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4870A - 저노점 저온 제습기 - Google Patents

저노점 저온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4870A
KR20110064870A KR1020090121629A KR20090121629A KR20110064870A KR 20110064870 A KR20110064870 A KR 20110064870A KR 1020090121629 A KR1020090121629 A KR 1020090121629A KR 20090121629 A KR20090121629 A KR 20090121629A KR 20110064870 A KR20110064870 A KR 20110064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refrigerant
lines
evaporators
co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7773B1 (ko
Inventor
방수일
Original Assignee
신라이앤티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라이앤티 (주) filed Critical 신라이앤티 (주)
Priority to KR1020090121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773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9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alternatively operating a heat exchanger in an absorbing/adsorbing mode and a heat exchanger in a regeneration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증발기(10A, 10B)를 구비한 증발부(10); 한 쌍의 압축기(20A, 20B)를 구비한 압축부(20); 한 쌍의 응축기(30A, 30B)를 구비한 응축부(30); 및 한 쌍의 팽창밸브부(40A, 40B)를 구비한 팽창부(40)를 포함하고 있는 히트펌프를 이용한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증발기(10A, 10B)에는 상기 한 쌍의 증발기에 유입된 냉매를 가스상태로 만들기 위해 냉매가열원이고 처리대상인 습공기가 지나가게 되고,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응축기(30A, 30B)에는 한 쌍의 응축기에 유입된 냉매를 액체상태로 만들기 위해 냉매냉각원이 지나가게 되고, 상기 증발부(10)는 흡입측과 토출측이 개방된 케이스(C), 상기 케이스(C)의 흡입측 내에 배치되되 흡입측에서 토출측으로 겹쳐지게 배치된 한 쌍의 증발기(10A, 10B), 상기 케이스(C)의 토출측에 배치되어 제습된 공기를 흡입하여 방출하는 송풍기(F), 그리고 상기 송풍기(F)의 흡입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재열코일(1A, 1B)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한 쌍의 증발기(10A, 10B)는 냉매가 이송되게 되는 2개의 제습코일(11A, 11A; 11B, 11B)를 상기 케이스(C)의 흡입측에서 토출측으로 겹쳐지게 배치시켜 각각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Figure P1020090121629
제습코일, 증발기, 응축기, 팽창밸브

Description

저노점 저온 제습기{low dew point and low temperature dehumidifier}
본 발명은 저노점 저온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제습기는 공기 속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기기로서 건조한 공기를 필요로 하는 각종 산업전반, 자동화설비, 반도체 제조공정 및 수분 접촉이 되는 화학생산 라인 특히 조선 도장 전처리 공정에 필수적이며, 또한 식품 건조에서는 단백질 파괴 방지를 억제할 수 있는 중요한 필수 장비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실내스케이트장, 술 제조공정 중 곡류저장 공정, 모피 저장, 가죽 저장, 및 사진촬영소의 컬러필름 및 종이의 저장, 제방공정 중 포장공정 등에서는 노점 제습 (절대습도 2.5kg/kg, 온도 5~25℃)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실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제습방식은 , 냉각식 제습법, 압축식 제습법, 흡수식 제습법 및 흡착식 제습법으로 분류되며, 실제 제습조작을 할 때에는 이들 제습법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각 방식의 조합에 의해 사용되어 진다.
