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0871A - Insoles and socks equipped with inner pockets that are fixing the insoles in different directions - Google Patents

Insoles and socks equipped with inner pockets that are fixing the insoles in different direc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0871A
KR20110060871A KR1020110038697A KR20110038697A KR20110060871A KR 20110060871 A KR20110060871 A KR 20110060871A KR 1020110038697 A KR1020110038697 A KR 1020110038697A KR 20110038697 A KR20110038697 A KR 20110038697A KR 20110060871 A KR20110060871 A KR 20110060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pocket
heel
socks
ins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86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47495B1 (en
Inventor
정서령
Original Assignee
정서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서령 filed Critical 정서령
Priority to KR1020110038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495B1/en
Publication of KR20110060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8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4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7Hosiery with an added sole, e.g. sole made of rubber or leath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6Hosiery with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2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PURPOSE: An insole for socks and the socks including plural inner pockets for fixing the insole are provided to improve the masking effect of the insole, and to prevent the easy movement of the insole. CONSTITUTION: Socks includes at least two inner pockets(21,22) combined with an inner bottom unit using two bonding lines. The two inner pockets include a toe pocket combined with the socks with a front bonding line formed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heel pocket combined with the socks with a rear bonding line formed to the vertical direction. An insole(30) is inserted into the pockets, and includes a toe insole unit and a heel insole unit.

Description

서로 다른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는 양말용 깔창 및 상기 깔창을 고정하는 복수의 내측포켓이 형성된 양말{Insoles and Socks equipped with inner pockets that are fixing the insoles in different directions}Insoles and Socks equipped with inner pockets that are fixing the insoles in different directions}

본 발명은 양말 안쪽에 깔창을 삽입하되 신발을 벗은 상태에서도 깔창을 삽입한 흔적이 양말 바깥으로 나타나지 않음과 동시에, 신발을 벗고 실내에서 활동할 때에도 양말 속에 삽입된 깔창이 쉽게 뒤틀리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한 기능성 키높이 양말과 여기에 적용되는 전용 깔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serts the insole inside the sock, but even when the shoe is taken off, the insole is not visible outside the sock, while the insole is inserted in the sock even when taking off the shoes and indoors to prevent the insole from twisting or moving easily It is about height socks and a dedicated insole that is applied here.

신발 바닥에 깔아서 사용하는 깔창은 키높이, 발교정, 땀흡수 등 여러 가지 필요에 의해 예전부터 널리 이용되어 왔다. 깔창(insole)의 형상은 보통 발바닥의 모양에 맞추어 가운데가 볼록 솟아오른 아치형이거나 혹은 발 뒤꿈치만을 특별히 높이기 위해 앞쪽을 생략하고 뒤쪽 절반만 형성한 깔창도 있다. 이러한 깔창의 모양은 사용자의 보행 편의성과 체중 지지기능에 역점을 두고 설계되며 그에 따라 보통 발바닥의 면적보다 조금 더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신발 삽입식 깔창은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만 유효하며 신발을 벗고 실내활동을 할 때에는 사용될 수 없다.Insoles used on the soles of shoes have been widely used for various reasons such as height, foot correction, and sweat absorption. Insoles are usually convex, arched to fit the shape of the soles, or insoles with the rear half omitted, specifically to increase the heel. The shape of the insole is designed with emphasis on the user's walking comfort and weight support function, and is thus formed in a larger area than the area of the sole. Therefore, most shoe insert insoles are only valid when shoes are worn and cannot be used for indoor activities with shoes taken off.

그러나 신발을 벗어야만 하는 실내에서도 이러한 키높이 효과가 유지되기를 원하는 사람들이 많아 양말 속에 깔창을 삽입하거나 또는 양말에 깔창을 부착하려는 노력이 있어왔다. 아래의 선행기술들은 통상의 신발용 깔창이 아닌 양말과 발 사이에 위치 가능한 실내활동용 깔창과, 신발 없이도 깔창 삽입이 가능한 포켓을 별도로 형성한 양말들을 소개하고 있다.However, many people want to maintain this height effect even in rooms where they have to take off their shoes, and there have been efforts to insert insoles into or attach them to socks. The following prior arts introduce non-traditional shoe insoles that can be positioned between socks and feet, and socks that form separate pockets for insole insertion without shoes.

