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5240A - 원격조종무장 장치 - Google Patents

원격조종무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5240A
KR20110055240A KR1020090112181A KR20090112181A KR20110055240A KR 20110055240 A KR20110055240 A KR 20110055240A KR 1020090112181 A KR1020090112181 A KR 1020090112181A KR 20090112181 A KR20090112181 A KR 20090112181A KR 20110055240 A KR20110055240 A KR 20110055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armament
photographing apparatus
imag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일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2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5240A/ko
Publication of KR20110055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240A/ko

Links

Images

Landscapes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원격조종무장을 단일 운용전시기로 연동하여 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i) 운송체의 제1 방향을 바라보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1 방향을 중심으로 적어도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제1 촬영장치를 구비하는 제1 원격조종무장, (ii)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을 바라보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2 방향을 중심으로 적어도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제2 촬영장치를 구비하는 제2 원격조종무장, 및 (iii) 상기 제1 촬영 장치 및 상기 제2 촬영 장치로부터 각각 입력된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보여주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원격조종무장 및 상기 제2 원격조종무장을 선택적으로 구동 제어하도록 구성된 단일의 운용전시기를 포함하는 원격조종무장 장치를 제공한다.
함정, 원격조종무장, 연동

Description

원격조종무장 장치{Apparatus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operatively coupled remote control firearms}
본 발명은 원격조종무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해군 함정에 연동되게 구축되는 원격조종무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적함을 격침하기 위해 최신 해군 함정에는 로켓부터 기관총까지 다양한 화기가 장착된다. 최근 들어 해군 함정에 원격으로 화기 조종하고 사격을 할 수 있는 원격조종무장이 설치되는 추세이다.
함정에 장착된 무장의 원격조종을 위해서는 모든 방향에서 시야의 확보가 필요하고, 모든 방향에서의 무장 사각을 없앨 수 있도록 원격조종무장을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조종무장 장치는, 조타실이 전방과 후방을 분리하고 있어 조타실에서 후방은 시야가 가려져 함정의 운용이 쉽지 않고, 함정의 후방에 목표 출현시 함정을 180˚ 선회시켜야 하는데 해상에서 이를 수행하는데 시간이 소요되며, 전투 혼전 상황에서는 후방 쪽의 시계와 화력의 효과적인 운용을 위해 후방으로도 확장 운용되어야 한다는 점, 복수 개의 원격조종무장을 운용하기 위한 인원 및 장착공간의 문제 점 등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i) 운송체의 제1 방향을 바라보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1 방향을 중심으로 적어도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제1 촬영장치를 구비하는 제1 원격조종무장, (ii)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을 바라보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2 방향을 중심으로 적어도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제2 촬영장치를 구비하는 제2 원격조종무장, 및 (iii) 상기 제1 촬영 장치 및 상기 제2 촬영 장치로부터 각각 입력된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보여주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원격조종무장 및 상기 제2 원격조종무장을 선택적으로 구동 제어하도록 구성된 단일의 운용전시기를 포함하는 원격조종무장 장치가 개시된다.
이와 같이 단일 운용전시기의 한 화면을 통해 전방과 후방의 상황을 모두 파악할 수 있으므로 함정의 후방에 목표가 있는 상황이거나 전투 혼전 상황에서도 신 속하게 원격조종무장을 발사할 수 있다. 또한 단일 운용전시기로 적어도 두 개의 원격조종무장을 구동할 수 있으므로 1명의 운용자로 충분하고 그럼으로써 조타실의 공간 부족을 야기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원격조종무장은 수평 방향으로 제1 수평각 범위 및 수직 방향으로 제1 수직각 범위 내에서 선회 가능하며, 상기 제2 원격조종무장은 수평 방향으로 제2 수평각 범위 및 수직 방향으로 제2 수직각 범위 내에서 고저 가능하며, 상기 제1 원격조종무장 및 상기 제2 원격조종무장은 상기 제1 수평각 범위 및 상기 제2 수평각 범위는 중첩시켰을 때 적어도 360˚ 의 원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전방과 후방의 사각을 모두 없애 모든 방향으로의 시계 및 발사를 확보할 수 있어 전투 능력 및 작전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은 상기 화면에 주화면으로서 보여지고 다른 하나의 영상은 부화면으로서 상기 주화면의 내에서 주화면보다 작은 크기로 보여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 주화면에 입력되는 영상과 상기 부화면에 입력되는 영상은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화면 내에 전방과 후방의 영상을 모두 보여줌으로써 전방과 후방의 진행상황을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다. 특히 목표물이 있는 방향의 영상이 주화면에 나타나도록 선택함으로써 더욱 확실하게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촬영장치와 상기 제2 촬영장치는 주간 및 야간의 영상을 모두 촬영할 수 있는 촬영장치일 수 있다. 그러므로 24시간 함정 주위의 적들을 감시하고 대처할 수 있다.
