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5311A -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5311A
KR20110065311A KR1020100102348A KR20100102348A KR20110065311A KR 20110065311 A KR20110065311 A KR 20110065311A KR 1020100102348 A KR1020100102348 A KR 1020100102348A KR 20100102348 A KR20100102348 A KR 20100102348A KR 20110065311 A KR20110065311 A KR 20110065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tact
fitting
retaine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3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77755B1 (en
Inventor
유이치 사이토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65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3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7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PURPOSE: A connector is provided to integrate a contact and a retainer by insert molding. CONSTITUTION: A connector(100) comprises a plurality of contacts respectively having a contact portion, a shell(400) having a shell fitting portion(410), and a retainer(300) holding the contact. The other fit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hell fitting portion. The shell fitting portion surrounds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ntact. The retainer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and a supporting portion. The supporting portion is expanded from the main body portion from the front end of the contact to the front. The supporting portion supports a part of the shell fitting portion.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Connector {CONNECTOR}

본 발명은, 기판에 탑재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넥터가 기판에 탑재된 상태에 있어서 감합(嵌合; 끼워맞춤)부가 기판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mounted on a bo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in which a fitting portion is separated from a board in a state where a connector is mounted on a board.

이 종류의 커넥터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공개특허공보 평11-40271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의 커넥터는, 셸과 리테이너를 탄성 계합(engagement)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특허문헌 1의 커넥터는, 상대방 커넥터의 비틀림에 대하여 강한 구조를 갖고 있다.As this kind of connector, there exist some which were disclosed by patent document 1 (Unexamined-Japanese-Patent No. 11-40271), for example. The connector of patent document 1 elastically engages a shell and a retainer. Thereby, the connector of patent document 1 has a strong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twist of the counterpart connector.

그러나, 더욱 강도가 높은 구조를 갖는 커넥터에 대한 요망이 있다.However, there is a desire for a connector having a higher strength structure.

또한, 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해, 콘택트와 리테이너를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조를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다.Moreover, in order to miniaturize a connector, the method of integrating a contact and a retainer by insert molding is propos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form the structur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by insert molding.

본 발명은,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높은 강도를 갖는 새로운 구조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of a new structure having high strength while miniaturizing.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커넥터로서, 상대방 감합부를 갖는 상대방 커넥터와 전후 방향을 따라서 감합 접속하는 커넥터가 얻어진다. 상기 커넥터는, 접촉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상대방 감합부가 삽입되는 셸 감합부와, 상기 콘택트를 보지(保持)하는 리테이너를 갖고 있다. 상기 셸 감합부는,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소정면 내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의 상기 접촉부를 둘러싸는 것이다. 상기 리테이너는, 본체부와,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콘택트의 선단부(先端部)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셸 감합부의 일부를 지지한다.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connector which fits and connects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with the counterpart connector which has a counterpart fitting part is obtained as a 1st connector. The connector has a plurality of contacts each having a contact portion, a shell fitting portion into which the counterpart fitting portion is inserted, and a retainer holding the contact. The shell fitting portion surrounds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ntact in a predetermined surface orthogonal to the front-back direction. The retainer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The said support part extends forward from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said contact from the said main body part, and supports a part of said shell fitting par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에 포함되는 리테이너 및 콘택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리테이너 및 콘택트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리테이너 및 콘택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커넥터를 기판에 부착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상대방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커넥터와 도 8의 상대방 커넥터와의 감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커넥터는, 기판에 부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도 10은 도 1의 커넥터와 도 8의 상대방 커넥터와의 감합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여러 가지 형태를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특정 실시 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여기에 개시한 특정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첨부한 청구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connector of FIG. 1. FIG.
3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the connector of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tainer and a contact included in the connector of FIG. 1.
FIG. 5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the retainer and the contact of FIG. 4. FIG.
FIG. 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retainer and the contact of FIG. 4. FIG.
FIG. 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of FIG. 2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boar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unterpart connector;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tting state between the connector of FIG. 1 and the counterpart connector of FIG. 8. The connector is attached to the board and fixed.
10 is anothe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tting state between the connector of FIG. 1 and the counterpart connector of FIG. 8.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or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s shown in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drawings and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herein, but include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all of which ar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

