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7431A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 사생활 보호 설정 방법 및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 사생활 보호 설정 방법 및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7431A
KR20110057431A KR1020090113839A KR20090113839A KR20110057431A KR 20110057431 A KR20110057431 A KR 20110057431A KR 1020090113839 A KR1020090113839 A KR 1020090113839A KR 20090113839 A KR20090113839 A KR 20090113839A KR 20110057431 A KR20110057431 A KR 20110057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rivacy
message
receiving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3462B1 (ko
Inventor
서인아
Original Assignee
서인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인아 filed Critical 서인아
Priority to KR1020090113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462B1/ko
Publication of KR20110057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 사생활 보호 설정 방법 및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은 (a) 송신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또는 호를 수신하고, 송신 단말기가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단계; (b)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c) 사용자로부터 기설정된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입력받는 단계; 및 (d) 수신한 메시지 또는 호를 송신 단말기에 대한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자측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 사생활 보호, 암호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 사생활 보호 설정 방법 및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managing received information, controlling privacy protection and providing privacy protection ser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 사생활 보호 설정 방법 및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수신자측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 사생활 보호 설정 방법 및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이 대중화되면서 이동 통신과 휴대폰을 공급하는 사업자들은 사용자에게 좀 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이동 통신 시스템을 통한 단순한 통화 연결 외에도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한 정보 제공, 전자 우편, 웹 서핑 등의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발신자표시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를 통해 수신자가 전화를 받기 전에 발신자가 누구인지를 파악하여 전화를 받을 수 있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 SMS)는 이동 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 유무와 상관없이 이동 통신 단말기 사이에 비교적 짧은 길이(보통 80 바이트에서 160여 바이트까지)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양방향 서비스로서, 이메일과 달리 송신자의 발송과 동시에 내용이 수신자에게 전달되는 장점으로 인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SMS는 기본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 사이에 회신 번호와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하며, 그 밖에도 문자의 형태로 은행 계정 조회, 송금, 환율 정보, 여행 정보, 교통 정보, 일기 예보, 여가 정보, TV 정보, 뉴스, 주식 정보, 광고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받아볼 수 있다.
기존의 발신자 표시 서비스 또는 문자메시지 서비스의 경우, 수신자는 수동적으로 발신자의 정보 또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발신자의 정보 또는 문자메시지를 타인이 확인할 수도 있어 사생활의 침해의 우려가 있다. 다시 말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액정화면상에 통화 또는 문자메시지를 발신하는 발신자 정보 등이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단말기의 사용자 이외의 제3자도 손쉽게 수신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DMB 서비스 또는 인터넷 웹 서핑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위하여 화면크기는 점점 대형화되고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개인 의복 주머니에 항상 휴대하지 못하고,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이를 통해 수신통화 내역 또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 내역이 노출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수신자 측의 사생활이 침해될 우려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사생활을 타인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기설정된 비밀번호 입력시에만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잠금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그러나 잠금 기능을 설정해 놓으면, 타인으로부터 보호받고자 하는 내용이 있다라는 것을 타인이 알게 되어 호기심을 더욱 부추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와 가까운 관계에 있는 사람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 잠김 기능으로 인해 불쾌감을 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자측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 사생활 보호 설정 방법 및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통화내역 또는 문자메시지의 수신내역이 주변 사람에게 공개되는 것을 차단하여,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위장 메시지 표시를 통해, 사용자가 타인으로부터 보호받고자 하는 내용이 있다라는 것이 사용자의 주변 사람들에게 알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송신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또는 호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 단말기가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c) 사용자로부터 기설정된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입력받는 단계; 및 (d) 상기 수신한 메시지 또는 호를 상기 송신 단말기에 대한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a) 단계는, (a1) 송신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또는 호를 수신하는 단계; (a2) 사생활 보호 기능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a3) 상기 송신 단말기가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에 앞서, (e)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는 상기 위장 메시지 및 상기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위장 메시지는 스팸형 문자메시지 또는 일정관리 알림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2) 단계는, 상기 사생활 보호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사생활 보호 서비스 가입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e) 단계는,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상기 복수 개의 위장 메시지 및 상기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위장 메시지 및 어느 하나의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제1 위장 메시지 및 제1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c1) 사용자로부터 기설정된 제1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입력받는 단계; (c2) 상기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제2 위장 메시지 및 제2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c3) 상기 사용자로부터 기설정된 제2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입력받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설정 방법에 있어서, (a) 사생활 보호 메뉴를 실행하는 단계; (b) 사생활 