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6842A -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verif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program for carrying out verification method - Google Patents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verif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program for carrying out verifica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6842A
KR20110056842A KR1020090113323A KR20090113323A KR20110056842A KR 20110056842 A KR20110056842 A KR 20110056842A KR 1020090113323 A KR1020090113323 A KR 1020090113323A KR 20090113323 A KR20090113323 A KR 20090113323A KR 20110056842 A KR20110056842 A KR 20110056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mounting apparatus
sensing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3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71153B1 (en
Inventor
이감연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3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153B1/en
Publication of KR20110056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8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1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cord carriers apparatus, e.g. video recorders, tape players or CD p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005Solid-state data log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of verifying the operating information of a vehicle and a recording medium contain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are intended to provide a driver with benefit or penalty by continuously managing information on accident possibility or the use state of the vehicle. CONSTITUTION: A method of verifying the operating information of a vehicle is as follows. It is sensed whether a removable image storing device(300) has been attached to a mount(200) for the vehicle. Information on when the image storing device is attached/detached is stored. The sensed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f a vehicle(100) corresponding to the time information are extracted and compared. It is determined whether operating information has been normally created. Operating information created from one of the mount and the image storing device is verified.

Description

운행 정보 검증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verif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program for carrying out verification method}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verif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program for carrying out verification method}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 박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거치 장치 혹은 이에 착탈 가능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에서의 운행 정보 검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lack box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verifying driving information in a vehicle mounting apparatus installed in a vehicle or a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detachable thereto.

자동차가 생활 필수품화되어 감에 따라 주정차 문제, 교통 문제 및 교통사고 등의 부작용도 증대되고 있다. As automobiles become a necessity for life, side effects such as parking problems, traffic problems, and traffic accidents are increasing.

특히, 교통사고는 당사자간에 합의에 따라 원만하게 해결되는 경우도 있지만, 과실 정도의 판단이 모호한 경우 당사자간의 합의가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며, 뺑소니 사고의 경우에는 도의적인 측면에서 매우 심각한 후유증을 초래하기도 한다.In particular, traffic accidents may be resolved smoothly by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but if the judgment of negligence is ambiguous,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may not be easily achieved. .

따라서,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한 교통사고 처리의 필요성이 절실해지 고 있으며, 이러한 필요성을 감안하여 항공기의 블랙박스와 같은 장치를 차량에도 실제 탑재하여 사고 처리시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이 개발되고 있다.Therefore, the necessity of handling traffic accidents based on objective data is urgently needed, and in consideration of such necessity, various methods that can be used as objective data when dealing with accidents by actually installing a device such as a black box of an aircraft in a vehicle Is being developed.

현재 개발되고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즉,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기록 저장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이러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는 외부 전자기기에 연결하여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어 액정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 않는 타입과 촬영되는 또는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해당 장치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타입들이 있다. A vehicle black box system (ie, a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currently being developed mainly uses a camera to record and store image data of a vehicle around the vehicle. In addition, such an image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o check stored image data so that the liquid crystal display is provided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so that the captured or stored image data may be checked through the corresponding device. There are types.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저장 장치(110)는 프로그램 저장부(120), 영상 입력부(125), 인코딩/디코딩부(130), 영상 저장부(135), 표시부(140), 정보 제공부(145), 정보 저장부(150) 및 제어부(15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image storage device 110 may include a program storage unit 120, an image input unit 125, an encoding / decoding unit 130, an image storage unit 135, a display unit 140,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 145, an information storage unit 150, and a controller 155.

프로그램 저장부(120)에는 영상 저장 장치(110)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5), 인코딩/디코딩부(130) 등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가 프로그램 저장부(120)에 저장 유지될 수 있다. The program storage unit 120 stores a program for driving the image storage device 110. For example, software for one or more operations of the controller 155, the encoding / decoding unit 130, and the like may be stored and maintained in the program storage unit 120.

영상 입력부(125)는 입력되는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영상 입력부(125)는 예를 들어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Image Signal Processor)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입력 부(125)는 예를 들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 중 하나 이상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일 수 있다.The image input unit 125 generates and outputs an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external image. The image input unit 125 may include, for example, one or more of a lens, an image sensor, an image signal processor (ISP), and the like. The image input unit 125 may be, for example, a surveillance camera for monitoring one or more of front, rear, left and right.

인코딩/디코딩부(130)는 영상 입력부(125)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이용한 인코딩을 수행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저장부(135)에 저장하거나, 영상 저장부(135)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The encoding / decoding unit 130 stores the image data generated by encoding the image signal input from the image input unit 125 in the image storage unit 135 or stores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135. Decoded to display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영상 저장부(135)는 인코딩/디코딩부(130)에 의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수단이다.The image storage unit 135 is a means for storing image data generated by the encoding / decoding unit 130.

표시부(140)는 영상 저장 장치(110)의 동작 상태, 인코딩/디코딩부(130)에 의해 디코딩된 영상 데이터 등 중 하나 이상을 시각적 정보로서 출력한다.The display unit 140 outputs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state of the image storage device 110 and image data decoded by the encoding / decoding unit 130 as visual information.

정보 제공부(145)는 GPS 수신 정보(예를 들어, 위치 좌표 등) 또는/및 차량 엔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이다.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5 is a means for providing GPS reception information (eg, position coordinates, etc.) and / or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engine.

정보 저장부(150)는 정보 제공부(145)로부터 제공된 정보가 저장되는 수단이다.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50 is a means for stor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5.

제어부(155)는 영상 저장 장치(110)의 각 구성 요소들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5)는 정보 제공부(145)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정보 저장부(150)에 저장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55 controls each component of the image storage device 110 to perform the above func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5 may process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5 to be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50.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는 사고 발생 시점 전후의 영상을 저장함으로써 사고 처리시 책임 소재 판단의 객관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 conventional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may provide objective data of determining responsibility for an accident by storing images before and after an accident occurs.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는 그 용도나 목적이 사고 관련 영상 저장으로 제한될 뿐, 사고 발생 가능성을 사전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지는 못하는 한계가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has a limitation that its use or purpose is limited to storing images related to an accident, and does not provide data for determining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an accident.

또한,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사용량(예를 들어, 주행 거리, 운행 시간 등)이 증가하거나 운전자의 운전 습관이 방어적이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과속, 급 가속, 과도한 핸들 조작 등) 사고 확률이 증가하게 되지만, 이러한 요인이 자동차 보험의 예상 손해율이나 보험료 결정에 반영되지 않아 운전자의 적절한 운전 습관을 유도하지 못하는 한계도 있었다. Also, in general, the probability of an accident is increased when the amount of usage of the vehicle (eg, mileage, driving time, etc.) increases or the driver's driving habits are not defensive (eg, speeding, rapid acceleration, excessive steering, etc.). However, these factors were not reflected in the anticipated loss rate or premium decision of the car insurance, and there was a limit to inducing the driver's proper driving habits.

또한, 종래의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경우 차량에서의 탈부착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이를 관제 서버와 연동하여 운전자의 주행 거리 등의 운행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등이 없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there is no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attached or detached from the vehicle, and a method of monitoring the driving information such as the driving distance of the drive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server.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background art described above is technical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inventors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during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necessarily a publicly known technique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자동자의 사용량이나 차량 운전에 따른 사고 발생 가능성에 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운전자에게 적절한 혜택이나 불이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거치 장치 혹은 착탈 가능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에서의 운행 정 보 검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verifies the driving information in a vehicle mounting device or a removable vehicle video storage device that continuously manages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use of an automobile or the possibility of an accident caused by driving a vehicle so as to provide an appropriate benefit or disadvantage to a driver. It is to provide a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의 탈부착 여부, 차량용 거치 장치에의 탈부착 여부를 판단하여 미부착 운행에 대해서는 패널티 부과가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용 거치 장치 혹은 착탈 가능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에서의 운행 정보 검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verifying driving information in a vehicle mounting device or a removabl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which determines whether a vehicle is attached or detached to a vehicle mounting device or not, and thus a penalty can be imposed on unattached driving. It is for.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이용에 따라 정상적으로 운행 정보의 생성 및 저장이 이루어지는지 여부의 검증이 용이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거치 장치 혹은 착탈 가능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에서의 운행 정보 검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verify whether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stored normally according to the use of the vehicle to verify the operation information in the vehicle mounting device or removabl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data It is to provide a method.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용 거치 장치 및 상기 차량용 거치 장치에 착탈 가능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중 하나에서 생성된 운행 정보를 검증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verifying driving information generated in one of a vehicle mounting apparatus and a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detachable to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same.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검증 방법은, 상기 차량용 거치 장치에 착탈 가능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탈부착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가 탈착되는 시점 및 부착되는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차량 정보 및 센싱 정보를 추출하여 비교하고 상기 운행 정보의 정상적인 생성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or more exemplary embodiments, a method of verifying driving information may include detecting a detachment of a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detachable from a vehicle mounting apparatus; Storing time information on a time point at which the on-vehicle image storage device is attached and detached; And extracting and comparing vehicle information and sen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ime informati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riving information is normally generated.

상기 센싱 정보는 센싱부에서 감지한 위치 정보 및 환경 센서 유닛에서 감지한 환경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informa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loc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detected by the environmental sensor unit.

상기 탈부착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용 거치 장치 및 상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가 공유하는 신호의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의 레벨이 지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부착 상태로, 상기 기준값 미만이면 탈착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cting of the detachment may include: measuring a level of a signal shared by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and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And determining that the signal is attached when the level of the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reference value and detached when the signal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또는 상기 탈부착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용 거치 장치에서 소정의 요청을 상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한 상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로부터의 정상 응답 수신 여부에 따라 탈부착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detecting the detachment may include: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request from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to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And determining a detachment according to whether a normal response is received from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for the request.

또는 상기 차량용 거치 장치와 상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는 연결 하우징을 통해 연결 가능하며, 상기 연결 하우징은, 몸체의 전면 중심에 돌출 형성되어 있고 전면 중심에 제1 접촉 단자가 구비되어 있는 수형 구조물과, 상기 수형 구조물의 양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그 사이에 복수의 제1 가이드 홈을 형성하는 복수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수형 하우징; 및 전면에 제2 접촉 단자가 구비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제2 접촉 단자를 중심으로 양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그 사이에 제2 가이드 홈을 형성하며 내측으로 절곡된 복수의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수형 하우징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여 기립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암형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탈부착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접촉 단자 및 상기 제2 접촉 단자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탈부착을 감지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and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may be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housing, and the connection housing may include a male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front center of the body and having a first contact terminal at the front center thereof; A male housing including a plurality of guide plate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both sides of the male structure to form a plurality of first guide grooves therebetween; And a body having a second contact terminal at a front surface thereof,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bent inwardly with a second guide groove formed therebetween an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ontact terminal, and the guide. It may comprise a female housing coupled to one end of the member and including a stopper portion standing up perpendicular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male housing. The detecting of the detachment may include detecting the detachment according to whether the first contact terminal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되어 운행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용 거치 장치에서 운행 정보를 검증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verifying driving information in a vehicle mounting apparatus mounted on a vehicle and generating driving information,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same.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검증 방법은, 상기 차량용 거치 장치의 상기 차량으로부터의 탈부착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용 거치 장치가 탈착되는 시점 및 부착되는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차량 정보 및 센싱 정보를 추출하여 비교하고, 상기 운행 정보의 정상적인 생성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or more exemplary embodiments, a method of verifying driving information may include: detecting a detachment from the vehicle of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Storing time information on a time point at which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is attached and detached; And extracting and comparing vehicle information and sen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ime informati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riving information is normally generated.

상기 센싱 정보는 센싱부에서 감지한 위치 정보 및 환경 센서 유닛에서 감지한 환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information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and environmen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environmental sensor unit.

상기 탈부착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용 거치 장치에 구비된 환경 센서 유닛에서 일정 시간마다 감지한 센싱값과, 상기 차량 내부에 대한 센싱 기대값 혹은 과거 측정된 센싱 평균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센싱값이 상기 센싱 기대값 혹은 상기 센싱 평균값에 대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차량용 거치 장치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탈착된 것으로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cting of the detachment may include: comparing a sensing value sensed at a predetermined time by an environmental sensor unit provided in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with a sensing expectation value for the inside of the vehicle or a sensing average value measured in the past; And detecting that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is detached from the vehicle when the sensing value is out of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for the sensing expectation value or the sensing average value.

또는 상기 탈부착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용 거치 장치가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부분에 구비된 접점식 스위치의 접점 단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탈부 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etecting of the detachment may include detecting the detachment using the contact interruption information of the contact switch provided in the portion where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is installed in the vehicle.

