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1751A - 열전소자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전소자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1751A
KR20110061751A KR1020090118257A KR20090118257A KR20110061751A KR 20110061751 A KR20110061751 A KR 20110061751A KR 1020090118257 A KR1020090118257 A KR 1020090118257A KR 20090118257 A KR20090118257 A KR 20090118257A KR 20110061751 A KR20110061751 A KR 20110061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inorganic
thermoelectric
inorganic hybrid
nano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형
장문규
이수재
박영삼
현영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18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1751A/ko
Priority to US12/958,038 priority patent/US20110129668A1/en
Publication of KR20110061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1/00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4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 H01B1/128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compris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in the main chain, e.g. polyanilines, polyphenyle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7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other polycondensation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9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other synthetic polym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10N10/851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10N10/857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compositions changing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inside th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8Physical dimension

Abstract

본 발명의 열전소자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섬유는 전기전도도가 높은 나노입자 또는 나노결정 상태의 무기물; 무기물보다 열전도도가 낮고 절연체보다 전기전도도가 높으며, 무기물을 내부에 포함하는 유기물을 포함하고, 무기물 및 상기 유기물이 복합물질 형태로 배열되어 열전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저가형이면서 비교적 열-전기 변환 효율이 높은 열전 소자에 적용할 수 있다.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섬유, 열전소자

Description

열전소자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Organic-inorganic hybrid nanofibers for thermoelectric devices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섬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가형, 고효율열전 특성을 갖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섬유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에너지 자원이 점차 고갈되고 이에 따라 유가 에너지가 폭등하여, 새로운 에너지 자원의 개발과 이상 고온 등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 되는 탄소 기반 에너지원의 대체 에너지 또는 청정에너지 개발 등의 필요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청정에너지로 가장 각광을 받고 있는 태양에너지는 무제한의 공급이 가능하고 에너지원에 대한 로열티가 없어 인기가 있는 반면 그 외의 신 재생에너지 즉, 풍력, 조력, 지열 등을 이용하는 에너지 개발은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지는 않다.
하지만 휴대폰, 노트북, RFID 등 전자 통신 기기 혹은 부품에 적용하기에는 태양에너지나 위에 열거한 기타 다른 신 재생에너지는 소형화가 어려워 다소 부적합하다는 문제가 있다.
전자 통신 기기에 적합한 신 재생 혹은 청정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소 형화가 가능해야 하고 소형인 상태에서도 사용하기에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불행히도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에너지원은 현재 거의 없으며, 연료 전지, 바이오 전지 등이 연구되고 있지만 아직 안전성과 재현성 등에 문제가 많다.
반면에 우리 몸의 열, 즉 생체 열이나 태양열 등과 같은 기타 주변의 열에너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성시키는 열전에너지(thermoelectric) 생성 기술은 소형화에 적합하다는 이점이 있으며, 소량의 전력이 필요한 IT 기기의 응용에 적합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응급 시에 필요한 적정량의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기기 사용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는 데에 유리한 점이 있다.
지금까지 열전에너지 생성에 쓰인 재료로는 비스무스(Bi)와 텔루라이드(Te)의 화합물 재료가 가장 많이 쓰여져 왔다. 그 외에 Yb, Pb, Cs, Si 등의 원소들과 Te, Ge 등의 여러 가지 조성에 따른 화합물들이 재료로서 많이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무기물들은 첫째, 주로 중금속들로서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고, 둘째, 화합물 조성 변화와 초격자와 같은 구조를 가져야 하는 등 화합물의 합성에너지가 높으며, 셋째, 모듈 제작 에너지가 높고, 마지막으로 분리 및 재활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 제조가 용이하고, 비교적 저가이며, 합성 및 생산 에너지가 낮고, 원료가 풍부한 전도성 고분자를 활용하는 방법이 대두되고 있으나, 열전도도가 낮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전기전도도가 아직 낮은 문제점이 있다.