등록특허 10-0660469호 양말 내에 착용하는 키높이 패드Tall pads worn in socks

등록실용신안 20-0262918호 키높이 양말Utility Model 20-0262918 Tall Height Socks 등록실용신안 20-0396980호 수용부를 구비한 양말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96980 Socks with receptacle 등록실용신안 20-0440493호 양말 속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점착식 키높이 패드Utility Model No. 20-0440493 Self-adhesive key pad

등록특허 10-0660469호와 등록실용신안 20-0440493호는 양말을 신기 전에 양말 속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깔창(패드)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양말 속에서 깔창이 놀게(쉽게 움직이게) 되어 신발을 벗은 상태에서는 조금만 빠르게 발을 움직여도 깔창이 아래위로 출렁거리거나 발 옆으로 삐져나와 쉽게 표시가 나는 단점이 있다.Korean Patent No. 10-0660469 and Korean Utility Model No. 20-0440493 relate to an insole (pad) used by inserting into a sock before wearing the sock. This has the disadvantage of making the insole play (easy to move) in the socks, so that when the shoe is taken off, the insole slumps up and down or protrudes to the side of the foot, even if the foot is moved a little faster.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20-0396980호와 같이 양말 바닥에 포켓(수용부)을 형성하고 여기에 깔창을 삽입하여 깔창 고정효과를 높인 것이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깔창을 양말에 제대로 고정하는 기능은 다소 향상될지 몰라도 깔창을 수납하는 포켓이 양말 바깥쪽에 위치하여 마치 양말에 신발굽이 부착된 것처럼 보여지므로 외관상 좋지 않으며, 포켓 입구가 벌어진 모습이 겉으로 뚜렷이 표시가 나는 단점이 있다. 키높이 깔창이 본질적으로 남의 눈에 띄기 싫은 비밀스러운 도구인 점을 감안한다면 이와 같이 외부에 드러나는 포켓을 형성한 양말은 전혀 현실적이지 못하며 소비자의 구매의욕을 자극할 수도 없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pocket (accommodating part) formed on the bottom of a sock as shown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96980 and the insole is inserted therein to increase the insole fixing effect. However, this may improve the ability to secure the insole securely to the sock, but the pocket that holds the insole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sock, which looks as if the sock is attached to the sock, and the appearance of the pocket opening is clearly visible. I have a downside. Given that the tall insole is essentially a secret tool that is inconspicuous to others, these socked pockets are not realistic at all and cannot stimulate consumer's desire to buy.

등록실용신안 20-0262918호를 살펴보자. 이 양말은 외부포켓 대신 내부에 포켓을 둔 형태로써 양말 바닥을 이중으로 만든 것이다. 따라서 포켓입구가 양말 겉으로 노출되지 않는다는 장점은 있으나, 양말 바닥 전체가 하나의 포켓으로 이루어진 탓에 발바닥 전체 크기에 육박하는 큰 깔창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깔창의 크기와 형상이 크게 제한되고 또한 조금만 실내 활동을 하여도 역시 상기 소개한 선행기술과 마찬가지로 깔창을 삽입한 흔적이 겉으로 표시 난다는 뚜렷한 한계가 있다.Let's look at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262918. This sock has a pocket on the inside instead of an outer pocket, with a double bottom.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cket entrance is not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ock, but because the entire sock bottom is made of one pocket, only a large insole close to the entire size of the sole can be fixed. Therefore, the size and shape of the insole is greatly limited, and even a little indoor activities, there is a clear limitation that the trace of inserting the insole is displayed like the prior art introduced above.

또한 내측 포켓을 비교적 작게 만들어서 형성한다 하여도 발바닥 가운데 아치가 형성된 깔창을 삽입할 경우 구부러지는 발바닥을 따라서 깔창이 같이 구부러지기 어려워 실내 보행시 쉽게 표시가 나며, 옆에서 보면 마치 실내에서 신발을 따로 신고 그 위에 양말을 다시 신은 듯한 어색한 느낌은 피할 수 없다. 그리고 마치 나막신처럼 어색한 판 모양의 매우 작은 깔창이 아닌 다음에는 어느정도 발바닥 크기에 근접한 깔창의 경우에는 둥글게 말려 올라간 깔창의 테두리가 내측 포켓의 테두리 모양과 일치하지 않아 양말 측면 둘레로 삐져 나오게 된다. 이 때에도 실내 활동이 누적될 수록 깔창과 발바닥 사이의 틈새로 양말 측면의 천이 점점 많이 씹혀서 더욱 표시가 나며, 주위 사람들이 보기에 흉한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In addition, even when the inner pocket is made relatively small, when the insole with the arch in the middle of the sole is inserted, the insole is difficult to bend along the bent sole, so it is easily displayed when walking indoors. The awkward feeling of wearing socks on it is inevitable. In addition, in the case of insoles that are not as awkward as a clogs, the insoles that are somewhat close to the size of the soles will be rounded around the side of the socks because the edges of the rolled up insoles do not match the shape of the inner pockets. At this time, as the indoor activity accumulates, the cloth on the side of the socks gets more marked by the gap between the insole and the sole of the foot, and it is obvious that it is unsightly to the people around.

