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3964A -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3964A
KR20110063964A KR1020090120360A KR20090120360A KR20110063964A KR 20110063964 A KR20110063964 A KR 20110063964A KR 1020090120360 A KR1020090120360 A KR 1020090120360A KR 20090120360 A KR20090120360 A KR 20090120360A KR 20110063964 A KR20110063964 A KR 20110063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ground
switch unit
sub
main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9425B1 (ko
Inventor
서성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0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425B1/ko
Priority to US12/928,211 priority patent/US8914082B2/en
Publication of KR20110063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subgroups of transmit antennas
    • H04B7/0693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subgroups of transmit antennas switching off a diversity branch, e.g. to save pow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6Details
    • H01Q9/14Length of element or elements adjust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subgroups of transmit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 H04B7/082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main and with auxiliary or diversity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10Polarisation diversity; Directional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12Frequency diver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안테나와,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가지는 공진 주파수를 이동시킬 수 있는 공진 주파수 이동부와,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의 사용 여부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유지 또는 이동시키도록 상기 공진 주파수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사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호 간섭을 최소화하여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휴대 단말기, 다이버시티, 안테나, 멀티 안테나, 미디어 플로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운용 방법{A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ANTENNA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 개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복수 개의 안테나 간의 상호 간섭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급속한 기술 발전과 함께 음성 통화 기능 이외에 다양한 부가 기능 예컨대 문자 메시지 송수신 기능, 이미지 촬영 기능, 음악 감상 기능, 디지털 방송 서비스 기능, 이메일(E-mail) 서비스 기능,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서비스 기능,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는 복수 개의 안테나를 실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는 이동 통신용 안테나, 디지털 방송 수신용 안테나, 근거리 무선 통신용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테나들이 유사한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경우 상호 간섭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이동 통신 기술이 발전함과 더불어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비약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페이딩(Fading) 현상으로 인하여 수신 성능이 저 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상기 페이딩 현상은 송신된 전파의 다중 경로 노이즈(Multi-path noise)로 인하여 수신 전계가 일정치 않아 수신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페이딩 현상으로 인한 수신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이버시티(Diversity) 안테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소형화된 휴대 단말기에서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구성하기 위한 안테나 간의 물리적 거리를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 휴대 단말기는 동일 또는 유사한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복수 개의 안테나가 실장되는 경우 안테나 간의 상호 간섭으로 인하여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안테나 사이의 상호 간섭을 최소화하여 무선 통신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다수 안테나 간의 상호 간섭을 줄일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복수 개의 안테나;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가지는 공진 주파수를 이동시킬 수 있는 공진 주파수 이동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의 사용 여부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유지 또는 이동시키도록 상기 공진 주파수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운용 방법은 복수 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 안테나의 사용이 요청되는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안테나의 사용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고, 사용 요청되지 않은 타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타 주파수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운용 방법은 복수 개의 안테나 사이의 상호 간섭을 최소화하여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테나 사이의 물리적 이격 거리를 확보하기 어려운 소형의 휴대 단말기에서 무선 통신 성능을 개선할 수 있어 무선 통신 성능 저하로 인한 디자인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을 간략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복수 개의 안테나,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가 가지는 공진 주파수를 이동시킬 수 있는 공진 주파수 이동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의 사용 여부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유지 또는 이동시키도록 상기 공진 주파수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저장부(120), 표시부(130), 입력부(140), 무선 통신부(150), 송수신 분리부(160),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180), 공진 주파수 이동부(190), 제1안테나(10), 제2안테나(20) 및 메인 그라운드(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진 