또는 상기 탈부착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용 거치 장치가 상기 차량 내에 설치된 통신 모듈과 일정 시간마다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이 성공하면 상기 차량용 거치 장치가 상기 차량 내에 부착된 것으로 감지하고, 상기 통신이 실패하면 상기 차량용 거치 장치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탈착된 것으로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detecting of the detachment may include: communicating, by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vehicle at a predetermined time; And detecting that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is attached to the vehicle when the communication is successful, and detecting that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is detached from the vehicle when the communication fails.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이용에 따라 정상적으로 운행 정보의 생성 및 저장이 이루어지는지 여부의 검증이 용이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verify whether the generation and storage of the driving information is norm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vehicle, thereby ensuring the reliability of the data.

또한, 자동자의 사용량이나 차량 운전에 따른 사고 발생 가능성에 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운전자에게 적절한 혜택이나 불이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ontinuously provid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use of the automaker or the possibility of an accident caused by driving the vehicle to provide the driver with the appropriate benefits or disadvantages.

또한, 차량에의 탈부착 여부, 차량용 거치 장치에의 탈부착 여부를 판단하여 미부착 운행에 대해서는 패널티 부과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attached to or removed from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a penalty to be applied to the unattached driving.

또한, 차량의 이용에 따른 운행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제하고, 사용자 정보 수집에 대한 거부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ffectively control the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 of the vehicle, and minimize the rejection of collecting user information.

또한, 차량의 이용에 대한 정보인 운행 정보를 추가적인 비용(예를 들어, 통신망 이용료 등) 발생 없이 관제센터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it is also effective to transmit the driving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on the use of the vehicle to the control center without incurring additional costs (for example, communication network usage fee, etc.).

또한, 녹화된 영상이 암호화되어 저장되도록 하고, 암호화된 영상의 해독을 위한 해독 키 정보의 전송 이전에 운행 정보의 전송이 선행되도록 함으로써 운행 정보의 전송이 강제되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recorded image is encrypted and stored, and the transmission of the driving information is effected by forcing the transmission of the driving information prior to the transmission of the decryption key information for decrypting the encrypted image.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lso, the term "part" or the like,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2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은 차량(100)에 고정 설치되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와,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 탈부착이 가능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와 차량용 거치 장치(20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하우징(400)을 포함한다.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cludes a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fixed to a vehicle 100, a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that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a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and a vehicle mounting. A connection housing 400 for connecting the device 200.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차량에 고정 부착되며, 거치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로 연결 하우징(400)의 전원 공급 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탈부착 여부에 따른 탈부착 정보를 생성하며, 이에 따라 미리 지정된 방식으로 차량에 관한 차량 정보를 수 집하거나 센싱 정보를 감지하거나 이 정보를 이용하여 운행 정보를 생성하며, 차량 정보, 센싱 정보, 탈부착 정보, 운행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연결된 경우에 이 정보를 전송한다.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is fixedly attached to a vehicle and supplies power to the mounted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through a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connection housing 400. In addition,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generates detach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attached or detached, and thus collects vehicle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detects sensing information, or detects the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manner. It generates the driving information by using, and stores one or more of the vehicle information, sensing information, detachable information, driving information, and transmits this information when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connected.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 거치되어 차량의 내부 또는/및 외부 영상을 녹화한다. 또한, 차량 정보, 센싱 정보, 탈부착 정보 혹은 이를 이용하여 생성된 운행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을 차량용 거치 장치(200)로부터 전송받거나 내부에 구비된 구성 요소(예를 들어, 차량 정보 수집부, 센싱부, 운행 정보 생성부 등 중 하나 이상)를 이용하여 수집, 감지 혹은 생성하여 저장한다.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mounted on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to record an internal or external image of the vehicle. In addition, at least one of vehicle information, sensing information, detachable information, or driving information generated using the same may be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or provided with a component (for example, a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nd a sensing unit). Collection, detection or generation using one or more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로부터 탈착될 수 있으며, 통신 장치에 연결되거나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저장된 정보(예를 들어, 차량 정보, 센싱 정보, 운행 정보 등 중 하나 이상) 및 녹화된 영상을 통신 장치로 전송한다.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may be detachable from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and may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device or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to store stored information (eg, vehicle information, sensing information, driving information, etc.). And the recorded video to the communication device.

통신 장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관제 센터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며, 해당 정보를 수신 완료한 관제 센터로부터 해독 키(decryption key) 정보를 전송받고,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로부터 전송된 암호화된 녹화 영상을 해독하여 통신 장치에서 재생할 수 있다. 또는 해독 키 정보를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로 전송하여,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에서 암호화된 녹화 영상을 해독하여 재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s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to the control center through a network, receives decryption key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center that has received the information, and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The encrypted recorded video transmitted from the C-P can be decrypted and played back in the communication device. Alternatively, the decryption key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to decrypt and reproduce the recorded video image encrypted by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이하에서는 각 구성요소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관련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related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거치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mounting apparatus install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차량 정보 수집부(210), 센싱부(220), 탈부착 감지부(230), 인터페이스부(240), 데이터 저장부(250),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운행 정보 생성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includes a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a sensing unit 220, a detachable detecting unit 230, an interface unit 240, a data storage unit 250, and a controller 260. ). If necessary, the driving information generator 270 may be further included.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예를 들어 출력부, 전원 공급부, 보조 전원부, 프로그램 저장부, 무선 통신부, 타이머부 등 중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예를 들어, 제어부(260), 운행 정보 생성부(270) 등)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예시된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하나의 구성 요소로 통합되거나, 하나의 구성 요소가 둘 이상의 구성 요소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of, for example, an output unit, a power supply unit, an auxiliary power unit, a program storage unit,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timer unit, and the like. The controller 260 and the driving information generator 270 may be implemented as a software program. In addition, two or mor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3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by being separat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차량 정보 수집부(210)는 차량에서 출력 가능한 다양한 차량 정보들을 수집한다. 수집 가능한 차량 정보는 차속 신호, RPM 신호, 브레이크 신호, 가속페달 신호, 연료량 신호, 연료분사량 신호, 지시등 신호, 안전벨트 신호 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collects various vehicle information that can be output from the vehicle. The collectable vehicle information may be one or more of a vehicle speed signal, an RPM signal, a brake signal, an accelerator pedal signal, a fuel level signal, a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an indicator light signal, a seat belt signal, and the like.

이러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사고와 같은 이벤트 발생시 후술할 관리 프로그램에서 이벤트에 대한 정밀 분석이 가능하며, 차량 사고 등에서 분쟁 해결을 위한 참고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차량 정보는 수집 시점의 시각과 연동함으로써 히스토리 관리가 가능하며, 운전자의 운전 습관 분석, 차계부 생성 등에도 이용가능하다. Using such vehicle information, when an event such as a vehicle accident occurs, a detailed analysis of the event may be performed in a management program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used as a reference for dispute resolution in a vehicle accident. In addition, the vehicle information can be managed in history by interlocking with the time of collection, and can be used for analyzing the driver's driving habits, generating a book book, and the like.

예를 들어, 차량 정보 수집부(210)는 차량에 구비된 자기 진단 장치(예를 들어, OBD(On Board Diagnostics), KOBD(Korea On Board Diagnostics) 등)로부터 차량 정보(예를 들어, 차량 엔진 정보, 엔진 회전수, 냉각수 온도 등 중 하나 이상)를 수집한다. 차량 정보 수집부(210)는 자기 진단 장치 커넥터에 접속되어 해당 정보를 제공받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자기 진단 장치로부터 해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may determine vehicle information (eg, a vehicle engine) from a self-diagnostic device (eg, OBD (On Board Diagnostics), KOBD (Korea On Board Diagnostics), etc.) provided in the vehicle. Information, one or more of engine speed, coolant temperature, etc.).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may be connected to the self-diagnostic apparatus connector to receiv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or receiv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from the self-diagnostic apparatus in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또한, 자기 진단 장치가 브레이크 신호, 안전벨트 신호, 방향등 표시 신호, 차간 거리 등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부가적인 차량 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들과 결합되어 있는 경우, 차량 정보 수집부(210)는 부가적인 차량 정보를 자기 진단 장치로부터 더 수집할 수도 있다. 물론, 부가적인 차량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들이 차량 정보 수집부(210)와 연결되는 경우 차량 정보 수집부(210)는 해당 센서들로부터 부가적인 차량 정보를 직접 수집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self-diagnosis apparatus is combined with sensors for sensing additional vehicle information about one or more of a brake signal, a seat belt signal, a turn signal display signal,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like,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may include: Additional vehicle information may be further collected from the magnetic diagnostic device. Of course, when sensors providing additional vehicle information are connected to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may directly collect additional vehicle information from the corresponding sensors.

이상에서는 차량 정보 수집부(210)가 차량용 거치 장치(200) 내에 구비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 차량 정보 취득부가 차량에 구비되며,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해당 차량 정보를 차량 정보 취득부로부터 유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유선 통신의 경우 예를 들어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통신을 통해, 무선 통신의 경우 예를 들어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WiFi, ISM 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RF 방식을 통해 차량 정보의 전송이 가능하다. 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is provided in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Howe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vehicl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is provided in the vehicle, and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displays the vehicle information. It may be received vi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In this case, for example, wired communication, for example, through 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using one or more of Zigbee (Bluetooth), WiFi, ISM band, etc. Through the transmission of vehicle information is possible.

센싱부(220)는 차량의 운행에 관련된 정보를 감지한다. 차량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위치 정보 유닛,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관성 센서 유닛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220 detects information related to driving of the vehicle.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location information unit for outpu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 inertial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위치 정보 유닛은 GPS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위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현재 수신 지점의 위도, 경도, 고도, 시간 등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한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후술할 제어부(260) 또는/및 운행 정보 생성부(270)는 위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속도, 방위각 등의 계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차량의 주행 거리를 계산하거나, 이동 경로를 기록하거나, 차량 사고와 같은 이벤트 발생시 사고 지점의 위치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The location information unit may include a GPS receiver, and receives satellite data and outputs one or more of latitude, longitude, altitude, time, etc. of the current reception point. Using this information, the controller 260 or / and the driving information generator 2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calculate the moving speed, the azimuth angle, and the like by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position change, and calculate the driving distance of the vehicle. The location of the accident spot may be stored when an event such as a vehicle accident occurs.

관성 센서 유닛은 관성 센서(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와 GPS 음영 지역에서 차량 이동거리의 정확한 계산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260) 또는/및 운행 정보 생성부(270)는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이 사고 상황인지를 판별하거나, 사고 분석시 사고 전후의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로도 활용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예를 들어 관성 센서 유닛의 출력값이 사고 여부의 판단을 위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일정시간 동안 출력값의 추이를 감시하여 변화량이 일정량을 초과하는 경우 사고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inertial sensor unit may include an inertial sensor (eg, an acceleration sensor, an angular velocity sensor, etc.) and may be used for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vehicle and accurate calculation of the vehicle travel distance in the GPS shadow area. The controller 260 and / or the driving information generator 270 may us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in an accident situation or may be used as data for determining a situation before and after an accident when analyzing the accident. For example, the controller 260 may determine that an accident occurs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inertial sensor unit exceeds a preset threshold value or monitors the trend of the output value for a predetermined time to determine whether the accident occurs. .

탈부착 감지부(230)는 후술할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 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탈부착 정보를 생성한다.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탈부착 여부 감지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를 차량용 거 치 장치(200)에 거치하기 위한 연결 하우징(40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detachment detecting unit 230 detects whether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on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and generates detachment information. Detachment of the attachment or detachment of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may be performed through a connection housing 400 for mounting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on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연결 하우징(400)을 통해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와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공유하고 있는 특정 신호의 레벨(level) 혹은 차량용 거치 장치(200)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연결 하우징(400)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때 차량용 거치 장치(200)의 요청(request)에 대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정상 응답(response)의 수신 여부를 이용하여 탈부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특정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를 구비하고 있어 연결 하우징을 통한 해당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탈부착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level of a specific signal shared by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and the vehicle mounting device 200 or the vehicle mounting device 200 and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are shared by the connection housing 400. When performing communication through the 400, whether the vehicle is attached or detached may be detected by using a normal response of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to the request of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Alternatively, since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ncludes a signal generator that generates a specific signal,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may detect whether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attached or detached according to whether the corresponding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connection housing.

또한, 탈부착 감지부(230)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차량에 정상적으로 설치되어 차량 운행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tachment detecting unit 230 may detect whether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is normally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whether the vehicle is driven.

이를 위해 제1 실시예에서 탈부착 감지부(230)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환경 정보를 출력하는 환경 센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환경 센서 유닛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센서, 밝기를 측정하기 위한 조도센서 등 중 하나 이상과 같이 설치 환경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환경 정보는 온도, 습도, 밝기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환경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일정 시간마다 획득되는 센싱값과 차량 내부에 대한 센싱 기대값 혹은 센싱 평균값과의 비교를 통해 현재 차량용 거치 장치(200)의 정상 설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To this en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detachable detecting unit 230 may include an environmental sensor unit that outputs environmental information to detect whether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The environmental sensor unit may include a sensor for sensing an installation environment, such as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emperature, a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humidity, an illuminance sensor for measuring brightness, and the like. Here,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of temperature, humidity, brightness, and the like. The environmental sensor unit may detect whether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is normally installed by comparing the sensing value obtained at a predetermined time with a sensing expectation value or a sensing average value for the inside of the vehicle.

