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2502A - 오픈식 커튼월 장치 - Google Patents

오픈식 커튼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2502A
KR20110062502A KR1020090119245A KR20090119245A KR20110062502A KR 20110062502 A KR20110062502 A KR 20110062502A KR 1020090119245 A KR1020090119245 A KR 1020090119245A KR 20090119245 A KR20090119245 A KR 20090119245A KR 20110062502 A KR20110062502 A KR 20110062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wall
guide frame
wall panel
building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상
Original Assignee
유재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상 filed Critical 유재상
Priority to KR1020090119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2502A/ko
Publication of KR20110062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5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픈식 커튼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벽 대신 설치되고, 커튼월 판넬이 열리고 닫히도록 제작되어 열림시, 실내 통기와 넓은 시야가 확보되어 경관을 감상할 수 있으며, 우천시와 미사용시 닫을 수 있어 아늑한 실내 공간을 확보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체로 사용되는 오픈식 커튼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층간에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따라 이송되도록 양끝단면에 구동 베어링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따라 이송되어 오픈 된 건물의 층간 사이를 개폐하도록 양끝단부에 이송체인이 설치되는 커튼월 판넬과;
상기 커튼월 판넬의 이송체인과 맞물려 회전에 의해 커튼월 판넬이 이송되도록 가이드 프레임의 양측 일단부에 다수개의 스프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라켓이 축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시키도록 축의 끝단부에 구동모터가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튼월, 셔터, 판넬, 체인, 스프라켓