도 1 내지 도 3 그리고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100)는, X 방향(전후 방향:감합 방향)을 따라서 상대방 커넥터(500)와 감합 접속하는 것이다.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대방 커넥터(500)는, 상대방 감합부(510)를 구비하고 있다. 상대방 감합부(510)는 커넥터(100)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대방 커넥터(500)와 커넥터(100)와는 감합하여 서로 접속된다. 상대방 커넥터(500)에는, 커넥터(100)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구(520)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구(520)의 내부에는, 상대방 콘택트(530)가 배설되어 있다.1 to 3 and 8 to 10, the connecto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mating connector 500 along the X direction (front and rear direction: fitting direction). As shown in FIG. 8, the counterpart connector 500 includes a counterpart fitting part 510. The other fitting part 51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100. Accordingly, the counterpart connector 500 and the connector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fitting. The counterpart connector 50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opening 520 for accommodating a part of the connector 100. The counterpart contact 530 is arrange | positioned inside the accommodating opening 520.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커넥터(100)는, 복수의 콘택트(200)와,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리테이너(300)와, 금속제의 셸(400)을 구비하고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콘택트(200)와 리테이너(300)와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100)의 강도를 보지함과 함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1 to 3, the connector 100 includes a plurality of contacts 200, a retainer 300 made of an insulator, and a metal shell 400. 4 to 6, the contact 200 and the retainer 300 are integrated by insert molding. Thereby, while maintaining the strength of the connector 100, it can be miniaturized.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콘택트(200)는 Y 방향(횡 방향)으로 늘어 세워진 상태로 리테이너(300)에 보지되어 있다. 각 콘택트(200)는 접촉부(210)와 고정부(220)를 갖고 있다. 접촉부(210)는 상대방 콘택트(500)의 상대방 콘택트(530)와 접촉하는 것이다. 고정부(220)는 기판(600)(도 9 참조)에 접속 고정되는 것이다. 도 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고정부(220)는, 커넥터(100)의 후단(後端; 120)에 위치하고 있다.3, 5, and 6, the plurality of contacts 200 are held by the retainer 300 in a state of being aligned in the Y direction (lateral direction). Each contact 200 has a contact portion 210 and a fixing portion 220. The contact unit 210 contacts the counterpart contact 530 of the counterpart contact 500. The fixing part 220 is fixed to the substrate 600 (see FIG. 9). As understood from FIG. 3, the fixing part 220 is located at the rear end 120 of the connector 100.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리테이너(300)는, 본체부(310)와, 리테이너 감합부(320)와, 지지부(325)를 구비하고 있다. 리테이너 감합부(320)는 대략 판 형상이며, 전방(-X 방향:상대방 커넥터(500)를 커넥터(100)로부터 뽑아내는 방향)을 향하여 본체부(310)의 Y 방향 대략 중앙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지지부(325)는, 한 쌍의 아암부(330)와, 연결부(340)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아암부(330)는, 본체부(310)의 Y 방향 양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연결부(340)는, Y 방향에 있어서 아암부(330)의 사이를 연결한다. 도 5에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체부(310)와, 아암부(330)와, 연결부(340)로 개구(350)가 형성된다.4 to 6, the retainer 300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310, a retainer fitting portion 320, and a support portion 325. The retainer fitting part 320 is substantially plate-shaped, and protrudes from the substantially center part in the Y direction of the main-body part 310 toward the front (-X direction: the direction which pulls out the partner connector 500 from the connector 100). The support part 325 is equipped with the pair of arm part 330 and the connection part 340. As shown in FIG. The pair of arm portions 330 extends forward from both ends in the Y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310. The connection part 340 connects between the arm parts 330 in a Y direction. As shown in FIG. 5, an opening 350 is formed by the main body 310, the arm 330, and the connecting portion 340.