냉각식 제습법은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식으로서 냉매를 사용한 냉각코일을 통과하는 습공기의 노점온도 이하로 냉각하여 제습을 수행하는 방식이지만, 제습의 한계점은 공기노점 온도로 약 10℃ 부근의 상온 냉각제습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는 노점온도가 0℃ 이하에서는 냉각코일에 제상장치가 없으면, 코일표면에 서리가 성장하고 최종적으로는 냉각코일의 핀막힘과 전열장애 등의 트러블을 발생시켜 연속운전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흡착식 제습법은 드럼에 건조제(실리카겔, 알루미나 등)를 장착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일부분에 흡착시키고, 다른 일부분은 공기를 흡입하여 반대편에 퍼지시키는 형태로 반복하면서 흡습된 수분을 배출하는 형식이지만. 건조제에 흡습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전기 가열방식을 채용하므로써 다량의 에너지 소비가 단점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서 본 발명은 냉각코일의 구조 및 냉동사이클의 제어알고리즘 개선을 통하여 냉각 코일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저노점 냉각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에 과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증발부의 습공기 흡입측에 4개의 증발기로서의 제습코일을 배치하고, 토출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습코일에 압축기의 고온, 고압의 냉매를 상기 제습코일의 냉매 토출압력에 따라 개방되게 하는 압력조절밸브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4개의 제습코일을 습공기가 통과하게 되면, 순차적으로 4차에 걸쳐서 습공기를 냉각시키는데, 1차 제습코일에서는 습공기가 +13℃온도로, 2차 제습코일에서는 +5℃로 그리고 3차 제습코일에서는 -1.3℃로 냉각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4차 제습코일에서는 습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상기 4차 제습코일에 착상되게 되며, 이때 공기 토출측에 가장 인접한 상기 4차 제습코일에 서리(얼음)이 착상되어 상기 제습코일에서 토출되는 압력이 설정치 이하로 되면, 상기 압력 레규레이터 개방되어 고온, 고압의 냉매가 상기 제습코일에 공급되어 제상을 수행하게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의 히트펌프를 이용한 제습기가 부호 100으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제습기(100)는, 히트펌프의 주된 구성요소들을 한 쌍으로 구비하고 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냉매를 저온/저압의 가스상태로 만드는 한 쌍의 증발기(10A, 10B)를 구비한 증발부(10), 상기 한 쌍의 증발기(10A, 10B)에서 배출된 저온/저압의 가스상태의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고압상태로 만드는 한 쌍의 압축기(20A, 20B)를 구비한 압축부(20), 상기 한 쌍의 압축기(20A, 20B)에서 배출된 고온/고압 상태의 냉매의 열을 방출시켜 냉매를 액화시켜 고압의 액상 냉매를 만드는 한 쌍의 응축기(30A, 30B)를 구비한 응축부(30) 및 상기 한 쌍의 응축기(30A, 30B)에서 배출된 고압 액상의 냉매를 감압시켜 저온/저압/액화 상태의 냉매로 만들어 상기 한 쌍의 증발기(10A, 10B)에 배출시키는 한 쌍의 팽창밸브부(40A, 40B)를 구비한 팽창부(4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증발기(10A, 10B)에는 상기 한 쌍의 증발기에 유입된 냉매를 가스상태로 만들기 위해 냉매가열원이고 처리대상인 습공기가 지나가게 되고,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응축기(30A, 30B)에는 한 쌍의 응축기에 유입된 냉매를 액체상태로 만들기 위해 냉매냉각원(공기, 냉수 등)이 지나가게 된다.
상기 증발부(10)는 흡입측과 토출측이 개방된 케이스(C), 상기 케이스(C)의 흡입측 내에 배치되되 흡입측에서 토출측으로 겹쳐지게 배치된 한 쌍의 증발 기(10A, 10B), 상기 케이스(C)의 토출측에 배치되어 제습된 공기를 흡입하여 방출하는 송풍기(F), 그리고 상기 송풍기(F)의 흡입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재열코일(1A, 1B)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증발기(10A, 10B)는 냉매가 이송되게 되는 2개의 제습코일(11A, 11A; 11B, 11B)를 상기 케이스(C)의 흡입측에서 토출측으로 겹쳐지게 배치시켜 각각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증발부(10)는 4개의 제습코일(11A, 11A, 11B, 11B)을 상기 케이스(C)의 흡입측에서 토출측으로 겹쳐지게 배치시켜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습기(100)에는 상기 한 쌍의 증발기(10A, 10B)의 하나의 제습코일(11A, 11B)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상기 한 쌍의 압축기(20A, 20B)에 각각 공급하는 한 쌍의 냉매용 제1라인(L1A, L1B) 도중에 한 쌍의 열교환기(50A, 50B)의 한 쌍의 제1유로(71A, 71B)가 각각 개재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냉매용 제1라인(L1A, L1B)은 한 쌍의 열교환기(50A, 50B)와 한 쌍의 증발기(10A, 10B) 사이의 라인 도중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증발기(10A, 10B)의 다른 하나의 