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1240A - 발광 소자 패키지 - Google Patents

발광 소자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1240A
KR20110061240A KR1020090117830A KR20090117830A KR20110061240A KR 20110061240 A KR20110061240 A KR 20110061240A KR 1020090117830 A KR1020090117830 A KR 1020090117830A KR 20090117830 A KR20090117830 A KR 20090117830A KR 20110061240 A KR20110061240 A KR 20110061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lens
phosphor layer
device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칠근
김상천
최문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7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1240A/ko
Publication of KR20110061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2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1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light reflecting structure, e.g. semiconductor Bragg refl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01L33/505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e.g. plate or f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소자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광 소자 칩에서 발광되는 빛의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 소자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서브마운트; 상기 전극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 상에 위치하는 렌즈; 상기 렌즈 상에 위치하고, 상기 렌즈를 덮는 형광체층; 상기 렌즈와 형광체층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키지, 발광 소자, LED, 형광체, 렌즈.

Description

발광 소자 패키지{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본 발명은 발광 소자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광 소자 칩에서 발광되는 빛의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 소자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발광 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에 대한 기술개발은 발광 성능 및 신뢰도 향상과 저가격화의 방향으로 추진되어 왔으며, 이를 위하여 LED 칩의 구조, 재료, 제조공법, 패키징 및 구동회로 등의 분야에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LED의 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광 효율 향상 및 가격 경쟁력 확보라는 두 가지 측면이 지속적으로 발전해야 하며, 효율 향상을 위한 저결함 에피텍셜 웨이퍼의 성장 및 칩에서의 전극패턴 최적화, 패키지 재료 및 설계에서 광량의 향상 등이 중요한 요소들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발광 소자에서 발광된 빛의 추출 효율(extraction efficiency)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발광 소자 패키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제1관점으로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서브마운트; 상기 전극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 상에 위치하는 렌즈; 상기 렌즈 상에 위치하고, 상기 렌즈를 덮는 형광체층; 상기 렌즈와 형광체층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제2관점으로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서브마운트; 상기 전극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 상에 위치하는 렌즈; 상기 서브마운트 상에 위치하고, 상자 형상 또는 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렌즈와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서브마운트 상면을 덮는 형광체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먼저, 동일한 성능의 LED를 사용하여 통상의 패키지보다 더욱 우수한 광 추출 효율을 갖는 패키지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패키지 발광 효율이 크게 개선 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LED 조명 등에 적용 시 동일한 휘도를 갖도록 하기 위한 패키지 사용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제품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발광 효율이 우수하므로 보다 낮은 전압을 인가하여도 통상의 패키지와 동일한 밝기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수명이 더욱 우수하게 된다. 그리고 일괄 배치 공정에 의한 웨이퍼 레벨의 제조방법으로 패키지 제조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그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들로 예시되어 나타내어지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합치되는 모든 수정, 균등 및 대용을 포함한다.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광 소자 패키지는 발광 소자(30)가 장착되는 서브마운트(10)와, 이 발광 소자(30) 상에 위치하는 렌즈(40)와, 이 렌즈(40) 상에 위치하는 형광체층(50) 및 렌즈(40)와 형광체층(50)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층(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브마운트(10)에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관통홀(12a, 12b)이 구비된 기 판(11)으로 구성되고, 기판(11) 상에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전극(20)이 구비되며, 이 전극(20)은 발광 소자(30)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전극(20)은, 서브마운트(10)의 상측면에 위치하는 제1전극(21a, 21b)이 포함되며, 이 제1전극(21a, 21b)이 발광 소자(30)의 두 전극과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극(20)은 서브마운트(10)의 하측면에 위치하는 제2전극(22a, 22b)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전극(21a, 21b) 및 제2전극(22a, 22b)은 서브마운트(10)에 형성된 관통홀(12a, 12b)에 위치하는 제3전극(23a, 23b)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도 2 참고).