본체부(310)에는, 복수의 콘택트(200)가 매설되어 보지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체부(310)는, 커넥터(100)의 후단(120)을 구성하고 있으며, 셸(400)에 의해 보지된다.In the main body 310, a plurality of contacts 200 are embedded and held. As understood from FIGS. 2 to 4, the main body portion 310 constitutes the rear end 120 of the connector 100 and is held by the shell 400.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리테이너 감합부(320)는, 도 8에 나타나는 상대방 커넥터(500)의 수용구(520)에 수용된다. 리테이너 감합부(320)는, 접촉부(210)를 보지하고 있다. 접촉부(210)는 리테이너 감합부(320)의 하면에 있어서, 상대방 커넥터(500)의 상대방 콘택트(530)와 접촉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5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Z 방향(상하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리테이너 감합부(320)는, 아암부(330) 및 연결부(340)와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리테이너 감합부(320)는, 상방으로부터 본 경우에, 전술한 개구(350) 내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리테이너(300)와 콘택트(200)와는, 복수의 금형을 이용하여 인서트 성형된다. 당해 금형의 가동 방향(이동 방향)은 Z 방향뿐(즉, 한 방향뿐)이다. 개구(350)는, 금형을 구성하는 부품의 한 쪽을 뺄 때에 발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금형의 가동 방향을 한 방향만으로 하고, 그리고, 아암부(330)와 리테이너 감합부(320)를 금형의 가동 방향(Z 방향)에 있어서 겹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서트 성형의 공정을 복잡하게 하는 일 없이, 그리고, 금형의 구성을 심플하게 할 수 있다.4 to 6, the retainer fitting part 3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 520 of the mating connector 500 shown in FIG. 8. The retainer fitting portion 320 holds the contact portion 210. The contact portion 210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tainer fitting portion 32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counterpart contact 530 of the counterpart connector 500. As is apparent from FIG. 5, in the case of viewing along the Z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the retainer fitting portion 320 is form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arm portion 330 and the connecting portion 340. In other words, the retainer fitting part 320 is located in the opening 350 mentioned above when viewed from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retainer 300 and the contact 200 are insert-molded using a some metal mold | die. The movable direction (moving direction) of the said metal mold | die is only a Z direction (namely, only one direction). The opening 350 is generated when one of the parts constituting the mold is removed. Thus, in this embodiment, the movable direction of a metal mold | die is made into only one direction, and the arm part 330 and the retainer fitting part 320 are comprised so that it may not overlap in the movable direction (Z direction) of a metal mold | die. Thereby, the structure of a metal mold | die can be simplified, without complicating the process of insert molding.