상기 제1 촬영장치는 상기 운송체의 기저면에 평행한 수평 방향으로는 상기 제1 원격조종무장에 종속되게 함께 선회되고 수직 방향으로는 상기 제1 원격조종무장에 독립되게 고저 가능하다. 유사하게 상기 제2 촬영 장치는 상기 수평 방향으로는 상기 제2 원격조종무장에 종속되게 함께 선회되고 수직 방향으로는 상기 제2 원격조종무장에 독립되게 고저 가능하다. 화면의 수평 방향 이동에 따라 원격조종무장도 따라 움직이므로 신속하게 발사할 수 있다. 특히 원격조종무장에서 발사되는 탄의 궤적이 포물선임을 고려하여 촬영장치와 원격조종무장은 수직방향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록 원격조종무장이 위를 향하고 있더라도 목표물을 잘 보여준다.
상기 운용전시기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레이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이다에 포착된 표적의 좌표 위치가 상기 운용전시기에 전달되어 미리 결정된 운용 절차에 따라 상기 제1 원격조종무장 또는 상기 제2 원격조종무장을 구동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촬영 영상을 통해 육안으로 목표를 포착하는 것보다 목표 포착율은 높임으로써 감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레이다에 포착된 목표물을 지정하면 목표물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제1 원격조종무장이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조작자의 편의를 증가시켜 작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운용전시기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조이스틱 입력부를더 포함할 수 있다. 조이스틱 입력부로 주화면과 부화면 영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조이스틱 입력부로 원격조종무장을 조작함으로써 운용자의 편의를 증가시켜 작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원격조종무장 및 상기 제2 원격조종무장은 설정된 표적의 영상을 상기 제1 촬영장치 및 상기 제2 촬영장치로 촬영하여 저장한 후 저장된 영상을 추적함으로써 상기 표적을 자동으로 추적하도록 각각 구동 제어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운용자가 한번 표적을 지정하여 두면 원격조종무장이 자동으로 추적하기 때문에 운용자의 편의를 증가시켜 작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원격조종무장 및 상기 제2 원격조종무장은, 상기 운송체가 흔들리더라도 상기 제1 촬영장치 및 상기 제2 촬영장치에 입력되는 영상이 흔들리지 않도록, 각각 구동 제어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운용자가 용이하게 목표를 추적하고 사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조종무장 장치를 구비한 함정은 1명의 운용자가 단일의 운용전시기를 통하여 용이하게 사방을 감시하고 어느 방향에 있는 목표물에 대하여도 신속하게 사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조종무장 장치를 구비하는 함정(1)이 개략적인 도면이다. 일 방향으로 길이가 긴 함정(1)은 전방과 후방에 제1 원격조종무장(10)과 제2 원격조종무장(20)을 각각 장착한다. 즉, 이 실시예에서 제1 방향은 함정(1)의 전방을 가리키고 제2 방향은 함정(1)의 후방을 가리킨다. 함정(1) 의 중앙 위쪽에는 조타실(30)이 위치하며, 조타실(30)은 적어도 전방 및 측방을 관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원격조종무장(10)은 기관총과 같은 무장화기(11), 거치대(미도시), 제1 촬영장치(12)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제어부(100)를 구비한다.
