very convenient because it automatically dries.

또한, 세척, 살균 및 건조하여 딸기를 처리하므로 신선한 상태로 장시간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tored and used for a long time in a fresh state because it processes the strawberry by washing, sterilizing and dry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딸기 세정 시스 템, 이에 사용된 딸기 세척/살균장치와 딸기 건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trawberry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awberry washing / sterilizing apparatus and a strawberry drying apparatus used therei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딸기 세정 시스템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awberry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딸기 세정 시스템은 투입장치(100), 세척장치(200), 살균장치(300), 건조장치(400) 및 제어부(500)를 가진다.As shown, the strawberry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input device 100, a washing device 200, a sterilization device 300, a drying device 400 and a control unit 500.

투입장치(100)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투입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The input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input device shown in FIG.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장치(100)는 복수의 딸기가 저장된 용기(50)가 일측으로 유입되면 타측으로 이송시켜 사용처로 투입한다.As shown, the input device 100 is transferred to the other side when the container 50 is stored in a plurality of strawberries stored in one side is introduced into the use.

투입장치(100)는 바닥 등에 설치된 프레임(110)을 가진다.The input device 100 has a frame 110 installed on the floor or the like.

이하, 프레임(110)을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면 및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프레임(110)의 수직방향 상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상면 및 상측", 프레임(110)의 수직방향 하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면 및 하측"이라 한다.Hereinafter, in referring to the plane and the direction of the other components including the frame 110, the plane and the direction toward the vertical direction upward of the frame 110 is "upper and upper side", the vertical downward of the frame 110 Surfaces and directions are referred to as "lower side and lower side".

프레임(110)에는 용기(50)의 이송방향인 프레임(110)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을 향하여 복수의 롤러(12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롤러(121)에는 롤러(121)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폐회로를 이루면서 롤러(121)에 의하여 회전하는 이송벨트(125)가 설치된다.A plurality of rollers 121 are rotatably installed in the frame 110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of the frame 110, which is a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tainer 50. The roller 121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roller 121, and a conveying belt 125 is rotated by the roller 121 while forming a closed circuit.

이송벨트(125)에는 용기(50)가 탑재되며, 프레임(110)의 좌측에서 용기(50)를 이송벨트(125)에 탑재하면, 이송벨트(125)는 회전하면서 용기(50)를 프레임(110)의 우측으로 이송시켜, 세척장치(200)의 좌측으로 투입시킨다.The container 50 is mounted on the conveyance belt 125, and when the container 50 is mounted on the conveyance belt 125 on the left side of the frame 110, the conveyance belt 125 rotates and rotates the container 50. It is transferred to the right side of 110, and put into the left side of the washing apparatus 200.

프레임(110)의 상면에는 한쌍의 지지바(130)가 용기(50)의 이송방향과 평행 을 이루면서 대향되게 설치되는데, 지지바(130)는 용기(50)가 용기(50)의 이송방향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A pair of support bars 130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10 so as to face each other in parallel with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container 50. The support bar 130 has the container 50 outside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container 50. To prevent them from deviating.

프레임(110)의 상면 우측단부측에는 센서(140)가 설치된다. 센서(140)는 용기(50)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송신하며, 제어부(500)는 센서(14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세척장치(200), 살균장치(300) 및 건조장치(400)를 적절한 상태로 제어한다.The sensor 140 is installed on the upper right end side of the frame 110. The sensor 140 detects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5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500, and the control unit 500 receives a signal from the sensor 140 to wash the apparatus 200, the sterilizer 300, and the drying apparatus. Control 400 to an appropriate state.

도 1 및 도 2의 미설명 부호 150은 롤러(121)를 회전시키는 모터이다.Reference numeral 150 in FIGS. 1 and 2 denotes a motor for rotating the roller 121.

세척장치(200)에 대하여 도 1,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척장치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세척장치의 승강프레임이 상승한 상태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세척장치의 승강프레임이 하강한 상태의 결합 사시도이다.The cleaning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3 to 4B. Figure 3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shing apparatus shown in Figure 1, Figure 4a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lifting frame lifting state of the washing apparatus shown in Figure 3, Figure 4b is the lifting frame of the washing apparatus shown in Figure 3 This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ed state.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장치(200)는 투입장치(100)로부터 용기(50)를 전달받아 세척수로 용기(50)의 내부에 저장된 딸기를 세척한다. 용기(50)의 내부에 저장된 딸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용기(50)의 적절한 부위에는 복수의 연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As shown, the washing apparatus 200 receives the container 50 from the input device 100 to wash the strawberry stored in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50 with the washing water.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not shown) are formed at appropriate portions of the container 50 to wash the strawberries stored in the container 50.

세척장치(200)는 바닥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211)을 가진다. 고정프레임(211)의 내부 하측에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장조(220)가 설치되고, 고정프레임(211)의 내부에는 승강프레임(215)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프레임(211)에는 승강프레임(215)의 외면과 접촉하여 승강프레임(215)이 안정되게 승강운동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롤러(212)가 설치된다.The washing apparatus 200 has a fixing frame 211 is installed on the floor. A storage tank 220 in which the washing water is stored is installed at the lower side of the fixed frame 211, and the lifting frame 215 is installed at the inside of the fixed frame 211 so as to be elevated. The fixed frame 21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rollers 212 that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lifting frame 215 to support the lifting frame 215 to move up and down stably.