아주 최근에는 실리콘 나노 와이어를 이용하여 변환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으며, 그라핀과 같은 재료는 매우 높은 변환효율을 낼 수 있다는 이론적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나노 구조로 된 재료는 중간 혹은 그 이상의 파장을 갖는 포논(phonon)들을 산란시킬 수가 있으므로 격자에 의한 열전도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Bi2Te3/Sb2Te3 초격자 구조를 갖는 물질을 개발하기도 하고, 앞서 언급한대로 최근에는 실리콘 나노선을 열전 소자에 응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위에 언급된 무기물들은 중금속이거나, 공정 상에 높은 온도 등 고 에너지가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무기물 소재의 열전 특성의 단점을 보완하고, 높은 ZT 값을 갖기 위해 열전도도가 아주 낮은 특성을 갖는 열전소재를 개발하기 위해서 새로운 열전 소재 및 저가 공정에 대한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열전도도가 낮은 유기물과 전기 전도도가 매우 높은 무기물을 하이브리드시켜 나노 섬유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열전 소자에 적용할 수 있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섬유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섬유는,
전기전도도가 높은 나노입자 또는 나노결정 상태의 무기물;
상기 무기물보다 열전도도가 낮고 절연체보다 전기전도도가 높으며 상기 무기물을 내부에 포함하는 유기물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물 및 상기 유기물이 복합물질 형태로 배열되어 열전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고효율, 저비용의 단분자 유기물 혹은 고분자와 무기물의 하이브리드, 혹은 복합재료로 된 나노섬유 신소재를 이용하여 우수한 특성을 갖는 열전 소자를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혹은 복합재료 나노 섬유는 기본적으로 초격자와 같은 형태의 배열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무기물의 높은 전기 전도도를 유지하면서, 열전도도를 저하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어, 열전 소재로서 적합하다. 또한 높은 열처리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저비용의 공정으로 고효율의 열전 소재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높은 ZT값(Figure-of-merit)을 갖는 열전 소자의 구현이 가능하며, 특히 소형화에 유리한 점을 가지므로, 보다 이동성이 요구되며 장시간의 에너지원 이 필요한 IT 기기의 전력원으로 좋은 열전 소자를 생산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먼저 본 발명의 기본이 되는 열전소자의 개념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어떠한 물질의 열전에너지 변환 효율은 물질의 ZT 값(Figure-of-Merit)에 의해 크게 좌우되는데 아래와 같은 수식(1)로 표현된다.
ZTm = α2σT /κ (1)
여기서 α는 제벡계수(Seebeck coefficient), σ는 전기전도도, T는 온도, κ는 열전도도를 의미하고, 첨자 m은 물질을 의미한다.
제벡계수 α는 열기전력(thermopower) 혹은 열전력(thermoelectric power)라고도 불리며, 음 또는 양수의 값을 가질 수 있고, 온도의 변화 ΔT에 따른 전압의 변화 ΔV의 비(ΔV/ΔT)를 나타내는 상수로서 물질 고유의 특성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금속에서는 값이 작고 반도체에서는 보다 큰 값을 갖는다.
수식 (1)의 분자는 역률(power factor)로서 통상 ZT 값을 크게 하기 위해 캐리어의 농도와 연관 지어지며, 같은 농도에서는 전기 전도도가 높은 값을 갖기 위해서 이동도가 큰 캐리어가 있는 물질이 유리하다.
열전 소자에 쓰이는 물질은 한 가지 종류가 아니다. n-타입 및 p-타입 두 가지 물질이 있어야 소자가 완성되므로 단일 물질 만의 ZT 값은 큰 의미가 없다. 따라서, 소자의 ZT 값은 위의 물질만의 ZT 값과는 달리 아래 수식 (2)와 같이 주어진다.
ZTd = ( αp 2 - αn 2 ) T / [(Rnκn)1/2 + (Rpκp)1/2] (2)
여기서 아래 첨자 d는 소자를 의미하고, R은 전기 저항을 나타낸다.