거치대에는 여러 종류의 무장화기(11)가 호환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거치대는 구동부에 의하여 전방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의 고저 및 좌우 방향으로의 선회를 할 수 있다. 거치대에는 자이로 센서(110)가 장착될 수 있다. 자이로 센서(110)는 각속도를 측정함으로써 원격조종무장의 안정화 기능 또는 사격발수 카운트 기능을 수행한다. 즉, 파도에 의해 함정(1)이 흔들리면 흔들림을 자이로 센서(110)에 의하여 검출하고 이를 상쇄하도록 구동/제어부(100)는 거치대에 구동을 가함으로써 제1 원격조종무장(10) 및 제1 촬영장치(12)는 함정(1)의 흔들림에 불구하고 안정된 영상을 보여주고 사격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사격시의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검출함으로써 원격조종무장(10)의 사격 발수를 카운트 할 수 있다. 거치대에는 위치 센서(120)가 장착될 수 있다. 위치 센서(120)는 로터리 엔코더일 수 있다. 위치 센서(120)는 원격조종무장(10)의 초기 위치를 항상 0˚로 설정하기 위한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모터, 감속기어 등을 포함하고 있는 원격조종무장의 구동/제어부(100)에서 기어의 백래쉬(backlash) 등으로 인하여 초기 위치가 0˚로 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 촬영장치(12)는 무장화기(11)와 함께 선회 및 고저를 하도록 장착된다. 그럼으로써 화면의 수평 방향 이동에 따라 무장화기(11)가 따라 움직이므로 운용자 가 별도로 조작할 필요가 없이 신속하게 발사할 수 있다.
제1 촬영장치(12)는 무장화기(11)에 대하여 별도로 고저가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촬영장치(12)는 원격조종무장(10)이 선회 또는 고저를 함에 따라 함께 선회 및 고저를 할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고저 제어가 가능하다. 이는 무장화기(11)에서 발사되는 탄의 궤적이 포물선을 그리므로 촬영장치가 원격조종무장(10)과 함께 고저 선회를 할 경우 목표물을 잘 보여주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2 원격조종무장(20)도 기관총과 같은 무장화기(21), 거치대(미도시), 제2 촬영장치(22)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제어부(200)를 구비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제1 원격조종무장(10)에서와 동일하다.
도 2는 제1 원격조종무장(10) 및 제2 원격조종무장(20)의 수평 방향 선회 범위를 보여준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원격조종무장(10)은 전방의 기준선(L)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130˚범위에서 수평 방향 선회가 가능하다. 즉 제1 원격조종무장(10)은 전방의 260˚범위의 시계를 확보하고 사격을 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원격조종무장(20)도 후방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130˚범위에서 수평 방향 선회가 가능하다. 즉 제2 원격조종무장(20)은 후방의 260˚범위의 시계를 확보하고 사격을 할 수 있다. 제1 원격조종무장(10) 및 제2 원격조종무장(20)의 최대 선회각은 조타실(30)과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이 실시예의 경우, 각 방향 130˚ 이상으로 선회하면 탄 이 조타실(30)을 향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130˚ 로 제한하였다. 이 경우 조타실(30) 근처의 일정 영역(G)은 촬영장치가 장착된 원격조종무장이 커버할 수 없는 영역인 사각 지대가 된다. 그런데 이 사각 지대(G)는 함정(1)과 매우 가까운 거리이므로 큰 영향을 미치지 아니할 것이다. 또한 제1 원격조종무장(10)과 제2 원격조종무장(20)의 거리를 좁힘으로써 사각 지대(G)를 줄일 수 있다.
도 3은 주화면과 부화면이 동시에 보여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초기 상태에서는 제1 촬영장치(12)에서 촬영된 전방 영상이 주화면에 배치되고 제2 촬영장치에서 촬영된 후방 영상이 부화면에 배치된다. 물론 이 반대의 배치도 가능하다. 주화면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의 화면을 차지하고, 부화면은 주화면의 일정 부분, 특히 구석부에 작은 크기로 배치된다. 즉, 주화면 내에 부화면이 배치되는 PIP(picture in picture)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PIP 방식에서는 현재 보고 있는 채널을 바꾸지 않고도 다른 채널의 화면을 작게 표시해 준다.