승강프레임(215)에는 용기(50)의 이송방향인 승강프레임(215)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을 향하여 복수의 롤러(23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승강프레임(215)이 상사점에 도달하였을 때(도 1 및 도 4a 참조), 롤러(231)의 높이와 투입장치(100)의 이송벨트(125)의 높이는 대략 동일 높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rollers 231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lifting frame 215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of the lifting frame 215, which is a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tainer 50. At this time, when the lifting frame 215 reaches the top dead center (see FIGS. 1 and 4A), the height of the roller 231 and the height of the conveyance belt 125 of the feeding device 100 are located at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desirable.

투입장치(100)의 우측으로 용기(50)가 이송되고, 센서(140)가 신호를 제어부(500)로 송신하면, 제어부(500)는 승강프레임(215)을 상사점에 위치시킨다. 투입장치(100)에서 이송되는 용기(50)는 세척장치(200)의 롤러(231)로 전달되어 롤러(231)에 탑재된다. 롤러(231)는 투입장치(100)로부터 이송된 용기(50)를 탑재시켜 지지함과 동시에 용기(50)를 살균장치(300)로 이송하는 기능도 한다.When the container 50 is transferred to the right side of the feeding device 100, and the sensor 140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500, the control unit 500 places the lifting frame 215 at the top dead center. The container 50 transferred from the feeding device 100 is transferred to the roller 231 of the washing device 200 and mounted on the roller 231. The roller 231 mounts and supports the container 50 transferred from the feeding device 100 and simultaneously transfers the container 50 to the sterilization device 300.

롤러(231)에 탑재된 용기(50)가 롤러(231)의 소정 위치로 위치되면, 제어부(500)에 의하여 승강프레임(215)은 하강한다.When the container 50 mounted on the roller 231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roller 231, the lifting frame 215 is lowered by the control unit 500.

승강프레임(215)의 승강을 위하여 고정프레임(211)의 상면에는 제 1 실린더(241)가 결합된다. 제 1 실린더(241)의 내부에는 제 1 피스톤(245)의 상부측이 삽입되고, 제 1 피스톤(245)의 하단부는 승강프레임(215)에 결합된다. 그리하여, 유압, 공압 또는 전자기력에 의하여 제 1 피스톤(245)이 제 1 실린더(241)의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함에 따라 승강프레임(215)이 승강한다.The first cylinder 241 is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211 for elevating the elevating frame 215. An upper side of the first piston 245 is inserted into the first cylinder 241, and a lower end of the first piston 245 is coupled to the lifting frame 215. Thus, the lifting frame 215 moves up and down as the first piston 245 linearly reciprocates within the first cylinder 241 by hydraulic, pneumatic or electromagnetic force.

승강프레임(215)이 하강되어 하사점에 위치되면, 용기(50)가 저장조(220)의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에 침지된다.When the lifting frame 215 is lowered and positioned at the bottom dead center, the container 50 is immersed in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220.

고정프레임(211)에는 저장조(220)의 세척수에 공기방울을 발생하는 블로워(250)가 설치된다. 블로워(250)에 의하여 발생되는 공기방울은 세척수가 저장 조(220) 내부에서 흐로도록 하고, 흐르는 세척수가 딸기를 세척한다.The fixed frame 211 is provided with a blower 250 for generating air bubbles in the wash water of the reservoir 220. The air bubbles generated by the blower 250 allow the washing water to flow in the storage tank 220, and the flowing washing water washes the strawberries.

롤러(231)와 롤러(231) 사이의 승강프레임(215)의 부위에는 외면에 복수의 토출공이 형성된 연통관(255)이 설치된다. 연통관(255)은 블로워(250)와 연통되며, 승강프레임(215)이 하사점에 도달하였을 때, 저장조(220)의 세척수에 침지되어 공기방울을 발생한다.A communication tube 255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lifting frame 215 between the roller 231 and the roller 231 is installed. The communicating tube 255 communicates with the blower 250, and when the lifting frame 215 reaches the bottom dead center, it is immersed in the washing water of the reservoir 220 to generate air bubbles.

흐르는 세척수에 의하여 용기(50)가 저장조(220)의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프레임(215)에는 용기(50)를 롤러(231)측으로 눌러서 용기(50)가 롤러(231) 상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판(260)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The container 50 may flow in the reservoir 220 by the flowing washing water.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lifting frame 215 is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260 that can be lifted up and down to prevent the container 50 from flowing on the roller 231 by pressing the container 50 toward the roller 231 side.

지지판(260)의 승강운동을 위하여, 승강프레임(215)의 상면에는 제 2 실린더(271)가 결합된다. 제 2 실린더(271)의 내부에는 제 2 피스톤(275)의 상부측이 삽입되고, 제 2 피스톤(275)의 하단부는 지지판(260)에 결합된다. 그리하여, 유압, 공압 또는 전자기력에 의하여 제 2 피스톤(275)이 제 2 실린더(271)의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함에 따라 지지판(270)이 승강한다. 즉, 제 2 피스톤(275)이 상사점에 위치되면, 지지판(260)은 용기(50)와 이격되고, 제 2 피스톤(275)이 하사점에 위치되면 지지판(260)은 용기(50)를 롤러(231)측으로 눌러서 지지한다.For the lifting movement of the support plate 260, the second cylinder 271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frame 215. An upper side of the second piston 275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ylinder 271, and a lower end of the second piston 275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260. Thus, as the second piston 275 linearly reciprocates in the second cylinder 271 by the hydraulic, pneumatic or electromagnetic force, the support plate 270 moves up and down. That is, when the second piston 275 is located at the top dead center, the support plate 260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iner 50, and when the second piston 275 is located at the bottom dead center, the support plate 260 opens the container 50. It presses to the roller 231 side, and is supported.