키높이 깔창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키가 작은 사람들은 신발을 벗었을 때에도 키가 작아 보이지 않기 위해서 양말 속에 깔창을 삽입하고 싶다는 욕구를 누구나 느끼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신발속 깔창보다 더욱 은밀하고 자연스러워야 하는 것이 양말속 깔창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위의 선행기술들은 모두가 특별한 효과가 없으며 구매의욕을 그다지 자극할 수 없다.Most of the shorter people who use tall insoles feel the desire to insert the insole into their socks so that they don't look short even when they take off their shoes. However, considering that insoles insoles should be more secret and natural than insoles in reality, all of the above prior arts that do not overcome this have no special effect and cannot stimulate the desire to buy much.

본 발명은 자연스러운 발 모양을 최대한 살리면서 (실내에서도) 키가 커보이게 할 의도로 창안되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양말 속에 깔창을 삽입할 때 마치 깔창을 삽입하지 않은 것처럼 완벽히 양말 바닥에 고정시키고 여기에 더해서 발바닥 모양을 따라 쉽게 구부러지면서도 깔창이 포켓바깥으로 쉽게 밀려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신발을 벗은 상태에서 활동을 거듭하면서 늘어난 양말 측면의 천이 발바닥과 깔창 사이에 씹혀서 양말 겉으로 깔창 삽입흔적이 뚜렷이 표시가 나는 단점마저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개량된 기능성 키높이 양말을 구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signed with the intention of making the foot look taller (even indoors) while maximizing the natural shape of the foot, and when the insole is inserted into the sock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bottom of the sock is completely as if the insole is not inserted. And in addition to this, the insole is easily bent along the shape of the sole and the insole does not easily slide out of the pocket. In addition, it has implemented an improved functional height sock that prevents even the shortcomings of the insole insertion mark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ock.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해결수단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For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based on the following technical solutions.

우선 양말속 깔창의 크기는 지나치게 작아서는 안 된다. 발바닥의 넓이 대비 깔창의 넓이와 두께가 작을수록 깔창의 은폐효과는 높아진다. 그러나 이처럼 깔창이 작으면 편안한 체중지지가 어렵고 발을 제대로 내딛기 어려워 걸음걸이도 불편해지는 등 단점이 많다. 따라서 최소한의 기능적 측면을 고려하여 깔창 크기가 어느 정도 커져야 하는 것은 피할 수 없으며, 이 경우 신발굽과 같은 어색한 판자 모양이 나오지 않기 위해서는 (통상적인 신발 삽입용 깔창처럼) 깔창의 테두리가 발바닥 모양과 호응하여 둥글고 자연스럽게 말려 올라가야 함은 물론이다.First of all, the size of the insole should not be too small. The smaller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insole compared to the width of the sole, the higher the insole concealment effect. However, such a small insole has a number of disadvantages, such as difficult to support a comfortable weight and difficult to reach the foot properly uncomfortable gait. Therefore, it is inevitable that the size of the insole should be increased to some extent in consideration of the minimum functional aspect. In this case, the insole edge (like a normal shoe insert insole) is compatible with the shape of the sole in order to avoid awkward planks such as shoe heel. Of course, it should be rounded up naturally.