여기서, 제2전극(22a, 22b)는 패키지가 장착되는 PCB 기판의 금속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 소자(30)가 장착된 서브마운트(10) 상에는 렌즈(40)가 위치한다. 이러한 렌즈(40)는 실리콘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투명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40) 상에는 형광체층(50)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형광체층(50)은 도 1과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정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어 서브마운트(10) 상의 공간을 덮게 된다. 따라서 렌즈(40)와 형광체층(50) 사이에는 공기층(60)이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광 소자 패키지는 형광체층(50)을 렌즈(40) 상측에 일정 거리를 두고 위치하게 되어, 발광 소자(30)에서 방출된 빛이 형광체층(50)에서 반 사되어 발광 소자(30)로 재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광 추출 휴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발광 소자(30)와 형광체층(50)이 서로 닿아있지 않고 일정 거리를 두고 위치함으로써 형광체층(50)에 의하여 빛의 파장이 변조된 후 이 형광체층(50)에서 빛의 일부가 반사되어 발광 소자(30)로 재흡수되어 소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형광체층(50)은 균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형광체층(50)은 렌즈(40)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51)와, 렌즈(40)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부(51)에서 이어지는 측부(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발광 소자(30) 상면의 중심으로부터 형광체층(50)의 상부(51)와의 거리는, 발광 소자(30) 상면의 중심으로부터 형광체층(50)의 측부(52)와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형광체층(50)에 의하여 파장이 변조되는 빛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 소자(30)에서 방출되는 빛은 렌즈(40)를 통하여 외부로 굴절되어 방출될 수 있고, 패키지의 외측부에서 형광체층(50)에 의하여 빛의 파장이 변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발광 소자 패키지의 제조방법을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리콘 웨이퍼와 같은 웨이퍼 또는 세라믹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웨이퍼 레벨 서브마운트(10)를 제작한다(310). 이러한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이러한 서브마운트(10)는 기판(11)에 관통홀(through hole; 12a, 12b)을 형성하고, 발광 소자(30)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1전극(21a, 21b) 및 발광 소자 패키지가 장착되는 PCB 기판의 금속배선과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2전극(22a, 22b)을 관통홀에 형성된 제3전극(23a, 23b)을 통하여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경우에 따라 반사막(미도시)을 서브마운트(10) 상부에 형성하여 발광 소자(30)에서 발광된 빛이 흡수되지 않고 외부로 방출되어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반사막 및 제1전극(21a, 21b), 제2전극(22a, 22b), 및 제3전극(23a, 23b)은 양 전극(21a, 22a, 23a)과 음 전극(21b, 22b, 23b)으로 분리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될 뿐만 아니라, 제1몸체(11)와도 전기적으로 절연되게 할 수 있다.
서브마운트(10)의 기판(11)으로는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uminum nitride; AlN), 알루미늄 옥사이드(aluminum oxide; AlOx), Al2O3, BeO 등의 세라믹 기판 뿐만 아니라, 실리콘(silicon) 등의 반도체 기판 및 구리(copper), 알루미늄(aluminum), 실버(silver) 등의 메탈기판, PSG(photo sensitive glass), PCB 등과 같은 절연기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패키지의 기조를 이루는 서브마운트(10)는 기판을 이용하여 대량 으로 제작할 수 있어 웨이퍼 레벨 서브마운트(10)라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기판들은 열전도성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열전도성 특성이 우수한 재료들을 혼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전극용 관통홀(12a, 12b)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습식식각(wet etching) 방법, 건식식각(dry etching) 방법, 레이저 드릴링(laser drilling) 방법 등이 있으며 벌크 마이크로머시닝(bulk micromachining) 기술을 이용한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전극(21a, 21b)및 제2전극(22a, 22b)이 관통홀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는 방법으로는 전기도금(Electroplating)에 의한 방법, 리프트-오프(Lift-off)에 의한 방법, 리프트-오프와 전기도금의 혼합 방법 등의 반도체 공정기술의 패턴닝(patterning)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전극(20)을 형성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전극메탈을 관통홀(12a, 12b) 및 기판(11) 상하면에 형성한 후 레이저 등으로 양 전극(21a, 22a, 23a)과 음 전극(21b, 22b, 23b)으로 전기적으로 절연되게 분리하여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스크린프린팅(screen printing), 잉크젯팅(ink jetting)에 의한 방법으로도 형성 할 수 있다.
서브마운트(10)의 기판(11)이 실리콘(silicon) 등의 반도체 기판이거나 구리(copper), 알루미늄(aluminum) 등의 메탈 기판인 경우 전기적 절연을 위한 절연층(insulation layer; 미도시)을 관통홀(12a, 12b) 및 기판(11) 상하면에 형성한다.
이러한 절연층의 형성방법으로는 열적 산화(thermal oxidation) 방법에 의한 절연특성이 우수한 실리콘 산화막(silicon oxide film) 및 LPCVD 방법 또는 PECVD 방법 등에 의하여 실리콘 질화막(silicon nitride film)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절연성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절연층 형성을 생략할 수 있다.