이 실시예에서, 주화면에 나타나는 영상과 부화면에 나타나는 영상을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전방의 영상이 주화면에 나타나는 동안 적함이 아군 함정(1)의 후방으로 이동한 경우 운용자는 후방의 영상이 주화면에 나타나도록 하고 전방의 영상이 부화면에 나타나도록 스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하나의 화면에서 두 방향의 영상을 보여주면서도 주가 되는 영상이 항상 크게 나타나도록 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칭은 운용전시기(300) 내의 이미지 전환 버튼을 이용하거나 조이스틱 입력부(32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PIP 방식을 사용하면서 주/부화면을 선택적으로 절환시킬 수 있으므로 한명의 운용자가 충분히 한 대의 운용전시기(300)만으로 작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운용전시기(300)의 장착 공간을 절약하고 운용 인원의 수를 최소한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촬영장치(12)와 제2 촬영장치(22)는 주간 영상뿐만 아니라 야간 영상도 모두 촬영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촬영장치로서 일반 카메라와 열화상 카메라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간에는 일반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획득하고 야간에는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조종무장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조종무장 장치(10, 20)는 크게 운용전시기(300), 제1 원격조종무장의 구동/제어부(100) 및 제2 원격조종무장의 구동/제어부(200)를 구비한다. 운용전시기(300)는 제1 원격조종무장의 구동/제어부(100) 및 제2 원격조종무장의 구동/제어부(100)와 RS-422와 같은 통신을 통해 제어신호를 주고 받는다. 즉, 조타실(30)의 운용자는 운용전시기(300)를 통하여 제1 원격조종무장(10) 및 제2 원격조종무장(20)의 구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한명의 운용자로도 단일의 운용전시기(300)를 통하여 제1 원격조종무장(10) 또는 제2 원격조종무장(20)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운용 인원을 절감하고 전방 및 후방에서의 작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원격조종무장의 구동/제어부(100, 200)는 무장화기 사격부(130, 230) 및 거치대의 선회 모터(141, 241) 및 고저 모터(151, 251)에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선회 모터(141, 241) 및 고저 모터(151, 251)에 설치된 각각의 선회 리졸버(resolver)(141, 241) 및 고저 리졸버(151, 251)로부터 검출된 각각의 모터의 회전량 정보를 수신하여 모터의 2축 제어 및 안정화 제어에 이용한다. 특히, 선회 리졸버(141, 241) 및 고저 리졸버(151, 251)에 의하여 모터의 정밀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원격조종무장의 구동/제어부(100, 200)는 거치대에 설치된 자이로 센서(110, 210)로부터 나온 각속도 신호를 수신하여 원격조종무장(10, 20)의 안정화 제어 및/또는 사격발수 카운트 제어에 이용한다. 또한 원격조종무장의 구동/제어부(100, 200)는 거치대에 설치된 위치 센서(120, 220)에 의하여 거치대의 좌우 및 상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거치대에 장착된 무장화기(11)가 초기에 0°의 위치로 설정될 수 있게 하는 제어에 이용된다.
또한 각각의 원격조종무장의 구동/제어부(100, 200)는 촬영장치용 고저 모터(331, 341) 및 그 내부에 장착된 고저 리졸버(332, 342)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고저 모터(331, 341)를 제어하는 신호를 제공하며 고저 리졸버(332, 342)로부터 회전량 정보를 수신하여 모터의 정밀 제어에 이용한다. 촬영장치(12, 22)는 거치대에 무장화기(11, 21)와 함께 장착된다. 그러므로 촬영장치(12, 22)는 원격조종무장(10, 20)의 좌우 방향 선회 및 상하 방향 고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고저가 가능하다. 따라서 원격조종무장(10, 20)의 움직임에 따라 화면이 자동으로 움직이므로 운용자 편의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발사된 탄이 포물선의 궤적을 그리며 목표물로 전진함을 고려할 때 발사를 위하여 무장하기가 상 방을 향하는 경우에는 촬영장치(12, 22)는 독립적으로 고저 가능하므로 목표물을 놓치지 않고 추적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원격조종무장의 구동/제어부(100, 200)는 운용전시기(300)로부터 받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무장화기 사격부(130, 230)가 장착된 거치대의 2축 제어 및 안정화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운용자가 운용전시기(300)를 통해 원격조종무장을 운용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안정화 제어를 함으로써 함정(1)의 흔들림에 불구하고 영상이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운용자가 용이하게 목표를 감지하고 사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조종무장의 구동/제어부(100, 200)는 촬영장치(12, 22) 및 모터(141, 151, 331, 241, 251, 341)들을 이용하여 자동추적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자동추적기능은 운용자에 의해 지정된 목표물을 따라 원격조종무장(10, 20)이 자동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기능이다. 목표물의 지정은 조이스틱 입력부(320) 또는 운용전시기(300)에서 운용자가 할 수 있다. 자동추적을 위하여 촬영장치는 운용자가 목표물을 지정하면 목표물을 촬영하여 영상을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하고 목표물이 이동함에 따라 저장된 영상과 유사한 영상을 추출하여 이동 좌표를 구하고 그 이동 좌표에 따라 촬영장치(12, 22) 및 원격조종무장(10, 20)을 구동하게 된다.