Description

오픈식 커튼월 장치{Curtain wall equipment}
본 발명은 오픈식 커튼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벽 대신 설치되고, 커튼월 판넬이 열리고 닫히도록 제작되어 열림시, 실내 통기와 넓은 시야가 확보되어 경관을 감상할 수 있으며, 우천시와 미사용시 닫을 수 있어 아늑한 실내 공간을 확보하는 오픈식 커튼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월(CURTAIN WALL)은 벽체가 내력을 지지하지 않고 단순히 칸막이 구실을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국건축 용어로는 '비내력 칸막이벽'이라 한다.
아울러, 건물의 주체구조인 기둥과 보의 골조만으로 건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과 바람이나 지진 등에 의한 수평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에서 벽체를 커튼월로 시공하는 형태를 커튼월 구조라 하며, 커튼월 구조에서 커튼월은 외부로부터의 비나 바람을 막고 소음이나 열을 차단하는 구실을 하며 기둥과 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유리 등과 같은 재료로 마감을 함으로써 외장용(外粧用)으로서 큰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커튼월이란 하중을 지지하지 않고 단지 공간을 구획하는 비내력벽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커튼월은 내력벽 또는 비내력 사이에 고정되어 건축물의 내부에 구비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커튼월은 그 위치가 고정되므로, 건축물의 내부에 구비되는 공간을 가변적으로 구획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자유로운 공간의 분할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건물의 외벽 대신 설치되고, 커튼월 판넬이 열리고 닫히도록 제작되어 열림시, 실내 통기와 넓은 시야가 확보되어 경관을 감상할 수 있으며, 우천시와 미사용시 닫을 수 있어 아늑한 실내 공간을 확보하는 오픈식 커튼월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체로 사용되는 오픈식 커튼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층간에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따라 이송되도록 양끝단면에 구동 베어링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따라 이송되어 오픈 된 건물의 층간 사이를 개폐하도록 양끝단부에 이송체인이 설치되는 커튼월 판넬과;
상기 커튼월 판넬의 이송체인과 맞물려 회전에 의해 커튼월 판넬이 이송되도록 가이드 프레임의 양측 일단부에 다수개의 스프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라켓이 축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시키도록 축의 끝단부에 구동모터가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식 커튼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픈식 커튼월 장치는 건물의 외벽 대신 설치되고, 커튼월 판넬이 열리고 닫히도록 제작되어 열림시, 실내 통기와 넓은 시야가 확보되어 경관을 감상할 수 있으며, 우천시와 미사용시 닫을 수 있어 아늑한 실내 공간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체로 사용되는 오픈식 커튼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층간에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따라 이송되도록 양끝단면에 구동 베어링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따라 이송되어 오픈 된 건물의 층간 사이를 개폐하도록 양끝단부에 이송체인이 설치되는 커튼월 판넬과;
상기 커튼월 판넬의 이송체인과 맞물려 회전에 의해 커튼월 판넬이 이송되도록 가이드 프레임의 양측 일단부에 다수개의 스프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라켓이 축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시키도록 축의 끝단부에 구동모터가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판넬의 구동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판넬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픈식 커튼월 장치(40)는 건물의 외벽 대신에 사용된다. 즉, 외부와 직접 접촉하는 건물의 외벽 대신에 커튼월이 사용되는데, 상기 커튼월 장치(40)는 가이드 프레임(10)과, 커튼월 판넬(20)과, 구동부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10)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벽이 없는 건물의 층간 사이에 설치되는데, 상기 층간의 형태에 따라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고, 대부분 직사각형 형태로 양측에 지지대(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양끝단부 중 선택적으로 받침대(미도시)가 형성되고, 타측은 굴곡진 직각으로 휘어져 상기 커튼월 판넬(20)이 적재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10)의 지지대는 상호 대응되는 내측에 커튼월 판넬(20)이 구비되어 상,하로 이송되는데, 상기 커튼월 판넬(20)의 구동 베어링(21)이 끼워지도록 단면상 "[ ]" 형태로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지지대의 단면 형태는 커튼월 판넬(20)의 구동 베어링(21)이 끼워지면서 다수개 설치되는 커튼월 판넬(2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직각으로 굴곡진 가이드 프레임(10)의 끝단부는 상,하측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건물의 층 내부까지 구비되어 커튼월 판넬(20)의 오픈시, 상기 커튼월 판넬(20)이 보이지 않도록 하여 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커튼월 판넬(20)이 가이드 프레임(10)을 따라 끝단부까지 이송되어 적재되는데, 그 공간이 층의 바닥 내부 또는 천장 내부 중 선택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간이 커튼월 판넬(20)의 적재공간부(11)가 되는 것이다.
상기 커튼월 판넬(20)은 도 1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10)의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10)에 따라 이송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10)의 지지대에 끼워지도록 커튼월 판넬(20)의 양끝단면에 다수개의 구동 베어링(21)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튼월 판넬(20)은 다수개로 형성되어 가이드 프레임(10)에 따라 이송되며 오픈 된 건물의 층간 사이를 개폐한다.
여기서, 상기 커튼월 판넬(20)은 외관이 스틸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유리창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튼월 판넬(20)이 가이드 프레임(10)에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양끝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이송체인(22)이 앞,뒤로 형성되고, 상기 이송체인(22)이 구동부의 스프라켓(31)과 맞물려서 상기 스프라켓(31)의 회전에 의해 커튼월 판넬(20)이 이송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다수개로 형성되는 커튼월 판넬(20)은 상기 구동부의 스프라켓(31)에 의해 가이드 프레임(10)을 따라 이송시, 상호 연결되도록 일단면에 연결체인(23)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체인(23)은 상,하부에 위치한 커튼월 판넬(20)의 측면 상측부에 양끝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커튼월 판넬(20)이 상,하로 구비시, 상호 간격이 이격되지 않도록 연결체인(23)의 길이가 맞게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커튼월 판넬(20) 중 건물의 바닥 또는 천장에 적재시, 가장 마지막에 적재되는 커튼월 판넬(20)의 상,하측 끝단부에는 건물의 바닥 또는 천장의 표면을 마감하기 위해 동일한 재질의 마감재(24)가 더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튼월 판넬(20)을 이송시키위 위해 스프라켓(31)과, 상기 스프라켓(3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라켓(3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프라켓(31)으로 크기와 기어 수 등은 커튼월 장치(40)에 따라 설계변경이 가능하고, 상기 스프라켓(31)은 가이드 프레임(10)의 양측 일단부에 설치되는데, 한쪽에 한쌍으로 설치되어 커튼월 판넬(20)의 앞,뒤에 설치된 이송체인(22)과 맞물릴 수 있으며, 상기 한쌍의 스프라 켓(31) 사이에 커튼월 판넬(20)이 위치하여 상기 스프라켓(31)의 회전에 의해 커튼월 판넬(20)을 상,하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한쌍의 스프라켓(31)은 커튼월 판넬(20)의 크기와 개수 등에 따른 하중을 지지하면서 일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10)의 양측에 설치되는 스프라켓(31)은 상호 축(33)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축(33)의 끝단부에 구동모터(32)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32)에 의해 스프라켓(31)이 회전되며, 그로 인해 커튼월 판넬(20)이 상,하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커튼월 판넬(20)이 적재되는 바닥 내부 또는 천장 속에 위치되어 외관이 깔끔하게 정리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판넬의 구동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판넬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이드 프레임 11 : 적재공간부
20 : 커튼월 판넬 21 : 구동 베어링
22 : 이송체인 23 : 연결체인
24 : 마감재 31 : 스프라켓
32 : 구동모터 33 : 축
40 : 커튼월 장치