제습코일(11A, 11B)에 타단이 접속되어 있는 한 쌍의 냉매용 제1분기라인(L1Aa, L1Bb)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습기(100)에는 상기 한 쌍의 압축기(20A, 20B)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한 쌍의 응축기(30A, 30B)에 각각 공급하는 한 쌍의 냉매용 제2라인(L2A, L2B) 도중에 한 쌍의 유분리기(60A, 60B)가 각각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습기(100)에는 상기 한 쌍의 응축기(30A, 30B)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한 쌍의 팽창밸브부(40A, 40B)의 하나의 팽창밸브(40Aa, 40Bb)에 각각 공급하는 한 쌍의 냉매용 제3라인(L3A, L3B) 도중에 한 쌍의 수액기(90A, 90B) 및 한 쌍의 용액 열교환기(50A, 50B)의 한 쌍의 제2유로(72A, 72B)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냉매용 제3라인(L3A, L3B)는 한 쌍의 열교환기(50A, 50B)와 한 쌍의 증발기(10A, 10B) 사이의 도중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팽창밸브부(40A, 40B)의 다른 하나의 팽창밸브(40Aa, 40Bb)에 타단이 접속되어 있는 한 쌍의 냉매용 제3분기라인(L3Aa, L3Bb)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습기(100)는 상기 4개의 팽창밸브(40Aa, 40Aa; 40Bb, 40Bb)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4개의 제습코일(11A, 11A; 11B, 11B)에 타단이 접속되어 있는 4개의 제4라인(L4A, L4A; L4B, L4B)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4라인(L4A, L4A; L4B, L4B)들중에서, 상기 4개의 제습코일(11A, 11A; 11B, 11B)중 증발부(10)의 공기 토출측에 가장 인접한 제습코일(11B)에 접속되어 있는 제4라인(L4B)의 도중에는, 상기 한 쌍의 응축기(30A, 30B)중 하나의 응축기(30B)와 상기 한 쌍의 유분리기(60A, 60B)중 하나의 유분리기(60B) 사이에 개재된 상기 한 쌍의 냉매용 제2라인(L2A, L2B)중 하나의 냉매용 제2라인(L2B)의 도중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제상라인(LL)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상라인(LL)의 도중에는 한 쌍의 냉매용 제1라인(L1A, L1B)중 하나의 냉매용 제1라인(L1b)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하나의 냉매용 제1라인(L1b)에 접촉되어 있는 압력레귤레이터(V)가 개재되어 있어서, 공기 토출측에 가장 인접한 상기 제습코일(11B)에 서리(얼음)이 착상되어 상기 제습코일(11B)에서 토출되는 압 력이 설정치 이하로 되면 상기 압력 레규레이터(V)가 개방되어 고온, 고압의 냉매가 상기 제습코일(11B)에 공급되어 제상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응축기(30A, 30B)와 상기 한 쌍의 유분리기(60A, 60B) 사이에 개재된 상기 한 쌍의 냉매용 제2라인(L2A, L2B)의 도중에 일단이 각각 접속되어 있는 한 쌍의 재열유입라인(12A, 12B)의 타단에는 상기 한 쌍의 재열코일(1A, 1B)이 각각 접속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수액기(90A, 90B)에 일단이 각각 접속되어 있는 한 쌍의 재열유출라인(13A, 13B)의 타단에는 상기 한 쌍의 재열코일(1A, 1B)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재열유입라인과 상기 한 쌍의 재열유입라인의 도중 각각에는 밸브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냉매용 제2라인(L2A, L2B)의 하류단 도중 각각에는 밸브가 개재되어 있어서, 상기 4개의 제습코일을 통과한 공기가 노점온도에 가까운 온도이어서 상대습도가 높을 경우에 상기 공기의 온도를 올려주어 적정한 상태습도를 맞추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증발부(10)는, 상기 공기 토출측에 가장 인접한 제습코일(11B)에 대하여 공기 토출측에서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물 비산 방지부(E)가 마련되어 있다.
이 물 비산 방지부(E)는 상기 한 쌍의 증발기(10A, 10B)를 통하여 송풍기(F)로 토출되는 공기에 함유한 수분이 상기 한 쌍의 증발기(10A, 10B)에 의해 액화되어 상기 송풍기(F)의 흡입압에 의해 상기 송풍기(F)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물 비산 방지부(E)에는 드레인 라인(D)과 접속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그 이유는 상기 물 비산 방지부(E)에서 걸러진 물이 상기 드레인 라인(D)을 경유하여 상기 증발부(10)의 케이스(C) 밖으로 방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습기(100)는 상기 한 쌍의 유분리기(60A, 60B)에서 분리된 오일을 상기 한 쌍의 압축기(20A, 20B)에 공급하기 위해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유분리기(60A, 60B)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압축기(20A, 20B))에 각각 접속된 한 쌍의 오일라인(L5A, L5B))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습기(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한 쌍의 증발기(10A, 10B)에 유입된 냉매는 상기 한 쌍의 증발기(10A, 10B)에서 열교환되어 냉매가 기화된다.