보호받고자 하는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위장 메시지 또는 위장 전화 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설정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a) 단계와 (b) 단계 사이에, (d)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 다음에, (e) 상기 설정된 위장 전화 번호를 전화번호부에 저장하고, 상기 입력된 전화 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부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위장 메시지는 스팸형 문자메시지 또는 일정관리 알림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위장 메시지 또는 위장 전화 번호를 복수 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가 송신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또는 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송신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또는 호를 수신받게 되는 수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수신 단말기가 가입된 경우, 상기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송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또는 호를 상기 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기설정된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는 스팸형 문자 메시지 또는 일정관리 알림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복수 개의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제1 위장 메시지 및 제1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c2)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제1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수신하는 단계; 및 (c3) 상기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제2 위장 메시지 및 제2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제2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에 있어서, (a)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가 송신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또는 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송신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또는 호를 수신받게 되는 수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수신 단말기가 가입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 단말기에 사생활 보호 서비스 가입 여부를 질문하는 단계; (d) 상기 수신 단말기가 상기 사생활 보호 서비스에 가입하는 경우, 상기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수신하는 단계; 및 (f) 상기 송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또는 호를 상기 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 사생활 보호 설정 방법 및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자측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자가 사생활 보호 대상 송신 단말기를 별도로 관리하여 위장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생활 보호가 필요한 호 수신 내역 또는 문자메시지 수신 내역이 수신자의 주변 사람들에게 노출되는 위험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위장 메시지 표시를 통해서, 사용자가 타인으로부터 보호받고자 하는 내용이 있다는 것이 사용자의 주변 사람들에게 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 사생활 보호 설정 방법 및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용어의 정리
이동 통신 단말기 : 정보의 송/수신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갖춘 물리적 통신 연결에 필요한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성을 가진 통신 장치를 의미한다. 휴대폰, 개인용휴대정보단말기(PDA), 스마트폰, MP3, 스마트북,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맥북, 전자사전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 : 수신 단말기가 사생활 보호 서비스를 제공받는 대상이 되는 송신 단말기로서, 사생활 보호받기 위해 설정해 놓은 송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 정보를 미리 설정해 놓고,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로부터 호 또는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는 경우에, 사생활 보호 서비스를 제공받아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가 먼저 표시된다.
위장 메시지 : 사생활 보호 기능이 있는 단말기가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로부터 호 또는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가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입 력하기 전에 이를 위장(fake)하기 위해서 표시되는 메시지이다. 예를 들어,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로부터 호 또는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호 또는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 정보가 화면에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위장하기 위한 스팸 형태의 단문 메시지 또는 일정관리 알림 등을 포함하는 일반 알림 메시지가 표시된다.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 : 일반적인 단말기로부터 호 또는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수신 단말기로부터 발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표시된다(발신자 표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 한함). 그러나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로부터 호 또는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발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다른 전화번호로 위장되어 표시되는데, 이것이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이다.
투넘버 서비스 : 하나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두 개의 전화번호를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즉, 투넘버 서비스에 의하면 각기 다른 두 개의 착신 번호를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여 각기 다른 착신 번호로 착신되는 전화를 하나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서 통화가 가능하다.
평생번호 서비스 : 개인번호로 걸려오는 전화를 서비스 가입자가 지정한 착신 전화번호로 콜을 전환해 주므로, 가입자의 전화번호가 바뀌어도 새로 바뀐 전화번호를 개인번호서비스에 착신용으로 지정만 하면 상대방은 가입자의 개인번호로 언제든지 통화가 가능하다. 지정한 착신 전화번호가 평생번호이다.
착신 전환 서비스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자신이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에 있는 경우에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이 전화를 받을 수 있는 다른 전화기 또는 통신 단말기로 착신을 전환하도록 설정해 주는 것을 말하는 데, 해당 착신 전환 서비스의 경우에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착신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측에 등록하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의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단계 110에서는 사용자가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는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설정한다. 사용자는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로 특정 단말기를 지정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011-1234-5678의 전화번호를 갖는 단말기를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로 지정하여, 이에 대응하여 위장 메시지로 "대출해드립니다"를,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로"011-1000-2000"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직접 설정하지 않고, 기설정된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계 120에서는 송신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또는 호를 수신한다.