열전소자의 효율은 위 ZTd 값에 직접적으로 비례하는 관계를 갖는다. 수식 (2)에 의하면 p-타입과, n-타입 두 물질의 열기전력(thermopower) 차이가 크고, 두 물질 모두 열전도율과 전기 저항이 작을 때 큰 ZT 값을 가질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위 식에서 보는 바와 같이 ZT가 큰 값을 갖기 위해서는 가장 기본적으로 전기전도도는 커야 하며, 열전도도는 낮아야 한다. 이러한 성질을 갖기 위한 재료는 몇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첫째, 재료의 상태가 열전도도와 상관이 있는 포논(phonon)이 움직이기에는 어려운 글래시(glassy)한 상태여야 하는 반면, 전기전도도와 관련이 있는 전자에 대해서는 결정성의 구조를 갖는 상태인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둘째, 물질 내에는 전자, 정공의 두 캐리어가 존재하며, 물질의 n, p 타입 속성에 따라 어느 하나가 주 캐리어(majority carrier)가 되고 다른 하나는 종 캐리어(minority carrier)가 되는 바, 종 캐리어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밴드 갭이 충분히 커야 한다(약 10 kBT 정도). 특히 높은 온도에서의 활용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종 캐리어의 영향을 최소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열적 안정성이 좋아야 한다. 즉, 열 어닐링(thermal annealing) 등과 같이 온도를 높였을 때나, 높은 온도에서 장시간 작동할 때 물질 내에서의 원자 확산(atomic diffusion)과 전극과의 접촉 등에서의 상호 확산(inter diffusion) 등에 의한 성능 저하가 적어야 한다.
넷째, 전기 전도도를 높게 하기 위해 이동도가 큰 캐리어를 갖는 물질이 유리하다.
다섯째, 열전도도는 전자의 의한 부분과 포논에 의해 기여되는 부분으로 구성되는 바, 전자에 의한 부분은 비더만-프란츠(Wiedemann-Franz) 관계식으로 전기 전도도에 비례하고, 포논에 의한 부분은 포논의 평균자유경로(mean free path)가 작을수록 그 값이 작다. 따라서, 전기전도도가 크되 너무 크지 않으면서 포논의 평 균자유경로가 작은 물질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열전 신소재 및 소자 구조 개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열전도도가 낮은 반면 전기 전도도는 절연체에 비해 비교적 높은 유기물 혹은 고분자와 전기 전도도가 매우 높은 무기물을 하이브리드 시킨 재료를 전기 방사와 같은 방법으로 나노 섬유 형태로 만든 소재를 저가형이면서 비교적 열-전기 변환 효율이 높은 열전 소자에 적용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섬유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섬유(100)는 무기 반도체 물질(110)과 전도성 고분자(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섬유(100)는 열전도도가 낮은 전도성 고분자(120) 안에 전기전도도가 높은 무기 반도체 물질(110)이 포함되어 있는 형태를 갖는다.
무기 반도체 물질(110)로는 기존에 열전 소재로 많이 쓰이고 있는 비스무스(Bi), 안티몬(Sb) 계 합금(alloy), 실리콘 저마늄(SiGe), 실리콘(Si) 등의 반도체 물질을 입자 또는 그레인(grain)(나노입자 또는 나노그레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전도성 고분자(120)는 무기 반도체 물질(110) 보다 열 전도도가 매우 낮고, 절연체인 일반고분자 보다는 전기 전도도가 높기 때문에 무기 반도체 물질(110)을 포함하는 매질로서 적합하다.
무기 반도체 물질(110)은 전기 전도도 및 열 전도도가 전도성 고분자(120)에 비해 높으므로, 복합 물질 형태의 하이브리드로 하였을 때 열전도도는 상당히 떨어뜨리고 전기 전도도는 적게 떨어뜨리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전도성 고분자(120)는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폴리(p-페닐렌비닐렌)(poly(p-phenylenevinylene)), 폴리아닐린(polyaniline) 계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도성 고분자(120)의 전기 전도도의 향상을 위해 약간의 도핑(doping)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섬유가 전도성 고분자(120)와 무기 반도체 물질(110)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섬유는 열전도도가 낮으면서 절연체보다는 전기전도도가 커서 매질로 쓸 수 있는 모든 유기물 혹은 고분자와, 나노 입자 혹은 결정 상태로 유기물 안에 존재할 수 있는 모든 무기물의 하이브리드 상의 나노 섬유 형태로서 열전 특성을 갖는 모든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를 포함한다.