상기 한 쌍의 증발기(10A, 10B)에서 배출된 냉매는 한 쌍의 열교환기(50A, 50B)를 거쳐서 상기 한 쌍의 응축기(30A, 30B)에서 배출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가온된 후 한 쌍의 압축기(20A, 20B)로 공급된다.
상기 냉매는 상기 한 쌍의 압축기(20)에서, 고온고압의 가스상태가 되어 한 쌍의 유분리기(60A, 60B)를 경유하여 상기 한 쌍의 응축기(30A, 30B)에 공급되게 된다. 여기에서, 크랭크 케이스나 하우징으로부터 순환되는 냉동유에 의해서 윤활되는 압축기가 통상적으로 고온 압축 냉매 가스와 함께 배출되는 냉동유를 응축기에 보내게 되면, 응축기 및 증발기의 작동에 장애를 주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상기 한 쌍의 유분리기(60A, 60B)는, 상기 한 쌍의 압축기(20A, 20A)에서 배출되는 냉동유와 냉매가스의 혼함물에서 냉동유를 분리하여 한 쌍의 압축기(20A, 20B)로 순환시키며, 나머지 냉매가스를 한 쌍의 응축기(30A, 30B)에 이송시키며, 한 쌍의 압축기(20A, 20B)로 순환되는 냉동유인 오일은 한 쌍의 압축기(20A, 20B)의 단열압축으로 뜨거워진 냉매가스와 혼합되어 있어서, 온도가 높기 때문에 상기 한 쌍의 압축기로 되돌기 전에 도시되지 않은 열과환부에 의해 열교환되어 냉각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유분리기(60A, 60B)에서 배출되는 기화상태의 냉매는 상기 한 쌍의 응축기(30A, 30B)에 공급된다.
상기 한 쌍의 응축기(30A, 30B)은 상기 압축기(20)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를 외부의 냉수 또는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기능을 하며, 열교환으로 인하여 냉매가스가 액화되면서 발생하는 응축잠열을 이용하여 냉수 또는 공기를 데우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응축기(30A, 30B)에서 냉수 또는 공기와 열교환되어 액체상태인 고온고압의 냉매로 상태변환된 냉매는 냉매를 일시 저장하는 한 쌍의 수액기(90A, 90B)를 경유하고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열교환기(50A, 50B)를 경유하여 상기 팽창밸브(40Aa, 40Aa; 40Bb, 40Bb)에 공급되게 된다.
상기 팽창밸브(40Aa, 40Aa; 40Bb, 40Bb)에 공급된 냉매는 단열팽창되어 저온저압의 액으로 상태변환되어서, 상기 제습코일(11A, 11A; 11B, 11B)에 공급되게 된다.
상기 제습코일(11A, 11A; 11B, 11B)에 습공기가 통과하게 되면, 습공기를 순차적으로 4차에 걸쳐 냉각시키는데, 1차 제습코일(11A)에서는 습공기가 +13℃온도 로, 2차 제습코일(11A)에서는 +5℃로 그리고 3차 제습코일(11B)에서는 -1.3℃로 냉각되게 한다.
또한 4차 제습코일(11B)에서는 습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상기 4차 제습코일(11B)에 착상되게 되며, 이때 공기 토출측에 가장 인접한 상기 4차 제습코일(11B)에 서리(얼음)이 착상되어 상기 제습코일(11B)에서 토출되는 압력이 설정치 이하로 되면, 상기 압력 레규레이터(V)가 개방되어 고온, 고압의 냉매가 상기 제습코일(11B)에 공급되어 제상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4개의 제습코일을 통과한 공기가 노점온도에 가까운 온도이어서 상대습도가 높을 경우에, 한 쌍의 재열유입라인(12A, 12B)을 경유하여 고압,고온의 냉매액을 상기 한 쌍의 재열코일(1A, 1B)에 공급하여 상기 공기의 온도를 올려주어 적정한 상태습도를 맞추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개념도.