또는 제2 실시예에서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차량에 설치됨에 있어서 설 치 부분에 구비된 접점식 스위치를 이용하여 접점 단속 정보를 감지함으로써 차량용 거치 장치(200)의 정상 설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Alternatively, in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when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is installed in a vehicle,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may be detected by detecting contact interruption information using a contact switch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portion. have.

탈부착 감지부(230)에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수행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운행 정보는 탈부착 감지부(230)에서 생성된 탈부착 정보와 시간적으로 동기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The operation perform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from the detachable detector 230 is as follows. Here, the driving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etachabl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etachable detector 230 in time.

탈부착 감지부(230)에서 감지한 결과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차량에 고정 설치되지 않은 경우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차량 정보 및 센싱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생성된 운행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한다.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by the detachable detecting unit 230, when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is not fixedly installed in the vehicle,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obtains the vehicle information and the sensing information at a preset time, and generates the vehicle using the same. Th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ata storage 250.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차량에 고정 설치된 경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탈부착 여부에 따라 수행되는 동작이 다음과 같다. When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is fixedly installed in a vehicle, the operation performed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attached or detached is as follows.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정상적으로 거치되지 않은 경우,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유저 데이터 영역에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탈착되었음을 나타내는 탈착 정보가 삽입된 운행 정보를 생성하거나 탈착 정보 및 운행 정보를 통합하여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한 후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추후 정상 연결될 때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not normally mounted, the vehicle mounting device 200 generates driving information in which the detachmen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has been detached is inserted into the user data area, or the detachment information and the driving information are inserted. After the information is integrated and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50,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when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normally connected later.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정상적으로 거치된 경우,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 포함된 차량 정보 수집부(210)에서 수집된 차량 정보, 센싱부(220)에서 감지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운행 정보를 생성하고, 연결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에 해당 정보를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normally mounted, the vehicle mounting device 200 is detected by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included in the vehicle mounting device 200 and the sensing unit 220. The driving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using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nected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n real time.

인터페이스부(240)는 연결 하우징을 통해 연결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와의 데이터 송수신 또는/및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신호레벨 변환 회로, ESD 회로, 전원보호 회로 등 중 하나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240 provides an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connected to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and / or supplying power to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To this end, it may be implemented by one or more of a signal level conversion circuit, an ESD circuit, a power protection circuit, and the like.

데이터 저장부(250)에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 일정 시점마다 수집되는 차량 정보, 센싱 정보 또는/및 탈부착 감지 정보, 후술하는 운행 정보 생성부(270)에 의해 생성된 운행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설정하는 사용자 정보도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The data storage unit 250 includes even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vehicle information collected at a predetermined time point, sensing information or / and detachable detection inform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riv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70 described later. And one or more of these may be stored. In addition, user information set by the user may be stored and managed.

데이터 저장부(250)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 내장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예를 들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 또는/및 착탈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data storage unit 250 may include a nonvolatile memory device (for example,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 flash memory, etc.) or / or a removable nonvolatile device embedded in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Memory card or the like.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된 정보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정상적으로 거치된 경우 연결 시점을 포함하여 실시간으로 혹은 일정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로 전송된다.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로의 전송이 완료된 경우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된 정보는 데이터 저장부(250)에서 삭제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50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at a predetermined time including the connection time when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normally mounted. When the transmission to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complete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50 may be deleted from the data storage unit 250.

제어부(260)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260)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의 각 구성 요소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 구성 요소의 기능을 제어한다. 제어부(260)는 후술하는 운행 정보 생성 부(270)와 물리적 또는/및 개념적으로 통합된 제어 유닛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26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That is, the controller 260 controls the functions of each component so that each component of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can perform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The controller 260 may be implemented as a control unit which is physically and / or conceptually integrated with the driving information generator 2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제어부(260)의 동작에 대해서는 이후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26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또한, 제어부(260)는 차량 정보 수집부(210) 또는/및 센싱부(220)로부터 입력되는 획득 정보를 참조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부(250)에 획득 정보의 저장, 저장 공간의 확보를 위한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된 데이터의 삭제,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수행을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260 may determine whether an accident occurs by referring to acquisi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or / and the sensing unit 220, and stores the acquisition information in the data storage unit 250. For example, the controller may delete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250 to secure the storage space, or control to perform one or more of them.

또한, 제어부(260)는 탈부착 감지부(230)로부터 입력되는 탈부착 감지 정보를 참조하여 차량용 거치 장치(200)의 차량에의 정상 설치 여부 판별,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의 탈부착 여부 판별, 시스템 자가 진단 등에 의해 출력부(예를 들어, 표시부, 음성 출력부, 경보 출력부 등)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적, 청각적으로 경보하거나 이를 알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260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is normally installed in the vehicle with reference to the detachment detec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detachment detecting unit 230,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of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 By the output unit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voice output unit, alarm output unit, etc.)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attach or detach, the system self-diagnosis, so as to alert or know the user visually and acoustically.

여기서, 표시부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의 상태를 표시한다. 이벤트 상황, 경고 상황, 동작 상황 등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운전자 혹은 사용자에게 표시함으로써 현재 상황에 대한 인지 및 용이한 대처가 가능하게 한다. 표시부는 LED, 세그먼트(Segment), 액정 디스플레이(LCD),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Here,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state of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By displaying one or more of an event situation, a warning situation, an operation situation, etc. to a driver or a user,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present situation and to easily cope with it. The display unit may be at least one of an LED, a segment,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vacuum fluorescence display (VFD), and the like.

음성 출력부 또는 경보 출력부는 이벤트 상황, 경고 상황, 동작 상황 등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음성 또는 경보로 알려주며, 스피커 또는 버저(buzzer)일 수 있다. The voice output unit or the alarm output unit notifies one or more of an event situation, a warning situation, an operation situation, etc. by a voice or an alarm, and may be a speaker or a buzzer.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실시예에 따라 운행 정보 생성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정보 생성부(270)는 차량 정보 수집부(210) 또는/및 센싱부(220)로부터 제공받은 획득 정보(즉, 차량 정보 수집부(210)에 의한 차량 정보, 센싱부(220)에 의한 센싱 정보 등 중 하나 이상)를 이용하여 차량의 운행 정보를 생성한다. 운행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나 운행 정보의 생성 형식은 다양할 수 있다.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information generator 2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riv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70 may obtain acquisi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and / or the sensing unit 220 (that is, the vehicl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and the sensing unit 220).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generated using at least one of sensing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information used to generate the driving information or the generation form of the driving information may vary.

생성된 운행 정보에 의해 해당 차량의 주행 거리, 주행 속도, 안전벨트 착용 여부 등에 관한 정보가 확인될 수 있으며, 이는 해당 운전자에게 혜택(예를 들어, 보험료 할인, 차량 요일제 운영에 따른 혜택 등)을 부여하거나 불이익을 부여하기 위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Based on the generated driving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the mileage, the driving speed, and whether the seat belt is worn may be checked, and this may provide a benefit to the driver (for example, a discount on insurance and a benefit of operating the day of the week system). It can be used as a data for granting or penalizing disadvantages.

또한, 운행 정보 생성부(270)는 탈부착 감지부(230)에서 출력된 탈부착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차량 내에 정상적으로 설치되어 있는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 정상적으로 거치되어 있는지, 운전자가 차량을 이용하는 중에 정상적으로 운행 정보가 생성되고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information generator 270 uses the detachment detec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etachment detecting unit 230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mounting device 200 is normally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a vehicle mounting device. An operation for verifying whether the vehicle is normally mounted on the vehicle 200 or whether the driving information is normally generated while the driver is using the vehicle may be performed.

또한,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전원 공급부, 보조 전원부, 프로그램 저장부, 무선 통신부, 타이머부 등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power supply unit,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a program storage unit,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timer unit, and the like.

전원 공급부는 연결 하우징(400)을 통해 연결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에 공급할 전원을 생성한다. 12V 혹은 24V의 공급전압을 가지는 차량에 대 응하기 위해 최대 30V 정도의 입력전압 범위를 가질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generates power to be supplied to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housing 400. The input voltage range can be up to 30V to accommodate vehicles with a supply voltage of 12V or 24V.

보조 전원부는 차량의 배터리 교체 또는 차단, 혹은 사용자가 임의로 전원 절단 등의 이벤트 발생시 차량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동안에도 획득 정보의 수집, 감지 혹은 운행 정보의 생성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이벤트 발생시 해당 시점의 시각 및 상태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may collect, detect, or generate driving information while the power is not supplied from the vehicle when an event such as battery replacement or shutdown of the vehicle or a user arbitrarily disconnects the power. In addition, when the above-described event occurs, it is possible to store the time and state of the time.

프로그램 저장부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260),차량 정보 수집부(210), 탈부착 감지부(230), 운행 정보 생성부(270) 등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가 프로그램 저장부에 저장되어 이용될 수 있다. The program storage unit stores a program for driving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For example, software for one or more operations of the control unit 260,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the detachable detecting unit 230, the driv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70, and the like may be stored and used in the program storage unit.

무선 통신부는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정보 취득부로부터 별도의 배선 작업 없이도 차량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할 수 있어 데이터의 효율적인 획득이 가능하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collect vehicle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provided in the vehicle and store the vehicle information in the data storage unit 250 without additional wiring work, thereby enabling efficient data acquisition.

그리고 차량 내의 소정 위치에 장착/설치된 차량 정보 취득부와 주기적인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차량 내부에 정상적으로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TPMS(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과 같이 무선 통신으로만 구성되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장치에 대해서도 데이터 취득이 가능하며, 획득한 정보에 대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무선 통신망은 예를 들어 WiBro, WiFi, CDMA와 같은 이동통신망, 블루투스, 지그비, ISM 대역을 이용하는 일반 RF 통신망일 수 있다. Further, by performing periodic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installed /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vehicle,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is normally installed in the vehicle is provid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cquire data on a device configured only by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TPMS (tire air pressure monitoring system) and capable of data transmission, and transmitting the obtained information to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is possible. 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WiBro, WiFi, CDMA, a general RF communication network using Bluetooth, Zigbee, or ISM band.

타이머부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 실시간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전원 차단시에도 시간 정보를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보조 전원부 혹은 전용 백업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The timer unit provides real time information to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Since the time information needs to be maintained even when the power is cut off, an auxiliary power supply or a dedicated backup battery can be us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 장치에 착탈가능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detachable to a vehicl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는 영상 입력부(310), 데이터 처리부(320), 데이터 저장부(330), 제1 인터페이스부(340), 제2 인터페이스부(350), 제어부(36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센싱부(220), 운행 정보 생성부(380) 등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may include an image input unit 310, a data processor 320, a data storage unit 330, a first interface unit 340, a second interface unit 350, and a controller. 36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ne or more of the sensing unit 220 and the driving information generator 380 may be further included.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는 예를 들어 오디오 입력부, 키 입력부, 전원 공급부, 보조 전원부, 출력부, 신호 생성부, 유/무선 전송부 등 중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320), 제어부(360), 운행 정보 생성부(380) 등)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예시된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하나의 구성 요소로 통합되거나, 하나의 구성 요소가 둘 이상의 구성 요소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may further include, for example, one or more components of an audio input unit, a key input unit, a power supply unit,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an output unit, a signal generator, a wired / wireless transmitter, and the like. One or mo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data processor 320, the controller 360, the driving information generator 380, etc.) may be implemented as a software program. In addition, two or mor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4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by being separat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우선 연결된 차량용 거치 장치(200)로부터 운행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운행 정보는 시간적으로 동기화된 탈부착 정보와 함께 전송되며, 이하에서는 탈부착 정보가 통합된 운행 정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First,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driv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connected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In this case, the driv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detachable information synchronized in time. Hereinafter, the driving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integrated driving information.

영상 입력부(310)는 입력되는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영상 입력부(310)에서 출력하는 영상 신호는 데이터 처리부(320)에 의한 압축 또는/및 암호화 처리를 위해 미리 지정된 신호 포맷을 가질 수 있다.The image input unit 310 generates and outputs an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external image.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input unit 310 may have a predetermined signal format for compression or / and encryption processing by the data processor 320.

영상 입력부(310)는 예를 들어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입력부(310)는 예를 들어 둘 이상의 렌즈, 둘 이상의 이미지 센서 등을 구비하여 멀티채널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데이터 처리부(320)로 출력할 수도 있다. 즉, 영상 입력부(310)는 예를 들어 차측 방향(즉,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 중 하나 이상) 또는/및 차량 내부 중 하나 이상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mage input unit 310 may include, for example, one or more of a lens, an image sensor, an image signal processor, and the like. The image input unit 310 may include, for example, two or more lenses, two or more image sensors, and may generate a multichannel image signal and output the multichannel image signal to the data processor 320. That is, the image input unit 310 may include, for example, a surveillance camera for monitoring one or more of the vehicle side direction (ie, one or more of front, rear, left and right) and / or the inside of the vehicle.

