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2840A - 근거리 및 원거리 겸용 무선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근거리 및 원거리 겸용 무선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2840A
KR20110062840A KR1020090119681A KR20090119681A KR20110062840A KR 20110062840 A KR20110062840 A KR 20110062840A KR 1020090119681 A KR1020090119681 A KR 1020090119681A KR 20090119681 A KR20090119681 A KR 20090119681A KR 20110062840 A KR20110062840 A KR 20110062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short
ran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2002B1 (ko
Inventor
고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90119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002B1/ko
Publication of KR20110062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및 원거리 겸용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명령을 발생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그룹화 과정을 통하여 제1통신기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및 원거리 접속번호를 수집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제1통신기에 대한 통신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통신기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및 근거리접속 요청정보를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하여 전송하여 상기 제1통신기로부터 근거리응답을 받으면 상기 제1통신기와 근거리통신을 수행하고, 소정 시간동안 상기 제1통신기로부터 상기 근거리응답을 받지 못하는 경우 상기 원거리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1통신기의 원거리 접속번호로 원거리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근거리통신, 원거리통신, 그룹화

Description

근거리 및 원거리 겸용 무선통신 시스템{Wireless System for Both Short-range and Long-range Telecommun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근거리 및 원거리 겸용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통신이 가능하면 우선적으로 근거리통신을 수행하고 근거리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원거리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근거리 및 원거리 겸용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자전거 탑승자 간에 무전기나 휴대전화기 같은 무선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무전기의 경우에는 무선통신이 되는 범위가 좁은 단점이 있고, 휴대전화기의 경우에는 무선통신 범위가 넓지만 통신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또한, 통신을 하고자 하는 그룹내 자전거 탑승자 간에 원활한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근거리통신이 가능하면 우선적으로 근거리통신을 수행하고 근거리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원거리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통신모듈 및 원거리통신모듈을 구비한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명령을 발생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그룹화 과정을 통하여 제1통신기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및 원거리 접속번호를 수집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제1통신기에 대한 통신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통신기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및 근거리접속 요청정보를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하여 전송하여 상기 제1통신기로부터 근거리응답을 받으면 상기 제1통신기와 근거리통신을 수행하고, 소정 시간동안 상기 제1통신기로부터 상기 근거리응답을 받지 못하는 경우 상기 원거리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1통신기의 원거리 접속번호로 원거리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통신모듈 및 원거리통신모듈을 구비한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그룹화 과정을 통하여 제2통신기에게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및 원거리 접속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통신기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및 근거리접속 요청정보가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하여 수신되면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제2통신기와 근거리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통신기의 원거리 접속번호 및 원거리접속 요청정보가 상기 원거리통신모듈을 통하여 수신되면 상기 원거리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제2통신기와 원거리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제 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및 원거리 겸용 무선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및 원거리 겸용 무선통신 시스템(100)은 근거리통신모듈(102), 원거리통신모듈(104), 통신제어부(106), 인터페이스부(108) 및 GPS 모듈(110)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GPS 모듈(110)은 생 략될 수 있다.
근거리통신모듈(102)은 통신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근거리통신을 수행한다. 근거리통신모듈(102)은 Zigbee나 Bluetooth 같은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근거리통신을 수행한다.
원거리통신모듈(104)은 통신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원거리통신을 수행하며, CDMA망과 같은 휴대전화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108)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명령을 발생한다. 예를 들어, 버튼을 이용하여 근거리통신 또는 원거리통신을 할 상대방 통신기를 지정하고나, 응답신호를 입력할 때 사용될 수 있다.
통신제어부(106)는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및 원거리 접속번호를 제1통신기(120)로부터 수신하면 제1통신기(120)에게 통신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즉, 통신제어부(106)는 제1그룹화 과정을 통하여 제1통신기(120)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및 원거리 접속번호를 수집하고, 인터페이스부(108)로부터 제1통신기(120)에 대한 통신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제1통신기(120)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및 근거리접속 요청정보를 근거리통신모듈(102)을 통하여 전송하여 제1통신기(120)로부터 근거리응답을 받으면 제1통신기(120)와 근거리통신을 수행하고, 소정 시간동안 제1통신기(120)로부터 근거리접속 요청에 대한 근거리응답을 받지 못하는 경우 원거리통신모듈(104)을 이용하여 제1통신기(120)의 원거리 접속번호로 원거리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통신기(120), 제2통신기(130) 및 제3통신기(140) 등의 통신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및 원거리 겸용 무선통신 시스 템(100)과 통신을 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및 원거리 겸용 무선통신 시스템(10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근거리응답이란 근거리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통신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응답을 의미하며, 두 통신기 사이에 근거리통신세션이 설정되면 근거리통신수행이 가능하여 상호간에 통신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이와 같이 통신을 위하여 통신세션을 설정하는 기술은 공지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그룹화과정이란 근거리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상대방 통신기의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이다.