주파수 이동부(190)는 제1스위치부(40) 및 제1서브 그라운드(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40)는 숫자 또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를 위한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입력부(140)는 음성 통화 요청을 위한 통화키, 화상 통화 요청을 위한 화상 통화키, 오디오 신호의 출력 볼륨을 조정할 수 있는 볼륨키, 디지털 방송 재생을 위한 방송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패드(Touch-pad), 터치스크린(Touch-screen), 일반적인 키 배열의 버튼식 키패드, 쿼티 방식의 버튼식 키패드 등과 같은 입력 장 치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 화면을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30)는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및 화상 통화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OLED),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AMOLED)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표시부(130)는 입력부(140)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송수신 분리부(160)는 제1안테나(1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와 상기 무선 통신부(150)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송수신 분리부(160)는 통신 방식에 따라 듀플렉서(Duplexer), 스위치(Switch), 다이플렉서(Diplexer)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기지국)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전송받은 송신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 송신부(미도시)와, 상기 제1안테나(10) 및 제2안테나(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수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저잡음 증폭된 수신 신호의 주파수를 하향 변환하는 RF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송수신 분리부(160)에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단(TX)과 상기 송수신 분리부(160)를 통해 제1안테나(10)가 수신한 수신 신 호를 입력받는 제1수신단(RX1)과 제2안테나(20)로부터 수신 신호를 입력받는 제2수신단(RX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180)은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에 실장되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예컨대 IC(Integrated Circuit), 저항(Resistor), 스위치(Switch), 캐패시터(Capacitor), 인덕터(Induc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인쇄 회로 기판(180)은 다수의 금속층, 상기 금속층을 분리하는 다수의 절연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금속층은 적어도 두 개의 금속층을 연결할 수 있는 금속홀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18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안테나(10)가 위치하는 영역, 전자 부품이 실장되고 메인 그라운드(80)가 형성되는 영역 및 제2안테나(20)가 위치하는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180)은 제2안테나(20)가 위치하는 영역에 메인 그라운드(80)와 분리되어 상기 제2안테나(20)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1서브 그라운드(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2에서는 메인 그라운드(80)가 다수로 구분되어 도시되었지만 실제로는 하나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안테나(10) 및 제2안테나(20)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위한 안테나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안테나(10) 및 제2안테나(20)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다이버시티(Diversity) 안테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안테나(10)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주 안테나이고, 상기 제2안테나(20)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부 안테나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는 다수의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중 수신 세기가 강한 신호를 선택하거나, 다수의 신호를 동기화시킨 후 합성하여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는 공간 다이버시티(Space Diversity) 기법, 시간 다이버시티(Time Diversity) 기법, 편파 다이버시티(Polarization Diversity) 기법, 주파수 다이버시티(Frequency Diversity)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이버시티 기법은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안테나(10) 및 제2안테나(20)는 상호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물리적 이격 거리(예컨대 10λ)가 요구된다. 따라서 제1안테나(10) 및 제2안테나(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안테나(10) 및 제2안테나(20)는 피파(PIFA)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안테나(10) 및 제2안테나(20)는 신호를 전송하는 피딩 단자(12, 22)와 메인 그라운드(80)와 연결되는 접지 단자(11, 21)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안테나(10) 및 제2안테나(20)가 피파 타입의 안테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안테나(10)는 800 MHz 대역의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제2안테나(20)는 800 MHz 대역의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공진 주파수 이동부(190)는 제2안테나(20)가 가지는 공진 주파수를 이동 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공진 주파수 이동부(190)는 제1스위치부(40) 및 제1서브 그라운드(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 및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가 제2안테나(20)의 공진 주파수를 이동 시키는 하나의 공진 주파수 이동부(19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제1안테나(10) 및 제2안테나(20) 즉, 복수 개의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각각 이동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공진 주파수 이동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위치부(40)는 제어부(110)의 제1제어 신호(SW1_C)에 따라 상기 인쇄 회로 기판(180)에 포함된 메인 그라운드(80)와 제1서브 그라운드(50)를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스위치부(40)는 대기 상태인 경우 활성화되어 제1서브 그라운드(50)와 메인 그라운드(80)를 연결하고, 트래픽(Traffic) 채널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스위치부(40)는 비활성화되어 제1서브 그라운드(50)와 메인 그라운드(80)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 그라운드(50)는 제2안테나(20)에 인접하는 위치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안테나(20)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 