이하에, 상기의 구성을 갖는 열전소자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유기물, 무기물, 용매(solvent)를 혼합하여 유-무기 복합 용액을 제조한다(S210).
유-무기 복합 용액은 유기물(즉, 유기 매질), 무기물(예를 들면 무기 반도체 물질), 및 용매를 소정의 무게비로 칭량하여 혼합한 후, 실온 이상의 온도에서 장시간 복합 용액을 교반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조된 복합 용액을 이용하면 비드(bead)가 없는 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복합 용액을 전기 방사법으로 방사하여 산화물-폴리머 복합 나노섬유를 형성한다(S220).
산화물-폴리머 복합 나노섬유(즉, 유-무기 하이브리드 복합 나노섬유)는 복합 용액을 전기 방사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형성된 산화물-폴리머 복합 나노섬유를 1차 열처리하여 용매를 휘발시킨다(S230).
이 단계를 수행하는 이유는 열적, 물리적 안정성 및 견고성을 갖는 복합 나노섬유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보다 안정하고 견고한 복합 나노섬유를 형성하기 위해 용매의 끓는점 부근에서 열처리하여 용매를 완전히 휘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용매가 제거된 복합 나노섬유를 2차로 고온에서 열처리하여 안정성 높은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섬유를 형성한다(S240).
이 단계를 수행하는 이유는 유기 매질 내에 무기 반도체 물질이 고르게 분포하게 하기 위함이다. 유기 매질 내에 무기 반도체 물질이 보다 고르게 분포하게 하기 위해 유기물의 유리 전이온도 부근에서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된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의 직경은 10nm 내지 100n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열전소자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와 그 제조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제조된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는 여러 방면에 응용될 수 있고, 특히 열전소자에 응용될 때(예를 들면, 절연기판 상에 유-무기물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를 형성함으로써) 그 효용성이 더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 열전 소자의 단위 소자와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 열전 소자의 모듈 역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용 유기물-무기물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는 기본적으로 무기물의 좋은 전기전도도와 유기물의 낮은 열전도도를 포함하며, 또한 나노 크기의 굵기를 갖는 섬유형태이기 때문에 무기물의 열전도도를 감소 시킬 수 있는 효과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용매 공정을 통해 제조함으로써 낮은 온도 및 저가 공정의 유리한 점을 내포하는 열전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섬유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1)

  1. 전기전도도가 높은 나노입자 또는 나노결정 상태의 무기물;
    상기 무기물보다 열전도도가 낮고 절연체보다 전기전도도가 높으며 상기 무기물을 내부에 포함하는 유기물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물 및 상기 유기물이 복합물질 형태로 배열되어 열전 특성을 갖는 열전소자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섬유.