데이터 처리부(320)는 영상 입력부(3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하거나 또는 임시 저장부(도시되지 않음)에 실시간 저장된 후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320)는 예를 들어 영상 신호의 인코딩 처리, 디코딩 처리, 암호화 처리, 해독 처리 등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320)는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프로세서일 수 있다. The data processor 320 processes the image signal input from the image input unit 310 and stores the image signal in the data storage unit 330 or in real time in a temporary storage unit (not shown), and then stores the image signal in the data storage unit 330. can do. The data processor 320 may perform at least one of, for example, encoding, decoding, encryption, and decryption of an image signal. The data processor 320 may be, for example, a multimedia processor.

또한, 데이터 처리부(320)는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특정 운전자 혹은 사용자의 영상임을 인증하기 위해 워터마크(watermark)를 삽입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data processor 320 may insert a watermark to authenticate the image data of the specific driver or the user.

또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오디오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320)는 영상 입력부(3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뿐만 아니라 오디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데이터 파일을 생성할 수도 있다. 데이터 파일은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 각각을 인코딩하여 독립적으로 생성되거나 하나로 통합되어 생성될 수 있다. 영상 정보는 예를 들어 JPEG 등의 정지 영상 압축 방식 또는/및 비디오 압축 방식(예를 들어, MPEG4, H.263, H.264, WMV, DIVX, XVID 등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될 수 있고,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압축 방식(예를 들어, AAC, MP3, MP2, WMA, OGG, G.729, 713, AMR 등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가 통합되어 형성되는 데이터 파일은 MPEG4 등의 파일 포맷을 가지도록 생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image storage apparatus 300 further includes an audio input unit, the data processor 320 generates a data file by encoding not only an image signal input from the image input unit 310 but also an audio signal input from the audio input unit. You may. The data file may be generated independently by encoding each of the vide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or may be generated by being integrated into one. The image information may be processed, for example, in a still image compression scheme such as JPEG and / or a video compression scheme (eg, one or more of MPEG4, H.263, H.264, WMV, DIVX, XVID, etc.), The audio signal may be processed in an audio compression scheme (eg, one or more of AAC, MP3, MP2, WMA, OGG, G.729, 713, AMR, etc.). In addition, the data file formed by integrating the vide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may be generated to have a file format such as MPEG4.

데이터 처리부(320)는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가 통합되어 형성되는 데이터 파일 내의 유저 데이터 영역 내에 차량용 거치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정보 또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 내에 구비된 운행 정보 생성부(380)에 의해 생성된 운행 정보를 삽입할 수도 있다. The data processor 320 may includ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or the driving information generator 380 provided in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n a user data area in a data file formed by integrating an image signal and an audio signal. It is also possible to insert the driving information generated by).

또한, 데이터 처리부(320)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로부터 전송된 정보 또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 내에 구비된 운행 정보 생성부(380)에 의해 생성된 운행 정보에 대하여 암호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암호화를 수행함에 있어서 예를 들어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기기 시리얼 번호를 암호화 키로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ta processor 320 may perform encryption processing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or the driv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oper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80 included in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t may b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330. Here, in performing the encryption, for example, the device serial number of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may be used as the encryption key.

데이터 저장부(330)는 영상 신호 또는/및 오디오 신호가 인코딩 또는/및 암호화 처리된 데이터 파일, 차량용 거치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정보(차량 정보, 센싱 정보, 탈부착 정보 등 중 하나 이상) 혹은 운행 정보 생성부(380)에 의해 생성된 운행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330)에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에 구비된 차량 정보 수집부(210)에 의해 수집된 차량 정보 및 센싱부(220)에 의해 감지된 센싱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330)에는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을 해독 처리하기 위해 관제 센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수신한 해독 키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The data storage unit 330 may include a data file in which an image signal and / or an audio signal are encoded and / or encrypte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one or more of vehicle information, sensing information, detachable information, etc.) or One or more of the driv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riving information generator 380 may be stored. In addition, the data storage unit 330 may store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included in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and the sensing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220. In addition, the data storage unit 330 may further store decryption key information received from a control center (not shown) to decrypt the encrypted data file.

데이터 저장부(330)는 예를 들어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에 내장되는 메모리 장치 또는/및 착탈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data storage unit 330 may be implemented by, for example, a memory device or / or a removable nonvolatile memory card embedded in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제1 인터페이스부(340)는 연결 하우징을 통해 연결된 차량용 거치 장치(200)와의 데이터 송수신 또는/및 차량용 거치 장치(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The first interface unit 340 provides an interface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vehicle mounting device 200 and / 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with the vehicle mounting device 200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housing.

제2 인터페이스부(350)는 통신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USB 등을 이용한 유선 통신과, 예를 들어 WiFi, 지그비, 블루투스 등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부(350)를 통해 통신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데이터 처리부(320)에 의해 암호화된 운행 정보 또는/및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The second interface unit 350 provides an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The interface for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be, for example, an interface for wired communication using a USB or the like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for example, WiFi, Zigbee, or Bluetooth. The data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second interface unit 350 may be driving information and / or image data encrypt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320.

제어부(360)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각 구성 요소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 구성 요소의 기능을 제어한다. 제어부(360)는 데이터 처리부(320) 또는/및 운행 정보 생성부(380)와 물리적 또는/및 개념적으로 통합된 제어 유닛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360 controls the functions of each component so that each component of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may perform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The controller 360 may be configured as a control unit physically and / or conceptually integrated with the data processor 320 and / or the driving information generator 380.

또한, 제어부(360)는 차량 정보 수집부(210) 또는/및 센싱부(220)로부터 입력되는 획득 정보를 참조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판별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부(330)에 획득 정보의 저장, 데이터 파일 내에 획득 정보의 삽입, 저장 공간의 확보를 위한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데이터의 삭제,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수행을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360 may determine whether an accident occurs by referring to acquisi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or / and the sensing unit 220, and store the acquisition information in the data storage unit 330. Inserting acquisition information into a data file, deleting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330 for securing a storage space, or performing a control for performing one or more of them.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통신 장치와 연결되어 유선 혹은 무선을 통해 통신이 가능한 경우, 제어부(360)는 데이터 처리부(320)에 의하여 암호화 처리되어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또는/및 운행 정보를 통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can communicate via wire or wirelessly, the controller 360 is encrypted by the data processor 320 and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330 or / And transmit the driving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통신 장치에 전송된 운행 정보는 예를 들어 암호화되어 저장된 영상 정보의 재생을 위한 해독 키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관제 센터에 접속하는 시점, 사용자 스스로 운행 정보 전송 명령을 입력한 시점,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 설치된 프로그램의 업데이트 시점 등에서 관제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The driving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be, for example, a point of time when the user accesses a control center to receive decryption key information for reproducing encrypted and stored image information, a time when a user inputs a driving information transmission command by himself, and a vehicle mounting device 200. )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center at the time of update of the installed program.

또한, 제어부(360)는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선 이탈 경보, 선행 차량 충돌 경보, 차선 변경시 안전 상태 경보, 보행자 충돌 경보, 위험지역 경보 등을 수행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안전 운전에 도움이 되는 기능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360 analyzes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330 to perform a lane departure warning, a preceding vehicle collision warning, a safety state warning when changing lanes, a pedestrian collision warning, a danger zone warning, and the like. It may be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that helps safe operation of the vehicle.

또한, 연결된 차량용 거치 장치(200)로부터 운행 정보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는 운행 정보 생성부(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riving information is not transmitted from the connected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information generator 380.

운행 정보 생성부(380)는 제1 인터페이스부(340)를 통해 차량용 거치 장 치(200)로부터 전송된 차량 정보 또는/및 센싱 정보,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에 구비된 차량 정보 수집부(210) 또는 센싱부(220)로부터 출력된 차량 정보 또는/및 센싱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운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driv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80 may include vehicle information and / or sens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through the first interface unit 340, and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provided in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The driving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using at least one of vehicle information and / or sensing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ensing unit 220 or the sensing unit 220.

이를 위해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는 차량 정보 수집부 또는/및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정보 수집부 또는/및 센싱부는 도 3에 도시된 차량 정보 수집부(210) 또는/및 센싱부(220)와 각각 그 기능이 동일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o this end,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may further include a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and / or a sensing unit. Here,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and / or the sensing unit are the same as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and / or the sensing unit 220 illustrated in FIG. 3,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센싱부는 관성 센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관성 센서 유닛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차량 사고 등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대하여 센싱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벤트로 판별하거나, 일정 시간 동안의 센싱값의 추이를 확인하고 변화량이 일정량을 초과하는 경우 이벤트로 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영상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를 이벤트 영상으로서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하게 되며, 해당 이벤트 영상은 추후 차량 사고 등으로 인한 분쟁시 시시비비 판단을 위한 영상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n inertial sensor unit, and may determine whether an event such as a vehicle accident occurs using the sensing value of the inertial sensor unit. For example, the sensing value may be determined as an event for a preset threshold value, or may be determined as an event when the trend of the sensing value for a predetermined time is checked and the amount of change exceeds a predetermined amou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vent has occurred as described above, the video signal input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310 is stored as an event image in the data storage unit 330, and the event image determines the time and / or cost of the dispute in case of a dispute due to a vehicle accident later. It can be used as video material for.

또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는 신호 생성부, 출력부, 전원 공급부, 보조 전원부, 프로그램 저장부, 유무선 통신부 등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of a signal generator, an output unit, a power supply unit,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a program storage unit,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like.

신호 생성부는 소정의 부착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부착 신호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 정상적으로 거치되는 경우에 연결 하우징(400)을 통해 차량용 거치 장치(200)로 전송되며,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서는 부착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탈부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The signal generator generates and outputs a predetermined attachment signal. The attachmen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mounting device 200 through the connection housing 400 when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normally mounted on the vehicle mounting device 200, and the vehicle mounting device 200 includes the attachment signal.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attached or detached according to the reception.

출력부는 표시부, 음성 출력부, 경보 출력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The output unit includes one or more of a display unit, an audio output unit, and an alarm output unit.

표시부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녹화 영상을 표시한다. 이벤트 상황, 경고 상황, 동작 상황 등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운전자 혹은 사용자에게 표시함으로써 현재 상황에 대한 인지 및 용이한 대처가 가능하게 한다. 표시부는 LED, 세그먼트, 액정 디스플레이, VFD 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The display unit displays a state of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or displays a recorded imag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330. By displaying one or more of an event situation, a warning situation, an operation situation, etc. to a driver or a user,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present situation and to easily cope with it. The display unit may be one or more of an LED, a segment, a liquid crystal display, a VFD, and the like.

음성 출력부 또는 경보 출력부는 이벤트 상황, 경고 상황, 동작 상황 등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음성 또는 경보로 알려주며, 스피커 또는 버저일 수 있다. The voice output unit or the alarm output unit notifies one or more of an event situation, a warning situation, an operation situation, etc. with a voice or an alarm, and may be a speaker or a buzzer.

전원 공급부는 연결 하우징(400)을 통해 연결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각 구성 요소에 공급할 전원을 생성한다. The power supply unit generates power to be supplied to each component of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us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housing 400.

보조 전원부는 차량의 배터리 교체 또는 차단, 혹은 사용자가 임의로 전원 절단, 차량 사고 등의 이벤트 발생시 차량용 거치 장치(20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동안에도 소정 시간 영상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대하여 인코딩, 디코딩, 암호화 등의 데이터 처리 및 저장과, 운행 정보의 생성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이벤트 발생시 해당 시점의 시각 및 상태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The auxiliary power supply is an image signal input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310 for a predetermined time even when power is not supplied from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when the battery is replaced or cut off, or a user arbitrarily cuts power or an accident occurs. It is possible to process and store data such as encoding, decoding, encryption and the like, and to generate driving information. In addition, when the above-described event occurs, it is possible to store the time and state of the time.

프로그램 저장부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360), 영상 입력부(310), 데이터 처리부(320) 등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가 프로그램 저장부에 저장되어 이용될 수 있다. The program storage unit stores a program for driving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For example, software for one or more operations of the controller 360, the image input unit 310, the data processor 320, and the like may be stored and used in the program storage unit.