그라운드(50)는 메인 그라운드(80)와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스위치부(40)에 의해 메인 그라운드(80)와 연결되는 경우 제1서브 그라운드(50)는 제2안테나(20)의 공진 주파수를 이동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는 메인 그라운드(80)와 제1서브 그라운드(50)가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제2안테나(20)의 접지 단자(21)와 연결되는 그라운드 영역이 확장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제1서브 그라운드(50)는 메인 그라운드(80)와 연결되어 제2안테나(20)의 구성 요소로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2안테나(2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예컨대 대기 상태에서 제1서브 그라운드(50) 와 메인 그라운드(80)를 연결하여 제2안테나(20)의 공진 주파수를 이동시킴으로써, 제2안테나(20)가 제1안테나(10)에 미치는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대기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때, 제1서브 그라운드(50)의 크기 및 모양은 메인 그라운드(80)와 제1서브 그라운드(50)의 분리로 인한 제1안테나(10)의 수신 성능 저하 및 메인 그라운드(80)와 제1서브 그라운드(50)의 연결로 인한 제2안테나(20)의 공진 주파수 이동 정도를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제1서브 그라운드(50)와 메인 그라운드(80) 분리 시 발생하는 제1안테나(10)의 수신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고, 메인 그라운드(80)와 제1서브 그라운드(50)의 연결 시 상기 제1안테나(10)에 미치는 제2안테나(20)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서브 그라운드(50)의 크기 및 모양을 조절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방송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 데이터 및 통신 시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저장부(120)는 현재 휴대 단말기(100)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치부(40)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세한 동작은 제어부(110)의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무선 통신부(15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 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제1안테나(10) 및 제2안테나(20)가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형성된 경우 전류 소모를 고려하여 대기 상태(Idle State)에서 제1안테나(10)만 동작시키고, 트래픽(Traffic) 채널이 형성되는 경우 제1안테나(10) 및 제2안테나(20)를 동작시켜 다이버시티 기법을 이용한다. 또는 제어부(110)는 설계자 또는 사업자의 의도에 따라 고속의 패킷 데이터 통신 채널 형성 시에만 제2안테나(20)를 동작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안테나(10) 및 제2안테나(20)가 모두 동작하는 경우 즉, 액티브(Active)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수신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2안테나(2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대기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수신 성능이 저하된다. 특히, 상기 제1안테나(10)와 제2안테나(20)의 물리적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의 수신 성능은 더욱 저하될 수 있다. 이는 제2안테나(20)가 패시브(Passive) 상태에서도 공진하기 때문이다.
상술한 대기 상태에서 수신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10)는 상기 제2안테나(20)의 사용 여부에 따라 제1스위치부(40)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안테나(20)가 사용되지 않는 대기 상태인 경우 제어부(110)는 제1스위치부(40)를 활성화 즉, 제1서브 그라운드(50)와 메인 그라운드(80)를 연결하여 제2안테나(20)의 공진 주파수를 이동 시킴으로써, 제1안테나(10)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10)는 트래픽(Traffic) 채널이 형성되는 경우 즉, 상기 제2안테나(20)의 사용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제1스위치부(40)를 비활성화 하여 상기 제1서브 그라운드(50)와 메인 그라운드(80)를 분리함으로써, 상기 제2안테나(20)가 원래의 공진 주파수에서 공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트래픽 채널이 형성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제1안테나(10)와 제2안테나(20)를 활성화하여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래픽 채널 형성은 음성 또는 화상 통화 연결, 패킷 데이터 통신 채널 연결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10)는 사업자의 의도에 따라 패킷 데이터 통신 채널 형성 시에만 제1스위치부(40)를 비활성화 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가 두 개의 안테나(10, 20)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안테나(10, 20)가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은 세 개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구성하는 경우 및 유사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두 개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모든 휴대 단말기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MP3 모듈과 같은 디지털 음원 재생 모듈 및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 통신 모듈,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저장부(120), 표시부(130), 입력부(140), 무선 통신부(150), 송수신 분리부(160), 방송 수신부(170), 인쇄 회로 기판(180), 공진 주파수 이동부(190), 제1안테나(10), 제2안테나(20), 제3안테나(30) 및 메인 그라운드(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진 주파수 이동부(190)는 제1스위치부(40), 제1서브 그라운드(50), 제2스위치부(60) 및 제2서브 그라운드(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도 1 및 도 2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방송 수신부(170)는 디지털 방송 재생 요청 시 활성화 되며, 상기 제3안테나(30)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 하향 변환하여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3안테나(30)는 디지털 방송 수신을 위한 안테나이다. 