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0362A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0362A
KR20110060362A KR1020090116925A KR20090116925A KR20110060362A KR 20110060362 A KR20110060362 A KR 20110060362A KR 1020090116925 A KR1020090116925 A KR 1020090116925A KR 20090116925 A KR20090116925 A KR 20090116925A KR 20110060362 A KR20110060362 A KR 20110060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tub
frequency band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0568B1 (ko
Inventor
류병훈
성원모
홍용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to KR1020090116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568B1/ko
Publication of KR20110060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2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operating waveb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ceiver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청기 호환성(HAC) 및 전자파 흡수율(SAR)을 개선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주파수 대역 및 제1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제2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기판에 형성되며, 안테나의 접지단자와 연결되는 접지부 및 접지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접지부와 커플링되는 스터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안테나 방사출력파워는 유지하면서 안테나 방사 빔의 피크만 하단으로 유도하여 보청기 호환성(HAC) 및 전자파 흡수율(SAR)을 개선시킨다.
전자파 흡수율, 보청기 호환성, 커플링, 스터브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청기 호환성(HAC) 및 전자파 흡수율(SAR)을 개선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서비스 등에서 이용되는 안테나는 신호 입출력의 처음과 끝을 담당하여 통화품질을 결정하는 핵심 부품으로 설계기술 중 난이도가 높은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 들어 상기 안테나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단에 실장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데, 이 경우 안테나에서 발생되는 표면전류 및 전자파가 상단부의 음성출력부쪽으로 집중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보청기를 착용한 청각장애인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할 경우 상기 음성출력부 방향으로 집중된 상기 표면 전류 및 전자파에 의하여 청각장애인이 음성출력부로부터 송출되는 음성을 제대로 들을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안테나를 단말기 하단에 실장하는 경우에 있어 단말기의 성능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보청기 호환성(HAC Hearing Aids Compatibility) 및 전자파 흡수율(SAR; Specific Absorption Rate)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 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지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별도의 스터브를 부가함으로써, 보청기 호환성(HAC Hearing Aids Compatibility) 및 전자파 흡수율(SAR; Specific Absorption Rate)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1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제2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의 접지단자와 연결되는 접지부 및 상기 접지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접지부와 커플링되는 스터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1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제2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의 접지단자와 연결되는 접지부, 상기 접지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인덕터 및 상기 인덕터의 타단과 연결되는 스터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지부와 소정 간격 이격 되도록 별도의 스터브를 부가함으로써, 소정 주파수 대역에서 스터브와 접지부 간의 전자기적 결합(커플링 유도 결합)을 통해 접지부 환경의 변화(접지부 확장 효과)를 유도하여 안테나 방사출력파워(TRP; Total Radiated Power)는 유지하면서 안테나 방사 빔의 피크만 하단으로 유도하여 보청기 호환성(HAC) 및 전자파 흡수율(SAR)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스터브를 구현함으로써, 보청기의 호환성을 개선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구현하여야 했던 스터브를 쉽게 구현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금형 제작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에 앞서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기판(102), 음성출력부(104) 및 안테나부(106)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102)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출력부(104)는 일반적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음성, 음향 등을 출력한다.
아울러, 상기 안테나부(106)는 일반적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 입출력을 매개한다.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단부에 형성된 안테나부를 통해 다중 대역 예를 들어, 약 1.8GHz의 DCS(Digital Cellular System), 약 1.9GHz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약 2.1GHz의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고주파수 대역의 제1주파수 대역과 약 174~216 MHz의 지상파 DMB, 약 80~110 MHz의 FM, 약 530~1610KHz의 AM, 약850~900MHz의 GSM(Group Special Mobile)등과 같은 저주파수 대역의 제2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안테나부가 하단부에 형성되어 다중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게 됨에 따라 배경기술에서 상술한 음성출력부 쪽으로 표면 전류 및 전자파가 집중되는 문제점들이 야기될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판(102)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02)은 접지부(202) 및 스터브(204)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102)은 일 예로 평평한 사각 판형의 형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기판(102)의 재질, 크기, 두께 및 형상 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내장된 안테나의 특성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접지부(202)는 상기 기판(102)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안테나의 접지단자와 연결된다.
상기 스터브(204)는 상기 접지부(202)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스터브(204)는 상기 접지부(202)와는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성되나,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접지부(202)와 전자기적 결합(electro-magnetic coupling, 이하, "커플링"이라고 함)을 형성하여 접지부 연장 효과로 인한 상기 접지부(202)의 환경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안테나부(106)에서 방사되는 방사 빔의 패턴을 변경하게 된다.