그 다음, 전극(20)을 형성한 후 발광 소자(30)에서 방출되는 빛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반사막(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할 수 있다. 반사막 물질로는 반사도가 우수한 알루미늄(Al) 또는 은(Ag)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반사막 금속은 양 전극(21a, 22a, 23a)과 음 전극(21b, 22b, 23b)에 동시에 연결되거나 겹쳐지지 않게 형성하여 전기적으로 쇼트가 되지 않게 하며, 발광 소자(30)의 전극과 접합하기 위하여 전극 상에 솔더(solder) 또는 Au stud pump가 형성되는 영역에는 반사막 금속이 형성 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다음, 발광 소자(30)를 서브마운트(10)에 본딩하고 이후에 와이어 본딩하는 과정이 수행되며(320), 그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광 소자(30)로서 수직형 발광 소자(30)을 사용 하는 경우에는 서브마운트(10)에 위치하는 양 전극(21a) 상에 발광 소자(30)의 하부 전극(31)을 전기적으로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솔더(33)를 사용하여 결합하고, 상부 전극(32)과 서브마운트(10)에 위치하는 음 전극(21b)을 금(Au)이나 알루미늄(Al)와 같은 전도성 와이어(34)를 사용하여 와이어 본딩 방법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한편, 이와 같은 수직형 발광 소자(30) 뿐만 아니라 플립칩(flip chip) 형의 발광 소자를 사용하여 솔더(33)를 사용하여 물리적으로 결합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러한 솔더(33)는 크림솔더 또는 전도성 에폭시(epoxy) 등을 디스펜싱(dispensing) 방법을 이용하여 제1전극(21a)상에 형성하고, 여기에 발광 소자(30)를 위치시킨 후 열을 가하여 리플로우(reflow) 공정으로 접합할 수 있다.
또는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솔더가 형성될 부분과 그렇지 않고 보호될 부분을 구분하기 위하여 패터닝(pattering) 하고 이빔 증착(E-beam evaporation) 공정 등으로 골드틴(AuSn), 레드틴(PbSn), 실버틴(AgSn) 등의 솔더를 증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솔더(33)는 전도성일 뿐만 아니라 후 공정에서 발광 소자 패키지를 PCB 상에 접합 시 사용되는 솔더보다 리플로우 온도가 높아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더욱 유리하다.
이와 같이, 발광 소자(30)가 본딩된 서브마운트(10) 상에는 발광 소자(30)를 모두 덮는 구조로 렌즈(40)를 형성한다(330). 이러한 렌즈(40)는 실리콘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투명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렌즈(40)는 발광 소자(30) 상에 주입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렌즈(40)의 하부는 제1전극(21a, 21b)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렌즈 시트를 부착함으로써 렌즈(40)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렌즈(40) 상에는 별도로 제작한(340) 형광체 시트 몰딩을 결합하여 형광체층(50)을 형성한다. 이러한 형광체 시트 몰딩은 웨이퍼 레벨 서브마운트(10)와 결합될 수 있는 웨이퍼 레벨 몰딩으로 제작할 수 있어, 도 2에서와 같이, 서로 수평 방향으로 연속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서로 이어진 형광체층(50)의 하측부는 접착층에 의하여 서브마운트(10)에 결합될 수 있다(350).
이후에는 개별 패키지 단위로 절단되는데(360), 도 2의 점선 방향을 따라 개별 패키지로 분리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웨이퍼 레벨 제작에 의한 일괄 배치 공정으로 공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또한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발광 소자 패키지의 렌즈(40) 표면에 간섭막(interference film; 70)을 구비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간섭막(70)은 특정 파장의 빛은 통과시키고 또 다른 파장의 빛은 반사시키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색 발광 소자(30)와 황색 형광체층(50)을 적용한 패키지의 경우에, 간섭막(70)은 발광 소자(30)에서 발광된 청색 빛은 통과시켜 외부로 추출되고 하고, 형광체층(50)에 의하여 여기된 황색 빛 중 렌즈(40) 방향으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빛은 이 렌즈(40)에 흡수되지 않고 다시 반사되도록 함으로써 손실되는 광을 최소화할 수 있고, 결국 발광 소자 패키지의 광 추출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간섭막 물질로는 Zirconium dioxide(ZrO2), titanium dioxide(TiO2), zinc sulfide(ZnS) 등의 고 굴절률 물질 뿐만 아니라 magnesium fluoride(MgF2), cerium fluoride(CeF3) 등의 저 굴절률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발광 소자 패키지에서 형광체층(50)의 내면에 간섭막(71)을 구비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간섭막(71)의 특성은 도 4에서 설명한 간섭막(70)의 경우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렌즈(40) 상에 공기층(60)을 사이에 두고 반구각 형태의 형광체층(51)을 가지는 발광 소자 패키지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형광체층(51)의 곡률은 렌즈(40)의 곡률과 동일하게 제작할 수 있다.
그 외의 사항은 도 2에서 설명한 발광 소자 패키지의 경우와 동일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형광체층(50, 51)을 이루는 형광체 시트의 형태 및 결합방법은 패키지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주지하는 바 이다.
한편, 백색광 발광 소자 패키지를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예로 든 청색 발광 소자(30)와 황색 형광체층(50) 뿐만 아니라, 자외선(UV) 발광 소자(30)를 사용하고 적색, 녹색, 및 청색(RGB) 형광체층(50)을 사용하거나, 청색 발광 소자(30)에 적색 및 녹색 형광체층(50)을 적용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에서는 발광 소자 칩 및 발광 소자 패키지를 제작하여 제작단계별로 측정된 통계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7에서는 발광 소자 패키지 제작에 사용된 발광 소자(30)의 전력(power; Φe(mW)) 분포를 나타낸 것으로, 서브마운트(10)에 발광 소자(30)가 결합된 상태로 측정된 것이다.
이때 발광 소자(30) 칩에 인가된 전류는 350 mA이었으며, 측정결과 평균 291mW의 발광 소자(30) 칩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서는 이러한 발광 소자(30) 칩을 사용하여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패키지 구조로 구현하였을 때의 휘도(루멘) 값을 나타내고 있다.
즉, 291mW급 발광 소자(30) 칩을 사용하여 101루멘 값을 갖는 패키지를 제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통상의 디스펜싱(dispensing) 방법에 의하여 형광체가 형성된 패키지 구조로는 70 내지 80루멘 정도의 휘도 수준이 가능하나,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패키지 구조에서는 동일 사양의 발광 소자(30) 칩을 이용하여 보다 큰 광 추출 효율을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기술적 사상의 여러 실시 형태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도 1은 발광 소자 패키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발광 소자 패키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발광 소자 패키지의 제작 공정 흐름도이다.
도 4는 발광 소자 패키지의 간섭막을 포함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발광 소자 패키지의 간섭막을 포함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발광 소자 패키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서브마운트에 발광 소자가 장착된 상태의 전력값의 통계 그래프이다.
도 8은 발광 소자 패키지의 휘도값의 통계 그래프이다.