리테이너(300)에 형성된 아암부(330) 및 연결부(34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셸(400)에 대해서 설명한다.Before describing the arm part 330 and the connection part 340 formed in the retainer 300 in detail, the shell 4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셸(400)은, 셸 감합부(410)를 구비하고 있다. 셸 감합부(410)는, 콘택트(200)의 접촉부(210)와 리테이너 감합부(320)를 YZ 평면 내에 있어서 둘러싸는 것이다. 셸 감합부(410)에는, 상대방 커넥터(500)의 상대방 감합부(510)가 삽입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셸(400)은, 1매의 금속판을 펀칭 가공하여 블랭크를 얻은 후, 당해 블랭크를 절곡 형성하여 얻어진다. 도 3에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셸(400)은, 블랭크의 단부(端部)끼리 구성되는 이음부(맞댐부)(414)를 갖고 있다. 이음부(414)는, 셸 감합부(4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셸 감합부(410)의 하측의 부위는, 피(被)지지부(420)와, 감합 하주부(下主部; 430)를 갖고 있다. 피지지부(420)는, Y 방향 양단에 위치하고 그리고 X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판 형상의 부위이다. 감합 하주부(430)는, 피지지부(420)보다도 상방(+Z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이음부(414)는 감합 하주부(430)의 Y 방향 대략 중앙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단, 셸 감합부(410)의 전단(前端;412)의 형상은, 상대방 커넥터(500)의 상대방 감합부(510)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며,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1 to 6, the shell 400 includes a shell fitting portion 410. The shell fitting portion 410 surrounds the contact portion 210 and the retainer fitting portion 320 of the contact 200 in the YZ plane. The other mating portion 510 of the mating connector 500 is inserted into the shell fitting portion 410. The shell 40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obtained by punching a metal plate and obtaining a blank, and then bending and forming the said blank. As shown well in FIG. 3, the shell 400 has a joint part (butt part) 414 formed between end portions of the blank. The joint 414 is located under the shell fitting part 410. In detail, the site | part below the shell fitting part 41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has the to-be-supported part 420 and the fitting lower peripheral part 430. As shown in FIG. The supported portion 420 is an elongated plate-shaped portion located at both ends in the Y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X direction. The fitting lower peripheral part 430 is located above (+ Z direction) than the to-be-supported part 420. FIG. The joint 414 is located near the center in the Y direction of the fitting lower peripheral part 430. However, the shape of the front end 412 of the shell fitting part 410 is determined by the counterpart fitting part 510 of the counterpart connector 500, and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by this embodiment.

도 1에 나타나는 커넥터(100)의 조립은, 접촉부(210)와 그것을 보지하는 리테이너 감합부(320)를 셸 감합부(410)의 후단측으로부터 셸 감합부(410) 내에 삽입하고, 리테이너 감합부(320)를 셸 감합부(410) 내에 배치함으로써 행한다. 리테이너(300)의 본체부(310)는, 셸 감합부(410)의 후단에 있어서 보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셸(400)에는, 4개의 포스트(440)가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커넥터(100)의 사용시에 있어서는, 이들 포스트(440)는 기판(600)의 스루홀(through hole)에 삽입되어, 납땜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100)는 기판(600)에 부착되어, 고정된다.The assembly of the connector 100 shown in FIG. 1 inserts the contact part 210 and the retainer fitting part 320 which hold | maintains it in the shell fitting part 410 from the rear end side of the shell fitting part 410, and a retainer fitting part. This is done by placing 320 in the shell fitting portion 410. The main body portion 310 of the retainer 300 is held at the rear end of the shell fitting portion 410. Four posts 440 are formed in the shell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in the use of the connector 100, these posts 440 are inserted into through holes of the substrate 600 and soldered. Accordingly, the connector 100 is attached to the substrate 600 and fixed.

리테이너(300)의 설명으로 되돌아가면,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아암부(330)는, 셸 감합부(410)의 하측(즉,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 당해 감압부(410)를 받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커넥터(100)를 기판(600)에 부착 고정했을 때에, 셸 감합부(410)의 전단(412)을 기판(600)의 표면보다도 약간 높은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셸 감합부(410)의 전단(412)을 기판(600)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아암부(330)는, 셸 감합부(410)의 전단(412)(즉, 커넥터(100)의 감합부(110))의 높이 조절을 하기 위한 부위이기도 하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아암부(330)는, 셸 감합부(410)의 피지지부(420)를 각각 지지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아암부(330)는, X 방향으로만 연장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대략 L자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단, 아암부(330)가 어떠한 형상이라도, Z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아암부(330)와 리테이너 감합부(320)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 성형의 공정을 복잡하게 하는 일 없이, 그리고, 금형의 구성을 심플하게 할 수 있다.Return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retainer 300, as shown in FIG. 7, the arm portion 330 is located below the shell fitting portion 410 (that is, the outer side) to support the decompression portion 410. . Accordingly, when the connector 100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substrate 600, the front end 412 of the shell fitting portion 410 can be positioned at a position slightly higher tha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600. That is, the front end 412 of the shell fitting portion 410 can be kept away from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600. In other words, the arm portion 330 is also a portion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ront end 412 of the shell fitting portion 410 (that is, the fitting portion 110 of the connector 100). In detail, the arm part 33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supports the to-be-supported part 420 of the shell fitting part 410, respectively. In addition, although the arm part 33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extends only in the X direction, it may have a substantially L-shape, for example.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arm part 330 is comprised so that the arm part 330 and the retainer fitting part 320 may not overlap with each other, even if it looks along a Z direction. Thereby, as mentioned above, the structure of a metal mold | die can be simplified without complicating the process of insert molding.