KR1020090118257A 2009-12-02 2009-12-02 열전소자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6175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257A KR20110061751A (ko) 2009-12-02 2009-12-02 열전소자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US12/958,038 US20110129668A1 (en) 2009-12-02 2010-12-01 Organic-inorganic hybrid nanofiber for thermoelectric application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257A KR20110061751A (ko) 2009-12-02 2009-12-02 열전소자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751A true KR20110061751A (ko) 2011-06-10

Family

ID=44069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257A KR20110061751A (ko) 2009-12-02 2009-12-02 열전소자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129668A1 (ko)
KR (1) KR2011006175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549A1 (ko) * 2016-01-04 2017-07-13 한국기계연구원 전기화학공정을 이용한 유기-무기 복합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US9806248B2 (en) 2014-09-05 2017-10-31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Nanofiber-based thermoelectric generator modul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spinn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nanofibers therefore
KR102230527B1 (ko) * 2019-11-04 2021-03-1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렬된 유무기 복합 열전소재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85673A1 (en) * 2011-05-11 2012-11-15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Nanostructured composite polymer thermal/electrical interface materia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DE102014202092A1 (de) * 2014-02-05 2015-08-0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Thermoelektrischer Generat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hermoelektrischen Generators
JP6476375B2 (ja) * 2015-03-13 2019-03-06 ブラバス・ジャパン株式会社 熱電性高分子複合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9631B2 (en) * 2001-01-26 2003-07-29 Nanogram Corporation Polymer-inorganic particle composites
US6800155B2 (en) * 2000-02-24 2004-10-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Conductive (electrical, ionic and photoelectric) membrane articler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7144949B2 (en) * 2003-12-11 2006-12-05 The Aerospace Corporation Synthetic method for conducting polymer nanofibers
US7887311B2 (en) * 2004-09-09 2011-02-15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blowing or blowing-assisted electro-spinning technology
US20080009568A1 (en) * 2004-10-18 2008-01-10 Nitin Kumar Methods to disperse and exfoliate nanoparticles
EP1899261A2 (en) * 2005-06-30 2008-03-19 University of Cape Town Semiconducting nanoparticles with surface modification
TW201016909A (en) * 2008-08-29 2010-05-01 Dow Corning Article formed from electrospinning a dispersion
KR101191386B1 (ko) * 2008-12-19 2012-10-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용 산화물 반도체 나노섬유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가스 센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6248B2 (en) 2014-09-05 2017-10-31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Nanofiber-based thermoelectric generator modul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spinn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nanofibers therefore
WO2017119549A1 (ko) * 2016-01-04 2017-07-13 한국기계연구원 전기화학공정을 이용한 유기-무기 복합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0527B1 (ko) * 2019-11-04 2021-03-1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렬된 유무기 복합 열전소재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1091110A1 (ko) * 2019-11-04 2021-05-1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렬된 유무기 복합 열전소재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29668A1 (en) 201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leimani et al. A review on recent developments of thermoelectric materials for room-temperature applications
Du et al. Flexible thermoelectric materials and devices
Dargusch et al. Thermoelectric generators: alternative power supply for wearable electrocardiographic systems
Liu et al. Organic/inorganic hybrid for flexible thermoelectric fibers
Li et al. Present and future thermoelectric materials toward wearable energy harvesting
Yue et al. Poly (3, 4-ethylenedioxythiophene) as promising organic thermoelectric materials: A mini-review
Kim et al. Post ionized defect engineering of the screen-printed Bi2Te2. 7Se0. 3 thick film for high performance flexible thermoelectric generator
Lin et al.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from lanthanum strontium titanium oxide at room temperature through the addition of graphene
Yun et al. Advances in carbon‐based thermoelectric materials for high‐performance, flexible thermoelectric devices
Yang et al. PEDOT: PSS/PVA/Te ternary composite fibers toward flexible thermoelectric generator
Van Toan et al. Thermoelectric generators for heat harvesting: From material synthesis to device fabrication
JP2013546175A (ja) 熱電装置及びその用途
Feng et al. Enhanced antioxidation and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the flexible screen-printed Bi2Te3 films through interface modification
KR20110061751A (ko) 열전소자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US20130299754A1 (en) Power factor enhanced thermoelectric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Wang et al. Flexible thermopower generation over broad temperature range by PANI/nanorod hybrid-based p–n couples
JP2020198330A (ja) 熱電変換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ishan et al. Room temperature thermoelectric performance of Methyl Ammonium Lead Iodide Perovskite and their MWCNT-PANI composites
Bark et al. Enhanced thermoelectric performance of CNT thin film p/n junctions doped with N-containing organic molecules
WO2017037884A1 (ja) 熱電変換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熱電変換素子並びに熱電変換モジュール
Kim et al. Organic-inorganic hybrid thermoelectric material synthesis and properties
JP2013070020A (ja) 熱電材料、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熱電モジュール
KR101537974B1 (ko) 다공성 유기 열전소자
Sifi et al. Comparison between the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new materials: The alloy of iron, vanadium, tungsten, and aluminum (Fe2V0. 8W0. 2Al) against an oxide such as NaCO2O4
Nayak et al. Enhanced performance of graphite/NiO ink-based flexible thermoelectric generators via compositional gradient and annealing of NiO nanop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