타이머부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에 실시간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전원 차단시에도 시간 정보를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보조 전원부 혹은 전용 백업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The timer unit provides real time information to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Since the time information needs to be maintained even when the power is cut off, an auxiliary power supply or a dedicated backup battery can be used.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차량 정보의 수집, 센싱 정보의 감지, 운행 정보의 생성은 차량용 거치 장치(200) 또는/및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collection of vehicle information, sensing of sensing information, and generation of driving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by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and / or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이에 대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차량 정보 수집, 센싱 정보의 감지 및 운행 정보의 생성을 수행하고, 수집된 차량 정보, 감지된 센싱 정보, 생성된 운행 정보를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에 전송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On the contrary, for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performs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sensing information sensing, and generation of driving information, collected vehicle information, sensed sensing information, and generated information.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driv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 장치에서의 운행 정보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driving information in a vehicl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310에서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차량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차량의 시동 온(On)에 의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직접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거나, 전원 입력 단자가 차량의 전원 공급 단자(예를 들어, 시거잭 등)에 결합되어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차량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동안에도 운행 정보의 생성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보조 전원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in step S310,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determines whether power supply from a vehicle is detected.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is configured to directly supply power from a battery of the vehicle by starting on the vehicle, or a power input terminal is coupled to a vehicle power supply terminal (for example, a cigar jack) so that the vehicle It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power supply to enable generation of driving information even when power is not supplied from the vehicle.

전원 공급의 감지는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 변화로부터 판단하거나, 차량의 ACC 전원의 온/오프(On/Off)를 확인하거나, 차량의 시동 신호를 직접 입력받음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The detection of the power supply is determined from the change in the power voltage applied to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from the battery of the vehicle, confirms the on / off of the ACC power of the vehicle, or directly receives the start signal of the vehicle. Can be performed.

예를 들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전압 변화로부터 판단하는 경우, 초기 소정 회수 이상의 시동 오프시 전압, 시동 온시 전압을 제어부(260)에서 확인한 후 적용할 수 있다. 또는 일반적인 차량의 배터리 전압이 12V 정도이며, 시동이 걸리는 경우 13.5V 정도로 전압이 상승하게 되는 바, 12V에서 13.5V 정도의 전압 변화가 있는 경우 시동이 걸린 것으로 판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히스테리시스 방식에 의해 시동이 걸린 후 바로 오프되는 경우에는 시동이 걸리지 않은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from the change in the power supply voltage applied from the battery of the vehicle, the control unit 260 may apply after confirming the start-off voltage and the start-on voltage of the initial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Alternatively, the battery voltage of a general vehicle is about 12V, and when the start is made, the voltage is increased to about 13.5V. If there is a voltage change of about 12V to 13.5V, the starter may be determined to have started. Here, in the case where the engine is turned off immediately after starting by the hysteresis metho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starting is not started.

만일 차량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짐이 감지되면, 단계 S320에서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동작 개시된 후, 미리 지정된 방식으로 운행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If it is detected that power is supplied from the vehicle, in step S320,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generates and stores driving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manner after the operation is started.

운행 정보는 차량이 주행 등의 형태로 이용되고 있는지 아니면 주차 등의 형태로 이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에게 혜택 또는 불이익을 제공하기 위한 자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행 정보를 관제 센터로 제공되어 각 보험사간에 공유되는 경우 보험료 차등 산정 등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driv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whether the vehicle is used in the form of driving or the like, and may be used as data for providing benefits or disadvantages to the driver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when driving information is provided to a control center and shared among insurance companies, it can be used as data for calculating premium differentials.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전원 공급이 이루어짐을 감지하면, 운행 정보의 생성 이전에 대기 상태에 있는 구성 요소가 정상 동작하는지 자가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머부는 통신을 통해 시간이 정상적으로 흐르고 있는지 여부, 차량 정보 수집부(210), 센싱부(220), 탈부착 감지부(230) 등에 소정의 명령을 전송하고 정상 응답이 수신되는지 여부 등을 확인함으로써 자가 진단이 가능하다. 비정상적인 구성 요소가 있다면, 출력부를 통해 오류 메시지, 오류 음성 또는 경보를 출력하고, 데이터 저장부(250)에 해당 이력을 기록할 수 있다. When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detects that power is supplied,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may perform a self-diagnosis whether a component in a standby state operates normally before generating driving information. For example, the timer unit transmits a predetermined command to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the sensing unit 220, the detachable detecting unit 230, and the like, whether time is normally flowing through communication, and whether a normal response is received. Self-diagnosis is possible by checking. If there is an abnormal component, an error message, an error voice or an alarm may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and a corresponding history may be recorded in the data storage unit 250.

단계 S331에서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탈부착 여부를 감지한다. In operation S331,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detects whether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attached or detached.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탈부착 여부 감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탈부착 감지부(23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하우징(400)을 통해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와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공유하고 있는 특정 신호의 레벨 혹은 차량용 거치 장치(200)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연결 하우징(400)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때 차량용 거치 장치(200)의 요청에 대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응답의 유무를 이용하여 탈부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부착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연결 하우징(400)을 통한 해당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차량용 영상 저장 장 치(300)의 탈부착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Detachment detection of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may be performed by the detachment detecting unit 230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level of a specific signal shared by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and the vehicle mounting device 200 or the vehicle mounting device 200 and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are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housing 400. When performing communication through the housing 400, whether or not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responds to a request of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may be detected by u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response. Alternatively, when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ncludes a signal generator that generates an attachment signal,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may detect whether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attached or detached according to whether the corresponding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connection housing 400. There will be.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정상적으로 거치된 경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단계 S332에서 차량 정보 수집부(210) 또는/및 센싱부(220)에서 출력하는 차량 정보 또는/및 센싱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운행 정보 생성부(270)는 탈부착 정보를 포함하여, 취득한 차량 정보 또는/및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운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When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normally mounted, power is supplied to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n operation S332, vehicle information and / or sensing information output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and / or the sensing unit 220 may be acquired. In addition, the driv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70 may generate driving information by using the acquired vehicle information and / or sens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detachable information.

운행 정보의 생성은 운행 정보 생성부(2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차량 정보 수집부(210) 또는/및 센싱부(220)로부터 제공받은 획득 정보(즉, 차량 정보 또는/및 센싱 정보) 및 탈부착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The generation of the driving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by the driv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70. For this purpose, acquisi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and / or the sensing unit 220 (ie, vehicle information and / or sensing). Information) and removable information can be used.

운행 정보는 예를 들어, 운행일자, 주행거리, 주행속도, 좌/우회전시 방향 지시등 신호, 안전벨트 착용 여부, 가속 페달 신호, 브레이크 신호, 연료량 신호, 연료분사량 신호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행 정보는 후술되는 검증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driving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one or more of a driving date, a driving distance, a driving speed, a turn signal signal when turning left and right, a seat belt worn, an accelerator pedal signal, a brake signal, a fuel level signal, a fuel injection amount signal, and the like. have. In addition, the driving information may include verification information to be described later.

단계 S333에서 이미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있던 정보(차량 정보, 센싱 정보, 이들을 이용하여 생성된 운행 정보 등 중 하나 이상) 및 단계 S332에서 취득한 획득 정보 또는/및 생성된 운행 정보를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로 전송한다. The information (one or more of vehicle information, sensing inform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generated using the same) already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50 in step S333 and the acquisition information and / or the generated driving information acquired in step S332 are used for the vehicle. Th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transmitted.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정상적으로 거치되지 않은 경우, 단계 S334에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탈착 상태를 출력부를 통해 운전자 혹은 사용자에게 시각적, 청각적으로 알려준다. When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not normally mounted, the driver or user is visually and acoustically informed of the detached state of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through an output unit in step S334.

그리고 단계 S335에서 일정 시간마다 차량 운행과 관련된 정보들(예를 들어, 차량 정보, 센싱 정보, 이들을 이용하여 생성된 운행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을 데이터 저장부(250)에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In operation S335, information related to driving of the vehicle (for example, one or more of vehicle information, sensing inform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generated using the same) is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50 together with the time inform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

단계 S340에서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차량의 시동 오프(Off) 또는/및 전원 입력 단자가 차량의 전원 공급 단자에서 분리되는 경우 등에 차량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이 경우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보조 전원부의 충전된 전원으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차량의 시동 오프 등에 의해 차량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차량용 거치 장치(200)의 구동이 종료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In operation S340,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determines whether the power supply is cut off.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is cut off from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and / or the power input terminal is disconnected from the vehicle power supply terminal. In this case,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may be driven by receiving driving power from the charged power of the auxiliary power unit. Hereinafter, when the power supply from the vehicle is cut off due to the start-off of the vehicle, the driving apparatus of the vehicle 200 is driven. The case where this ends is demonstrated.

만일 차량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유지되면 단계 S331로 다시 진행한다. 하지만, 차량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단계 S310으로 다시 진행한다. If the power supply is maintained from the vehicle, the flow proceeds to step S331 again. However, if the power supply from the vehicle is stopp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10 again.

만일 단계 S310에서의 판단 결과 차량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턴 오프(동작 종료) 상태로 유지되면, 단계 S350으로 진행하여,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시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은 일정 시간 주기로 지정되거나 임의의 시각으로 설정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10 that power is not supplied from the vehicle or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remains turned off (end of operatio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50 and whether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is a preset time. Judge. Here, the preset time may be designated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or may be set at an arbitrary time.

이는, 차량의 이용이 없어 전원 공급(또는 턴 온이며, 이하 동일함)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인지, 아니면 차량의 이용이 있음에도 부정한 목적(예를 들어, 정확한 운행 정보의 생성 및 저장에 의해 받게 될 불이익 방지 등)에 의해 차량용 거치 장치(200)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is may be due to the lack of use of the vehicle and thus the lack of power supply (or turn on, which is the same below), or the disadvantage that would be incurred by the creation and storage of accurate driving information, for example, even when the vehicle is in use. Prevention, etc.) to determine whether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만일 설정된 시각이 아닌 경우, 단계 S310으로 다시 진행한다. 그러나, 설정된 시각인 경우 단계 S360으로 진행하여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동작 개시된 후, 단계 S370에서 미리 지정된 방식으로 운행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If it is not the set time, the flow advances to step S310 again. However, when the set time is reached,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proceeds to step S360 and after operation starts, generates and stores driving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manner in step S370.

이때, 앞서 설명한 단계 S331 이하의 과정과는 달리,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보조 전원부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으로 구동되므로, 전력 소모가 최소화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행 여부 또는 차량의 위치 변화를 인식하기 위한 최소한의 정보(예를 들어, 주행 거리나 GPS 위치 좌표 등)만을 인식하여 저장하는 동작으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At this time, unlike the above-described process of step S331, since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is driven by the power supplied by the auxiliary power supply, it can be operated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For example, power consumption may be minimized by recognizing and storing only minimal information (for example, driving distance or GPS location coordinates) for recognizing driving status or a change in location of the vehicle.

단계 S380에서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동작을 종료한 후 단계 S310으로 다시 진행한다. In step S380,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ends the operation and then proceeds to step S310 again.

상술한 운행 정보 제공 방법은 차량용 거치 장치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시계열적 순서에 따른 자동화된 절차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It is apparent that the above-described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may be performed by an automated procedure in a time series order by a software program embedded in a vehicle mounting apparatus. The codes and code segments that make up the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field. In addition, the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a,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o implement the method.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cludes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a carrier wave medium.

여기서,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단계 S332, S335, 혹은 S370을 통해 생성된 운행 정보 또는 해당 운행 정보의 생성을 위해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이용이 있었는지 여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 후 검증용 데이터 및/또는 검증 결과를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할 수 있다. Here,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verifies whether there has been a use of the vehicle by using the driving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steps S332, S335, or S370 or information obtained for generating the corresponding driving information. The verification data and / or the verification result may be stored in the data storage 250.

이러한 검증을 통해, 차량의 이용(예를 들어, 주행 등)하거나 이용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주차 등)들에 대한 운행 정보가 정상적으로 생성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Through this verification,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driving information about the use of the vehicle (eg, driving) or not (eg, parking) is being generated normally.

이하, 운행 정보의 정상적 생성이 유지되고 있는지, 운전자의 부정한 목적에 의한 동작 불능 상태 야기가 없었는지 등을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서 검증하는 일부 실시예들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예시적으로 설명되는 실시예들 이외에도 동일한 목적을 위한 검증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또한, 검증을 위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이 조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in which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verifies whether the normal generation of the driving information is maintained or whether the driver does not cause an inoperable state due to an illegal purpose are briefly described. However,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verification method for the same purpose may vary. It is also obvious that embodiments for verification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차량용 거치 장치에서의 운행 정보 검증 방법의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verifying driving information in a vehicl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410에서,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서 착탈 가능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탈부착을 감지한다. 탈부착을 감지하는 방법은 단계 S410a, S410b 또는 S410c 중 하나일 수 있다. In operation S410, the detachable attachment of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that is detachable from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is detected. The method for detecting detachment may be one of steps S410a, S410b, or S410c.