그런데 이처럼 테두리가 말아 올려지는 자연스러운 형상으로 깔창을 만든다면 위의 선행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마찬가지로 양말 측면의 천이 씹히게 된다.(보통의 내측포켓은 뾰족한 테두리모양에 꼭 맞게끔 깔창을 수납할 수 없으므로).However, if the insole is made into a natural shape with the edges rolled up, the fabric on the side of the socks is chewed as mentioned in the prior art. (The inner inner pocket cannot hold the insole so that it fits tightly with a sharp edge.) ).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내측포켓에서 깔창의 테두리가 수납되는 부분이 양말의 측면부와 분리되어 있거나, 또는 아예 내측포켓에서 깔창의 테두리가 수납되는 부분을 도려내어 깔창 테두리 부분이 자연스럽게 삐져 나오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독특한 포켓 형상이 본원 발명의 중요한 해결수단 중 하나이다.In order to overcome this, it is necessary to cut out the part of the insole where the rim of the insole is stored from the side of the sock, or to cut out the part of the insole that the insole is housed in the inner pocket. . This unique pocket shape is one of the important solu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양말속 깔창은 앞뒤로 걷거나 좌우로 움직일 때 양말 속에서 쉽게 움직여서는 안 된다. 통상의 신발속 깔창은 이러한 요구조건이 필요가 없다. 단단한 신발의 측면 갑피부분 때문에 비교적 심한 움직임에도 깔창이 신발속에서 놀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양말에는 이와 같은 단단한 측면 갑피부분이 없다. 따라서 양말천 내측 또는 외측에 단순히 포켓을 마련하는 방식으로는 실내 활동시 깔창이 옆으로 삐져나오는 현상을 해결하지 못한다.Next, the sock insole should not move easily in the sock when walking back and forth or moving from side to side. Conventional shoe insoles do not have this requirement. This is because the insole doesn't play in the shoe even with relatively heavy movements due to the side upper part of the hard shoe. But the socks don't have these solid side uppers. Therefore, simply providing a pocket inside or outside the sock cloth does not solve the phenomenon that the insole is protruding sideways during indoor activities.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내측포켓에 수납된 깔창이 우선 어느 방향으로 강한 힘을 받는지 해석하고 최대한 여러 방향에서 깔창을 지지할 수 있도록 포켓이 양말 내측에 결합되는 박음질선 부분을 지능적으로 배치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발앞꿈치 부분에 형성되는 앞꿈치 포켓은 발의 전후방향 보행에 알맞은 가로방향 박음질선으로 양말에 결합되며, 발뒤꿈치 부분에 형성되는 뒤꿈치 포켓은 발의 좌우방향 지지에 알맞은 세로방향 박음질선으로 양말에 결합된다. 또한 앞꿈치 포켓에는 발의 전후방향 보행에 알맞도록 결합선보다 넓게 형성된 깔창의 전후방향 형상을 충분히 수납할 수 있는 포켓날개부를 두며, 마찬가지로 뒤꿈치 포켓에는 발의 좌우방향 지지에 알맞도록 결합선보다 넓게 형성된 깔창의 좌우방향 형상을 충분히 수납할 수 있는 포켓날개부 둔다. 이와 같은 독특한 포켓 결합선 구조와 포켓 형상이 본원 발명의 중요한 또 하나의 해결수단이다.To overcome this, it is necessary to analyze in which direction the insole received in the inner pocket receives a strong force and to intelligently arrange the stitched line portion where the pocket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ock to support the insole in as many directions as possible. Specifically, the heel pocket formed on the heel portion is coupled to the sock with a transverse stitching line suitable for front and rear walking of the foot, and the heel pocket formed on the heel portion is a longitudinal stitch line suitable for the left and right support of the foot. Combined. In addition, the front heel pocket is provided with a pocket wing that can fully accommodate the front and rear shape of the insole formed wider than the joint line to fit the front and rear walking of the foot, and similarly, the heel pocket has a wider than the joint line to fit the left and right support of the foot I put the pocket wing part which can fully receive a shape. This unique pocket coupling line structure and pocket shape is another important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마지막으로 상기 복수의 내측포켓들에 삽입되는 깔창을 상기 포켓들의 삽입방향에 최적화 되면서 발바닥이 실제 지면과 닿는 부분과 최대한 일치하는 평면 형상으로 설계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필요에 따라 발바닥 가운데의 아치 부분은 생략이 되고, 발앞꿈치 부분과 발뒤꿈치 부분은 비교적 가늘고 유연한 형상으로 연결하거나 외관을 중시할 경우 아예 연결부를 생략하는 것이다. 이러한 최적화된 깔창 형상이 본원 발명의 완성도를 높여주는 추가적인 해결수단이 된다.Finally,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insole to b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inner pockets in a planar shape that is as close as possible to the part where the sole touches the actual ground while optimizi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pockets. For example, if necessary, the arch portion in the middle of the sole is omitted, and the heel portion and the heel portion are connected in a relatively thin and flexible shape or omission of the connection at all when the appearance is important. This optimized insole shape is an additional solution to increase the completen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깔창이 삽입된 양말을 신은 상태에서 실내활동을 할 때에도 다른 사람이 보기에 마치 양말 속에 신발이 들어 있는 것과 같은 어색함을 피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깔창의 크기도 적당하여 불편하지 않을 뿐 아니라, 발의 운동방향과 하중 지탱방향으로는 충분한 지지효과도 있으므로 아주 격렬한 움직임이 아닌 경우에는 깔창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충분한 실내활동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실외건 실내건 어떤 경우라도 키높이 깔창을 사용하고 싶은 사람들의 강한 욕구에 충분히 부응할 수 있어 패션양말로써 매우 높은 구매가치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indoor activities while wearing socks with an insole inserted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avoids awkwardness, such as shoes in socks, and the size of the insole is also inconvenient Not only that, there is a sufficient support effect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oot and the load bearing direction,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sufficient indoor activities can be performed even when the insole is not inserted in the case of very vigorous movement. Therefore, in any case of outdoor or indoor, it can meet the strong desire of people who want to use the tall insole, so it has a very high purchase value as a fashion socks.

