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3263A - 옹벽용 보강재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옹벽용 보강재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3263A
KR20110063263A KR1020100045824A KR20100045824A KR20110063263A KR 20110063263 A KR20110063263 A KR 20110063263A KR 1020100045824 A KR1020100045824 A KR 1020100045824A KR 20100045824 A KR20100045824 A KR 20100045824A KR 20110063263 A KR20110063263 A KR 20110063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lock
reinforcing material
reinforcement
cu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영
Publication of KR20110063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2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옹벽용 보강재의 설치구조는, 옹벽 내부에 단계별로 적층되는 다수의 블록과 절토면 사이에 연장되며 다수의 메쉬가 형성되어 상기 메쉬에 채움재가 채워짐으로써 옹벽의 붕괴를 방지하는 옹벽용 보강재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보강재가 고정되는 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절개되는 인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재는 중단이 한 쌍의 블록에 형성되는 인입홈에 각각 끼움된 뒤 단부가 절토면 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옹벽에 축조되는 블록에 인입홈을 형성하고 보강재의 중단은 인입홈에 인입되고 양단부는 절토면에 연장되어 고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옹벽의 안정성을 현저하게 높여주어 견고한 옹벽의 설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옹벽용 보강재의 설치구조{Structure install of reinforced for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옹벽의 내부에서 지반 붕괴를 방지하는 옹벽용 보강재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옹벽 내에 형성되는 블록에 인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에 보강재의 중단을 인입하여 블록과 일체화시켜 블록과 보강재의 결합력을 높이면서도 상기 보강재를 다수의 가닥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다수의 가닥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를 용착 또는 접착하여 보강재의 자체강도를 높일 수 있는 옹벽용 보강재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토압력에 저항하여 토사의 무너짐을 방지하는 벽체로써, 지표지반의 비탈면으로부터 발생하게 되는 외력에 의한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한 구조물이다.
상기 옹벽의 형태는 내부에 단계별로 다수의 블록이 적층되고 상기 블록에 보강재의 일측을 안착함과 동시에 타측의 보강재를 절토면 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시켜 매립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옹벽 내에 매립된 보강재는 옹벽의 내부에 지지되어 자갈 및 흙과 같은 채움재의 토압력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므로 블록들로 축조된 옹벽을 절토면측으로 인장하게 되어 측방 토압에 의한 옹벽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옹벽은 축조된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다짐된 채움재가 압밀되면서 서서히 침하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채움재의 침하현상에 의해 보강재 또한 배면토와 함께 블록 및 절토면에서 이탈되면서 블록 및 절토면이 지지되지 않아 블록이 절토면측으로 쏠리게 되어 단계적으로 적층된 블록의 설치 형태가 변형되어 국부적으로 무너지거나, 과다하게 변형이 야기되어 옹벽의 배불음 현상이 발생되는 등, 옹벽으로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블록에 앵커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앵커볼트에 보강재의 일측을 고정하였지만 상기 앵커볼트와 보강재 간의 고정부위에서 응력이 집중되므로 보강재의 고정부위가 앵커볼트에서 이탈되어 완벽하게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상기 보강재는 통상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이용하여 격자형태로 제직 또는 배열하여 일정한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지만 이러한 특성만으로 블록 및 절토면을 지지하기에는 다소 부족하므로 옹벽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옹벽 내에 형성되는 블록에 인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에 보강재의 중단을 인입하여 블록과 일체화시켜 블록과 보강재의 결합력을 높이면서도 상기 보강재를 다수의 가닥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다수의 가닥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를 용착 또는 접착하여 보강재의 자체강도를 높일 수 있는 옹벽용 보강재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옹벽용 보강재의 설치구조는, 옹벽 내부에 단계별로 적층되는 다수의 블록과 절토면 사이에 연장되며 다수의 메쉬가 형성되어 상기 메쉬에 채움재가 채워짐으로써 옹벽의 붕괴를 방지하는 옹벽용 보강재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보강재가 고정되는 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절개되는 인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재는 중단이 한 쌍의 블록에 형성되는 인입홈에 각각 끼움된 뒤 단부가 절토면 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재는 다수의 가닥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가닥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가 고주파 용착작업과, 열 용착작업과, 접착제 접착작업 중 어느 하나의 작업을 통해 용착 또는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토면에 위치하는 암반의 단부에 홈이 형성되는 핀을 삽입하고, 