Claims (3)

  1. 건물의 외벽체로 사용되는 오픈식 커튼월 장치(40)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층간에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10)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10)에 따라 이송되도록 양끝단면에 구동 베어링(2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10)에 따라 이송되어 오픈 된 건물의 층간 사이를 개폐하도록 양끝단부에 이송체인(22)이 설치되는 커튼월 판넬(20)과;
    상기 커튼월 판넬(20)의 이송체인(22)과 맞물려 회전에 의해 커튼월 판넬(20)이 이송되도록 가이드 프레임(10)의 양측 일단부에 다수개의 스프라켓(31)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라켓(31)이 축(33)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시키도록 축(33)의 끝단부에 구동모터(32)가 연결되는 구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식 커튼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월 판넬(20)은 외관이 스틸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유리창으로 형성되며,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라켓(31)에 의해 가이드 프레임(10)을 따라 이송시, 상호 연결되도록 커튼월 판넬(20)의 양끝단면에 연결체인(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식 커튼월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10)의 끝단부는 굴곡지게 형성되어 다수개의 커튼월 판넬(20)이 임시 적재되도록 적재공간부(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식 커튼월 장치.
KR1020090119245A 2009-12-03 2009-12-03 오픈식 커튼월 장치 KR201100625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245A KR20110062502A (ko) 2009-12-03 2009-12-03 오픈식 커튼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245A KR20110062502A (ko) 2009-12-03 2009-12-03 오픈식 커튼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502A true KR20110062502A (ko) 2011-06-10

Family

ID=44396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245A KR20110062502A (ko) 2009-12-03 2009-12-03 오픈식 커튼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25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36364A (zh) * 2023-11-07 2024-02-09 浙江年代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节能通风的建筑幕墙结构及其使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36364A (zh) * 2023-11-07 2024-02-09 浙江年代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节能通风的建筑幕墙结构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77669B1 (en) Sliding element system
RU2454522C2 (ru) Система раздвижных окон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ES2366128T3 (es) Cajón de persiana enrollable montado por el exterior.
WO2017098042A4 (de) Traglufthalle mit fenster
MX2008015846A (es) Puerta multiple.
KR20080028348A (ko) 슬라이딩 창호가 구비된 투명 마감 방식의 커튼월 구조
KR20200021876A (ko) 건물 벽체 마감 아트월 조립체
JP5726772B2 (ja) 洗面所の採光構造
KR101128846B1 (ko) 오픈식 커튼월 장치
KR20110062502A (ko) 오픈식 커튼월 장치
KR101168904B1 (ko) 오픈식 커튼월 장치
JP5502423B2 (ja) 建物の吹抜け構造
EP1698754A1 (en) Fixture assembly for the building industry and method for the installation thereof
KR20210003617A (ko) 아트월 시스템
US20190292843A1 (en) Perimetrical frame for glass doors
KR200472253Y1 (ko) 슬림형 창문 프레임을 위한 삽입형 롤러부
JP2022019886A (ja) カーテンウォール
JP6453621B2 (ja) 壁構造体
JP2005105562A (ja) 回転・移動パネル及びその吊車
CN205713732U (zh) 一种遮阳通风协调窗户
JPH0513238B2 (ko)
RU103124U1 (ru) Люк ревизионный
US263354A (en) Construction and decoration of buildings
JP5389330B2 (ja) 収納構造
KR20110091331A (ko) 실내 구획용 커튼월 판넬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