더욱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아암부(330)는, 선단(先端) 근방에 탑재부(332)를 구비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탑재부(332)는, 커넥터(100)를 기판(600)에 부착 고정했을 때에 기판(600)과 접촉하는 부위이다. 도 3 및 도 6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커넥터(100)의 사용시에는, 커넥터(100)의 후단에 위치하는 콘택트(200)의 고정부(220)와, 탑재부(332)가 기판(600)에 접촉한다. 또한, 탑재부(332)의 위치는, 아암부(330)의 선단 이외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단, 탑재부(332)의 위치가 고정부(220)에 너무 가까우면, 커넥터(100)의 부착 상태가 불안정해져 버린다. 따라서, 탑재부(332)의 위치와 고정부(220)의 위치를 고려하여, 탑재부(332)는 커넥터(100)의 중심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more detail, the arm part 33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equipped with the mounting part 332 near the front-end | tip. As shown in FIG. 7, the mounting part 332 is a site | part which contacts the board | substrate 600 when the connector 100 is affixed and fixed to the board | substrate 600. As shown in FIG. As understood from FIGS. 3 and 6, in the use of the connector 100, the fixing part 220 and the mounting part 332 of the contact 200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connector 100 are attached to the substrate 600. Contact.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part 332 may be formed in the position other than the front-end | tip of the arm part 330. As shown in FIG. However, if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part 332 is too close to the fixing part 220, the attachment state of the connector 100 will become unstable.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portion 332 and the position of the fixing portion 220, the mounting portion 332 is preferably located in front of the center of the connector 100.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연결부(340)는, 커넥터(100)의 감합단(110) 근방에 있어서 아암부(330)를 연결하고 있다 .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연결부(340)는, 2개의 아암부(330)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선단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 성형에 이용되는 금형을 비교적 단순한 형상으로 할 수 있고 그리고 당해 금형의 가동 방향을 한 방향으로 하여 콘택트(200)와 리테이너(300)와의 인서트 성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아암부(330)와 리테이너 감합부(320)가 Z 방향에 있어서 겹치지 않도록 구성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경우, 리테이너 감합부(320)의 사이즈를 바꾸는 일 없이 커넥터(100)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아암부(330)를 가늘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아암부(330)를 가늘게 하면, 아암부(330) 자체의 강도가 낮아지는 것에 더하여, 아암부(330)가 휠 우려가 있다. 또한, 아암부(330)가 휘어버리면, 한 쪽의 아암부(330)와, 다른 한 쪽의 아암부(330)가 Z 방향에 있어서 서로 위치가 어긋나 버릴(즉, 아암부끼리의 높이가 어긋나 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아암부(330)를 연결부(340)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아암부(330)를 가늘게 해도, 아암부(330)의 강도를 열화시키는 일이 없고, 또한, 아암부(330)가 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아암부(330)끼리의 높이가 어긋나 버릴 우려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100)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3 to 5, the connecting portion 3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nects the arm portion 330 in the vicinity of the fitting end 110 of the connector 100.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the connecting portion 340 connects the tips of the two arm portions 330 in the X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enable the mold used for insert molding to have a relatively simple shape and to enable insert molding of the contact 200 and the retainer 300 with the movable direction of the mold in one direction, the arm portion 330 and the retainer fitting part 320 must be comprised so that it may not overlap in a Z direction. In this case, in order to reduce the size of the connector 100 as a whole without changing the size of the retainer fitting portion 320, the arm portion 330 must be made thinner, for example. However, when the arm part 330 is thinned, in addition to the intensity | strength of the arm part 330 itself,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arm part 330 may wheel. In addition, when the arm part 330 is bent, the position of one arm part 330 and the other arm part 330 will shift | deviate mutually in the Z direction (that is, the height of arm parts will shift | deviate). There is a fear. However, in this embodiment, even if the arm part 330 is thinned by connecting two arm parts 330 by the connection part 340, the strength of the arm part 330 does not deteriorate, and The arm part 330 can be suppressed from bending. In addition, the possibility that the height of the arm parts 330 may shift | deviate can also be reduc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connector 100 can be reduced while maintaining the strength.