도 1, 도 3 내지 도 4b의 미설명 부호 235는 롤러(231)를 회전시키는 모터이고, 도 3 내지 도 4b의 미설명 부호 280은 용기(50)가 용기(50)의 이송방향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바이다.Reference numeral 235 of FIGS. 1 and 3 to 4B denotes a motor for rotating the roller 231, and reference numeral 280 of FIGS. 3 to 4B denotes that the vessel 50 moves out of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vessel 50. It is a support bar to prevent it.

세척장치(200)에서 세척된 딸기는 살균장치(300)로 이송되어 살균된다.Strawberries washed in the washing apparatus 200 is transferred to the sterilizing apparatus 300 to be sterilized.

이때, 세척장치(200)와 살균장치(300)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이송장치(100a)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송장치(100a)는 투입장치(10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At this time, a transfer device 100a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washing apparatus 200 and the sterilizing apparatus 300 as necessary. The feeder 100a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eeder 100.

살균장치(300)는 세척장치(20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Sterilization apparatus 300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washing apparatus (20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장치(300)의 고정프레임(311), 지지롤러(312) 승강프레임(315), 저장조(320), 복수의 롤러(331), 모터(335), 제 1 실린더(341), 제 1 피스톤(345), 블로워(350), 연통관(355), 지지판(360), 제 2 실린더(371), 제 2 피스톤(375) 및 지지바(380)의 구성은 세척장치(200)의 고정프레임(211), 승강프레임(215), 저장조(220), 복수의 롤러(231), 모터(235), 제 1 실린더(241) 및 제 1 피스톤(245), 블로워(250), 연통관(255), 지지판(260), 제 2 실린더(271) 및 제 2 피스톤(275) 및 지지바(280)의 의 구성과 각각 동일하다.As shown in FIG. 1, the fixed frame 311, the support roller 312, the lifting frame 315, the storage tank 320, the plurality of rollers 331, the motor 335, and the first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300 are provided. The configuration of the cylinder 341, the first piston 345, the blower 350, the communication tube 355, the support plate 360, the second cylinder 371, the second piston 375 and the support bar 380 is washed. Fixed frame 211, lifting frame 215, reservoir 220, a plurality of rollers 231, motor 235, the first cylinder 241 and the first piston 245, blower of the device 200 ( 250, the communication tube 255, the support plate 260, the second cylinder 271 and the second piston 275 and the support bar 280 are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each.

다만, 살균장치(300)의 저장조(320)에는 살균수인 전해수가 저장된다. 따라서, 살균장치(300)의 블로워(350)에 의하여 발생하는 공기방울에 의하여 전해수가 흐르면서 딸기를 살균한다.However, the storage tank 320 of the sterilization device 300 is stored electrolytic water as sterilization water. Accordingly, the electrolytic water flows through the air bubbles generated by the blower 350 of the sterilizer 300 to sterilize the strawberries.

이송장치(100a)에도 센서(140a)가 설치되는데, 센서(140a)에서 용기(50)를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송신하면, 제어부(500)는 살균장치(300)를 제어하여 승강프레임(315)을 상사점으로 이동시킨다.The sensor 140a is also installed in the transfer apparatus 100a. When the sensor 140a detects the container 5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500,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sterilization apparatus 300 to raise and lower the frame. Move 315) to top dead center.

살균장치(300)에서 딸기의 살균이 완료되면, 살균장치(300)의 롤러(331)에 의하여 용기(50)가 건조장치(400)로 이송된다. 이때, 살균장치(300)와 건조장치(400)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이송장치(100b)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송장치(100b)는 투입장치(10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When the sterilization of strawberries in the sterilization apparatus 300 is completed, the container 50 is transferred to the drying apparatus 400 by the roller 331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300. At this time, a transfer device 100b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sterilization device 300 and the drying device 400 as necessary. The feeder 100b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eeder 100.

건조장치(400)에 대하여 도 1,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건조장치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노즐의 확대도이다.The drying apparatus 4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5A, and 5B. 5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drying apparatus shown in FIG. 1, and FIG. 5B is an enlarged view of the nozzle shown in FIG. 5A.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장치(400)는 프레임(410)을 가진다. 프레임(410)에는 용기(50)의 이송방향인 프레임(410)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을 향하여 복수의 롤러(42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롤러(421)에는 롤러(421)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폐회로를 이루면서 롤러(421)에 의하여 회전하는 이송벨트(425)가 설치된다.As shown, the drying apparatus 400 has a frame 410. A plurality of rollers 421 are rotatably installed in the frame 410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of the frame 410, which is a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tainer 50. The roller 421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roller 421, and a conveying belt 425 is installed to rotate by the roller 421 while forming a closed circuit.