우선 단계 S410a에서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공유하는 신호의 레벨을 측정한다.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 부착된 상태라면 공유하는 신호의 레벨이 상대적으로 클 것이 므로, 측정된 신호의 레벨이 지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부착 상태로, 지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탈착 상태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First, in step S410a, the level of a signal shared by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and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measured. If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attached to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the level of the shared signal will be relatively large. Therefore, if the level of the measured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pecified reference value, it is attached. You can judge by the state.

또는 단계 S410b에서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서 소정의 요청을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로 전송한다. 이 때 요청의 전송은 유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송한 요청에 대하여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로부터 정상적인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부착 상태로, 정상적인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거나 아무런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탈착 상태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Alternatively, in operation S410b,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transmits a predetermined request to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At this time, the request is preferably wired. If a normal response is received from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with respect to the transmitted request, it may be determined to be in an attached state, and in the case of not receiving a normal response or receiving no response, it may be determined as a detached state.

또는 단계 S410c에서는, 후술할 연결 하우징(400)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연결 하우징(400)에 구비된 제1 접촉 단자 및 제2 접촉 단자의 접촉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탈부착 상태를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탈착되거나 부착되는 순간 접점 신호가 바뀌게 되며 이를 측정하여 탈부착을 감지할 수 있다. Alternatively, in step S410c, the connection housing 4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used. The detachable state of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may be detected by detecting whether the first contact terminal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provided in the connection housing 4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ontact signal changes as soon as it is attached or detached and can be detected by measuring it.

단계 S420에서는 단계 S410에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탈착된 제1 시점 및 부착된 제2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한다. In operation S420,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in operation S410,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stores time information regarding the detached first view point and the attached second view point in the data storage unit 250.

단계 S430에서 저장된 제1 시점 및 제2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제1 차량 정보 및 제1 센싱 정보와, 제2 차량 정보 및 제2 센싱 정보를 추출하여 비교한다. 그리고 비교 결과를 기초로 하여 운행 정보가 정상적으로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The first vehicle information and the first sen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ime information of the first time point and the second time point stored in operation S430 are extracted and compared with the second vehicle information and the second sensing information.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riving information is normally generate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예를 들어,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탈착된 동안에 생성된 운행 정보 에 대해서는 비정상적 생성으로 판단하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미부착 운행에 따른 보험료 인상 등의 패널티 부과, 그 기간 내의 사고에 대한 보험금 미지급 등의 불이익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riving information generated while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detached is determined to be abnormally generated, and a penalty such as an insurance premium increase due to the unattached operation of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applied, and an accident within the period of time. Disadvantages, such as non-payment of insurance benefits, may be provided.

여기서, 제1 센싱 정보 및 제2 센싱 정보는 위치 정보, 환경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위치 정보는 위치 정보 유닛에 의해 감지된 GPS 위치를 포함하며, 환경 정보는 환경 센서 유닛에 의해 감지된 온도, 습도, 밝기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Here, the first sensing information and the second sensing information include one or more of location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s a GPS location sens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unit, and the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of temperature, humidity, brightness, etc. detected by the environment sensor unit.

여기서, 센싱부(220)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센싱 동작을 수행하여 생성된 센싱 정보가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제1 센싱 정보는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점, 즉 탈착 시점에 가장 근접한 시점에 저장된 센싱 정보(즉, 탈착 이전 센싱부(220)가 생성한 센싱 정보 혹은 탈착 직후 센싱부(220)가 생성한 센싱 정보)이며, 제2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제2 센싱 정보는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점, 즉 부착 시점에 가장 근접한 시점에 저장된 센싱 정보(즉, 부착 이전 센싱부(220)가 생성한 센싱 정보 혹은 부착 직후 센싱부(220)가 생성한 센싱 정보)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nsing unit 220 may store the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by performing a sens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cycle in the data storage unit 250. In this case, the first sen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ime information may include sensing information stored at a time point according to the first time information, that is, a time point closest to the detachment time point (ie,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nsing unit 220 before detachment or detachment). Immediately after the sensing unit 220 generates the sen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ime information, the sensing information stored at the time point according to the second time information, that is, the time closest to the attachment time (that is, before attachment).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nsing unit 220 or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nsing unit 220 immediately after attachment.

하지만, 경우에 따라 센싱부(220)가 실시간으로 센싱 동작을 수행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탈착 혹은 부착을 감지함과 함께 센싱 동작을 수행하여 해당 센싱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However, in some cases, the sensing unit 220 may generate sensing information by performing a sensing operation in real time. In this case, the sensing unit 220 detects the detachment or attachment of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and performs the sensing operation. The sensing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data storage 250.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차량용 거치 장치에서의 운행 정보 검증 방법의 순서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verifying driving information in a vehicl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460에서, 차량용 거치 장치(200) 자체가 차량에 정상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차량용 거치 장치(200)의 탈부착을 감지하는 방법은 단계 S460a, S460b 또는 S460c 중 하나일 수 있다. In step S460, it is detected whether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itself is normally installed in the vehicle. The method of detecting the detachment of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may be one of steps S460a, S460b, or S460c.

우선 단계 S460a에서는, 탈부착 감지부(230)는 환경 센서 유닛을 구비하고 있어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도, 습도, 밝기 중 하나 이상의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센싱값을 일정 시간마다 획득하게 되며, 획득한 센싱값은 차량 내부에 대한 센싱 기대값 혹은 과거 측정된 센싱값들의 평균, 즉 센싱 평균값과의 비교를 통해 차량용 거치 장치(200)의 탈부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First, in step S460a, the detachable detecting unit 230 may include an environmental sensor unit to detect whether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To this end, a sensing value including one or more environmental information among temperature, humidity, and brightness is acquir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he acquired sensing value is an average of an expected sensing value of the vehicle interior or past sensing values, that is, an average sensing value. Through comparis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is detachable.

현재 측정된 센싱값이 센싱 기대값 혹은 센싱 평균값에 대해 미리 설정된 임계치(예를 들어, 센싱 기대값 혹은 센싱 평균값의 80~120% 이내)를 벗어나는 경우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차량으로부터 탈착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If the currently measured sensing value is out of a predetermined threshold (for example, within 80 to 120% of the sensing expectation value or the sensing average value) with respect to the sensing expectation value or the sensing average value,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may be detached from the vehicle. You will be able to detect it.

또는 단계 S460b에서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차량에 설치됨에 있어서 설치 부분에 구비된 접점식 스위치를 이용하여 접점 단속 정보를 감지함으로써 차량용 거치 장치(200)의 탈부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Alternatively, in step S460b, when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is installed in the vehicle, the detachable state of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may be detected by detecting contact control information using the contact type switch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portion.

또는 단계 S460c에서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차량 내부에 설치된 소정의 통신 모듈과 주기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해당 통신 모듈과 일정 주기마다의 통신 수행이 제대로 이루어지는 여부에 따라 차량용 거치 장치(200)의 탈부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수행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는다면,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차량으로부터 탈착된 상태에 놓여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Alternatively, in step S460c, when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is set to periodically communicate with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vehicle,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communication with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odule is performed at regular intervals is performed properly. Detachable state of the 200 can be detected. For example, if communication is not performed properly,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is placed in a detached state from the vehicle.

단계 S470에서는 단계 S460에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탈착된 제1 시점 및 부착된 제2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한다. In operation S470,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in operation S460, time information regarding the first time point where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is detached and the second time point that is attached is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50.

단계 S480에서 저장된 제1 시점 및 제2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제1 차량 정보 및 제1 센싱 정보와, 제2 차량 정보 및 제2 센싱 정보를 추출하여 비교한다. 그리고 비교 결과를 기초로 하여 운행 정보가 정상적으로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The first vehicle information and the first sen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ime information of the first time point and the second time point stored in step S480 are extracted and compared with the second vehicle information and the second sensing information.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riving information is normally generate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예를 들어,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탈착된, 즉 정상 설치되지 않은 동안에 생성된 운행 정보에 대해서는 비정상적 생성으로 판단하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미부착 운행에 따른 보험료 인상 등의 패널티 부과, 그 기간 내의 사고에 대한 보험금 미지급 등의 불이익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ing information generated while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is detached, that is, not normally installed, is abnormally generated, and a penalty such as an insurance premium increase due to the unattached operation of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imposed. In other words, disadvantages such as non-payment of insurance benefits for accidents within that period may be provided.

여기서, 제1 센싱 정보 및 제2 센싱 정보는 위치 정보, 환경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위치 정보는 위치 정보 유닛에 의해 감지된 GPS 위치를 포함하며, 환경 정보는 환경 센서 유닛에 의해 감지된 온도, 습도, 밝기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Here, the first sensing information and the second sensing information include one or more of location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s a GPS location sens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unit, and the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of temperature, humidity, brightness, etc. detected by the environment sensor unit.

여기서, 센싱부(220)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센싱 동작을 수행하여 생성된 센싱 정보가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제1 센싱 정보는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점, 즉 탈착 시점에 가장 근접한 시 점에 저장된 센싱 정보(즉, 탈착 이전 센싱부(220)가 생성한 센싱 정보 혹은 탈착 직후 센싱부(220)가 생성한 센싱 정보)이며, 제2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제2 센싱 정보는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점, 즉 부착 시점에 가장 근접한 시점에 저장된 센싱 정보(즉, 부착 이전 센싱부(220)가 생성한 센싱 정보 혹은 부착 직후 센싱부(220)가 생성한 센싱 정보)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nsing unit 220 may store the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by performing a sens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cycle in the data storage unit 250. In this case, the first sen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ime information may include sensing information stored at a time point according to the first time information, that is, a time point closest to the detachment time point (ie,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nsing unit 220 before detachment or the like).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nsing unit 220 immediately after detachment, and the second sen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ime information is the sensing information stored at a time point according to the second time information, i. The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revious sensing unit 220 or the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nsing unit 220 immediately after attachment.

하지만, 경우에 따라 센싱부(220)가 실시간으로 센싱 동작을 수행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차량용 거치 장치(200)의 탈착 혹은 부착을 감지함과 함께 센싱 동작을 수행하여 해당 센싱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However, in some cases, the sensing unit 220 may generate sensing information by performing a sensing operation in real time. In this case, the sensing unit 220 detects the detachment or attachment of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and performs the sensing operation.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data storage 250.

이상에서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서 검증이 수행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차량용 거치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운행 정보 또는 후술되는 것과 같이 내부에서 생성한 운행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이용이 있었는지 여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 the case in which the verification is performed in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uses the driv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or the driving information generated therein as described below. To verify whether the vehicle has been used or not.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에서의 운행 정보 제공 과정의 순서도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driving information in an image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는 단계 S510에서 미리 지정된 방식에 따라 차량의 내부 또는/및 외부 영상을 녹화한다. 단계 S520에서 데이터 처리부(320)는 녹화된 영상에 대하여 암호화 처리를 수행하여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한다.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records an internal or external imag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 method previously specified in operation S510. In operation S520, the data processor 320 performs an encryption process on the recorded image and stores it in the data storage unit 330.

단계 S530a에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부착된 차량용 거치 장 치(200)로부터 제1 인터페이스부(340)를 통해 전송되는 운행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540a에서 운행 정보를 암호화하여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한다. In operation S530a, the driving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interface unit 340 is received from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to which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attached. In operation S540a, the driving information is encrypted and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330.

단계 S510 내지 S520과, 단계 S530a 내지 S540a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Steps S510 to S520 and steps S530a to S540a may be independently performed.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계 S530b에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부착된 차량용 거치 장치(200)로부터 제1 인터페이스부(340)를 통해 전송되는 차량 정보 또는/및 센싱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535b에서 차량 정보 또는/및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운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540b에서 운행 정보를 암호화하여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한다. In another embodiment, in step S530b, the vehicle information and / or the sensing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interface unit 340 are received from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to which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attached. In operation S535b, driving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using vehicle information and / or sensing information. In operation S540b, the driving information is encrypted and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330.

이 경우 단계 S510 내지 S520과, 단계 S530b 내지 S540b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In this case, steps S510 to S520 and steps S530b to S540b may be independently performed.

운행 정보의 암호화 및 저장이 수행된 이후, 단계 S550에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는 통신 장치를 거쳐 혹은 직접 관제 센터로 운행 정보를 제공하고 해독 키 정보를 수신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After the encryption and storage of the driving information is performed,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provides the driving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or directly to the control center in step S550 and receives the decryption key informati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단계 S560에서 수신한 해독 키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 즉 녹화 영상을 해독하고 이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Using the decryption key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S560, it is possible to decrypt and reproduce the encrypted data file, that is, the recorded video.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운행 정보의 전송 구조를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의 전송 과정을 설 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9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transmitting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에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는 사고 영상 등의 녹화 및 저장을 위한 기능뿐 아니라 운행 정보의 전송 기능을 더 수행한다. 또한, 관제 센터(520)로의 운행 정보 전송을 유도하기 위해 녹화 및 저장되는 데이터 파일(즉, 영상 데이터 또는/및 운행 정보)는 암호화되어 저장되며,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은 운행 정보의 전송 이후에 관제 센터(520)로부터 수신되는 해독 키 정보에 의해 해독 처리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driving information as well as a function for recording and storing an accident image. In addition, data files (i.e., image data and / or driving information) recorded and stored to induce transmission of dr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center 520 are encrypted and stored, and the encrypted data file is controlled after transmission of driving information. Decryption processing is performed by decryption ke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enter 520.