도 7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커넥터(100)를 기판(600)에 부착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연결부(340)(연결부(340)의 하면)는 기판(600)에 접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커넥터(100)를 기판(600)에 부착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는, 리테이너(300)는, 아암부(330)의 탑재부(332)(도 4 및 6 참조)에 의해서만 기판(600)과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340)의 형상·사이즈의 불균일이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커넥터의 부착에 관한 악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부(340)의 하면을 기판(600)에 고르게 접촉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As understood from FIG. 7, in the state where the connector 100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substrate 600, the connecting portion 340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340) is configured not to contact the substrate 600. 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connector 100 is fixed to the board | substrate 600, the retainer 300 may contact with the board | substrate 600 only by the mounting part 332 (refer FIG. 4 and 6) of the arm part 330. FIG. Consists of. Thereby, even if the shape and size nonuniformity of the connection part 340 generate | occur | produce, the bad influence regarding attachment of a connector can be reduc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340 may be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600 evenly.

도 2,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연결부(340)의 Y 방향 대략 중앙 부근에는 받침부(342)가 형성되어 있다. 받침부(342)는, 상방(+Z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받침부(342)는, 셸 감합부(410)의 하면을 받치기(셸 감합부(410)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7, 도 9 및 도 10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상대방 커넥터(500)와 커넥터(100)와의 감합/뽑아냄 시에 있어서, 상대방 커넥터(500)가 의도하지 않는 각도로 삽입된 경우 등, 셸 감합부(410)가 상대방 감합부(510)로부터 「비틀림」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힘을 받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힘이 셸 감합부(410)에 가해진 경우라도, 당해 바람직하지 않은 힘이 연결부(340)의 받침부(342) 및 아암부(330)의 탑재부(332)를 통하여 기판(600)에 전달된다. 즉, 기판(600)은, 연결부(340)의 받침부(342) 및 아암부(330)의 탑재부(332)를 통하여 당해 바람직하지 않은 힘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100)에 의하면, 셸 감합부(410)의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2, 4, 6, and 7, the support part 342 is formed near the center in the Y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3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part 342 protrudes upwards (+ Z direction). The support part 342 is for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hell fitting part 410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hell fitting part 410). As understood from FIGS. 7, 9 and 10, for example, in fitting / drawing out the counterpart connector 500 and the connector 100, the counterpart connector 500 is inserted at an unintended angle. In some cases, the shell fitting part 410 may receive an undesirable force such as "twisting" from the counterpart fitting part 5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ven when such an undesirable force is applied to the shell fitting portion 410, the undesirable force is applied to the support portion 342 of the connecting portion 340 and the mounting portion of the arm portion 330 ( It is delivered to the substrate 600 through 332. That is, the substrate 600 may receive the undesirable force through the supporting portion 342 of the connecting portion 340 and the mounting portion 332 of the arm portion 330. 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nector 10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deformation of the shell fitting part 410, etc. can be prevented.