이송벨트(425)에는 살균장치(300)에 살균된 딸기가 저장된 용기(50)가 탑재되며, 용기(50)가 탑재되면, 이송벨트(425)는 프레임(410)의 중앙부측으로 이송한다.The transfer belt 425 is equipped with a container 50 in which the sterilized strawberries are stored in the sterilization apparatus 300. When the container 50 is mounted, the transfer belt 425 transfers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frame 410.

프레임(410)의 상면에는 한쌍의 지지바(430)가 용기(50)의 이송방향과 평행을 이루면서 대향되게 설치되는데, 지지바(430)는 용기(50)가 용기(50)의 이송방향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A pair of support bars 430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410 so as to face each other in parallel with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container 50. The support bar 430 has a container 50 outside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container 50. To prevent them from deviating.

프레임(410)의 일측에는 압축기(440)가 설치되고, 프레임(410)의 상면 중앙부측에는 압축기(440)와 연통되며 용기(50)측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용기(50)에 저장된 딸기를 건조하는 노즐(45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A compressor 44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rame 410, and a nozz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mpressor 440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410 and spraying air to the container 50 to dry strawberries stored in the container 50. 450 is rotatably installed.

이송장치(100b)에도 센서(140b)가 설치되는데, 센서(140b)에서 용기(50)를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송신하면, 제어부(500)는 건조장치(400)의 모터(450)를 구동시켜 이송벨트(425)를 회전시킨다.The sensor 140b is also installed in the transfer device 100b. When the sensor 140b senses the container 50 and transmits the detected container 50 to the control unit 500,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motor 450 of the drying apparatus 400. Drive to rotate the conveyance belt 425.

노즐(450)은 용기(50)측으로 분사되는 공기의 분사각도에 의하여 회전하는 데, 노즐(450)의 회전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e nozzle 450 is rotated by the injection angle of air injected into the container 50 side, and the rotating structure of the nozzle 4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프레임(410)의 상면 중앙부측에는 일측이 압축기(440)와 연통된 연결관(445)가 설치된다.On the central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410, one side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ipe 445 in communication with the compressor 440.

노즐(450)은 연결관(445)의 타측에 중앙부측이 연통 지지되며 연결관(445)과 수직을 이루는 지지관(451), 지지관(451)의 양단부측에서 각각 벤딩 형성되어 지지관(451)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을 이루며 지지관(451)과 평행하는 방향 및 지지관(451)에 수직하는 방향과 각각 소정 각도를 가지는 한쌍의 토출관(455)을 가진다.The nozzle 45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pipe 445, the central 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support pipe 451 perpendicular to the connecting pipe 445, bent formed on both ends of the support pipe 451, respectively, the support pipe ( 451 has a pair of discharge pipes 455 which are point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and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pport pipe 451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pipe 451.

즉, 토출관(455)은 가상의 수평선과 평행하는 지지관(451)의 양단부측에서 하측으로 대략 90°벤딩 형성된다. 그리고, 토출관(455)은 지지관(451)을 상하방향으로 연장한 가상의 수직면에 대하여 상호 반대방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진다.That is, the discharge pipe 455 is formed to be bent approximately 90 degrees downward from both end portions of the support pipe 451 parallel to the virtual horizontal line. The discharge tube 455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imaginary vertical plane that extends the support tube 451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하여, 토출관(455)을 통하여 압축기(440)의 공기가 토출되어 딸기에 부딪히면, 토출관(455)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토출관(455)에는 반력이 작용한다. 그런데, 토출관(455)에 작용하는 반력은 지지관(451)을 상하방향으로 연장한 가상의 수직면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지지관(451)이 연결관(445)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다.Thus, when the air of the compressor 440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tube 455 to hit the strawberry, a reaction force acts on the discharge tube 455 b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tube 455. However, the reaction force acting on the discharge tube 455 acts in the opposit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maginary vertical plane which extends the support tube 451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support tube 451 rotates about the connection tube 445. will be.

지지관(451)이 회전하므로, 토출관(455)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용기(50)에 저장된 딸기 전체에 골고루 미친다. 따라서, 딸기의 표면 전체가 골고루 건조된다.Since the support tube 451 rotate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tube 455 spreads evenly over the whole strawberry stored in the container 50. Thus, the entire surface of the strawberry is evenly dried.

도 1 및 도 5의 미설명 부호 450은 롤러(421)를 회전시키는 모터이다.Reference numeral 450 in FIGS. 1 and 5 denotes a motor for rotating the roller 421.

제어부(500)는 투입장치(100)에 설치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딸기 세정 시스 템을 제어한다. 제어부(500)는 투입장치(100) 뿐만 아니라 적절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0 is installed in the input device 100, and controls the strawberry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ontroller 500 may be installed as well as the input device 100.