제1그룹화과정은 다음의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1. 임의의 제1통신기(120)로부터 방송신호 형태로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및 그룹요청 정보를 근거리통신모듈(102)을 통하여 수신한다.
2. 이때, 사용자가 무선통신 시스템(100)에 장착된 인터페이스부(108)의 승락버튼을 누르면 승락명령이 통신제어부(106)로 전송된다.
3. 승락명령을 수신한 통신제어부(106)는 제1통신기(120)에게 근거리통신모듈(102)을 통하여 승락정보를 송신한다.
4. 통신제어부(106)는 승락정보를 수신한 제1통신기(120)로부터 제1통신기(120)의 암호화된 원거리 접속번호와, 암호화정보를 근거리통신모듈(102)을 통하여 수신한다.
5. 암호화정보에 포함된 암호화키를 인터페이스부(108)를 이용하여 입력하면 통신제어부(106)는 암호화된 원거리 접속번호를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원거리 접속 번호를 추출하고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및 추출된 원거리 접속번호를 그룹리스트에 등록한다.
여기서, 암호화정보는 문자 또는 숫자 복수개가 포함되는 이미지데이터이다.
도 2는 통신제어부(106)가 제1통신기(120)로부터 수신한 암호화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암호화정보는 복수개의 문자 또는 복수개의 숫자이거나, 하나 이상의 문자와 숫자를 결합한 것을 이미지데이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서 암호화정보로 전송된 이미지데이터 안에 'OVLJXV'라는 문자열이 들어가며, 이 문자열이 암호화키가 된다.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부(108)를 이용하여 암호화키를 입력하면 통신제어부(106)가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원거리 접속번호를 추출한다.
본 발명의 무선통신 시스템은 GPS 모듈(11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GPS 모듈(110)은 GPS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발생한다.
통신제어부(106)는 원거리통신 또는 근거리통신 시에 GPS 모듈(11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제1통신기(120)에게 전송하고 제1통신기(120)로부터도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GPS 모듈(120)에서 발생한 위치정보와 제1통신기(120)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거리 이하이면 근거리리스트에 제1통신기(120)의 근거리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통신제어부(106)은 게이트웨이통신 기능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즉, 전술하였듯이, 그룹화 과정을 통하여 제1통신기(120)의 근거리접속 식별 정보 및 원거리 접속번호를 수집하고, 인터페이스부(108)로부터 제1통신기(120)에 대한 통신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제1통신기(120)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및 근거리접속 요청정보를 근거리통신모듈(102)을 통하여 전송하여 제1통신기(120)로부터 근거리응답을 받으면 제1통신기(120)와 근거리통신을 수행한다. 만일, 소정 시간동안 제1통신기(120)로부터 근거리응답을 받지 못하는 경우 제1통신기(120)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및 게이트웨이접속 요청정보를 근거리통신모듈(102)을 통하여 방송으로 전송한다. 즉, 어떤 통신기(예를 들어, 제3통신기(140))라고 하더라도 이 게이트웨이접속 요청정보를 수신하도록 하여 수신한 근거리접속 식별정보가 자기의 수신가능리스트 또는 그룹리스트 내에 존재하면 근거리통신을 중개하여 게이트웨이통신이 수행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3통신기(140)가 게이트웨이응답을 전송하면 통신제어부(106)는 근거리통신모듈(102)을 통하여 이를 수신하고 제3통신기(140)와 게이트웨이통신을 수행한다. 하지만 일정 시간 이내에 게이트웨이응답을 받지 못하면 원거리통신모듈(104)을 이용하여 제1통신기(120)의 원거리 접속번호로 원거리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통신제어부(106)는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및 원거리 접속번호를 제2통신기(130)에게 전송하고 제2통신기(130)로부터 통신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즉, 통신제어부(106)는 제2그룹화 과정을 통하여 제2통신기(130)에게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및 원거리 접속번호를 전송하고 제2통신기(130)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및 근거리접속 요청정보가 근거리통신모듈(102)을 통하여 수신되면 근거리통 신모듈(102)을 통하여 제2통신기(130)와 근거리통신을 수행하고 제2통신기(130)의 원거리 접속번호 및 원거리접속 요청정보가 원거리통신모듈(130)을 통하여 수신되면 원거리통신모듈(130)을 통하여 제2통신기(130)와 원거리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2그룹화 과정은 다음의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1. 임의의 제2통신기(130)에게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및 그룹요청 정보를 근거리통신모듈(102)을 통하여 방송신호로 전송한다.