상세하게는, 받침부(342)는, 셸 감합부(410)의 감합 하주부(430) 중, 특히 이음부(414)의 하측을 받치고 있다. 이에 따라, 셸 감합부(410)의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연결부(340)는, 받침부(342)에 의해서만 셸 감합부(410)(상세하게는 감합 하주부(430))에 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340)의 형상·사이즈의 불균일이 발생한 경우라도, 그 불균일이 셸 감합부(410)의 전단(412)의 위치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In detail, the support part 342 supports the lower side of the fitting part 414 especially among the fitting lower peripheral parts 430 of the shell fitting part 410. Accordingly, deformation of the shell fitting portion 410 is effectively prevented.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part 340 is in contact with the shell fitting part 410 (more specifically, the fitting lower peripheral part 430) only by the support part 342. Thereby, even if the shape and size nonuniformity of the connection part 340 generate | occur | produce, the influence which the nonuniformity has on the position of the front end 412 of the shell fitting part 410 can be suppressed to the minimum.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당업자에게는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 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러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be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it is possible for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odify an embodiment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mind of this invention, and such embodiment sha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상대방 감합(嵌合)부를 갖는 상대방 커넥터와 전후 방향을 따라서 감합 접속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각각, 접촉부를 갖는 복수의 콘택트와, 셸 감합부를 갖는 셸과, 상기 콘택트를 보지(保持)하는 리테이너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셸 감합부는, 상기 상대방 감합부가 삽입되고,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소정면 내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의 상기 접촉부를 둘러싸고 있고,
상기 리테이너는, 본체부와,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콘택트의 선단부(先端部)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됨과 함께 상기 셸 감합부의 일부를 지지하는 커넥터.
A connector for mating connection with a counterpart connector having a counterpart fitting portion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Each said connector is equipped with the some contact which has a contact part, the shell which has a shell fitting part, and the retainer which hold | maintains the said contact,
The shell fitting portion inserts the counterpart fitting portion and surrounds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ntact in a predetermined surface orthogonal to the front-back direction.
The retainer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The said support part extends toward the front from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said contact from the said main-body part, and supports a part of said shell fitting par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부와,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said support part is a connector provided with a pair of arm part extended toward the front from the said main body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which connects between the said arm 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aid front-back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소정 평면 내에 있어서 상기 셸 감합부를 외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said support part is a connector which supports the said shell fitting part from the outer side in the said predetermined plan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한 대략 판 형상의 리테이너 감합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접촉부는 당해 리테이너 감합부에 보지되어 있고,
상기 셸 감합부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리테이너 감합부를 상기 소정 평면 내에 있어서 둘러싸고 있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retainer further includes a substantially plate-shaped retainer fitting portion that protrudes forward from the main body portion.
The contact portion is held by the retainer fitting portion,
The shell fitting portion surrounds the contact portion and the retainer fitting portion in the predetermined plan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리테이너와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된 것이며,
상기 아암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리테이너 감합부와는 상기 인서트 성형시에 이용되는 금형의 가동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lurality of contacts and the retainer are integrated by insert molding,
And the arm portion,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retainer fitting portion are formed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when view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etal mold used in the insert mold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의 가동 방향은, 상기 전후 방향 및 상기 횡 방향의 쌍방에 직교하는 상하 방향인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5,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aid metal mold | die is an up-down direction orthogonal to both the said front-back direction and the said horizontal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기판에 부착 고정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와 상기 연결부중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은, 상기 커넥터가 상기 기판에 부착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탑재되는 탑재부를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connector attached and fixed to the board,
Any one or both of the arm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mounting portion that is mounted on the substrate in a state where the connector is fixed to the substra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와 상기 연결부중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은, 상기 부착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대하여 상기 탑재부만으로 맞닿아 있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One or both of the arm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are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only with the mounting portion in the attached and fixed sta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상기 부착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후단측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접속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탑재부는, 상기 커넥터의 중심(重心)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act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substrate at the rear end side of the connector in the attached and fixed state,
The mounting portion is a connector located in front of the center of the connect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방으로 돌출된 받침부로서 상기 셸 감합부의 하면을 받치는 받침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the connecting portion is a supporting portion projecting upward, and a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a lower surface of the shell fitting portion is form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셸 감합부는, 상기 아암부에 의해 지지되는 피(被)지지부와, 당해 피지지부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감합 하주부(下主部)를 갖고 있고,
상기 감합 하주부는, 상기 받침부에 의해서만 상기 연결부와 접촉하고 있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0,
The shell fitting portion has a support portion supported by the arm portion and a fitting lower peripheral portion located above the supported portion,
The fitting lower peripheral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ng portion only by the supporting por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셸은, 금속판을 펀칭 가공하여 블랭크를 얻은 후, 당해 블랭크를 절곡 형성하여 얻어지는 것이며,
상기 감합 하주부는, 상기 블랭크의 단부끼리로 구성되는 이음부를 갖고 있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이음부를 하측으로부터 받치고 있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1,
The shell is obtained by punching a metal plate to obtain a blank, and then bending the blank.
The said fitting lower peripheral part has the joint part comprised from the edge parts of the said blank,
The said support part is a connector which supports the said joint part from the lower side.
KR1020100102348A 2009-11-27 2010-10-20 Connector KR10117775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70456 2009-11-27
JP2009270456A JP5039118B2 (en) 2009-11-27 2009-11-27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311A true KR20110065311A (en) 2011-06-15
KR101177755B1 KR101177755B1 (en) 2012-08-28