상기 제3안테나(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안테나(20)와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3안테나(30)가 제1안테나(10)와 유사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 물리적 이격 거리를 확보하여 대기 상태에서 제1안테나(10)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3안테나(30)는 700MHz 대역의 미디어 플로(MediaFLO) 방식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3안 테나(30)는 제1안테나(10) 및 제2안테나(20)가 같이 피파 타입으로 형성되며, 접지 단자(31) 및 피딩 단자(3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3안테나(30)가 피파 타입의 안테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공진 주파수 이동부(190)는 제2안테나(20) 및 제3안테나(30)가 가지는 공진 주파수를 각각 이동 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공진 주파수 이동부(190)는 제1스위치부(40), 제1서브 그라운드(50), 제2스위치부(60) 및 제2서브 그라운드(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1스위치부(40) 및 제1서브 그라운드(50)에 대한 설명은 도 1 및 도 2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스위치부(60)는 제어부(110)의 제2제어 신호(SW2_C)에 따라 상기 메인 그라운드(80)와 제2서브 그라운드(70)를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방송 재생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제2스위치부(60)는 비활성화 되어 제2서브 그라운드(70)와 메인 그라운드(80)를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대기 상태 또는 트래픽 채널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스위치부(60)는 활성화되어 제2서브 그라운드(70)와 메인 그라운드(8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안테나(30)가 제1안테나(10)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 제2스위치부(60)는 대기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2서브 그라운드(70)는 제3안테나(30)에 인접하는 위치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안테나(30)의 하단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제2서브 그라운드(70)는 메인 그라운드(80) 및 제1서브 그라운드(50)와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스위치부(60)에 의해 메인 그라운드(80)와 연결되는 경우 제2서브 그라운 드(70)는 제3안테나(30)의 공진 주파수를 이동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는 메인 그라운드(80)와 제2서브 그라운드(70)가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제3안테나(30)의 접지 단자(31)와 연결되는 그라운드 영역이 확장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제2서브 그라운드(70)는 메인 그라운드(80)와 연결되어 제3안테나(30)의 구성 요소로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3안테나(3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예컨대 대기 상태 또는 트래픽 채널이 형성되는 경우 제2서브 그라운드(70)를 메인 그라운드(80)와 연결하여 제3안테나(30)의 공진 주파수를 이동시킴으로써, 제3안테나(30)가 제1안테나(10) 및 제2안테나(20)에 미치는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안테나(30)가 제1안테나(10)에 간섭을 주지 않는 경우 대기 상태에서 상기 제2서브 그라운드(70)는 메인 그라운드(80)와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방송 신호 재생이 요청되면, 상기 제2서브 그라운드(70)는 메인 그라운드(80)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방송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 데이터 및 통신 시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저장부(120)는 현재 휴대 단말기(100)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치부(40) 및 제2스위치부(60)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세한 동작은 제어부(110)의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100) 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무선 통신부(15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10)는 상기 제1안테나(10) 내지 제3안테나(30)의 사용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치부(40) 및 제2스위치부(60)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기 상태인 경우 제어부(110)는 제1안테나(10)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스위치부(40)를 활성화하여 제1서브 그라운드(50)와 메인 그라운드(80)를 연결하여 제2안테나(20)의 공진 주파수를 이동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제3안테나(30)가 제1안테나(10)에 간섭을 줄 수 있는 유사한 밴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제2스위치부(60)를 활성화하여 제2서브 그라운드(70)와 메인 그라운드(80)를 연결하여 제3안테나(30)의 공진 주파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3안테나(30)가 제1안테나(10)에 간섭을 주지 않는 경우 제2스위치부(60)를 비활성화 하여 제2서브 그라운드(70)와 메인 그라운드(80)가 분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트래픽 채널이 형성되는 경우 즉, 상기 제2안테나(20)의 사용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제1안테나(10)와 제2안테나(20)를 활성화하여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10)는 제1스위치부(40)를 비활성화 하여 상기 제1서브 그라운드(50)와 메인 그라운드(80)를 분리함으로써, 상기 제2안테나(20)가 원래의 공진 주파수에서 공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제2서브 그라운드(70)와 메인 그라운드(80)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2스위치부(6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트래픽 채널 형성은 음성 또는 화상 통화 연결, 패킷 데이터 통신 채널 연결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사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패킷 데이터 통신 채널 형성 시에만 제1스위치부(40)를 비활성화 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디지털 방송 재생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제2서브 그라운드(70)와 메인 그라운드(80)가 분리되도록 제2스위치부(60)를 비활성화 하고, 상기 제1서브 그라운드(50)와 메인 그라운드(80)가 연결되도록 제1스위치부(40)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MP3 모듈과 같은 디지털 음원 재생 모듈 및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 통신 모듈,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안테나 운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안테나 운용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기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부팅 완료 후 501 단계 에서 대기 상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503 단계에서 트래픽 채널이 연결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채널 연결은 음성 통화 채널 연결, 화상 통화 채널 연결 및 패킷 데이터 통신 채널 연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채널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후술하는 509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트래픽 채널이 연결되는 경우 505 단계로 진행하여 제1스위치부(4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10)는 제1스위치부(40)를 비활성화 하는 제어 신호를 제1스위치부(40)의 제어 단자(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스위치부(40)가 비활성화 되는 경우 메인 그라운드(80)와 제1서브 그라운드(50)가 분리된다. 