운행 정보는 예를 들어 통신 장치(510)에 설치된 후술할 매니지먼트 프로그램(management program)이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결합되었음을 인식한 시점, 암호화되어 저장된 데이터 파일의 재생을 위한 해독 키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관제 센터(520)에 접속하는 시점, 사용자 스스로 운행 정보 전송 명령을 입력한 시점,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에 설치된 프로그램의 업데이트 시점 등에서 관제 센터(520)로 전송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peration information may be received when the management program (management program),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device 510 recognizes that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coupled, and decryption key information for reproducing the encrypted and stored data file. In order to access the control center 520, the user inputs a driving information transmission command by himself or herself, and the update time of the program installed in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center 520.

도 9에서 하나의 관제 센터(520)가 운행 정보를 수신하고 해독 키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상술한 동작을 통합적으로 수행하거나, 부분적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수행 주체를 통칭하는 용어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 경우 각 동작 수행의 주체는 상이할 수도 있다. Although one control center 520 is illustrated in FIG. 9 as receiving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decryption key information, the terminology collectively refers to one or more performing agents that perform the above-described operations collectively or partially or individually. Should be interpreted. In this case, the subject of each operation may be different.

만일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운행 정보의 전송을 위해 유/무선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경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저장된 운행 정보를 관제 센터(520)로 전송하고 해독 키 정보 를 수신할 수 있다. If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directly connecting to a wired / wireless network for transmission of driving information,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may control driving information stored through the network to the control center 520. Can transmit and receive decryption key information.

그러나 만일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할 수 없는 경우 통신 장치(510)(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 PDA, 컴퓨터 장치 등 중 하나 이상)에 통신 케이블로 연결되어, 해당 통신 장치(510)가 구비한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저장된 운행 정보를 관제 센터(520)로 전송하고 해독 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However, if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cannot directly access a network, the communication device 51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510 (eg, at least on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DA, a computer device, etc.) by a communication cable, and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device. The stored driving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center 520 and the decryption key information may be received us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included in the 510.

이 경우 해당 운행 정보를 독출하여 관제 센터(520)로 전송하는 등의 처리를 위한 매니지먼트 프로그램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 또는/및 통신 장치(510)에 설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management program for processing such as reading the corresponding driv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control center 520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or /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510.

또한 만일, 데이터 저장부(330)가 착탈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를 포함하여 구현되는 경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만을 탈착하여 통신 장치(510)에 결합되는 리더기(reader)에 결합한 후, 통신 장치(510)에 설치된 매니지먼트 프로그램이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운행 정보를 독출하여 관제 센터(520)로 전송하고, 해독 키 정보를 수신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에 저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data storage unit 330 is implemented to include a removable nonvolatile memory card, after detaching only the nonvolatile memory card and coupled to the reader (coupler)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510, the communication device 510 The management program installed in the CX may read the driv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card, transmit the dr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center 520, and receive the decryption key information to be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card.

이하 도 10을 참조하며 운행 정보 전송 과정을 설명한다. 다만,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통신 장치(510)와 통신 케이블로 연결되고, 통신 장치(510)에 설치된 매니지먼트 프로그램이 운행 정보를 독출하여 전송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transmitting driving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However, the case in which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510 through a communication cable and a management program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device 510 reads and transmits driving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매니지먼트 프로그램은 단계 S610에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와 통신 케이블을 통해 결합됨을 인식하고, 단계 S620에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 내 에 저장된 암호화된 시리얼 넘버를 독출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관제 센터(520)로 전송한다. The management program recognizes that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coupled to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through a communication cable in step S610, and reads the encrypted serial number stored in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n step S620 to control the center 520 through the network. To send).

관제 센터(520)는 수신된 암호화된 시리얼 넘버를 해독한 후, 해당 시리얼 넘버가 유효한 것인지 판단한 후, 유효한 시리얼 넘버인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매니지먼트 프로그램으로 운행 정보의 전송을 지시한다. The control center 520 decrypts the received encrypted serial number,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serial number is valid, and instructs transmission of driving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program through the network when the serial number is valid.

매니지먼트 프로그램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운행 정보를 독출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관제 센터(520)로 전송한다. The management program reads driv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330 of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and transmits the dr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center 520 through a network.

이후, 관제 센터(520)로부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해독하기 위한 해독 키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임의의 저장부에 저장함으로써 암호화되어 저장된 데이터 파일의 재생이 가능하도록 한다. 운행 정보의 전송을 유도하기 위해 해당 해독 키 정보는 예를 들어 직전의 운행 정보 전송 이후 금번 운행 정보를 전송한 시점 이전에 생성된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만의 해독 및 재생이 가능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Thereafter, the decryption key information for decrypting the data file encrypted and stored in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center 520 and stored in an arbitrary storage unit of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to store the encrypted data. Enable playback of the file. In order to induce the transmission of the driving information, the corresponding decryption key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such that only the encrypted data file generated before the time of transmitting the driving information after the previous driving information transmission can be decrypted and reproduced, for example.

관제 센터(520)로 전송된 운행 정보는 보험료 차등 산정 및 지급에 대한 자료로 사용가능하며, 차량 요일제 대응 정보로 이용가능하다. The driving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control center 520 can be used as data on the premium differential calculation and payment, and can be used as the day of the week response information.

또한, 운행 정보뿐 아니라 검증 정보를 수신하거나, 운행 정보를 이용하여 검증을 수행한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용 거치 장치(200)를 차량이 아닌 타소에서 전원 인가하여 동작시키거나 차량 내부와 유사한 상태를 만들어 운행 정보를 위조 혹은 변조하는 행위를 감지,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by receiving the verification information as well as the driving information, or by using the result of the verification us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using the vehicle mounting device 200 is powered by other than the vehicle to operate or similar to the state inside the vehicle It can detect and judge the act of forging or tampering with driving information.

또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를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 거치하지 않 고 운행하는 경우에 운행 정보에 통합되어 있는 탈부착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미부착 운행에 따른 패널티 부과 등이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operated without being mounted on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penalties may be imposed due to unattached driving by using detachable information integrat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하우징에 포함되는 수형 하우징 및 암형 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12은 도 11의 AA'선 및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수형 하우징 및 암형 하우징을 C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11 is a plan view of a male housing and a female housing included in a connection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and BB ′ of FIG. 11, and FIG. 13 is shown in FIG. 11. The male housing and the female housing are viewed from the direction of the arrow C. FIG.

차량용 거치 장치(200)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는 연결 하우징(400)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즉, 차량용 거치 장치(200)의 인터페이스부(240) 및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제1 인터페이스부(340)가 연결 하우징(400)과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and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on housing 400. That is, the interface unit 240 of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and the first interface unit 340 of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are directly related to the connection housing 400.

연결 하우징(400)은 차량용 거치 장치(200)를 중심으로 볼 때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며, 차량용 거치 장치(200)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 간의 신호 연결 통로 및 전원 공급 통로를 가진다. The connection housing 4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when the vehicle mounting device 200 is viewed as a center, and a signal connection between the vehicle mounting device 200 and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performed. It has a passageway and a power supply passageway.

연결 하우징(400)은 수형 하우징(700)과 암형 하우징(800)을 포함한다. The connection housing 400 includes a male housing 700 and a female housing 800.

수형 하우징(700)은 몸체(710), 수형 구조물(720), 복수의 가이드 플레이트(740a, 740b), 제1 접촉 단자(730)를 포함한다. The male housing 700 includes a body 710, a male structure 720, a plurality of guide plates 740a and 740b, and a first contact terminal 730.

몸체(710)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 혹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몸체에 결합하거나 일체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몸체(710), 수형 구조물(720) 및 복수의 가이드 플레이트(740a, 740b)가 절연성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The body 710 may be coupled to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of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or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n addition, the body 710, the male structure 720, and the plurality of guide plates 740a and 740b may be integrally formed by an insulating synthetic resin.

수형 구조물(720)은 기둥(724)의 일단에 평판형 부재(722)가 결합되어 있으며, 몸체(710)의 전면 중심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수형 구조물(720)은 T자형의 종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평판형 부재(722)의 전면 중심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접촉 단자(730)가 구비되어 있다. The male structure 720 has a flat member 722 coupled to one end of the pillar 724, and protrudes from the front center of the body 710. The male structure 720 has a T-shaped longitudinal section, and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first contact terminals 730 at the front center of the flat member 722.

복수의 가이드 플레이트(740a, 740b)는 수형 구조물(720)의 양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어, 수형 구조물(720)과의 사이에 복수의 제1 가이드 홈(750a, 750b)을 형성한다. The plurality of guide plates 740a and 740b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both sides of the male structure 720 to form a plurality of first guide grooves 750a and 750b between the male structure 720.

복수의 제1 가이드 홈(750a, 750b)은 역L자형의 종단면을 가지며, 제1 가이드 홈(750a, 750b) 내에 역L자형의 종단면을 가지는 후술할 암형 하우징(800)의 가이드 부재(840a, 840b)가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first guide grooves 750a and 750b have reverse L-shaped longitudinal cross-sections, and the guide members 840a of the female housing 800 to be described later having reverse L-shaped longitudinal cross-sections in the first guide grooves 750a and 750b. 840b may be slidingly inserted.

암형 하우징(800)은 몸체(810), 복수의 가이드 부재(840a, 840b), 스토퍼부(820), 제2 접촉 단자(830)를 포함한다. The female housing 800 includes a body 810,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840a and 840b, a stopper part 820, and a second contact terminal 830.

몸체(810)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 혹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몸체에 결합하거나 일체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몸체(810), 복수의 가이드 부재(840a, 840b) 및 스토퍼부(820)가 절연성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The body 810 may be coupled to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of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or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n addition, the body 810, the plurality of guide members 840a and 840b, and the stopper part 820 may be integrally formed by an insulating synthetic resin.

몸체(810)의 전면에는 제2 접촉 단자(830)가 구비되어 있다. 제2 접촉 단자(830)의 수는 제1 접촉 단자(730)의 수에 상응하며, 제2 접촉 단자(830)의 위치는 수형 하우징(700)과 암형 하우징(800)이 결합되는 경우 제1 접촉 단자(730)의 위치에 상응하여 결정된다.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810 is provided with a second contact terminal 830. The number of the second contact terminals 830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the first contact terminals 730,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contact terminals 830 is the first when the male housing 700 and the female housing 800 are coupled to each other. It is determin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ntact terminal 730.

복수의 가이드 부재(840a, 840b)는 제2 접촉 단자(830)를 중심으로 양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그 사이에 제2 가이드 홈(850)을 형성한다. 제2 가이드 홈(850)은 T자형의 종단면을 가지며, 제2 가이드 홈(850) 내에는 전술한 수형 하우징(700)의 수형 구조물(720)이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guide members 840a and 840b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both sides of the second contact terminal 830, and form a second guide groove 850 therebetween. The second guide groove 850 has a T-shaped longitudinal section, and the male structure 720 of the male housing 700 described above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groove 850.

스토퍼부(820)는 각 가이드 부재(840a, 840b)의 일단에 결합되며, 수형 하우징(700)가 삽입되는 방향과 직교하여 기립(起立)한다. The stopper part 820 is coupled to one end of each of the guide members 840a and 840b and stand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le housing 700 is inserted.

스토퍼부(820)는 수형 하우징(70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삽입을 정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제1 접촉 단자(730)와 제2 접촉 단자(830)간의 접촉 신뢰성을 보장해 준다. The stopper part 820 serves to stop the sliding inser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le housing 700 is inserted in a fixed position, thereby making contact reliability between the first contact terminal 730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830. Guarantees.

도 12을 참조하면, 결합시 수형 하우징(700)은 암형 하우징(800)에 대하여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으며, 분리시 수형 하우징(700)은 암형 하우징(800)에 대하여 후방에서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탈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the male housing 700 may be slidably inserted from front to rear with respect to the female housing 800 when engaged, and the male housing 700 may be separated from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female housing 800. Sliding in the direction can be released.

수형 하우징(700)이 암형 하우징(800)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경우, 복수의 가이드 부재(840a, 840b)가 수형 하우징(700)의 제1 가이드 홈(750a, 750b) 내에 삽입되며, 수형 구조물(720)이 암형 하우징(800)의 제2 가이드 홈(850) 내에 삽입된다. When the male housing 700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female housing 800,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840a and 840b are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grooves 750a and 750b of the male housing 700 and the male structure 720 ) Is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groove 850 of the female housing 800.