블록에서 연장되는 보강재의 양단부가 상기 핀의 홈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옹벽용 보강재 설치구조는 옹벽에 축조되는 블록에 인입홈을 형성하고 절토면의 암반에 홈이 형성되는 핀을 삽입하여 보강재의 중단은 인입홈에 인입되고 양단부는 핀의 홈에 고정되어 옹벽 내에서 블록과 절토면과의 고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옹벽의 안정성을 현저하게 높여주어 견고한 옹벽의 설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보강재는 다수개의 가닥이 용착 또는 접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절토면에서 옹벽 내부로 하중이 가해질 때에는 다수로 이루어지는 보강재의 가닥이 개별적으로 인장됨으로써 옹벽에 가해지는 수평 방향의 인장력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힘이 발생되어 블록의 붕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옹벽용 보강재의 설치구조에 의해 옹벽이 구축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가 블록에 인입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의 바람직한 단면의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가 블록에 인입되어 옹벽을 이루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절토면에 보강재가 고정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옹벽용 보강재의 설치구조에 의해 옹벽이 구축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가 블록에 인입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옹벽은 건설의 목적으로 도로, 철도의 사면, 공원지역의 비탈면, 하천제방, 해안도로 등에 절토작업이 이루어진 절토면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 내부에 단계별로 적층되는 다수의 다수의 블록(10)과 절토면(30) 사이에 연장되며 다수의 메쉬(27)가 형성되어 상기 메쉬(27)에 채움재(1)가 채워져 옹벽의 전도를 방지하는 옹벽용 보강재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옹벽 내부에 적층되는 블록(10)은 보강재(20)가 고정되는 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절개되는 인입홈(13)이 형성되어 보강재(20)의 중단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강재(20)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블록(10) 및 절토면(30)에 연장되어 양측으로 이격되는 연장부(23)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23)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이격시켜 일체화되는 리브부(25)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재(20)에 형성되는 메쉬(27)의 넓이는 리브(25)의 이격거리에 의해 정해지며 상기 메쉬(27)의 넓이는 메쉬(27)에 채워지는 자갈 및 흙으로 이루어지는 채움재(1)의 직경을 고려하여 통상 5㎜ 내지 100㎜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브부(25)는 연장부(23) 사이에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하여 보강재(20)의 인장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보강재(20)는 중단이 한 쌍의 블록(10)에 대한 인입홈(13)에 각각 인입된 뒤 양단부가 절토면(30) 측으로 연장되어 블록(10)과의 결합력을 높여주는 동시에 블록(10)의 인접되는 후측에 자갈을 일부 깔고 절토면(30)으로 연장되는 보강재(20)에 채움재(1)를 채운 후 롤러장치로 압착하여 절토면(30)으로 연장되는 양단부 역시 옹벽 내부에서 고정이 이루어져 보강재(20)로 인해 블록(10)과 절토면(30)과의 지지력을 높여주어 옹벽의 안정성을 현저하게 높여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블록(10)은 상측방향으로 계속적으로 적층되며 상기 블록(10)이 적층되면 적층되는 블록(10)마다 보강재(20)의 중단을 블록(10)의 인입홈(13)에 인입하고 보강재(20)의 메쉬(27)에 채움재(1)를 채워 압착하여 옹벽의 내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적층되는 블록(10)의 인입홈(13)에 인입되는 보강재(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의 일방향으로 적층되지 않고 보강재(20)의 중단이 상, 하로 적층되는 블록(10)에 엇쌓는 형태로 인입되어 적층되는 볼록(10)에 따라 보강재(20)가 상, 하가 맞물려져 보강재(20)로 하여금 옹벽에 대한 지지력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재(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가닥으로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가닥을 용착 또는 접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절토면(30)에서 옹벽 내부로 하중이 가해질 때에는 다수의 가닥에서 개별적으로 인장됨으로써 옹벽에 가해지는 하중에 견딜 수 있어 옹벽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가닥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20)의 용착작업 또는 접착작업은 고주파 용착작업과, 열 용착작업과, 접착제 접착작업중 어느 하나 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강재(20)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용착작업 및 접착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토면(30)에 위치하는 암반(33)으로 단부에 홈(43)이 형성되는 핀(40)을 삽입하고, 블록(10)에서 연장되는 보강재(20)의 단부가 상기 핀(40)의 홈(43)에 각각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블록(10)에 인입된 보강재(20)가 절토면(30)에 고정되어 안정적이고 견고한 옹벽이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옹벽용 보강재의 설치구조에 따른 옹벽의 설치작업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절토작업을 통하여 형성된 절토면(30)에 블록(10)을 쌓고 블록(10)의 높이에 맞춰 채움재(1)를 적층하는데 더욱 자세히는 블록(10)의 후측 일부에 배수를 위한 자갈을 깔아 형성하고 깔린 자갈의 후부에서 절토면(30)에 이르기까지 흙을 쌓아 채움재(1)를 적층한다.
상기 채움재(1)가 적층되면 보강재(20)의 중단을 블록(10)의 인입홈(13)에 인입하고 보강재(20)의 양단부를 절토면(30)측으로 연장하여 블록(10) 및 채움재(1)의 상측에 펼친 상태로 안착시킨다.