Family

ID=44236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348A KR101177755B1 (en) 2009-11-27 2010-10-20 Connecto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39118B2 (en)
KR (1) KR101177755B1 (en)
CN (2) CN103490210B (en)
TW (2) TWI458187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57277B2 (en) * 2010-05-21 2015-01-21 ホシデン株式会社 Connectors and electronic devices
TWI508393B (en) * 2010-03-26 2015-11-11 Hosiden Corp Connectors and electronic machines
CN107851941B (en) 2015-07-31 2020-04-24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4452B2 (en) * 1995-10-12 1998-11-11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connector
JP3552472B2 (en) * 1997-07-15 2004-08-11 松下電工株式会社 Shielded connector
TW570390U (en) * 2003-03-12 2004-01-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2007214139A (en) * 2007-03-30 2007-08-23 Taiko Denki Co Ltd Mounting structure for receptacle
CN201097426Y (en) * 2007-08-10 2008-08-0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Socket electric connector
JP4522454B2 (en) * 2008-02-04 2010-08-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connector
JP4545202B2 (en) * 2008-02-28 2010-09-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Car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39118B2 (en) 2012-10-03
TWI460929B (en) 2014-11-11
CN102142627A (en) 2011-08-03
CN103490210B (en) 2016-04-06
TW201126825A (en) 2011-08-01
KR101177755B1 (en) 2012-08-28
TW201415724A (en) 2014-04-16
JP2011113871A (en) 2011-06-09
CN102142627B (en) 2014-04-23
TWI458187B (en) 2014-10-21
CN103490210A (en) 2014-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1889B1 (en) connector
JP5583330B2 (en) Method for adjusting engagement force of connector structure for inter-board connection
JP6418324B2 (en) Multi-pole connector
JP5196648B2 (en) Board to board connector structure
JP5302283B2 (en) Connector device
JP5105194B2 (en) Board connector
JP2016072222A (en) connector
JP2019021389A (en) connector
JP2012079505A (en) Connector assembly
KR101177755B1 (en) Connector
US20170264034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metallical supporting member secured thereto
JP2013152908A (en) Connector
US20090111308A1 (en) Latch, latch-mountable connector housing, and latch-mountable connector
JP6727580B2 (en) Connector terminal holding member,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JP2007066614A (en) Connector for substrate
JP4684191B2 (en) connector
JP5434254B2 (en) jig
JP7322499B2 (en) Electrical connectors and electrical connector devices
US9033714B2 (en) Connector for mounting on a board
JP2010181523A (en) Optical connector
JP5184689B2 (en) connector
JP6886910B2 (en) Connector assembly
US10403998B2 (en) Female terminal and connector
JP2005116230A (en) Connector for substrate
JP2004265598A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