도 1은 삽입된 깔창이 투시된 양말의 전방 사시도.
도 2a,b,c는 각 포켓 및 깔창의 형상과 결합선 모양을 설명한 평면도.
도 3은 양말을 뒤집은 상태에서 포켓에 깔창을 삽입 고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후방 사시도.
도 4는 깔창이 삽입된 양말을 신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a,b는 앞꿈치 포켓의 형상과 앞꿈치용 깔창부의 결합상태를 설명한 단면도.
도 5c는 뒤꿈치 포켓의 형상과 뒤꿈치용 깔창부의 결합상태를 설명한 단면도.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sock with an insole inserted therethrough;
Figure 2a, b, c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shape of each pocket and insole and the coupling line shape.
Figure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thod of inserting and fixing the insole in the pocket in the state of inverting the sock.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wearing a sock inserted insole.
Figure 5a, 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hape of the heel pocket and the coupling state of the insole for heel.
Figure 5c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shape of the heel pocket and the heel insole.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을 기술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하여 도면에 포함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d in the drawings in order to technically support the above-described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다만 아래의 특정 실시예가 본 발명에 포괄적으로 내재된 기술적 사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following specific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inherent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삽입된 깔창이 투시된 양말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a의 평면도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양말(10)의 내측 저면 발바닥부에 적어도 두 개의 포켓(21,22)을 구비되는데 발바닥 앞쪽에는 앞꿈치 포켓(21)이 마련되어 가로 방향으로 앞꿈치용 깔창부(31)가 삽입될 수 있으며, 발바닥 뒤쪽에는 뒤꿈치 포켓(22)이 마련되어 세로 방향으로 뒤꿈치용 깔창부(32)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가로방향이라 함은 발의 보행운동(전후 운동)에 대해 직각이거나 직각에 가까운 방향을 의미하며, 세로방향이라 함은 발의 보행운동에 대해 평행이거나 평행에 가까운 방향을 의미한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sock with an insole inserted therethrough;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lan view of Figure 2a. At least two pockets 21 and 22 are provided at the inner bottom sole of the sock 10. The front heel pocket 21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sole so that the insole 31 for the heel can be inser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eel pocket 22 is provided in the heel insole 32 can be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horizontal direction mean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r close to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walking motion (front and rear motion) of the foot, and the vertical direction means a direction parallel or close to parallel to the walking motion of the foot.

상기 포켓은 박음질 등에 의한 적어도 두 줄의 결합선(11,12)에 의해 상기 발바닥부에 결합되되 어느 하나의 포켓을 결합하는 결합선의 방향은 다른 하나의 포켓을 결합하는 결합선의 방향과 다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켓 중 앞꿈치 포켓(21)의 앞결합선(11) 방향은 발의 보행 운동에 대해 직각에 가까운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포켓 중 뒤꿈치 포켓(21)의 뒤결합선(12) 방향은 발의 보행 운동에 대해 평행에 가까운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다.The pocket is coupled to the sole by at least two rows of coupling lines 11 and 12 by stitching, and the direction of the coupling line for coupling one pocket is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of the coupling line for coupling the other pocket. Specifically, the front coupling line 11 direction of the front heel pocket 21 of the pocket is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close to the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walking motion of the foot, the rear coupling line 12 direction of the heel pocket 21 of the pockets of the foot It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near parallel to the walking motion.

도 3은 양말을 뒤집은 상태에서 포켓에 깔창을 삽입 고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2b,2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깔창(30)은 양말의 각 포켓 속에 삽입 가능한 전용의 앞꿈치용 깔창부(31) 형상과 뒤꿈치용 깔창부(32) 형상을 가진다. 상기 앞꿈치용 깔창부(31)와 상기 뒤꿈치용 깔창부(32) 사이에는 상기 깔창부(31,32)들보다 더 얇은 두께로 형성된 깔창앞뒤 연결부(33)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도 2a), 또는 앞꿈치용 깔창부(31)와 뒤꿈치용 깔창부(32)가 서로 분리된 상태의 2조 1벌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2c). 보통의 깔창이 유연하고 탄력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처럼 본 발명에서도 비록 포켓의 개방 방향은 다르지만 양말을 뒤집은 다음, 깔창을 약간 휘어서 쉽게 양말 내측 바닥면에 깔창을 삽입할 수 있다. 앞뒤 깔창이 분리된 2조 1벌 식 깔창일 경우에는 따로따로 삽입하면 되는 것은 물론이다.3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inserting and fixing the insole in the pocket in the state of inverting the sock. As shown in FIGS. 2B and 2C, the insole 30 has the shape of a dedicated heel insole 31 and a shape of the heel insole 32 that can be inserted into each pocket of the sock. Between the front heel insole portion 31 and the heel insole portion 32 may be further formed insole front and rear connecting portion 33 formed in a thinner thickness than the insole portion (31, 32) (Fig. 2a) Or, the front heel insole 31 and the heel insole 32 can be made of a pair of two separated from each other (Fig. 2c).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general insole is formed of a flexible and resilient material, although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pocket is different, the insole can be flipped and then the insole is slightly bent to easily insert the insole in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ock. Of course, if the front and rear insoles are separated into two sets of 1 insole, of course, you can insert them separately.