본 실시예에 따른 딸기 세정 시스템의 동작을 도 1, 도 6a 내지 6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딸기 세정 시스템의 동작을 보인 개략 정면도이다.The operation of the strawberry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6A to 6E. 6A-6E are schematic front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strawberry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장치(100)의 이송벨트(125)에 딸기가 저장된 용기(50)를 올려놓고 전원을 온(On)하면, 모터(150)가 구동하면서, 이송벨트(125)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이송벨트(125)에 탑재된 용기(50)가 세척장치(200)측으로 이송된다.As shown in FIG. 6A, when a container 50 storing strawberries is placed on the transfer belt 125 of the feeding device 100 and the power is turned on, the motor 150 drives and the transfer belt 125 is driven. Rotate). Then, the container 50 mounted on the transfer belt 125 is transferred to the washing apparatus 200 side.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50)가 세척장치(200)측으로 이송되면 센서(140)가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신호를 송신한다. 그러면, 제어부(500)는 세척장치(200)의 승강프레임(215)을 상사점에 위치시키고, 용기(50)는 승강프레임(215)에 설치된 롤러(231)로 이송된다.As shown in FIG. 6B, when the container 50 is transferred to the washing apparatus 200, the sensor 140 detects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ler 500. Then, the control unit 500 locates the lifting frame 215 of the washing apparatus 200 at the top dead center, and the container 50 is transferred to the roller 231 installed in the lifting frame 215.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장치(200)의 롤러(231)에 의하여 용기(50)가 소정 위치로 이송되면, 제어부(500)는 지지판(260)을 하강시켜 용기(50)를 지지하게 하고, 승강프레임(215)을 하강시켜 용기(50)를 저장조(220)의 세척수에 침지시킨다.As shown in FIG. 6C, when the container 50 is transferred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roller 231 of the washing apparatus 200, the control unit 500 lowers the support plate 260 to support the container 50. Then, the lifting frame 215 is lowered to immerse the container 50 in the wash water of the storage tank 220.

그후, 제어부(500)는 블로워(250)를 구동시켜 저장조(220) 내부의 세척수에 공기방울이 발생되고 하고, 공기방울이 발생되면 세척수가 흐르면서 딸기를 세척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500 drives the blower 250 to generate air bubbles in the wash water inside the reservoir 220, and when the air bubbles are generated, the washing water flows to wash the strawberries.

설정된 시간동안 딸기가 세척되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0)는 승강프레임(215)을 상사점으로 이동시키고, 지지판(260)을 상사점(260)을 이동시킨다. 승강프레임(215)이 상사점으로 이동되면 롤러(231)가 회전하여 용기(50)를 이송장치(100a)로 이송시킨다.When the strawberry is washed for a predetermined time, as shown in FIG. 6D, the controller 500 moves the lifting frame 215 to the top dead center, and moves the support plate 260 to the top dead center 260. When the lifting frame 215 is moved to the top dead center, the roller 231 rotates to transfer the container 50 to the transfer device 100a.

이송장치(100a)는 용기(50)를 살균장치(300)로 이송시킨다.The transfer apparatus 100a transfers the container 50 to the sterilization apparatus 300.

살균장치(300)로 용기(50)가 이송되면, 전술한 세척장치(200)의 동작과 동일하게 제어부(500)는 살균장치(400)를 제어한다.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하여 딸기의 살균이 완료되면, 용기(50)는 이송장치(100b)를 통해서 건조장치(400)로 이송된다.When the container 50 is transferred to the sterilization apparatus 300, the controller 500 controls the sterilization apparatus 400 in the same manner as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apparatus 200 described above. When the sterilization of the strawberries is complet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00, the container 50 is transferred to the drying apparatus 400 through the transfer apparatus 100b.

용기(50)가 건조장치(400)의 이송벨트(425)에 의하여,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위치로 이송되면, 제어부(500)는 압축기(440)의 공기가 노즐(450)를 통하여 용기(50)측으로 토출되게 한다. 그러면, 노즐(450)은 회전하면서 딸기를 건조하는 것이다.When the container 50 is transferr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transfer belt 425 of the drying apparatus 400, as shown in FIG. 6E,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at the air of the compressor 440 opens the nozzle 450. Discharge to the container 50 side through. Then, the nozzle 450 is to dry the strawberry while rotating.

본 실시예에 따른 딸기 세정 시스템은 딸기를 세척, 살균 및 건조하여 처리하므로 딸기를 청결하게 세정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으로 건조하므로, 대단히 편리하다. 그리고, 세척, 살균 및 건조하여 딸기를 처리하므로 신선한 상태로 장시간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다.Strawberry was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washed, sterilized and dried to process the strawberry to clean the strawberry. And since it dries automatically, it is very convenient. In addition, since the strawberry is treated by washing, sterilizing and drying, it can be stored and used for a long time in a fresh state.

본 실시예에 따른 딸기 세정 시스템의 세척장치(200)와 살균장치(300)는 동일한 구성으로, 저장조(220,320)에 저장되는 물질의 종류만 다르다. 따라서, 저장저(220,320)에 저장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독립적인 세척/살균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The washing apparatus 200 and the sterilizing apparatus 300 of the strawberry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only the kind of the substance stored in the storage tanks 220 and 320 is different. Therefore, it can be used as an independent washing / sterilizing device according to the type of material stored in the reservoir (220,320).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딸기 세정 시스템의 건조장치(400)도 독립적인 건조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ying apparatus 400 of the strawberry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also be used as an independent drying apparatu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f cour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딸기 세정 시스템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awberry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투입장치의 확대 사시도.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input device shown in FI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척장치의 확대 분해 사시도.Figure 3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shing apparatus shown in FIG.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세척장치의 승강프레임이 상승한 상태의 결합 사시도.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ft frame lifted state of the washing apparatus shown in FIG.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세척장치의 승강프레임이 하강한 상태의 결합 사시도.Figure 4b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lifting frame lowered state of the washing apparatus shown in FIG.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건조장치의 확대 사시도.Figure 5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drying apparatus shown in FIG.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노즐의 확대도.5B is an enlarged view of the nozzle shown in FIG. 5A.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딸기 세정 시스템의 동작을 보인 개략 정면도.6A-6E are schematic front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strawberry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투입장치 200 : 세척장치100: input device 200: cleaning device