상기 스터브(204)와 상기 접지부(202)와의 이격 거리는, 상기 스터브(204) 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즉, 고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기 접지부(202)와 커플링되고, 상기 제2주파수 대역(즉, 저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기 접지부(202)와 커플링되지 않도록(즉, 오픈(open)되도록) 설정된다. 만약, 상기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상기 제2주파수 대역에서도 상기 접지부(202)와 커플링이 일어날 수 있고, 거리가 너무 멀면,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접지부(202)와 커플링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주파수, 제2주파수의 대역 및 상기 스터브(204)의 너비 또는 길이 등을 고려하여 상기 이격 거리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터브(204)와 상기 접지부(202)의 이격 거리를 특정 이격 거리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이용되는 주파수 또는 스터브 너비나 길이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이에 따라, 상기 스터브(204)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고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기 접지부(202)와 커플링되어, 상기 접지부(202)의 환경을 변화시켜 안테나 방사 빔의 피크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하단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터브(204)는 저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기 접지부(202)와 커플링 되지 않으므로, 상기 저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기 접지부(202)의 접지부의 환경이 변화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접지부와 스터브 사이를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킴에 따라, 상기 접지부(202)와 상기 스터브(206) 사이에 소정 유전율을 가지는 기판이 커패시터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커패시터가 형성된 환경에서는 주파수 대역이 높아질수록 임피던스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임피던스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접지부(202)와 상기 스터브(206) 사이에서는 커플링이 발생하게 된다. 즉, 이러한 이격거리에 따른 커패시터 형성에 의해 고주파수 대역에서는 커플링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반면에 저주파수 대역에서는 임피던스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저주파수 대역에서는 오픈 효과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터브(204)의 길이(A)는 상기 제1주파수의 1/4 λ에 해당되는 길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지부의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고, 안테나 방사 빔 패턴의 변경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스터브(204)의 길이는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터브(204)의 길이(A)가 상기 제1주파수에 대응되는 이유는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스터브(204)가 상기 접지부(202)와 커플링되어 상기 접지부(202)의 환경을 변화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스터브(204)는 상기 기판(102)의 하부방향으로 상기 기판(102)의 하면(202b)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터브(204)는 상기 기판(102)의 측면(202a)과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된 부분과 상기 기판(102)의 하면(202b)과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된 부분이 수직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스터브(204)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터브(204)를 통해서 상기 접지부(202)의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떤 형상이든 채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접지부에 소정 거리 이격된 스터브 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고주파수 대역에서 접지부와 스터브간에 커플링이 형성되어,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방사 빔 패턴을 변화시킴에 유용하다.
반면, 저주파수 대역에서 안테나 방사 빔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다음의 실시예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마찬가지로 제1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1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제2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내부에 형성된 접지부(302)와, 상기 접지부(302)에 일단이 연결되는 인덕터(306) 및 상기 인덕터(306)의 타단과 연결되는 스터브(304)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내부구조는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전술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조와 동일하기에 여기에서는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접지부(302) 및 상기 스터브(304)가 이격 된 것이 아니라, 상기 접지부(302) 및 상기 스터브(304)를 상기 인덕터(306)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기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도 3의 실시예는 도 2의 실시예와 다르게 상기 스터브(304)는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저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기 접지부(302)와 커플링되어 상기 접지부(302)의 환경을 변화시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안테나(미도시) 방사 빔의 피크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하단으로 유도하고, 고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기 접지부(302)와 커플링되지 않으므로 상기 고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기 접지부(302)의 환경이 변화되지 않게된다.
왜냐하면, 상기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접지부와 스터브간의 이격 거리에 따라 커패시터가 형성되는 효과가 발생되었지만, 상기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덕터(306)에 의해 저주파수 대역에서는 임피던스가 감소되어 커플링 효과가 발생되고, 고주파수 대역에서는 임피던스 증가로 오픈 효과가 발생되었기 때문이다.
상기 인덕터(306)의 값은, 상기 스터브(304)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저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기 접지부(302)와 커플링되고, 상기 제1주파수 대역(고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기 접지부(302)와 커플링되지 않게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덕터(306)의 값을 약 30nH(nano Henry)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인덕터(306)의 값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에서 방사되는 주파수 및 스터브의 너비나 길이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상기 스터브(304)의 길이(A)는 상기 제2주파수의 1/4 λ에 해당되는 길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지부의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고, 안테나 방사 빔 패턴의 변경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스터브(304)의 길이는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터브(304)의 길이(A)가 상기 제2 주파수에 대응되는 이유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스터브(304)가 상기 접지부(202)와 커플링되어 접지부 환경을 변화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저주파수 대역에서 안테나 방사 빔 패턴만을 변화시키려 할 때 유용하다.