운용전시기(300)에는 레이다(radar)(40)가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레이다(40)는 복수 개의 표적, 예를 들면 10개의 표적을 포착할 수 있다. 운용전시기(300)는 레이다(40)에 포착된 표적의 좌표 정보를 받아 미리 정해진 절차로 운용한다. 여기서 레이다로서 함정에 이미 구비된 일반 레이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미리 정해진 절차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운용자가 레이다(40)에 포착된 어느 하나의 표적을 목표물로 지정하면 표적의 거리 및 방위각과 같은 좌표 정보가 운용전시기(300)로 수신되고, 운용전시기(300)는 제1 또는 제2 원격조종무장(10, 20)이 수신된 좌표 정보를 추적하도록 명령을 내린다. 그러면 해당 원격조종무장(10, 20)의 촬영장치가 표적의 영상을 촬영하여 운용전시기(300)의 주화면에 보여주고 운용자가 자동화기 사격부(130)를 표적에 조준하여 사격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한다.
운용전시기(300)에는 조이스틱 입력부(320)가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조이스틱 입력부(320)는 주화면과 부화면 사이의 전환을 할 수 있게 하거나 촬영장치(12, 22)를 포함한 원격조종무장(10, 20)의 좌우 방향 선회 및 상하 방향 고저를 용이하게 해준다. 특히 조이스틱 입력부(320)의 버튼으로 주화면과 부화면간 화면 전환을 하고 조이스틱의 상하, 좌우 방향 조작에 의하여 원격조종무장(10, 2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한 명의 운용자가 전방 및 후방에서 거의 사각이 없이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 조이스틱 입력부(320)가 없는 실시예의 경우, 조이스틱 입력부(320)의 기능은 운용전시기(300)의 버튼들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운용자는 레이다(40)를 이용한 상기한 운용 절차를 이용하지 않고 운용전시기(300)나 조이스틱 입력부(320)를 이용하여 촬영장치(12, 22)에 의해 입력된 영상을 화면으로 보면서 직접 주화면과 부화면간 화면 전환을 수행하고 원격조종무장(10, 20)을 구동함으로써 작전을 수행할 수 도 있다.
지금까지는 전방과 후방의 제1 및 제2 방향에 제1 및 제2 원격조종무장(10, 20)이 장착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물론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함정(1)의 좌측 및 우측에 제3 및 제4 원격조종무장이 더 장착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화면이 1개의 주화면과 3개의 부화면으로 나뉘거나 4개의 동일한 화면으로 분할되게 보여질 수도 있다.
또한, 지금까지는 본 발명의 운송체를 해군 함정(1)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원격조종무장이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고 중앙에 운용실이 있는 모든 운송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원격조종무장 장치 또는 해군 함정을 제조 및 이용하는 산업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조종무장 장치를 구비하는 함정이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제1 원격조종무장 및 제2 원격조종무장의 수평 방향으로의 선회 범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주화면과 부화면이 동시에 보여지는 화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조종무장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함정 10: 제1 원격조종무장
11, 21: 무장화기 12, 22: 촬영장치
13, 23: 거치대 20: 제2 원격조종무장
40: 레이다 100, 200: 원격조종무장 구동/제어부
300: 운용전시기 320: 조이스틱 입력부

Claims (10)

  1. 운송체의 제1 방향을 바라보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적어도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제1 촬영장치를 구비하는 제1 원격조종무장;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을 바라보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적어도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제2 촬영장치를 구비하는 제2 원격조종무장; 및
    상기 제1 촬영 장치 및 상기 제2 촬영 장치로부터 각각 입력된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보여주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원격조종무장 및 상기 제2 원격조종무장을 선택적으로 구동 제어하도록 구성된 단일의 운용전시기;를 포함하는 원격조종무장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격조종무장은 수평 방향으로 제1 수평각 범위 및 수직 방향으로 제1 수직각 범위 내에서 선회 가능하며, 상기 제2 원격조종무장은 수평 방향으로 제2 수평각 범위 및 수직 방향으로 제2 수직각 범위 내에서 고저 가능하며, 상기 제1 원격조종무장 및 상기 제2 원격조종무장은 상기 제1 수평각 범위 및 상기 제2 수평각 범위는 중첩시켰을 때 적어도 360°의 원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원격조종무장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은 상기 화면에 주화면으로서 보여지고 다른 하나의 영상은 부화면으로서 상기 주화면의 내에서 상기 주화면보다 작은 크기로 보여지는 원격조종무장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에 입력되는 영상과 상기 부화면에 입력되는 영상은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는 원격조종무장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영장치와 상기 