단계 130에서는 수신 단말기에 사생활 보호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사생활 보호 기능이 설정되어 있다는 것은 사생활 보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으로 단말기 자체에 그와 같은 기능이 내재되어 있거나 별도의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해서 서비스를 제공받은 수도 있다. 사생활 보호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단말기인 경우에는 단계 140을 진행하고, 수신 단말기에 사생활 보호 기능이 없는 경우에는 단계 180을 진행한다.
단계 140에서는 송신 단말기가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인지를 확인한다.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 단말기가 사생활 보호 서비스를 제공받는 대상이 되는 송신 단말기를 말한다. 송신 단말기가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인 경우에는 단계 150을 진행하고,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가 아닌 경우에는 단계 180을 진행한다.
단계 150에서는 단계 110에서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표시한다.
단계 16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입력받는다. 단계 170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사생활 보호 암호키가 기설정된 사생활 보호 암호키와 동일한지를 판단하여, 동일한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정확하게 입력하는 경우에만 단계 180을 진행하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150을 진행하여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계속 표시한다.
단계 180에서는 송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또는 호를 송신 단말기 정보와 함께 표시한다.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송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및 송신 단말기가 전송한 메시지를 수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한다. 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송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여, 수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통화를 할 수 있게 해준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설정 방법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설정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단계 210에서는 사생활 보호 메뉴를 실행시킨다. 사생활 보호 메뉴는 사생활 보호 설정을 위해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이거나,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에 연결하면 제공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단계 220에서는 실행되는 사생활 보호 메뉴를 통해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설정한다. 사생활 보호 암호키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여러 키버튼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숫자, 한글/영문 문자, 특수 문자, 볼륨 업/다운 키, 취소 등의 기능키 또는 그 조합으로 사용자가 자유롭게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 230에서는 실행되는 사생활 보호 메뉴를 통해 사생활 보호받고자는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를 설정한다.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로 설정되면,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또는 호를 수신하게 되는 경우 수신자의 생활이 보호받을 수 있다.
단계 240에서는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전화 번호를 입력하여,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설정한다.
단계 250에서는 사생활 보호 설정을 해제한다. 자동으로 사생활 보호 설정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사생활보호 기능을 사용으로 설정하여도 사생활 보호 메뉴의 사용은 해제로 자동 저장된다. 사생활 보호 메뉴 실행을 중지함으로써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단계 310에서는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가 송신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또는 호를 수신한다. 송신 단말기가 수신 단말기에 메시지 또는 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우선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를 거치게 된다.
단계 320에서는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가 수신 단말기가 사생활 보호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생활 보호 서비스는 가입한 단말기에만 제공되는 것으로, 수신 단말기가 사생활 보호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인 경우에는 단계 330을 진행하고 가입하지 않은 단말기의 경우에는 단계 360을 진행한다.
수신 단말기가 사생활 보호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경우, 수신 단말기에 사생활 보호 서비스 가입 여부를 질문하고, 수신 단말기에 가입을 요청하는 경우 단계 330을 진행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단계 330에서는 수신 단말기가 사생활 보호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이고 송신 단말기가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인 경우에,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수신 단말기에 전송한다. 수신 단말기의 화면에는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 보가 표시된다.
단계 340에서는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가 수신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수신한다.
단계 350에서는 기설정된 사생활 보호 암호키와 수신한 사생활 보호 암호키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정확하게 입력하여, 입력된 사생활 보호 암호키와 기설정된 사생활 보호 암호키와 동일한 경우에 단계 360을 진행하게 된다.
단계 360에서는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가 송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또는 호를 수신 단말기에 전송한다. 수신 단말기에는 송신 단말기가 전송한 메시지 또는 호가 송신 단말기 정보와 함께 표시된다.
도 4는 사생활 보호 기능이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절차에 대한 흐름도이다.
수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메뉴를 실행시켜,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 사생활 보호 암호키,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설정한다.
수신 단말기가 송신 단말기로부터 메시지를 전송받거나 호를 요청받으면, 수신 단말기는 송신 단말기가 설정된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인지 확인한다. 수신 단말기는 송신 단말기에 통화 연결 음원을 전송한다. 통화 연결 음원은 통화 발신음 또는 컬러링일 수 있다. 송신 단말기가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인 경우에 수신 단말기는 화면에 설정된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표시한다.