일단 깔창이 삽입된 상태에서 양말을 다시 뒤집고 신게 되면, 걸을 때 주로 앞뒤로 힘이 가해지는 발바닥 앞꿈치 부분에는 상기 앞결합선(11)에 의해 깔창이 앞뒤로 단단히 지지되는 것이며, 다소 실내활동이 누적되어도 깔창이 뒤로 빠져 나온다거나 포켓이 발바닥 앞뒤 또는 옆으로 밀려나오지 않게 되는 것이다. 바로 이 앞꿈치쪽 가로 결합선에 의한 앞 깔창부의 강력한 지지구조가 세로방향 포켓 봉제선만 형성되었었던 종래의 깔창삽입형 양말들과 차별화되는 가장 큰 특징이다.Once the sock is inverted and worn again, the insole is firmly supported back and forth by the front coupling line 11 on the sole of the sole where the force is applied back and forth when walking. It does not come out or the pockets are pushed back and forth or sideways. The strong support structure of the front insole by this front heel horizontal coupling line is the most distinguishing feature from the conventional insole insert socks where only longitudinal pocket seams were formed.

상기 앞꿈치 포켓(21)에는 자신에게 삽입되는 앞꿈치용 깔창부(31)가 포켓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기 위한 좌우 개방부(23)가 더 형성되며, 상기 뒤꿈치 포켓(22)에는 자신에게 삽입되는 뒤꿈치용 깔창부(32)가 포켓 전후 양측으로 돌출되기 위한 전후 개방부(24)가 더 형성된다.The heel pocket 21 is further formed with left and right openings 23 for protruding the insole 31 for the heel inserted in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ocket, and the heel pocket 22 for the heel inserted in the heel pocket 22. Front and rear openings 24 are further formed to protrude both sides of the insole 32 before and after the pocket.

상기 개방부들은 별다른 지지기능이 필요하지 않거나, 외관상 깔창표시가 나지 않기 위해서 지지기능을 의도적으로 떨어뜨린 대신 양말천이 씹히지 않도록 포켓을 일부러 뚫어놓은 곳이다. 개방부(23)가 좌우로 형성된 앞꿈치 포켓(21)에 삽입된 앞꿈치용 깔창부(31)는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말려 올라간 예리한 좌우 테두리부가 포켓에 의해 강제로 수납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보행에 필수적인 앞꿈치의 전후 방향 지지지능은 그대로 살리면서 상대적으로 필요가 덜한 좌우 지지기능은 생략하고 외관을 살리는 쪽으로 양말을 설계할 수 있다.The openings are places where the pockets are deliberately removed so that the sock cloth is not chewed instead of intentionally dropping the support function in order not to need a special support function or to make the insole visible in appearance. The insole 31 for the heel inserted into the heel pocket 21 in which the opening portion 23 is formed left and right, as shown in FIG. 5B, is not forcibly received by the pocket. Therefore, the sock can be designed to preserve the appearance while omitting the relatively less necessary left and right support functions while maintaining the front and rear support intelligence of the heel essential for walking.

마찬가지로 개방부(24)가 앞뒤(전후)로 형성된 뒤꿈치 포켓(22)에 삽입된 뒤꿈치용 깔창부(32)는 도 4와 같이 돌출된 깔창의 앞뒤 테두리부가 포켓에 의해 강제로 수납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좌우측 스탭 운동을 할 때에도 깔창이 발 옆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최소한의 좌우 방향 지지지능은 그대로 살리면서 상대적으로 필요가 덜한 전후 지지기능은 생략하고 깔창테두리와 발 사이에 양말천이 씹히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하는 방향(외관을 살리는 측면)으로 양말을 설계할 수 있다.Similarly, the heel insole part 32 inserted into the heel pocket 22 having the opening part 24 formed in front and rear (front and rear) is not forcibly received by the pocket by the front and rear edge portions of the protruding insole. Therefore, the left and right lateral support intelligence is kept intact to prevent the insole from being pushed to the side even during left and right step movements, while eliminating the lesser forward and backward support functions, and preventing the sock cloth from being chewed between the insole rim and the foot. Socks can be designed in the direction (the side which saves the appearance).