300 : 살균장치 400 : 건조장치300: sterilizer 400: drying device

500 : 제어부500: control unit

Claims (26)

일측으로 유입된 복수의 딸기가 저장된 용기를 타측으로 이송하여 사용처로 투입하는 투입장치;An input device which transfers a container in which a plurality of strawberries introduced to one side are stored to the other side and is input to a use place; 상기 투입장치로부터 상기 용기를 전달받아 세척수로 상기 딸기를 세척하는 세척장치;A washing device for washing the strawberries with washing water by receiving the container from the feeding device; 상기 세척장치로부터 상기 용기를 전달받아 상기 딸기를 살균하는 살균장치;A sterilizer for sterilizing the strawberries by receiving the container from the washing device; 상기 살균장치로부터 상기 용기를 전달받아 상기 딸기를 건조하는 건조장치;A drying device receiving the container from the sterilization device and drying the strawberry; 상기 투입장치, 상기 세척장치, 상기 살균장치 및 상기 건조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세정 시스템.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eeding device, the washing device, the sterilizing device, and the dry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투입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를 상기 세척장치로 이송하는 이송벨트;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가 상기 용기의 이송방향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쌍의 지지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세정 시스템.The input device is a frame; A conveyance belt installed on the frame to convey the container to the cleaning device; And a pair of support bars installed on the frame to prevent the container from escaping outward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용기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세정 시스템.Strawberry frame clea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is installed in the frame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and transmits to the controll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세척장치는 바닥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며 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장조;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장치에서 이송된 상기 용기가 탑재되며, 승강하면서 상기 용기를 상기 저장조의 세척수로부터 빼내고 침지시키는 승강프레임; 상기 용기가 상기 저장조의 세척수에 침지되었을 때, 상기 세척수에 공기방울을 발생하여 상기 세척수가 상기 저장조 내부에서 흐르도록 하는 블로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세정 시스템.The washing device is a fixed frame installed on the floor; A storage tank located inside the fixed frame and storing wash water; An elevating frame mounted to the inside of the fixed frame so as to be elevated, and mounted with the container transferred from the feeding device, and lifting and dipping the container from the washing water of the reservoir while being elevated; When the container is immersed in the wash water of the reservoir, strawberry washing system comprising a blower to generate air bubbles in the wash water to flow the wash water inside the reservoir.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승강프레임과 접촉하여 상기 승강프레임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지지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세정 시스템.The fixed frame is a strawberry clea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roller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lifting frame to guide the lifting movement of the lifting fram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제 1 실린더가 결합되고,The first cylinder is coupled to the fixed frame, 상기 제 1 실린더의 내부에는 일측이 상기 승강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제 1 피스톤의 타측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세정 시스템.The inside of the first cylinder strawberry clea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is coupled to the lifting fram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iston for lifting the lifting frame is inserted.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승강프레임에는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사점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투입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용기가 탑재됨과 동시에 상기 용기를 상기 살균장치로 전달하는 복수의 롤러가 설치되고,When the elevating frame reaches the top dead center, a plurality of rollers are installed to transfer the container to the sterilization device at the same time as the container transported from the feeding device is mounted, 상기 승강프레임에는 상기 롤러에 탑재된 상기 용기가 상기 용기의 이송방향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쌍의 지지바가 대향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세정 시스템.And a pair of support bars are installed on the elevating frame so that the container mounted on the roller is prevented from escaping outward in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container.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승강프레임에는 상기 용기를 상기 롤러측으로 지지하여 상기 용기가 상기 롤러 상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판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The lifting frame is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for lifting up and down to support the container to the roller side to prevent the container from flowing on the roller, 상기 승강프레임에는 제 2 실린더가 결합되며,The second cylinder is coupled to the lifting frame, 상기 제 2 실린더의 내부에는 일측이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을 승강시키는 제 2 피스톤의 타측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세정 시스템.The inside of the second cylinder strawberry clea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iston for lifting the support plate is inserted.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승강프레임에는 상기 블로워와 연통되고 외면에는 복수의 토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이 하사점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저장조의 세척수에 침지되어 공기방울을 발생하는 연통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세정 시스템.The elevating fram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blower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when the elevating frame reaches the bottom dead center, strawberry wash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tube is installed in the reservoir to be immersed in the wash water to generate air bubbles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살균장치는 바닥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며 살균수가 저장되는 저장조;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세척장치에서 이송된 상기 용기가 탑재되며, 승강하면서 상기 용기를 상기 저장조의 살균수로부터 빼내고 침지시키는 승강프레임; 상기 용기가 상기 저장조의 살균수에 침지되었을 때, 상기 살균수에 공기방울을 발생하여 상기 세척수가 상기 저장조 내부에서 흐르도록 하는 블로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세정 시스템.The sterilization device is a fixed frame installed on the floor; A storage tank located inside the fixed frame and storing sterilization water; An elevating frame mounted to the inside of the fixed frame so as to be lifted and mounted with the vessel transported from the washing apparatus, and lifting and dipping the vessel from the sterilizing water of the reservoir while lifting; And a blower that generates air bubbles in the sterilizing water when the container is immersed in the sterilizing water of the storage tank so that the washing water flows inside the storage tank. 제 10 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승강프레임과 접촉하여 상기 승강프레임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지지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세정 시스템.The fixed frame is a strawberry clea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roller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lifting frame to guide the lifting movement of the lifting frame. 제 10 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제 1 실린더가 결합되고,The first cylinder is coupled to the fixed frame, 상기 제 1 실린더의 내부에는 일측이 상기 승강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제 1 피스톤의 타측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세정 시스템.The inside of the first cylinder strawberry clea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is coupled to the lifting fram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iston for lifting the lifting frame is inserted. 제 10 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승강프레임에는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사점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세척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용기가 탑재됨과 동시에 상기 용기를 상기 건조장치로 전달하는 복수의 롤러가 설치되고,When the lifting frame reaches the top dead center, a plurality of rollers are installed to transfer the container to the drying device at the same time as the container transported from the washing device is mounted, 상기 승강프레임에는 상기 롤러에 탑재된 상기 용기가 상기 용기의 이송방향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쌍의 지지바가 대향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세정 시스템.And a pair of support bars are installed on the elevating frame so that the container mounted on the roller is prevented from escaping outward in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container.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승강프레임에는 상기 용기를 눌러서 상기 용기가 상기 롤러 상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판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The lifting frame is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container to prevent the container from flowing on the roller by pressing the container, 상기 승강프레임에는 제 2 실린더가 결합되고,A second cylinder is coupled to the lifting frame, 상기 제 2 실린더의 내부에는 일측이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을 승강시키는 제 2 피스톤의 타측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세정 시스템.The inside of the second cylinder strawberry clea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iston for lifting the support plate is inserted. 