수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된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입력하면, 수신 단말기는 송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문자 메시지 또는 호를 송신 단말기 정보와 함께 화면에 한다. 사용자는 문자메시지를 확인하거나 송신 단말기의 사용자와 통화 연결을 할 수 있다.
수신 단말기는 문자메시지 내역 또는 통화 내역을 사생활 보호 내용으로 저장하고, 사용자는 암호키를 입력하여 저장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의 암호키는 사생활 보호 암호키와 동일한 암호키일 수도 있고, 별도로 설정된 암호키일 수도 있다.
도 5는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를 기준으로 한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절차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사용자 A, B가 사생활 보호 서비스에 가입을 하고, 사생활 보호 가입자 정보를 생성한다. 사생활 보호 가입자 정보는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 사생활 보호 암호키,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포함한다.
A가 B와의 통화를 요청하면,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는 B에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전송하여 B의 수신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이와 동시에 A에 대해서는 통화 대기 요청을 하여 A와 B의 통화가 연결되기까지 대기시간이 필요함을 알리고, A에 통화 연결 음원을 전송한다. 통화 연결 음원은 통화 발신음 또는 컬러링일 수 있다.
B가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입력하면 사생활 서비스 제공 서버는 B의 단말기에 송신 단말기 정보를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B가 A와의 통화를 원하면, A와 B의 통화가 연결된다. 통화가 종료되면, 통화내역이 각 단말기에 저장된다.
사생활 보호 서비스는 투넘버 서비스, 평생번호 서비스, 착신 전환 서비스와 연계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B의 전화번호가 B1, B2로 설정된 투넘버 서비스의 경우에는 A가 B1 및 B2 어디로 통화를 요청하든지 위와 같은 사생활 보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B의 기본 전화번호가 B1인 경우에 B2로 A가 통화를 요청해도, B1으로 착신 전환이 이루어져 사생활 보호 서비스가 제공된다.
B2 번호로 걸려오는 전화를 B가 지정한 착신 전화번호인 B1으로 콜을 전환해 주는 평생번호 서비스의 경우에도 B는 위와 같은 사생활 보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착신 전환 서비스도 위와 동일하게 사생활 보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6은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를 기준으로 한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절차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사용자 A가 사생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사생활 보호 서비스에 가입을 하고, 사생활 보호 가입자 정보를 생성한다. 사생활 보호 가입자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다.
사생활 보호 서비스에 가입한 A가 미가입자인 C와의 통화를 요청하면,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는 C에 사생활 보호 통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사생활 보호 통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은 C가 사생활 보호 서비스에 가입을 하고, 사생활 보호 가입자 정보를 생성한다.
A와 C와의 통화가 연결되고, 통화가 종료되면, 통화 내역이 각 단말기에 저장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단말기 화면상에 표시되는 일반 통화/메시지 내역과 사생활 보호 통화/메시지 내역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사생활 보호 기능을 이용하여 사생활 보호 서비스를 이용한 경우에, 통화 내역 또는 메시지 내역은 별도의 메뉴에 저장된다. 따라서, 암호키의 입력이 없이는 접근할 수 없고, 타인이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 내역 또는 메시지 내역을 확인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일반 저장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일반 통화/메시지 내역에는 사생활 보호 대상인 단말기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 도 7을 참조하면, 박길동의 전화번호가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로 설정된 경우에 박길동과의 통화 또는 메시지 내역이 일반 통화/메시지 내역에는 나타나 있지 않다. 다만, 부재중 또는 사생활 보호 암호키의 오류인 경우에는 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이때에도 박길동으로 표시되지 않고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인 010-1212-1235 및 010-1234-2314로 표시되어 타인이 박길동과 수신 단말기 사용자와의 접근 시도를 알지 못하게 한다.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 사용자인 박길동과의 통화 또는 메시지 내역은 별도의 사생활 보호 통화/메시지 내역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접근을 위해서는 암호키의 입력이 필요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로부터 호를 수신한 경우의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a)는 일반 단말기로부터 호를 수신한 경우의 화면, 도 8(b)는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로부터 호를 수신하여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정확하게 입력한 경우의 화면, 도 8(c)는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로부터 호를 수신하여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정확하게 입력하지 않은 경우의 화면, 도 8(d)는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로부터 호를 수신하였으나 사용자가 부재중이어서 응답하지 않은 경우의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010-1000-1000과 김길동이라는 정보가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 송신 단말기의 정보가 정확하게 화면에 표시되고, 통화 내역에 저장되어 사용자가 언제라도 확인이 가능하다.