한편 상기 앞꿈치 포켓(21)에는 자신에게 삽입되는 앞꿈치용 깔창부(31)가 포켓 전후 양측으로 초과 수납되기 위해 전후 방향으로 포켓 날개부(25)가 더 형성되며, 상기 뒤꿈치 포켓(22)에는 자신에게 삽입되는 자신에게 삽입되는 뒤꿈치용 깔창부(31)가 포켓 좌우 양측으로 초과 수납되기 위해 좌우 방향으로 포켓 날개부(25)가 더 형성되는데, 이러한 포켓날개부(25)들은 도 5a~c에서 잘 확인할 수 있다. 결합선(11,12)보다 초과된 폭으로 깔창부를 수납하기 위해 의도된 포켓날개부(25)들은 보다 넓은 폭의 깔창을 쉽게 수납시켜 주며, 깔창의 예리한 테두리 부에 의해 포켓이 지나치게 늘어나는 것을 막아준다. 양말은 신축성 재질이므로 포켓이 지나치게 늘어나면 양말바닥의 결합선 또한 늘어난다. 이렇게 늘어난 결합선은 발바닥이 지면에서 떨어질 때 다시 수축하며 이러한 연신-수축의 나쁜 현상이 반복되면 결국 양말측면 천이 말려들어가서 깔창과 발 사이 공간의 천이 씹혀지게 되어 외관상 표시가 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을 막아주는 것이 의도적으로 뾰족하게 형성된 포켓날개부이며, 본 발명의 특유한 결합선 방향과 특유한 개방부 구조와 함께 본 발명의 자연스러운 깔창 은폐효과를 완성시켜 주는 구성요소가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heel pocket 21 is further formed with a pocket wing portion 25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the front heel insole portion 31 inserted into the front heel in excess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ocket, the heel pocket 22 itself Pocket wings 25 are further form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the heel insole part 31 inserted into the holder is excessively received in both sides of the pocket, and these pocket wings 25 are formed in FIGS. 5A to 5C. I can confirm it well. The pocket blades 25 intended to accommodate the insole in excess of the bond lines 11 and 12 easily accommodate the wider insole and prevent the pocket from being stretched by the sharp edge of the insole. . Socks are stretchy, so if the pockets are stretched too much, the bond line on the bottom of the socks will increase. The stretched seams contract again when the soles fall off the ground, and if this bad stretch-contraction is repeated, the sock-side fabric eventually rolls up, causing the fabric between the insole and the foot to be chewed, resulting in an apparent appearance. Preventing this is a pocket wing portion deliberately pointed, which is a component that completes the natural insole concealment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unique joining line direction and unique open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본 발명이 구체화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지 않는다.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다시 말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이 내포하고 있는 기술적 사상을 활용하여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미처 포함되지 않은 단순 변경 및 간단 확장 사례를 구현할 수도 있으나, 이 또한 이하의 청구범위로 표현되는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자명하게 포함된다.In other word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tilize the technical spirit contain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f necessary, simply change and simplify the descrip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extended examples may be implemented, these are also clearly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xpress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양말
11: (앞꿈치 포켓의) 앞결합선
12: (뒤꿈치 포켓의) 뒤결합선
21: 앞꿈치 포켓
22: 뒤꿈치 포켓
23: 좌우 개방부
24: 전후 개방부
25: 포켓 날개부
30: 깔창
31: 앞꿈치용 깔창부
32: 뒤꿈치용 깔창부
33: 깔창앞뒤 연결부
10: socks
11: front splice (in front heel pocket)
12: Binding line (of heel pocket)
21: heel pocket
22: heel pocket
23: left and right openings
24: front and rear opening
25: pocket wing
30: insole
31: Insole for the heel
32: heel insole
33: Insole front and rear connections

Claims (7)