Claims (7)

  1. 한 쌍의 증발기(10A, 10B)를 구비한 증발부(10); 한 쌍의 압축기(20A, 20B)를 구비한 압축부(20); 한 쌍의 응축기(30A, 30B)를 구비한 응축부(30); 및 한 쌍의 팽창밸브부(40A, 40B)를 구비한 팽창부(40)를 포함하고 있는 히트펌프를 이용한 제습기로서,
    상기 한 쌍의 증발기(10A, 10B)에는 상기 한 쌍의 증발기에 유입된 냉매를 가스상태로 만들기 위해 냉매가열원이고 처리대상인 습공기가 지나가게 되고,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응축기(30A, 30B)에는 한 쌍의 응축기에 유입된 냉매를 액체상태로 만들기 위해 냉매냉각원이 지나가게 되고,
    상기 증발부(10)는 흡입측과 토출측이 개방된 케이스(C), 상기 케이스(C)의 흡입측 내에 배치되되 흡입측에서 토출측으로 겹쳐지게 배치된 한 쌍의 증발기(10A, 10B), 상기 케이스(C)의 토출측에 배치되어 제습된 공기를 흡입하여 방출하는 송풍기(F), 그리고 상기 송풍기(F)의 흡입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재열코일(1A, 1B)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한 쌍의 증발기(10A, 10B)는 냉매가 이송되게 되는 2개의 제습코일(11A, 11A; 11B, 11B)를 상기 케이스(C)의 흡입측에서 토출측으로 겹쳐지게 배치시켜 각각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노점 저온 제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증발기(10A, 10B)의 하나의 제습코일(11A, 11B)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상기 한 쌍의 압축기(20A, 20B)에 각각 공급하는 한 쌍의 냉매용 제1라인(L1A, L1B) 도중에 한 쌍의 열교환기(50A, 50B)의 한 쌍의 제1유로(71A, 71B)가 각각 개재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냉매용 제1라인(L1A, L1B)은 한 쌍의 열교환기(50A, 50B)와 한 쌍의 증발기(10A, 10B) 사이의 라인 도중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증발기(10A, 10B)의 다른 하나의 제습코일(11A, 11B)에 타단이 접속되어 있는 한 쌍의 냉매용 제1분기라인(L1Aa, L1Bb)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한 쌍의 응축기(30A, 30B)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한 쌍의 팽창밸브부(40A, 40B)의 하나의 팽창밸브(40Aa, 40Bb)에 각각 공급하는 한 쌍의 냉매용 제3라인(L3A, L3B) 도중에 한 쌍의 수액기(90A, 90B) 및 한 쌍의 용액 열교환기(50A, 50B)의 한 쌍의 제2유로(72A, 72B)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냉매용 제3라인(L3A, L3B)는 한 쌍의 열교환기(50A, 50B)와 한 쌍의 증발기(10A, 10B) 사이의 도중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팽창밸브부(40A, 40B)의 다른 하나의 팽창밸브(40Aa, 40Bb)에 타단이 접속되어 있는 한 쌍의 냉매용 제3분기라인(L3Aa, L3Bb)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습기는 상기 4개의 팽창밸브(40Aa, 40Aa; 40Bb, 40Bb)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4개의 제습코일(11A, 11A; 11B, 11B)에 타단이 접속되어 있는 4개의 제4라인(L4A, L4A; L4B, L4B)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노점 저온 제습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압축기(20A, 20B)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한 쌍의 응축기(30A, 30B)에 각각 공급하는 한 쌍의 냉매용 제2라인(L2A, L2B) 도중에는 한 쌍의 유분리기(60A, 60B)가 각각 개재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응축기(30A, 30B)와 상기 한 쌍의 유분리기(60A, 60B) 사이에 개재된 상기 한 쌍의 냉매용 제2라인(L2A, L2B)의 도중에 일단이 각각 접속되어 있는 한 쌍의 재열유입라인(12A, 12B)의 타단에는 상기 한 쌍의 재열코일(1A, 1B)이 각각 접속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수액기(90A, 90B)에 일단이 각각 접속되어 있는 한 쌍의 재열유출라인(13A, 13B)의 타단에는 상기 한 쌍의 재열코일(1A, 1B)이 각각 접속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재열유입라인과 상기 한 쌍의 재열유입라인의 도중 각각에는 밸브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냉매용 제2라인(L2A, L2B)의 하류단 도중 각각에는 밸브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노점 저온 제습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4라인(L4A, L4A; L4B, L4B)들중에서, 상기 4개의 제습코일(11A, 11A; 11B, 11B)중 증발부(10)의 공기 토출측에 가장 인접한 제습코일(11B)에 접속되어 있는 제4라인(L4B)의 도중에는, 상기 한 쌍의 응축기(30A, 30B)중 하나의 응축기(30B)와 상기 한 쌍의 냉매용 제2라인(L2A, L2B)중 하나의 냉매용 제2라인(L2B) 의 도중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제상라인(LL)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노점 저온 제습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라인(LL)의 도중에는 한 쌍의 냉매용 제1라인(L1A, L1B)중 하나의 냉매용 제1라인(L1b)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하나의 냉매용 제1라인(L1b)에 접촉되어 있는 압력레귤레이터(V)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노점 저온 제습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부(10)에는, 공기 토출측에 가장 인접한 제습코일(11B)에 대하여 공기 토출측에서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물 비산 방지부(E)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노점 저온 제습기.