도 8(b)를 참조하면, 김길동의 단말기가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화면에서는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인 010-1212-1234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기설정된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정확하게 입력한 경우에 김길동의 전화번호인 010-1000-1000 및 김길동이라는 정보가 화면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통화를 원 하면 통화가 연결이 된다. 통화가 종료된 후에, 통화 내역은 사생활 보호 통화 내역에 저장되고, 일반 통화 내역에는 저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타인은 별도의 암호키의 입력으로 사생활 보호 통화 내역에 접근 없이는 사용자와 김길동과의 통화 내역을 확인할 수 없다.
도 8(c)를 참조하면, 도 8(b)에서처럼 김길동의 단말기가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화면에서는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인 010-1212-1234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누르지 않거나 잘못된 암호키를 누른 경우에는 위장 메시지가 화면에 표시된다. 일반 통화 내역에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가 저장되고, 사생활 보호 통화 내역에서는 김길동이라는 송신 단말기 정보가 저장된다. 사용자가 나중에 암호키를 입력하여 사생활 보호 통화 내역에 접근하면, 송신 단말기 정보와 암호키 오류라는 표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d)를 참조하면, 김길동의 단말기가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화면에서는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인 010-1212-1234가 표시된다.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누르지 않아 위장 메시지가 표시된다. 일반 통화 내역에는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가 저장되고, 사생활 보호 통화 내역에서는 김길동이 부재중에 전화했다는 정보가 저장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의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9(a)는 일반 단말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의 화면, 도 9(b)는 사생 활 보호 대상 단말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정확하게 입력한 경우의 화면, 도 9(c)는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정확하게 입력하지 않은 경우의 화면, 도 9(d)는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였으나 사용자가 부재중이어서 확인하지 않은 경우의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010-1000-1000의 송신 단말기가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 송신 단말기의 정보가 정확하게 화면에 표시되고, 메시지 내역에 저장되어 사용자가 언제라도 확인이 가능하다.
도 9(b)를 참조하면, 김길동의 단말기가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화면에서는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인 010-1212-1234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기설정된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정확하게 입력한 경우에 김길동의 전화번호인 010-1000-1000, 김길동이라는 정보 및 수신한 메시지가 화면에 표시된다. 메시지를 확인한 후에, 메시지 내용 및 송신 단말기의 정보는 사생활 보호 메시지 내역에 저장되고 일반 메시지 내역에는 저장되지 않는다. 사생활 보호 메시지 내역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암호키의 입력이 있어야만 하므로, 수신 단말기 사용자의 사생활이 보호된다.
도 9(c)를 참조하면, 도 9(b)에서처럼 김길동의 단말기가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화면에서는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인 010-1212-1234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누르지 않거나 잘못된 암호키를 누른 경우에는 위장 메시지가 화면에 표시된다.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가 일반 메시지 내역에 저장되고, 수신한 메시지 및 송신 단말기 정보를 사생활 보호 메시지 내역에 저장되어 별도의 암호키를 입력해야 확인이 가능하다. 사생활 보호 메시지 내역에는 사생활 보호 암호키 오류라는 정보도 함께 저장되어 사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도 9(d)를 참조하면, 김길동의 단말기가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화면에서는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인 010-1212-1234가 표시된다.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누르지 않아 위장 메시지가 표시된다. 일반 메시지 내역에는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가 저장되고, 사생활 보호 메시지 내역에서는 김길동이 부재중에 메시지를 전송했다는 정보가 저장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설정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사생활 보호 기능이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절차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를 기준으로 한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절차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를 기준으로 한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절차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단말기 화면상에 표시되는 일반 통화 내역과 사생활 보호 통화 내역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로부터 호를 수신한 경우의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의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Claims (17)

  1.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송신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또는 호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 단말기가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c) 사용자로부터 기설정된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입력받는 단계; 및
    (d) 상기 수신한 메시지 또는 호를 상기 송신 단말기에 대한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송신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또는 호를 수신하는 단계;
    (a2) 사생활 보호 기능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a3) 상기 송신 단말기가 사생활 보호 대상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 앞서,
    (e)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는 상기 위장 메시지 및 상기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위장 메시지는 스팸형 문자메시지 또는 일정관리 알림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2) 단계는,
    상기 사생활 보호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사생활 보호 서비스 가입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상기 복수 개의 위장 메시지 및 상기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위장 메시지 및 어느 하나의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제1 위장 메시지 및 제1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c1) 사용자로부터 기설정된 제1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입력받는 단계;
    (c2) 상기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제2 위장 메시지 및 제2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c3) 상기 사용자로부터 기설정된 제2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입력받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
  8.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설정 방법에 있어서,
    (a) 사생활 보호 메뉴를 실행하는 단계;
    (b) 사생활 보호받고자 하는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위장 메시지 또는 위장 전화 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설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a) 단계와 (b) 단계 사이에,
    (d)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설정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다음에,
    (e) 상기 설정된 위장 전화 번호를 전화번호부에 저장하고, 상기 입력된 전화 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부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설정 방법.