이때, 상기 제1안테나(10)와 제2안테나(20)는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지며,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트래픽 채널이 형성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의 수신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507 단계에서 트래픽 채널 연결이 종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채널 연결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는 505 단계로 복귀한다. 반면에 상기 트래픽 채널 연결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509 단계로 진행하여 제1스위치부(40)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10)는 제1스위치부(40)를 활성화 하는 제어 신호를 제1스위치부(40)의 제어 단자(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스위치부(40)가 활성화 되는 경우 메인 그라운드(80)와 제1서브 그라운드(50)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안테나(20)의 공진 주파수는 제1안테나(10)의 공진 주파수에 간섭을 주지 않는 타 주파수 영역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래픽 채널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 예컨대 대기 상태에 서 제1안테나(10)의 무선 통신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511 단계에서 종료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종료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 오프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종료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501 단계로 복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종료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트래픽 채널 연결 여부에 따라 제1스위치부(40)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트래픽 채널 연결 시 제1스위치부(40)를 비활성화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동 통신 사업자 또는 휴대 단말기(100)의 설계자 의도에 따라 제어부(110)는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 채널이 연결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1스위치부(40)를 비활성화 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안테나 운용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기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부팅 완료 후 601 단계에서 대기 상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603 단계에서 트래픽 채널이 연결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채널 연결은 음성 통화 채널 연결, 화상 통화 채널 연결 및 패킷 데이터 통신 채널 연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채널이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615 단계로 진행하여 제1스위치부(40)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2스위치부(60)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즉, 트래픽 채널이 연결되먼 상기 제어부(110)는 메인 그라운드(80)와 제1서브 그라운 드(50)를 분리하여 제1안테나(10)와 제2안테나(20)가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메인 그라운드(80)와 제2서브 그라운드(70)를 연결하여 제3안테나(30)의 공진 주파수를 타 주파수 영역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이는 상기 제3안테나(30)가 제2안테나(20)에 미치는 간섭을 줄이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617 단계에서 트래픽 채널 연결이 종료되는 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채널 연결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는 615 단계로 복귀한다. 반면에 상기 트래픽 채널 연결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후술하는 611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603 단계에서 트래픽 채널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605 단계로 진행하여 디지털 방송 재생이 요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방송 재생이 요청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후술하는 611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디지털 방송 재생이 요청되면 607 단계로 진행하여 제1스위치부(40)를 활성화하고, 제2스위치부(6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10)는 제1스위치부(40)를 활성화 하는 제어 신호를 제1스위치부(40)의 제어 단자(미도시)에 전송하고, 제2스위치부(60)를 비활성화 하는 제어 신호를 제2스위치부(60)의 제어 단자(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제1서브 그라운드(50)는 메인 그라운드(80)와 연결되고, 제2서브 그라운드(70)는 메인 그라운드(80)와 분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609 단계에서 디지털 방송이 종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방송이 종료되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607 단계로 복귀 하고, 디지털 방송이 종료되면 제어부(110)는 611 단계로 진행하여 제1스위치부(40)를 활성화하고, 제2스위치부(60)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상기 제1스위치부(40) 및 제2스위치부(60)가 활성화 되는 경우 제1서브 그라운드(50) 및 제2서브 그라운드(70)는 메인 그라운드(80)와 각각 연결된다. 즉, 상기 제1안테나(10) 및 제2안테나(20)의 공진 주파수는 제1안테나(10)에 간섭을 주지 않는 타 주파수 영역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래픽 채널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 예컨대 대기 상태에서 제1안테나(10)의 무선 통신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안테나(30)가 제1안테나(10)에 간섭을 주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611 단계에서 제2스위치부(60)를 비활성화 상태로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609 단계에서 타 휴대 단말기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어 디지털 방송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술한 615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613 단계에서 종료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종료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 오프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종료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601 단계로 복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종료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트래픽 채널 연결 또는 디지털 방송 재생 요청에 따라 제1스위치부(40) 및 제2스위치부(60)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트래픽 채널 연결 시 제1스위치부(40)를 비활성화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동 