제 10 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승강프레임에는 상기 블로워와 연통되고 외면에는 복수의 토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이 하사점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저장조의 세척수에 침지되어 공기방울을 발생하는 연통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세정 시스템.The elevating fram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blower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when the elevating frame reaches the bottom dead center, strawberry wash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tube is installed in the reservoir to be immersed in the wash water to generate air bubbles system. 제 10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5, 상기 살균수는 전해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세정 시스템.Strawberry clea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rilizing water is electrolytic wat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건조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살균장치에서 이송된 상기 용기를 이송하는 이송벨트;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가 상기 용기의 이송방향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쌍의 지지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압축기; 상기 압축기와 연통되며 상기 이송벨트에 탑재된 상기 용기측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딸기를 건조하는 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세정 시스템.The drying device is a frame; A conveying belt installed on the frame and conveying the container conveyed by the sterilizer; A pair of support bars installed on the frame to prevent the container from being separated out of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container; A compress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ame; And a nozzle communicating with the compressor and spraying air toward the container side mounted on the conveyance belt to dry the strawberry. 제 1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압축기와 일측이 연통된 연결관이 설치되고,The frame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ipe in communication with one side of the compressor, 상기 노즐은 상기 연결관의 타측에 연통 지지되어 분사되는 공기의 각도에 의하여 상기 연결관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세정 시스템.The nozzle is a strawberry clea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rotated relative to the connection tube by the angle of the air is supported and spray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tube. 제 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노즐은 상기 연결관의 타측에 중앙부측이 연통 지지되어 상기 연결관과 수직을 이루는 지지관, 상기 지지관의 양단부측에서 각각 벤딩 형성되어 상기 지지관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을 이루며 상기 지지관과 평행하는 방향 및 상기 지지관에 수직하는 방향과 각각 소정 각도를 가지는 한쌍의 토출관을 가지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딸기 세정 시스템.The nozzl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tube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tube perpendicular to the connection tube, both ends of the support tube are formed bent to form a point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upport tube and the support tube And a pair of discharge tubes each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tube. 바닥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A fixed frame installed on the floor;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며 세척수 또는 살균수가 저장되는 저장조;A storage tank located inside the fixed frame and storing washing water or sterilizing water;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승강프레임;An elevating frame installed to be movable inside of the fixed frame; 상기 승강프레임에 설치되고, 딸기가 저장된 용기가 탑재됨과 동시에 상기 승강프레임의 일측으로 전달된 상기 용기를 상기 승강프레임의 타측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승강프레임에 승강함에 따라 상기 용기를 상기 저장조의 내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용기로부터 빼내는 복수의 롤러;The container is installed in the lifting frame, and the container in which the strawberry is stored is mounted and the container delivered to one side of the lifting frame is transferred to the other side of the lifting frame. A plurality of rollers positioned and withdrawn from said container; 상기 승강프레임이 하사점에 도달하여 상기 용기가 상기 저장조의 내부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저장조의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 또는 살균수에 공기방울을 발생하는 블로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살균장치.And a blower for generating air bubbles in the washing water or the sterilizing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when the lifting frame reaches the bottom dead center and the container is positioned inside the storage tank. 제 2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승강프레임과 접촉하여 상기 승강프레임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지지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살균장치.The fixed frame washing / steriliz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roller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lifting frame to guide the lifting movement of the lifting frame.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제 1 실린더가 결합되고,The first cylinder is coupled to the fixed frame, 상기 제 1 실린더의 내부에는 일측이 상기 승강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제 1 피스톤의 타측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살균장치.Washing / steriliz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is coupled to the lifting frame inside the first cylinder,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iston for lifting the lifting frame.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승강프레임에는 상기 용기를 눌러서 상기 용기가 상기 롤러 상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판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The lifting frame is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container to prevent the container from flowing on the roller by pressing the container, 상기 승강프레임에는 제 2 실린더가 결합되고,A second cylinder is coupled to the lifting frame, 상기 제 2 실린더의 내부에는 일측이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을 승강시키는 제 2 피스톤의 타측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살균장치.Washing / steriliz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iston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cylinder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to lift the support plate.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승강프레임에는 상기 블로워와 연통되고 외면에는 복수의 토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이 하사점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저장조의 내부에 위치되어 공기방울을 발생하는 연통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살균장치.The elevating fram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blower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when the elevating frame reaches the bottom dead center, the communication tube is installed inside the reservoir to generate air bubb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hing / Sterilizer.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일측으로 유입된 상기 용기를 상기 프레임의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벨트;A conveyance belt installed on the frame to convey the container introduced to one side of the frame to the other side of the frame;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가 상기 용기의 이송방향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쌍의 지지바;A pair of support bars installed on the frame to prevent the container from being separated out of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container;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압축기;A compress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ame; 상기 압축기와 연통되어 상기 이송벨트에 탑재된 상기 용기측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딸기를 건조하며, 분사되는 공기의 각도에 의하여 회전하는 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And a nozzle in communication with the compressor to inject air toward the container side mounted on the conveyance belt to dry the strawberry, and to rotate by the angle of the injected air. 제 2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노즐은 상기 압축기와 일측이 연통된 연결관의 타측에 중앙부측이 연통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과 수직을 이루는 지지관, 상기 지지관의 양단부측에서 각각 벤딩 형성되어 상기 지지관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을 이루며 상기 지지관과 평행하는 방향 및 상기 지지관에 수직하는 방향과 각각 소정 각도를 가지는 한쌍의 토출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The nozzle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tube in communication with one side of the compressor is rotatably installed, the support tube perpendicular to the connection tube, the bending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tube, respectively, the support tube Drying apparatus comprising a pair of discharge pipe forming a point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and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pport tube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tube.
KR1020090122274A 2009-12-10 2009-12-10 Strawberry cleaning up system, strawberry washing/sterizing apparatus utilized to the same and strawberry drying apparatus utilized to the same KR1012120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274A KR101212050B1 (en) 2009-12-10 2009-12-10 Strawberry cleaning up system, strawberry washing/sterizing apparatus utilized to the same and strawberry drying apparatus utilized to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274A KR101212050B1 (en) 2009-12-10 2009-12-10 Strawberry cleaning up system, strawberry washing/sterizing apparatus utilized to the same and strawberry drying apparatus utilized to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671A true KR20110065671A (en) 2011-06-16
KR101212050B1 KR101212050B1 (en) 2012-12-13