제2 촬영장치는 주간 및 야간의 영상을 모두 촬영할 수 있는 원격조종무장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영장치 및 상기 제2 촬영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고저가 가능하며, 상기 제1 촬영장치는 상기 운송체의 기저면에 평행한 수평 방향으로는 상기 제1 원격조종무장에 종속되게 함께 선회되고 수직 방향으로는 상기 제1 원격조종무장에 독립되게 고저 가능하며, 상기 제2 촬영 장치는 상기 수평 방향으로는 상기 제2 원격조종무장에 종속되게 함께 선회되고 수직 방향으로는 상기 제2 원격조종무장에 독립되게 고저 가능한 원격조종무장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전시기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레이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이다에 포착된 표적의 좌표 위치가 상기 운용전시기에 전달되어 미리 결정된 운용 절차에 따라 상기 제1 원격조종무장 또는 상기 제2 원격조종무장을 구동 제어하도록 구성된 원격조종무장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전시기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조이스틱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원격조종무장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격조종무장 및 상기 제2 원격조종무장는 설정된 표적의 영상을 상기 제1 촬영장치 및 상기 제2 촬영장치로 촬영하여 저장한 후 저장된 영상을 추적함으로써 상기 표적을 자동으로 추적하도록 각각 구동 제어되는 원격조종무장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격조종무장 및 상기 제2 원격조종무장는, 상기 운송체가 흔들리 더라도 상기 제1 촬영장치 및 상기 제2 촬영장치에 입력되는 영상이 흔들리지 않도록, 각각 구동 제어되는 원격조종무장 장치.
KR1020090112181A 2009-11-19 2009-11-19 원격조종무장 장치 KR20110055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181A KR20110055240A (ko) 2009-11-19 2009-11-19 원격조종무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181A KR20110055240A (ko) 2009-11-19 2009-11-19 원격조종무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240A true KR20110055240A (ko) 2011-05-25

Family

ID=44364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181A KR20110055240A (ko) 2009-11-19 2009-11-19 원격조종무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524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595B1 (ko) * 2012-12-27 2014-10-22 현대위아 주식회사 원격무장체계 및 그의 자동감시 방법
KR20170062801A (ko) * 2015-11-30 2017-06-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양방향 항해를 위한 통합 장치
US10247504B2 (en) 2014-10-08 2019-04-02 Thyssenkrupp Marine Systems Gmbh Military vessel
KR102567617B1 (ko) 2022-11-11 2023-08-17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함포 사격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595B1 (ko) * 2012-12-27 2014-10-22 현대위아 주식회사 원격무장체계 및 그의 자동감시 방법
US10247504B2 (en) 2014-10-08 2019-04-02 Thyssenkrupp Marine Systems Gmbh Military vessel
KR20170062801A (ko) * 2015-11-30 2017-06-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양방향 항해를 위한 통합 장치
KR102567617B1 (ko) 2022-11-11 2023-08-17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함포 사격 제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3548B2 (en) Operational control logic for harmonized turret with gimbaled sub-systems
US7921762B1 (en) Dual elevation weapon station and method of use
US4672435A (en) Observation and reconnaissance system for armored vehicles
US9052158B2 (en) Gun sight for use with superelevating weapon
KR101572896B1 (ko) 전차주변 전장상황인식 시스템
CA2774115C (en) Multi-weapons system
KR20110055240A (ko) 원격조종무장 장치
KR20100096518A (ko) 원격 사격 시스템
AU2015238173B2 (en) Armed optoelectronic turret
KR102054826B1 (ko) 원격 통제를 이용한 함포 수동 사격 시스템
KR102298623B1 (ko) Hmd를 활용한 전차의 상황인식시스템
KR20100084840A (ko) 원격 사격 시스템
KR101716177B1 (ko) 원격 제어 무장 장치
KR20220052765A (ko) 이동 플랫폼에 탑재된 원격무장시스템 및 이의 이동 표적 추적 방법
KR20190022091A (ko) 이동 로봇 기반의 소총 제어 시스템
JP7290733B2 (ja) 標的表示装置
KR20100103295A (ko) 감시 경계 로봇 시스템
KR20140026077A (ko) 원격 무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A70514A (en) "taifun" armored tower for battle vehicle "taifun" armored tower for battle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