통신 사업자 또는 휴대 단말기(100)의 설계자 의도에 따라 제어부(110)는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 채널이 연결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1스위치부(40)를 비활성화 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요지를 요약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운용 방법은 복수 개의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 안테나 사용이 요청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안테나 사용이 요청되는 경우 사용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고, 사용 요청되지 않은 타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타 주파수 영역으로 이동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상에서는 서브 그라운드와 메인 그라운드를 연결시켜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이동 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메인 그라운드와 서브 그라운드가 분리되는 경우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가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서브 그라운드의 연결/분리가 아닌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이동 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종래의 문제점 해결 및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운용 방법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내부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내부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운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운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Claims (16)

  1. 복수 개의 안테나;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가지는 공진 주파수를 이동시킬 수 있는 공진 주파수 이동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의 사용 여부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유지 또는 이동시키도록 상기 공진 주파수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 및 메인 그라운드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안테나;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주파수 이동부는
    상기 제2안테나와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메인 그라운드와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제1서브 그라운드; 및
    상기 제어부의 제1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서브 그라운드 및 상기 메인 그라운드를 연결 또는 분리하는 제1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안테나를 미 사용하는 경우 상기 메인 그라운드와 상기 서브 그라운드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1스위치부를 활성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안테나의 사용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메인 그라운드와 상기 보조 그라운드가 분리되도록 상기 제1스위치부를 비활성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테나 및 상기 제2안테나는
    이동 통신을 위한 다이버시티(Diversity) 안테나로 구성되고,
    상기 제1안테나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주 안테나이며, 상기 제2안 테나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부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을 위한 제3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주파수 이동부는
    상기 제3안테나와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메인 그라운드 및 상기 제1서브 그라운드와 분리되어 형성되는 제2서브 그라운드; 및
    상기 제어부의 제2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 그라운드와 상기 제2서브 그라운드를 연결 또는 분리하는 제2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트래픽(Traffic) 채널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메인 그라운드와 상기 제1서브 그라운드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1스위치부를 활성화 하고, 상기 메인 그라운드 와 상기 제2서브 그라운드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2스위치부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트래픽 채널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메인 그라운드와 상기 제1서브 그라운드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1스위치부를 활성화 하고, 상기 메인 그라운드와 상기 제2서브 그라운드가 분리되도록 상기 제2스위치부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트래픽 채널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메인 그라운드와 상기 제1서브 그라운드가 분리되도록 상기 제1스위치부를 비활성화 하고, 상기 메인 그라운드와 상기 제2서브 그라운드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2스위치부를 활성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패킷 데이터 통신 채널 형성 시 상기 트래픽 채널이 형성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디지털 방송 신호 재생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메인 그라운드와 상기 제1서브 그라운드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1스위치부를 활성화 하고, 상기 메인 그라운드와 상기 제2서브 그라운드가 분리되도록 상기 제2스위치부를 비활성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복수 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 안테나의 사용이 요청되는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안테나의 사용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고, 사용 요청되지 않은 타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타 주파수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운용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유지하는 과정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인쇄 회로 기판에 포함되는 메인 그라 운드 및 상기 메인 그라운드와 분리되어 상기 특정 안테나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서브 그라운드가 분리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운용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타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이동시키는 과정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인쇄 회로 기판에 포함되는 메인 그라운드 및 상기 메인 그라운드와 분리되어 상기 타 안테나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서브 그라운드를 연결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운용 방법.