Family

ID=44398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274A KR101212050B1 (en) 2009-12-10 2009-12-10 Strawberry cleaning up system, strawberry washing/sterizing apparatus utilized to the same and strawberry drying apparatus utilized to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05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152B1 (en) * 2011-11-02 2013-07-17 (주)진공플랜트 agitating apparatus of cleaning and drying chamber
CN103767051A (en) * 2014-01-22 2014-05-07 佛山市三水粤山装饰实业有限公司 Cassava drying production line and process for drying cassava by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651B1 (en) * 2006-05-08 2007-01-05 한국식품연구원 Fruit and vegetable washing method and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152B1 (en) * 2011-11-02 2013-07-17 (주)진공플랜트 agitating apparatus of cleaning and drying chamber
CN103767051A (en) * 2014-01-22 2014-05-07 佛山市三水粤山装饰实业有限公司 Cassava drying production line and process for drying cassava by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2050B1 (en) 201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678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cup
CN202526630U (en) Full-automatic medical cleaning and disinfecting machine
CN113042443B (en) Cleaning and disinfecting device based on packing of multiplexing medical instrument
CN110773508A (en) Metal surgical operation instrument's disinfection cleaning equipment
KR101212050B1 (en) Strawberry cleaning up system, strawberry washing/sterizing apparatus utilized to the same and strawberry drying apparatus utilized to the same
KR20110082202A (en) Sterilization treatment apparatus of shopping cart handle
JP2894545B2 (en) Automatic dishwasher
CN211301291U (en) Empty tank body automatic disinfection device
CN205526598U (en) Flat push device
JP2013189209A (en) Cleaning and filling apparatus
KR101636900B1 (en) Bottle sterilizers device
KR101994068B1 (en) Apparatus for washing and drying dish
CN113207350B (en) Disinfecting equipment for storing seeds and using method thereof
CN214976287U (en) Cupping glass self-cleaning drying device
CN213162180U (en) Storage battery surface cleaning machine
JP2007144256A (en) Laundry cart cleaning apparatus
JP200811032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shing and drying container vessel
CN109530371B (en) Egg tray automatic cleaning machine and double-line egg tray automatic cleaning machine
CN209577671U (en) A kind of bottle washing apparatus for veterinary drug production
CN210059109U (en) Automatic cleaning machine for rotating cage
CN114180288A (en) Logistics cache channel
CN209953333U (en) Ultrasonic medical equipment's belt cleaning device
CN215031785U (en) Bottle cleaning and sterilizing device
CN216417843U (en) Automatic sterilizing equipment for beverage filling barrel
CN220572431U (en) Medical supplies degass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