  11. 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위장 메시지는 스팸형 문자메시지 또는 일정관리 알림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설정 방법.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위장 메시지 또는 위장 전화 번호를 복수 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설정 방법.
  13.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가 송신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또는 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송신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또는 호를 수신받게 되는 수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수신 단말기가 가입된 경우, 상기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송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또는 호를 상기 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기설정된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는 스팸형 문자 메시지 또는 일정관리 알림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복수 개의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제1 위장 메시지 및 제1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c2)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제1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수신하는 단계; 및
    (c3) 상기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제2 위장 메시지 및 제2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제2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17.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서버가 송신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또는 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송신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또는 호를 수신받게 되는 수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수신 단말기가 가입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 단말기에 사생활 보호 서비스 가입 여부를 질문하는 단계;
    (d) 상기 수신 단말기가 상기 사생활 보호 서비스에 가입하는 경우, 상기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위장 메시지 및 위장 송신 단말기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사생활 보호 암호키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송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또는 호를 상기 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90113839A 2009-11-24 2009-11-24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 사생활 보호 설정 방법 및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083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839A KR101083462B1 (ko) 2009-11-24 2009-11-24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 사생활 보호 설정 방법 및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839A KR101083462B1 (ko) 2009-11-24 2009-11-24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 사생활 보호 설정 방법 및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431A true KR20110057431A (ko) 2011-06-01
KR101083462B1 KR101083462B1 (ko) 2011-11-16

Family

ID=4439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839A KR101083462B1 (ko) 2009-11-24 2009-11-24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 사생활 보호 설정 방법 및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34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368B1 (ko) 2015-11-03 2017-03-21 보이스로코 주식회사 생체 인식을 통한 보안 통신 시스템 및 방법
CN108932086A (zh) * 2017-05-23 2018-12-0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应用界面的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085B1 (ko) * 2006-11-30 2007-12-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비밀 메시지의 처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3462B1 (ko)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575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인증 및 인증 표시 방법
CN100556052C (zh) 电话号码改变通知方法以及电话号码改变通知系统
WO2001022708A1 (en) Telecommunications network-based message system providing multiple recipients limited access to one subscriber mailbox
EP19568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telephone connection
KR20080060870A (ko) 음성인증을 통한 이동단말기의 기능 제한 방법 및 시스템
JP4203738B2 (ja) メールおよびスケジュール機能付き携帯電話
KR10108346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 사생활 보호 설정 방법 및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JP5262939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データ転送サーバ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9260484A (ja) 通信装置
KR20090005671A (ko) 이동단말의 통화 종료후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2811430A (zh) 呼叫转移的实现方法及系统
KR100829156B1 (ko) 무선단말기로 수신되는 호통화를 차단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140319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카드 전송방법
JP2004274256A (ja) 管理サーバ及び通信システム
KR101242515B1 (ko) 멀티 로그인을 이용하여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385859B1 (ko) 할증과금을 이용한 스팸 연결 제한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JP2007219681A (ja) 通信端末装置
KR100778951B1 (ko) 사생활 보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수신된 컨텐츠확인방법
KR101243275B1 (ko)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KR20090076122A (ko) 스펨 전화 차단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4300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택적으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방법
KR20050047311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를 통한 사용자 정보관리 방법
KR100501163B1 (ko) 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방법
KR100798558B1 (ko) 능동적 수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JP2011135144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