Claims (14)

  1.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서브마운트;
    상기 전극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 상에 위치하는 렌즈;
    상기 렌즈 상에 위치하고, 상기 렌즈를 덮는 형광체층;
    상기 렌즈와 형광체층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층은 균일한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층은 직육면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층은,
    상기 렌즈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상기 렌즈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에서 이어지는 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 상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형광체층의 상부와의 거리는, 상기 발광 소자 상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형광체층의 측부와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층은 반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마운트에는 적어도 한 쌍의 관통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서브마운트의 제1면에 위치하는 제1전극;
    상기 서브마운트의 제2면에 위치하는 제2전극; 및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과 연결된 제3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상측에는 간섭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막은 렌즈의 외면 또는 형광체층의 내면에 위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막은 상기 발광 소자에서 방출되는 빛은 통과시키고, 상기 형광체층에 의하여 파장이 변조된 빛은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막은 ZrO2, TiO2, ZnS, MgF2, 및 CeF3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13.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서브마운트;
    상기 전극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 상에 위치하는 렌즈;
    상기 서브마운트 상에 위치하고, 상자 형상 또는 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렌즈와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서브마운트 상면을 덮는 형광체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상측에는, 상기 발광 소자에서 방출되는 빛은 통과시키고, 상기 형광체층에 의하여 파장이 변조된 빛은 반사시키는 간섭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KR1020090117830A 2009-12-01 2009-12-01 발광 소자 패키지 KR20110061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830A KR20110061240A (ko) 2009-12-01 2009-12-01 발광 소자 패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830A KR20110061240A (ko) 2009-12-01 2009-12-01 발광 소자 패키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240A true KR20110061240A (ko) 2011-06-09

Family

ID=44395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830A KR20110061240A (ko) 2009-12-01 2009-12-01 발광 소자 패키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12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216B1 (ko) * 2012-04-16 2013-08-07 (주) 아모엘이디 멀티 렌즈를 구비한 엘이디 패키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216B1 (ko) * 2012-04-16 2013-08-07 (주) 아모엘이디 멀티 렌즈를 구비한 엘이디 패키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8479B2 (en) Light emitting diode
US9153749B2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ing device with the same
US7531848B2 (en) Light emission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US7655957B2 (en) Submounts for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s a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s including the same
TWI535077B (zh) 發光單元及其發光模組
US8357948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TWI712181B (zh) 發光裝置、整合式發光裝置、及發光模組
KR100851183B1 (ko) 반도체 발광소자 패키지
US10217918B2 (en) Light-emitting element package
US20080261339A1 (en) Packaging method to manufacture package for a high-power light emitting diode
KR100667504B1 (ko) 발광 소자의 패키지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4135521A (ja) 発光素子パッケージ
JP2012134531A (ja) 発光装置
KR101622399B1 (ko) Led 장치
KR100699161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80041489A (ko) 발광소자 패키지
KR20140004351A (ko)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KR100866879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047729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61240A (ko) 발광 소자 패키지
KR101047795B1 (ko) 반도체 발광소자
KR102471801B1 (ko) 반도체 발광소자
KR20130061231A (ko) 고출력 발광소자 패키지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220190216A1 (en) Diode packag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532362B1 (ko) 발광소자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