KR1020090120360A 2009-12-07 2009-12-07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운용 방법 KR101839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360A KR101839425B1 (ko) 2009-12-07 2009-12-07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운용 방법
US12/928,211 US8914082B2 (en) 2009-12-07 2010-12-07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antenna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360A KR101839425B1 (ko) 2009-12-07 2009-12-07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964A true KR20110063964A (ko) 2011-06-15
KR101839425B1 KR101839425B1 (ko) 2018-03-16

Family

ID=44082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360A KR101839425B1 (ko) 2009-12-07 2009-12-07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14082B2 (ko)
KR (1) KR1018394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852B1 (ko) 2011-12-02 2018-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이버시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30241800A1 (en) * 2012-03-14 2013-09-19 Robert W. Schlub Electronic Device with Tunable and Fixed Antennas
US8805394B2 (en) * 2012-05-17 2014-08-12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erence mitigation in heterogeneous networks
CN102882545B (zh) * 2012-09-21 2015-08-05 敦泰科技有限公司 一种通信设备
CN105811123A (zh) * 2014-12-31 2016-07-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天线系统及电子设备
US10305453B2 (en) * 2017-09-11 2019-05-2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antennas having multiple operating modes
CN109639887B (zh) * 2018-11-27 2021-11-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终端设备
CN112968273B (zh) * 2021-02-03 2024-05-17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天线结构以及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94284B2 (en) * 2001-12-18 2007-03-2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ommodating two mobile station antennas that operate in the same frequency band
JP2004363863A (ja) * 2003-06-04 2004-12-24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無線端末
EP1753079A4 (en) * 2004-05-12 2007-10-31 Yokowo Seisakusho Kk MULTIBAND ANTENNA, CIRCUIT SUBSTRATE, AND COMMUNICATION DEVICE
US7738539B2 (en) * 2006-12-01 2010-06-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urrent consumption reduction with low power amplifier
KR20080054651A (ko) * 2006-12-13 200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JP4445976B2 (ja) * 2007-02-22 2010-04-07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8249678B2 (en) * 2007-09-28 2012-08-21 Kyocera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configurable antenna
JP5121051B2 (ja) * 2007-12-26 2013-01-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
FI20075974A0 (fi) * 2007-12-28 2007-12-28 Nokia Corp Laite ja menetelmä
JP4358886B2 (ja) * 2008-01-10 2009-11-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14082B2 (en) 2014-12-16
US20110136458A1 (en) 2011-06-09
KR101839425B1 (ko) 2018-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069B1 (ko) 스위칭 회로를 이용하여 무선 주파수 신호들로부터 마이크로전자기계 시스템 스위치들을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183942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운용 방법
US9497652B2 (en) LTE/1x dual-standby with single-chip radio
US9444540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erforming antenna transmit diversity
US9484961B2 (en) Wireless electronic device with antenna switching circuitry
EP2777166B1 (en) Wireless communications circuitry with a triplexer for separating radio-frequency signals in adjacent frequency bands
US8958760B2 (en) Dynamic transmit configurations in devices with multiple antennas
US9172440B2 (en) Antenna device of mobile terminal
CN107135019B (zh) 天线切换装置和移动终端
US20130241800A1 (en) Electronic Device with Tunable and Fixed Antennas
US20160126640A1 (en) Diversity antenna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US20090312050A1 (en)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4683644B2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携帯無線機
KR10163721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안테나 운용 방법
JP4556710B2 (ja) 無線通信装置内蔵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13197636A (ja) 無線通信式携帯型tvチューナ
JP2012105124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アンテナ切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266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502

Effective date: 201711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