내측 저면 발바닥부에 적어도 두 개의 포켓(21,22)을 구비하고,
상기 포켓은 박음질 등에 의한 적어도 두 줄의 결합선(11,12)에 의해 상기 발바닥부에 결합되되 어느 하나의 포켓을 결합하는 결합선의 방향은 다른 하나의 포켓을 결합하는 결합선의 방향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10).
At least two pockets 21 and 22 in the medial bottom sole,
The pocket is coupled to the sole by at least two rows of coupling lines 11 and 12 by stitching, and the direction of the coupling line for coupling one pocket is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of the coupling line for coupling the other pocket. Socks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 중 앞꿈치 포켓(21)의 앞결합선(11) 방향은 발의 보행 운동에 대해 직각에 가까운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포켓 중 뒤꿈치 포켓(21)의 뒤결합선(12) 방향은 발의 보행 운동에 대해 평행에 가까운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10).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coupling line 11 direction of the front heel pocket 21 of the pocket is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close to the right angle to the walking movement of the foot, the rear coupling line 12 of the heel pocket 21 of the pocket The direction of the socks 10,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close to parallel to the walking movement of the foo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앞꿈치 포켓(21)에는 자신에게 삽입되는 앞꿈치용 깔창부(31)가 포켓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기 위한 좌우 개방부(23)가 더 형성되며, 상기 뒤꿈치 포켓(22)에는 자신에게 삽입되는 뒤꿈치용 깔창부(32)가 포켓 전후 양측으로 돌출되기 위한 전후 개방부(24)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According to claim 2, The front heel pocket 21 is further formed with a left and right opening 23 for protruding the insole 31 for the heel inserted in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ocket, the heel pocket 22 Sock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and rear openings 24 are further formed to protrude to both sides of the pocket front and rear heel insole portion 32 is inserted into 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앞꿈치 포켓(21)에는 자신에게 삽입되는 앞꿈치용 깔창부(31)가 포켓 전후 양측으로 초과 수납되기 위해 전후 방향으로 포켓 날개부(25)가 더 형성되며, 상기 뒤꿈치 포켓(22)에는 자신에게 삽입되는 자신에게 삽입되는 뒤꿈치용 깔창부(31)가 포켓 좌우 양측으로 초과 수납되기 위해 좌우 방향으로 포켓 날개부(25)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According to claim 3, The front heel pocket 21 is further formed with a pocket wing portion 25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the front heel insole portion 31 to be inserted in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ocket is further formed, the heel pocket Socks (2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cket wing portion 25 is further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or the heel insole portion 31 is inserted into itself to be stored in exces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ocket. 제1항에 기재된 양말의 각 포켓 속에 삽입 가능한 전용의 앞꿈치용 깔창부(31) 형상과 뒤꿈치용 깔창부(32)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창(30).An insole 30 having a shape of a dedicated heel insole part 31 and a shape of a heel insole part 32 that can be inserted into each pocket of the sock according to claim 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앞꿈치용 깔창부(31)와 상기 뒤꿈치용 깔창부(32) 사이에는 상기 깔창부(31,32)들보다 더 얇은 두께로 형성된 깔창앞뒤 연결부(33)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창(30).According to claim 5, Insole front and rear connecting portion 33 is formed between the front heel insole portion 31 and the heel insole portion 32 with a thinner thickness than the insole portion (31,32) Insole 30, characterized in tha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앞꿈치용 깔창부(31)와 상기 뒤꿈치용 깔창부(32)가 서로 분리된 상태의 2조 1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창(30).The insole (30) according to claim 5,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heel insole part (31) and the heel insole part (32) are composed of two sets of ones separated from each other.
KR1020110038697A 2011-04-26 2011-04-26 Insoles and Socks equipped with inner pockets that are fixing the insoles in different directions KR1012474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697A KR101247495B1 (en) 2011-04-26 2011-04-26 Insoles and Socks equipped with inner pockets that are fixing the insoles in different direc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697A KR101247495B1 (en) 2011-04-26 2011-04-26 Insoles and Socks equipped with inner pockets that are fixing the insoles in different direc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871A true KR20110060871A (en) 2011-06-08
KR101247495B1 KR101247495B1 (en) 2013-03-26

Family

ID=44395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697A KR101247495B1 (en) 2011-04-26 2011-04-26 Insoles and Socks equipped with inner pockets that are fixing the insoles in different direc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49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1574A (en) * 2016-07-25 2018-02-02 임창선 Socks for height increas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1701A (en) * 1983-09-27 1985-04-23 東洋繊維株式会社 Socks with pock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1574A (en) * 2016-07-25 2018-02-02 임창선 Socks for height increa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7495B1 (en) 201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8834B1 (en) Shoe with interchangeable vamp and base
US20140082964A1 (en) Structure of shoe
CN101518380A (en) Sport shoes with removable heel part
US20140123520A1 (en) High-heeled shoe
US20090320325A1 (en) Thong sandal with protective covering
US6484420B1 (en) Footwear with integrated stitchdown/athletic bottom construction
US20050120592A1 (en) Footwear combining comfort with fashion
KR101247495B1 (en) Insoles and Socks equipped with inner pockets that are fixing the insoles in different directions
WO2005102091A1 (en) Improvements in a convertible shoe
CN201878887U (en) Soles of sports shoes with shock absorption function
CN204259965U (en) Intoe five toe unfolds footwear
KR20120120997A (en) Insoles and Socks equipped with inner pockets that are fixing the insoles in different directions
CN213428629U (en) Symmetrical slippers
CN202514692U (en) Casual shoes
CN202750815U (en) Improved comfortable sandals
JP2004530804A (en) Nude socks for shoes
CN211129895U (en) Ankle guard health care type shoes of running
CN206213396U (en) Men's singles' footwear comfortable and easy to wear
CN202750821U (en) Dual-purpose shoe with elastic mouth for children
CN202819804U (en) Shoes with multiple wearing ways
CN203058531U (en) Stepped type comfortable shoe pad
CN213464001U (en) Novel comfortable pleasing to eye three-season woman's shoe
CN211129888U (en) Slipper with detachable vamp
KR101174748B1 (en) Folding shoes with extended pocket part
CN208144563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shoe of fine-tuning siz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