한편, 상기 인덕터(306)의 값은, 상기 스터브(304)가 상기 제1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주파수 대역 모두에서 상기 접지부(302)와 커플링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주파수나 스터브 너비나 길이 등을 고려하여 상기 인덕터(306)의 값을 적절하게 변화시키면, 상기 스터브(304)가 제1주파수 대역에서도 오픈되지 않고 상기 접지부(304)와 커플링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두 실시예와는 달리 제1주파수 대역 및 제2주파수 대역 모두에서 접지부의 환경 변화가 일어나므로, 듀얼 밴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든 대역의 안테나 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상기 인덕터(306)의 값을 약 10nH(nano Henry)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스터브 및 인덕터를 형성하여 고주파 또는 저주파수 대역에서 커플링 효과로 인한 접지부 연장 효과에 따른 안테나 방사 빔 패턴이 변화된다고 기술하였는바, 이하 이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스터브를 형성하지 않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자파 분포를 측정하기 위해 HAC 스캔 영역이 지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HAC 스캔 영역에서 방사되는 전자파를 측정한 분포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터브가 형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자파 분포를 측정하기 위해 HAC 스캔 영역이 지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HAC 스캔 영역에서 방사되는 전자파를 측정한 분포도이다.
먼저, 도 4의 (a)와 같이,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자파 분포도를 측정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출력부를 스캔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출력부의 일정 범위 내를 HAC 스캔 영역으로 지정하고, 상기 HAC 스캔 영역에서 분포되는 전자파를 측정하였다.
그러면, 상기 도 4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HAC 스캔 영역에서의 전자파 분포도가 도시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남색, 자주색, 주황색, 노란색 순으로 갈수록 방출되는 전자파가 많음을 의미한다. 즉, 상기 HAC 스캔 영역에서 음성출력부가 위치한 부분이 밝은 색으로 출력되어 가장 많은 전자파가 방출됨을 알 수 있으며, 반면에, 음성출력부에서 점점 멀어질수록 어두운 색으로 출력되어 점차적으로 방출되는 전자파가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안테나에서 발생되는 표면전류 및 전자파가 상단부의 음성출력부쪽으로 집중됨에 따라, 보청기를 착용한 청각장애인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할 경우, 집중되는 표면 전류 및 전자파에 의하여 청각장애인이 음성출력부로부터 송출되는 음성을 제대로 들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자파 분포도를 측정하면 다음과 같 다.
도 5의 (a)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자파 분포도를 측정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출력부를 스캔한다. 이때, 상기 도 4의 (a)에서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음성출력부의 일정 범위 내를 HAC 스캔 영역으로 지정하고, 상기 HAC 스캔 영역에서 분포되는 전자파를 측정하였다.
그러면, 도 5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4의 (b)와 마찬가지로 상기 HAC 스캔 영역에서 음성출력부가 위치한 부분에 가장 많은 전자파가 방출되었으며, 음성출력부에서 점점 멀어질수록 방출되는 전자파가 감소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도 4의 (b)에 도시된 전자파 방출도와는 달리 상기 도 5의 (b)에 도시된 전자파 방출도에서는 음성출력부 부근에서 출력되는 노란색 영역이 확연히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스터브를 형성함으로써,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빔 패턴이 변경되었기 때문이다. 즉, 스터브를 형성하지 않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는 주로 단말기의 상부 쪽인 음성출력부에 전자파가 밀집되어 방출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스터브를 형성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방사되는 전자파가 상부 및 하부로 분산되어 방출되었기 때문이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표 1과 같이, 스터브를 형성하기 전,후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사출력파워(TRP; Total Radiated Power, 이하 TRP라 지칭함.) 수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9073759497-PAT0000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장측면을 기준으로 0˚에서 180˚까지 이동통신 단말기를 회전시켜, TRP를 측정한 수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때, TRP 측정부는 고정되어, 각도 별로 이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TRP를 측정한다.
먼저, 상기 표 1의 좌측 표를 살펴보면, 통상적인 단말기의 TRP의 수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표 1의 좌측표에서 Theta 30˚와 Phi 30˚~ 90˚의 저도 영역에서는 TRP가 23.92, 26.26, 27.05dB로 나타났다. 상기 저도 영역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출력부 부근 영역이다. 또한, Theta 150˚의 고도 영역에서는TRP의 최고 값이 32.63 dB로 나타났다. 상기 고도 영역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부 영역이다.