상기 보강재(20)가 안착되면 다시 블록(10)을 적층하고 적층된 블록(10)의 높이에 맞춰 채움재(1)를 깔고 롤러장치를 이용하여 깔린 채움재(1)를 압착하여 보강재(10)에 형성된 메쉬(27)에 채움재(1)를 채워 옹벽 내에서 보강재(20)가 고정되어 옹벽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블록(10)을 계속적으로 적층함과 동시에 채움재(1)를 보강재(20)에 압착되어 형성됨으로써 옹벽의 축조가 완성되며 상기 옹벽을 지지하는 보강재(20)가 블록(10)과 고정되어 옹벽의 안정성을 현저하게 높여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토면(30) 내에 형성되는 암반(33)으로 홈(43)이 형성된 핀(40)을 삽입하여 상기 핀(40)의 홈(43)에 보강재(20)의 양단부를 고정하여 보강재(20)를 블록(10)과 절토면(30)에 각각 고정시킴으로써 안정적이고 견고한 옹벽이 완성될 수 있도록 한다.
10 : 블록 13 : 인입홈
20 : 보강재 23 : 연장부
25 : 리브부 27 : 메쉬
30 : 절토면 33 : 암반
40 : 핀 43 : 홈

Claims (3)

  1. 옹벽 내부에 단계별로 적층되는 다수의 블록(10)과 절토면(30) 사이에 연장되며 다수의 메쉬(27)가 형성되어 상기 메쉬(27)에 채움재(1)가 채워짐으로써 옹벽의 붕괴를 방지하는 옹벽용 보강재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블록(10)은 보강재(20)가 고정되는 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절개되는 인입홈(13)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재(20)는 중단이 한 쌍의 블록(10)에 형성되는 인입홈(13)에 각각 끼움된 뒤 단부가 절토면(30) 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보강재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20)는 다수의 가닥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가닥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20)가 고주파 용착작업과, 열 용착작업과, 접착제 접착작업 중 어느 하나의 작업을 통해 용착 또는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보강재 설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토면(30)에 위치하는 암반의 단부에 홈(43)이 형성되는 핀(40)을 삽입하고, 블록(10)에서 연장되는 보강재(20)의 양단부가 상기 핀(40)의 홈(43)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보강재 설치구조.
KR1020100045824A 2009-12-03 2010-05-17 옹벽용 보강재의 설치구조 KR201100632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661U KR20090013218U (ko) 2009-12-03 2009-12-03 그리드바
KR2020090015661 2009-1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263A true KR20110063263A (ko) 2011-06-10

Family

ID=443972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661U KR20090013218U (ko) 2009-12-03 2009-12-03 그리드바
KR1020100045824A KR20110063263A (ko) 2009-12-03 2010-05-17 옹벽용 보강재의 설치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661U KR20090013218U (ko) 2009-12-03 2009-12-03 그리드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9001321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584B1 (ko) * 2011-11-22 2014-01-09 문태민 복합 보강토 블록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584B1 (ko) * 2011-11-22 2014-01-09 문태민 복합 보강토 블록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218U (ko)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004B1 (ko) 벽체를 이루는 패널과 강성 벽체구조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KR100834784B1 (ko) 토립자 구속 벌집형 보강재
KR101077949B1 (ko)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 방법
AU2005337565A1 (en) Supporting member, retaining wall structure having the same and building method thereof
JPWO2007046142A1 (ja) 擁壁盛土構造体
KR102127377B1 (ko) 보강토 옹벽의 시공 공법
JP5008771B2 (ja) 擁壁盛土構造体
KR100956280B1 (ko) 강성 벽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과 옹벽 벽체 후방의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528725B1 (ko) 자연석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공법
KR20110063263A (ko) 옹벽용 보강재의 설치구조
JP4614928B2 (ja) 軽量盛土工法
KR100933428B1 (ko) 토립자 구속 벌집형 보강재의 시공방법
KR101175122B1 (ko) 옹벽용 보강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의 설치방법
KR101325826B1 (ko) 옹벽용 보강재의 고정구조
JP3857679B2 (ja) 補強土壁構造物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111511992A (zh) 薄而稳定的分段式墙块以及土壤加固系统和方法
KR102560550B1 (ko) 엄지말뚝 시공용 강재 조립 파일
KR102066728B1 (ko) 옹벽 설치용 기구
JP3853304B2 (ja) 補強土構造物
JP2750363B2 (ja) 急勾配盛土
JP3782055B2 (ja) 補強土構造物
KR101024064B1 (ko) 사면절토 옹벽용 블록 시공방법
KR20090130904A (ko) 다짐도 향상을 위한 보강틀, 이를 이용한 뒷채움보강구조를 가지는 옹벽
KR100497796B1 (ko) 바형 그리드 및 그를 이용한 블럭옹벽의 보강구조
KR100448442B1 (ko) 볼트접합강재를 구비한 옹벽보강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