  7. 상기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유분리기(60A, 60B)에서 분리된 오일을 상기 한 쌍의 압축기(20A, 20B)에 공급하기 위해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유분리기(60A, 60B)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압축기(20A, 20B))에 각각 접속된 한 쌍의 오일라인(L5A, L5B))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노점 저온 제습기.
KR1020090121629A 2009-12-09 2009-12-09 저노점 저온 제습기 KR101117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629A KR101117773B1 (ko) 2009-12-09 2009-12-09 저노점 저온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629A KR101117773B1 (ko) 2009-12-09 2009-12-09 저노점 저온 제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870A true KR20110064870A (ko) 2011-06-15
KR101117773B1 KR101117773B1 (ko) 2012-03-20

Family

ID=44398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629A KR101117773B1 (ko) 2009-12-09 2009-12-09 저노점 저온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7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20477A (zh) * 2012-04-27 2012-08-01 江苏高科应用科学研究所有限公司 双冷源全新风热泵除湿机组
KR101340151B1 (ko) * 2012-01-13 2014-01-07 김미란 냉풍 건조기
CN104964473A (zh) * 2015-05-27 2015-10-07 青岛大学 一种节能型冷冻深度除湿空气处理方法
CN109386888A (zh) * 2014-02-21 2019-02-26 大金工业株式会社 空调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074B1 (ko) * 2015-10-26 2018-01-02 김학근 외기 냉수를 이용한 항온항습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280B1 (ko) * 2005-03-29 2006-08-22 (주)에이티이엔지 저노점 냉각제습시스템 및 냉각제습방법
JP2008241176A (ja) * 2007-03-28 2008-10-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527214B1 (ko) * 2008-02-20 201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151B1 (ko) * 2012-01-13 2014-01-07 김미란 냉풍 건조기
CN102620477A (zh) * 2012-04-27 2012-08-01 江苏高科应用科学研究所有限公司 双冷源全新风热泵除湿机组
CN109386888A (zh) * 2014-02-21 2019-02-26 大金工业株式会社 空调装置
CN104964473A (zh) * 2015-05-27 2015-10-07 青岛大学 一种节能型冷冻深度除湿空气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7773B1 (ko) 201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9854B1 (ko) 히트 펌프식 냉열풍 건조기
WO2018045697A1 (zh) 一种基于热泵热回收及双蒸发温度的高效新风除湿机
KR101102915B1 (ko) 폐열이용 드라이룸 데시칸트제습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510774B1 (ko) 복합식 제습냉방시스템
US20140202190A1 (en) Dehumidification system
US8006503B2 (en) Energy recovery system and method for a refrigerated dehumidification process
JPH10288421A (ja) 空調システム
KR101117773B1 (ko) 저노점 저온 제습기
CN105143779A (zh) 除湿装置
CN208606298U (zh) 一种节能型转轮除湿机用恒定蒸发器出风温度制冷系统
CN105899882A (zh) 空气调节装置以及空气调节装置的控制方法
CN103316568B (zh) 一种组合式压缩空气深冷除湿机
CN206762600U (zh) 一种冷冻式压缩空气干燥器
CN107726480B (zh) 半解耦式分级除湿降温的除湿热泵系统及方法
JP3765732B2 (ja) ヒートポンプ及び除湿空調装置
KR20180009439A (ko) 저온 제습기
KR20150114232A (ko) 저노점 냉풍건조기
KR100796354B1 (ko) 냉매 사이클 시스템을 이용한 고온 건조기
US20040118133A1 (en) Heat pump and dehumidifying air-conditioning apparatus
KR20100137050A (ko) 냉동 공조 시스템
CN214065120U (zh) 一种变工况适应性强的空气处理制冷系统
KR102538185B1 (ko) 냉각 제습기
KR200234358Y1 (ko) 냉매와 공기의 예냉방식을 이용한 냉동식 제습기
KR102528077B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 및 제습장치
CN215863787U (zh) 一种基于双循环结构的节能除湿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