2. 제2통신기(130)로부터 승락정보를 근거리통신모듈(102)을 통하여 수신한다.
3. 승락정보를 수신하면 근거리통신모듈(102)을 통하여 제2통신기(130)에게 제2통신기(130)의 암호화된 원거리 접속번호와, 암호화된 원거리 접속번호에 대한 암호화정보를 송신한다.
4. 제2통신기(130)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를 수신가능리스트에 등록한다.
통신제어부(106)는, 제2통신기(130)로부터 근거리접속 요청정보를 근거리통신모듈(102)을 통하여 수신한 경우, 제2통신기(130)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가 수신가능리스트 내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경우 근거리통신모듈(102)을 이용하여 제2통신기(130)와 근거리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통신제어부(106)는 제2통신기(130)로부터 제3통신기(140)에 대한 게이트웨이접속 요청정보를 근거리통신모듈(102)을 통하여 수신한 경우, 제2통신기(130)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가 수신가능리스트 내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또는 그룹리스트 내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고 제3통신기(140)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가 수신가능리스트 내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또는 그룹리스트 내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경우 제2통신기(130)와 제3통신기(140) 사이의 근거리통신을 중개한다. 여기서, 근거리통신을 중개한다는 의미는 제2통신기(130)와 제3통신기(140) 사이의 통신 데이터를 전달해주는 역할을 함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그룹화를 통하여 그룹으로 묶여 있는 통신기끼리는 근거리통신이 가능하면 우선적으로 근거리통신을 수행하고 근거리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원거리통신을 수행하도록 하여 두 통신기 간 거리가 원거리인 경우에만 원거리통신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통화비용이 절감되며, 통신중에 통신기의 위치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통신 상대방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 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이와 명시적으로 상반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및 원거리 겸용 무선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통신제어부(106)가 제1통신기(120)로부터 수신한 암호화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무선통신 시스템 102: 근거리통신모듈
104: 워너리통신모듈 106: 통신제어부
108: 인터페이스부 110: GPS 모듈
120: 제1통신기 130: 제2통신기
140: 제3통신기

Claims (9)

  1. 근거리통신모듈 및 원거리통신모듈을 구비한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명령을 발생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그룹화 과정을 통하여 제1통신기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및 원거리 접속번호를 수집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제1통신기에 대한 통신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통신기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및 근거리접속 요청정보를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하여 전송하여 상기 제1통신기로부터 근거리응답을 받으면 상기 제1통신기와 근거리통신을 수행하고, 소정 시간동안 상기 제1통신기로부터 상기 근거리응답을 받지 못하는 경우 상기 원거리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1통신기의 원거리 접속번호로 원거리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제어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 과정은,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제1통신기로부터 방송신호 형태로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및 그룹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승락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통신기에게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하여 승락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통신기로부터 상기 제1통신기의 암호화된 원거리 접속번호 및 암호화정보를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정보에 포함된 암호화키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여 입력하면 상기 암호화된 원거리 접속번호를 상기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원거리 접속번호를 추출하고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및 추출된 원거리 접속번호를 그룹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정보는 문자 또는 숫자 복수개를 포함하는 이미지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은,
    위치정보를 발생하는 GPS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통신제어부는 상기 원거리통신 또는 상기 근거리통신 시에 상기 GPS 모듈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제1통신기에게 전송하고 상기 제1통신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GPS 모듈에서 발생한 위치정보와 상기 제1통신기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거리 이하이면 근거리리스트에 상기 제1통신기의 근거리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제어부는,
    그룹화 과정을 통하여 제1통신기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및 원거리 접속번호를 수집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제1통신기에 대한 통신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통신기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및 근거리접속 요청정보를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하여 전송하여 상기 제1통신기로부터 근거리응답을 받으면 상기 제1통신기와 근거리통신을 수행하고, 소정 시간동안 상기 제1통신기로부터 상기 근거리응답을 받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1통신기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및 게이트웨이접속 요청정보를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하여 방송으로 전송하여 게이트웨이응답을 받으면 게이트웨이응답을 송신한 통신기와 케이트웨이통신을 수행하고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게이트웨이응답을 받지 못하면 상기 원거리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1통신기의 원거리 접속번호로 원거리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6. 근거리통신모듈 및 원거리통신모듈을 구비한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그룹화 과정을 통하여 제2통신기에게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및 원거리 접속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통신기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및 근거리접속 요청정보가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하여 수신되면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제2통 신기와 근거리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통신기의 원거리 접속번호 및 원거리접속 요청정보가 상기 원거리통신모듈을 통하여 수신되면 상기 원거리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제2통신기와 원거리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제어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 과정은,