다음, 상기 표 1의 우측 표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터브가 형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TRP의 수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표 1의 우측표에서 Theta 30˚와 Phi 30˚~ 90˚의 저도 영역에서는TRP가 23.06, 25.15, 25.91dB로 나타났다. 또한, Theta 150˚의 고도 영역에서는 TRP의 최고 값이 33 dB로 나타났다.
즉, 상기 표 1의 좌측 표와 우측 표를 비교했을 시, 각각의 상기 저도 영역에서 TRP가 약26.26dB에서 25.15dB로 약 1dB정도 감소됨을 알 수 있는데, 이에 따라 HAC 스캔 영역의 HAC 수치는 약 37.4dBV/m에서 36.7dBV/m로 감소되어, HAC이 0.7dBV/m정도 개선됨을 알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고도 영역에서 TRP의 최고 값이 32.63dB에서 33dB로 변화되었는데, 이는 약 0.37dB 정도 변경된 것으로 TRP의 수치가 큰 변화 폭 없이 거의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별도의 스터브를 추가 형성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이용 시 방출되는 전자파를 음성출력부의 상부만이 아닌,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부 및 하부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TRP 변화 없이 HAC 및 SAR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판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판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는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HAC 스캔 영역 및 전자파 분포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HAC 스캔 영역 및 전자파분포도이다.

Claims (7)

  1. 제1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1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제2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의 접지단자와 연결되는 접지부; 및
    상기 접지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접지부와 커플링되는 스터브;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브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기 접지부와 커플링되지 않도록상기 접지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브는 상기 제1주파수의 1/4 λ에 해당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1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1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제2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의 접지단자와 연결되는 접지부;
    상기 접지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인덕터; 및
    상기 인덕터의 타단과 연결되는 스터브;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의 값은, 상기 스터브가 상기 제2주파수대역에서는 상기 접지부와 커플링되고,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기 접지부와 커플링되지 않도록 설정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의 값은, 상기 스터브가 상기 제1주파수대역 및 상기 제2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접지부와 커플링되도록 설정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브는 상기 제2주파수의 1/4 λ에 해당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90116925A 2009-11-30 2009-11-30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10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925A KR101110568B1 (ko) 2009-11-30 2009-11-30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925A KR101110568B1 (ko) 2009-11-30 2009-11-30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362A true KR20110060362A (ko) 2011-06-08
KR101110568B1 KR101110568B1 (ko) 2012-02-15

Family

ID=44395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925A KR101110568B1 (ko) 2009-11-30 2009-11-30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5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8961A (ko) * 2013-06-27 2015-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청기 호환 휴대형 전자장치
KR20150074403A (ko) * 2013-12-24 2015-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8020A (ko) * 2006-03-30 200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0901496B1 (ko) 2007-10-19 2009-06-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초광대역 모노폴 내장 안테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8961A (ko) * 2013-06-27 2015-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청기 호환 휴대형 전자장치
KR20150074403A (ko) * 2013-12-24 2015-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0568B1 (ko)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40651B1 (en) Tunable multiband multiport antennas and method
CN102075205B (zh) 移动通讯装置
CN103117452B (zh) 一种新型lte终端天线
US7911405B2 (en) Multi-band low profile antenna with low band differential mode
TWI423520B (zh) 行動通訊裝置
Wong et al. Small-size triple-wideband LTE/WWAN tablet device antenna
JP2003535542A (ja) 二重バンドパッチアンテナ
US11355853B2 (en)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KR20100068480A (ko)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
US20110018770A1 (en) Built-in straight mobile antenna type dual band antenna assembly with improved hac performance
TWI446626B (zh) 寬頻行動通訊天線
KR20110126488A (ko) 인공자기도체를 구비한 안테나
US8115682B2 (en) Multi-band HAC compatible antenna module
US20170214143A1 (en) Antenna radiator, antenna and mobile terminal
TWI437762B (zh) 行動通訊裝置天線
Lee et al. Heptaband inverted-F antenna with independent resonance control for mobile handset applications
KR1011105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
TWI464960B (zh) 行動通訊裝置及其單極槽孔天線
Kumar et al. A multiband Pifa with slotted ground plane for personal communication handheld devices
US10305169B2 (en) Antenna apparatus and terminal
Dong et al. A coupled-fed antenna for 4G mobile handset
CN108432048B (zh) 一种缝隙天线和终端
TWI481118B (zh) 雙頻天線及應用該雙頻天線之無線通訊裝置
KR101416931B1 (ko) 동작선로 mimo 안테나
KR101438151B1 (ko) 모바일 단말용 광대역 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