가이드 부재(840a, 840b)의 절곡 부분과 수형 구조물(720)의 평판형 부재(722)가 서로 엇갈려 있음으로 수형 하우징(700)과 암형 하우징(800)이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리되어 임의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Since the bent portions of the guide members 840a and 840b and the flat member 722 of the male structure 720 are staggered from each other, the male housing 700 and the female housing 800 are separ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ertion direction. It can be prevented from detaching and can make a strong coupling.

수형 하우징(700)은 차량용 거치 장치(200)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암형 하우징(800)은 수형 하우징(700)이 설치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설치된다. The male housing 700 is installed in any one of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and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and the female housing 800 is installed in the other where the male housing 700 is not installed.

따라서, 수형 하우징(700)과 암형 하우징(800)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차량용 거치 장치(200)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 사이에 연결 하우징(400)이 조립되어,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 부착된다. 그리고 수형 하우징(700)와 암형 하우징(800)가 슬라이딩 분리되는 경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서 탈착된 상태가 된다. Therefore, the male housing 700 and the female housing 800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onnection housing 400 is assembled between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and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whereby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provided. It is attached to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In addition, when the male housing 700 and the female housing 800 are separated by sliding,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detached from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제1 접촉 단자(730) 및 제2 접촉 단자(830)는 전원 단자, 데이터 통신용 단자, 탈부착 판단용 단자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제1 접촉 단자(730) 및 제2 접촉 단자(830)는 각 몸체(710, 810)의 내부를 통해 연결된 배선을 통해 전원 공급, 데이터 송수신, 특정 신호의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contact terminal 730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830 include one or more of a power supply terminal, a data communication terminal, a detachment determination terminal, and the like. The first contact terminal 730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830 may be supplied with power, data transmission, and transmission of a specific signal through wires connected through the interiors of the bodies 710 and 810.

전원 단자를 통해 차량용 거치 장치(200)로부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Power may be supplied from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to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through the power terminal.

데이터 통신용 단자를 통해 차량용 거치 장치(200)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간에 차량 정보, 센싱 정보, 탈부착 정보, 이를 이용하여 생성된 운행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One or more data among vehicle information, sensing information, detachable inform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generated using the same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and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terminal.

데이터 통신용 단자를 통해 차량용 거치 장치(200)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공유하는 신호를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수신하여 그 레벨을 측정하거 나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로 소정의 요청을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탈부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receives a signal shared by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and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through a data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asures the level thereof, or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uses the vehicle image storage apparatus. By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request to 300 and receiving a response thereto, it may be detected whether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is attached or detached.

또는 탈부착 판단용 단자를 통해 서로 간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거나 해당 단자를 통한 특정 신호의 송수신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 정상적으로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300 may be normally attached to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200 by detecting contact between each other through a detachable determination terminal or confirming whether a specific signal is transmitted or received through the corresponding terminal.

탈부착 판단용 단자는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통신용 단자로 대체될 수도 있다. The detachment determination terminal may be replaced with a terminal for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제1 접촉 단자(730) 및 제2 접촉 단자(830) 중 어느 하나는 예를 들어 스프링과 같은 탄성 변형부를 구비한 탄성 접촉 단자이며, 다른 하나는 평판형 접촉 단자일 수 있다. 탄성 변형부의 탄성력을 이용함으로써 제1 접촉 단자(730)와 제2 접촉 단자(830)간에 접촉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One of the first contact terminal 730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830 may be an elastic contact terminal having an elastic deformation portion such as, for example, a spring, and the other may be a flat contact terminal. By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contact terminal 730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83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can be chang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2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거치 장치의 블록구성도.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mounting apparatus install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 장치에 착탈가능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블록구성도. 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detachable to a vehicl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 장치에서의 운행 정보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driving information in a vehicl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차량용 거치 장치에서의 운행 정보 검증 방법의 순서도.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verifying driving information in a vehicl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차량용 거치 장치에서의 운행 정보 검증 방법의 순서도.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verifying driving information in a vehicl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에서의 운행 정보 제공 과정의 순서도.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driving information in a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운행 정보의 전송 구조를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9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transmission structure of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의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하우징에 포함되는 수형 하우징 및 암형 하우징의 평면도.11 is a plan view of the male housing and the female housing included in the connection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은 도 11의 AA'선 및 BB'선을 따른 종단면도.1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and line BB ′ of FIG. 11.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수형 하우징 및 암형 하우징을 C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FIG. 13 is a view of the male housing and the female housing shown in FIG. 11 as view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 FIG.

Claims (12)

차량용 거치 장치 및 상기 차량용 거치 장치에 착탈 가능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중 하나에서 생성된 운행 정보를 검증하는 방법으로서, A method for verifying driving information generated by one of a vehicle mounting apparatus and a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detachable to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상기 차량용 거치 장치에 착탈 가능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탈부착을 감지하는 단계;Detecting a detachment of a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detachable to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상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가 탈착되는 시점 및 부착되는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Storing time information on a time point at which the on-vehicle image storage device is attached and detached; And 상기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차량 정보 및 센싱 정보를 추출하여 비교하고 상기 운행 정보의 정상적인 생성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 검증 방법. And extracting and comparing vehicle information and sen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ime informati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riving information is normally generat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센싱 정보는 센싱부에서 감지한 위치 정보 및 환경 센서 유닛에서 감지한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정보 검증 방법. The sensing information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and environmen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environmental sensor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탈부착을 감지하는 단계는, Detecting the detachment, 상기 차량용 거치 장치 및 상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가 공유하는 신호의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 및Measuring a level of a signal shared by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and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And 상기 신호의 레벨이 지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부착 상태로, 상기 기준값 미만이면 탈착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정보 검증 방법. And determining that the signal is in an attached state when the level of the sign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when the signal level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탈부착을 감지하는 단계는, Detecting the detachment, 상기 차량용 거치 장치에서 소정의 요청을 상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Transmitting a request from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to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And 상기 요청에 대한 상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로부터의 정상 응답 수신 여부에 따라 탈부착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정보 검증 방법. And determining the attachment / detachmen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normal response is received from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in response to the reques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차량용 거치 장치와 상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는 연결 하우징을 통해 연결 가능하며,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and the vehicle image storage device may be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housing, 상기 연결 하우징은, The connection housing, 몸체의 전면 중심에 돌출 형성되어 있고 전면 중심에 제1 접촉 단자가 구비되어 있는 수형 구조물과, 상기 수형 구조물의 양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그 사이에 복수의 제1 가이드 홈을 형성하는 복수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수형 하우징; 및A plurality of guide plates protruding from the front center of the body and having a first contact terminal at the front center thereof, and a plurality of guide plate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both sides of the male structure to form a plurality of first guide grooves therebetween; A male housing comprising a; And 전면에 제2 접촉 단자가 구비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제2 접촉 단자를 중심으로 양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그 사이에 제2 가이드 홈을 형성하며 내측으로 절곡된 복수의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수형 하우징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여 기립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암형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정보 검증 방법. A body having a second contact terminal on a front surface thereof,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bent inwardly with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both sides about the second contact terminal, and forming a second guide groove therebetween, and the guide member And a female housing coupled to one end of the female housing and including a stopper portion standing up perpendicular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male housing.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탈부착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접촉 단자 및 상기 제2 접촉 단자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탈부착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정보 검증 방법. The detecting of the detachment may include detecting the detachment according to whether the first contact terminal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차량에 장착되어 운행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용 거치 장치에서 운행 정보를 검증하는 방법으로서, As a method of verifying driving information in a vehicle mounting apparatus mounted on a vehicle to generate driving information, 상기 차량용 거치 장치의 상기 차량으로부터의 탈부착을 감지하는 단계;Detecting detachment of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from the vehicle; 상기 차량용 거치 장치가 탈착되는 시점 및 부착되는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Storing time information on a time point at which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is attached and detached; And 상기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차량 정보 및 센싱 정보를 추출하여 비교하고, 상기 운행 정보의 정상적인 생성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 검증 방법. And extracting and comparing vehicle information and sen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ime informati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riving information is normally generated.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센싱 정보는 센싱부에서 감지한 위치 정보 및 환경 센서 유닛에서 감지한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정보 검증 방법. The sensing information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and environmen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environmental sensor unit.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탈부착을 감지하는 단계는, Detecting the detachment, 상기 차량용 거치 장치에 구비된 환경 센서 유닛에서 일정 시간마다 감지한 센싱값과, 상기 차량 내부에 대한 센싱 기대값 혹은 과거 측정된 센싱 평균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Comparing a sensing value sensed at a predetermined time by an environmental sensor unit provided in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with a sensing expectation value for the inside of the vehicle or a sensing average value measured in the past; And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센싱값이 상기 센싱 기대값 혹은 상기 센싱 평균값에 대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차량용 거치 장치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탈착된 것으로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정보 검증 방법. And detecting that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is detached from the vehicle when the sensing value deviates from a preset threshold for the sensing expectation value or the sensing average value.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탈부착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용 거치 장치가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부분에 구비된 접점식 스위치의 접점 단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탈부착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정보 검증 방법. The detecting of the detachment may include detecting whether the attachment or detachment is performed using contact interruption information of a contact switch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installed in the vehicle.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탈부착을 감지하는 단계는, Detecting the detachment, 상기 차량용 거치 장치가 상기 차량 내에 설치된 통신 모듈과 일정 시간마다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vehicle at a predetermined time; And 상기 통신이 성공하면 상기 차량용 거치 장치가 상기 차량 내에 부착된 것으로 감지하고, 상기 통신이 실패하면 상기 차량용 거치 장치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탈착된 것으로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정보 검증 방법.And detecting that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is attached to the vehicle if the communication is successful, and detecting that the vehicle mounting apparatus is detached from the vehicle when the communication fails.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운행 정보 검증 방법을 수행하 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A program of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is tangibly embodied in order to perform the operation information ver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Recorded media.
KR1020090113323A 2009-11-23 2009-11-23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verif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program for carrying out verification method KR1010711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323A KR101071153B1 (en) 2009-11-23 2009-11-23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verif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program for carrying out verifica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323A KR101071153B1 (en) 2009-11-23 2009-11-23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verif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program for carrying out verifica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842A true KR20110056842A (en) 2011-05-31
KR101071153B1 KR101071153B1 (en) 2011-10-10

Family

ID=44365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323A KR101071153B1 (en) 2009-11-23 2009-11-23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verif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program for carrying out verifica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15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625B1 (en) * 2018-10-29 2019-01-30 (주)모다슨 Black box apparatus for monitoring driver
KR102499015B1 (en) * 2022-06-15 2023-02-14 (주) 라인링크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management service of sanitation vehicle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internet of thing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384B1 (en) * 2019-11-15 2021-08-20 박재형 Vehicle Black Box Having Self Defense Function and Method for Coping with Emergency Situat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3171A (en) * 2007-06-27 2008-10-09 Kyocera Corp Vehicle management system and vehicle managing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625B1 (en) * 2018-10-29 2019-01-30 (주)모다슨 Black box apparatus for monitoring driver
KR102499015B1 (en) * 2022-06-15 2023-02-14 (주) 라인링크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management service of sanitation vehicle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internet of th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1153B1 (en) 201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134B1 (en) Video recording device for vehicle and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KR101769102B1 (en) Vehicle operation record analysis system and method connected to server of insurance company by using the OBD and smart phone
EP2985738B1 (en) Engine state detection device
US8421864B2 (en) Operation management device to be mounted to a moving object,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operation management server, and computer program
CN105383416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on and logging of event data records
AU2021201884A1 (en) Networked Intoxication Vehicle Immobilization
JP6342858B2 (en) Driving evaluation device
CN105980209B (en) Vehicle control system
JP6773024B2 (en) Recording device, recor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7001146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te Collection of Sensor Data for Vehicle Trips with High-Integrity Vehicle Identification
CN103700160A (en) Motor vehicle onboard terminal based on microsensor and driving behavior judgment method
EP3656604B1 (en) Charging station monitoring system
US10713861B2 (en) Vehicle tracker for monitoring operation of a vehicle and method thereof
JP6339537B2 (en) Driving evaluation device
KR101098774B1 (en) Holding device for vehicle, detachable video recording device for vehicle and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KR101071153B1 (en)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verif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program for carrying out verification method
CN107274511A (en) A kind of vehicle checking method and vehicle detection apparatus based on smart machine
KR101445370B1 (en) Multi black box mounted mdr module
KR101498534B1 (en) Noticing system for car collisions being accummulated a mileage and method therefor
KR101134634B1 (en) Connecting housing for holding device for vehicle and detachable video recording device for vehicle
JP2019020859A (en) Recording image processing method, recording image process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system
JP2008221902A (en) Operating condition recording device
KR20110056845A (en) Method for determining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video recording device or holding device for vehicle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progra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10131111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ciding Accident of Vehicles
KR101237569B1 (en) Users driving pattern-reflected carbon dioxide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