    상기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및 그룹요청 정보를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하여 방송신호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통신기로부터 승락정보를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제2통신기에게 상기 제2통신기의 암호화된 원거리 접속번호와, 상기 원거리 접속번호에 대한 암호화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통신기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를 수신가능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제어부는,
    제2통신기로부터 근거리접속 요청정보를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하여 수신 한 경우, 상기 제2통신기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가 상기 수신가능리스트 내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경우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2통신기와 근거리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제어부는,
    제2통신기로부터 제3통신기에 대한 게이트웨이접속 요청정보를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하여 방송신호형태로 수신한 경우, 상기 제2통신기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가 상기 수신가능리스트 내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또는 그룹리스트 내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고 상기 제3통신기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가 상기 수신가능리스트 내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또는 그룹리스트 내의 근거리접속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제2통신기와 상기 제3통신기 사이의 근거리통신을 중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KR1020090119681A 2009-12-04 2009-12-04 근거리 및 원거리 겸용 무선통신 시스템 KR101272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681A KR101272002B1 (ko) 2009-12-04 2009-12-04 근거리 및 원거리 겸용 무선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681A KR101272002B1 (ko) 2009-12-04 2009-12-04 근거리 및 원거리 겸용 무선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840A true KR20110062840A (ko) 2011-06-10
KR101272002B1 KR101272002B1 (ko) 2013-06-05

Family

ID=4439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681A KR101272002B1 (ko) 2009-12-04 2009-12-04 근거리 및 원거리 겸용 무선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0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855A (ko) * 2016-08-26 2018-03-07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동시 다중 모드 레이더 동작을 위한 수신 체인 구성 기법
KR102407985B1 (ko) * 2021-02-17 2022-06-13 주식회사 피에스티텍 위치정보기반 사물인터넷 위치 추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7977A (ko) * 2003-06-16 2004-12-23 주식회사 케이티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무선전화시스템 및그 방법
KR100547373B1 (ko) 2003-08-28 2006-01-26 주식회사 팬택 무전기 겸용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모드 자동 전환방법
KR101503839B1 (ko) * 2007-07-13 2015-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모드 휴대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JP2009272951A (ja) * 2008-05-08 2009-11-19 Ntt Docomo Inc グルーピングシステム、管理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855A (ko) * 2016-08-26 2018-03-07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동시 다중 모드 레이더 동작을 위한 수신 체인 구성 기법
US10620298B2 (en) 2016-08-26 2020-04-14 Infineon Technologies Ag Receive chain configuration for concurrent multi-mode radar operation
US10996312B2 (en) 2016-08-26 2021-05-04 Infineon Technologies Ag Receive chain configuration for concurrent multi-mode radar operation
KR102407985B1 (ko) * 2021-02-17 2022-06-13 주식회사 피에스티텍 위치정보기반 사물인터넷 위치 추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2002B1 (ko)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69156B (zh) 参考信号资源的配置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KR10065925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장치 검색 방법
EP3200549B1 (en)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US7353391B2 (en) Authenticating method for short-distance radio devices and a short-distance radio device
KR101117712B1 (ko) 다중 수신 대기를 위한 통신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544431B1 (ko) 오디오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기기의 연결 장치 및 방법
US9451067B2 (en) Portable terminal auxiliary device having satellite communication function
US20080268814A1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101446520B1 (ko) 휴대용 위성통신장치
CN103312787B (zh) 一种通过指纹识别快速共享文件的方法及移动终端
CN102843745A (zh) 移动热点的接入方法及移动终端
CN102215179A (zh) 一种即时通信注册装置及即时通信注册方法
US20100205438A1 (en) Authenticating method for short-distance radio devices and a short-distance radio device
CN101409871A (zh) 一种远程遥控方法、系统和遥控装置
CN105577375A (zh) 身份验证方法及装置
CN105451161B (zh) 基于安卓手机内置基站方式实现文件共享方法及系统
CN104270826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3152839A (zh) 一种工业无线通讯设备快速配对系统及方法
KR101272002B1 (ko) 근거리 및 원거리 겸용 무선통신 시스템
KR20130120213A (ko) 통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 설정 방법과 그 통신 단말
WO2002082852A1 (fr) Assistant numerique personnel, systeme de communication sans fil et procede d&#39;etablissement des liaisons
KR100716920B1 (ko) 할인 요금 서비스존 설정 시스템 등록 및 탈퇴 방법
CN108848066A (zh) 一种终端的通信方法、终端及存储介质
EP3301885A1 (en) Method, data sending control server, storage server, processing server and system for sending data to at least one device
KR20160033939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차량용 통신 장치의 접속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