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4965A - 원칩 배터리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원칩 배터리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4965A
KR20110054965A KR1020090111799A KR20090111799A KR20110054965A KR 20110054965 A KR20110054965 A KR 20110054965A KR 1020090111799 A KR1020090111799 A KR 1020090111799A KR 20090111799 A KR20090111799 A KR 20090111799A KR 20110054965 A KR20110054965 A KR 20110054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hip
discharge
battery protection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6565B1 (ko
Inventor
박만규
Original Assignee
에프엔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엔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프엔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1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565B1/ko
Publication of KR20110054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batteries; for accumul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4Overcurrent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H02J7/00718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보호장치를 하나의 반도체 칩으로 제작하여 부피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원칩 배터리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칩 배터리 보호장치는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에 따라 배터리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여 배터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터리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200)의 충방전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여 배터리 충방전 상태를 검출하는 배터리 보호회로(110)와, 상기 배터리(200)의 충방전 상태에 따른 상기 배터리 보호회로(11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200)의 충방전 동작을 온/오프 시키는 LDMOS(Laterally Diffused Metal Oxide Semiconductor)로 이루어진 제 1 스위치(121) 및 제 2 스위치(122)가 구비된 스위칭부(120)가 하나의 반도체 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터리, 보호회로, 보호장치, 원칩, 과충전, 과방전, 과전류, 단락, LDMOS(Laterally Diffused Metal Oxide Semiconductor)

Description

원칩 배터리 보호장치 {Battery Protection Circuit for One Chip}
본 발명은 배터리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보호장치를 하나의 반도체 칩으로 제작하여 부피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원칩 배터리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장치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데, 상용전원을 직접 공급받을 수 없는 이동형 전기장치는 2차 전지인 배터리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배터리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전기장치는 노트북, PDP, 휴대전화 등의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데, 근래에 들어 배터리가 과열로 인해 폭발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배터리 폭발 방지를 위한 보호장치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배터리 셀이 내장된 배터리 팩 내측에는 배터리 셀의 과충전, 과방전, 과전류, 단락 등으로부터 배터리 셀을 보호하여 배터리가 과열되거나 폭발하 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터리 보호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배터리 보호장치의 개념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배터리 보호장치에는 배터리의 상태를 검출하는 배터리 보호회로(Protect IC)(1)와, 상기 배터리 보호회로(1)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칭부(2)가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 보호회로(1)는 배터리의 상태, 예를 들면 전압 과충전, 전압 과방전, 방전 과전류, 충전 과전류, 단락(Short) 등을 감지하여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스위칭부(2)의 동작을 제어하는 집적회로이다. 상기 스위칭부(2)는 배터리 보호회로(1)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두 개의 반도체 스위칭 소자, 예를 들면 각각 과충전 방지 기능과 과방전 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두 개의 MOSFET 소자(MOSFET1, MOSFET2)로 이루어져,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온오프시키게 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배터리 보호장치는 배터리 보호회로(1)와 스위칭부(2)가 각각 별개의 반도체 칩으로 제작되는데, 이러한 배터리 보호장치를 완성하기 위하여 배터리 보호회로 칩과 스위칭부 칩을 PCB 보드에 각각 설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배터리 보호장치의 제작시 두 개의 반도체 칩을 각각 PCB 보드에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PCB 보드의 크기가 커지고 제작 과정이 복잡하며, 이에 따라 배터리 보호장치의 제작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배터리 보호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보호회로와 스위칭부를 하나의 반도체 칩으로 제작하여 배터리 보호장치의 크기를 줄이고 제작 과정을 단순화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원칩 배터리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칩 배터리 보호장치는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에 따라 배터리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여 배터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터리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여 배터리 충방전 상태를 검출하는 배터리 보호회로와, 상기 배터리(200)의 충방전 상태에 따른 상기 배터리 보호회로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의 충방전 동작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칭부가 하나의 반도체 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칭부는 배터리 보호회로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하는 제 1 스위치 및 배터리의 과방전을 방지하는 제 2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스위치 및 제 2 스위치는 LDMOS(Laterally Diffused Metal Oxide Semiconductor)로 이루어진다.
상기 LDMOS는 실리콘 기판 상부 표층 일측에 소오스 전극(Source)이 형성되고, 상기 실리콘 기판의 타측 상부 표층에 드레인 전극(Drain) 형성되며, 상기 소 오스 전극(Source)과 드레인 전극(Drain) 사이의 기판 표층 상부에 게이트 전극(Gate)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Gate)과 드레인 전극(Drain) 사이의 기판 상부 표층에는 높은 항복전압(breakdown voltage)과 낮은 온-저항(Ontesistance)을 얻기 위해 표면 전계를 감소시키는 RESURF(Reduced surface field) Implant 영역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 보호회로에는 배터리의 과충전 상태를 검출하는 과충전 검출부와, 상기 배터리의 과방전 상태를 검출하는 과방전 검출부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시 배터리에 과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검출하는 충전 과전류 검출부와, 상기 배터리의 방전시 배터리로부터 과전류가 유출되는 것을 검출하는 방전 과전류 검출부와, 회로의 단락에 따라 배터리의 방전 전류가 급증하는 것을 검출하는 단락 검출부와, 상기 각 검출부의 검출결과에 따라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칩 배터리 보호장치는 배터리 보호회로와 스위칭부를 하나의 반도체 칩으로 제작함으로써, 배터리 보호장치의 크기 및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소형으로 제작 가능하며, 제작 과정이 단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칩 배터리 보호장치의 개념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칩 배터리 보호장치(100)는 배터리(200)와 이 배터리(100)에 충전 전압을 공급하는 충전기 또는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는 부하 등 부하장치(Input or Output)(300) 사이에 위치하여 배터리(200)의 상태를 감시하여 배터리 상태에 따라 배터리(200)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반도체 칩이다.
이 원칩 배터리 보호장치(100)에는 배터리(100)의 과충전, 과방전, 방전 과전류, 충전 과전류, 단락(Short) 등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배터리 보호회로(110)와, 상기 배터리 보호회로(11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200)를 충방전시키는 스위칭부(120)가 하나의 반도체 칩으로 제작되어, PCB 보드에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원칩 배터리 보호장치(100)는 배터리(200)의 충전 전압 및 방전 전압이 기준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배터리(200)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정지시키고, 배터리(200)의 충전 전류 및 방전 전류가 기준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배터리(200)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정지시키게 되며, 회로에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검출하여 배터리(200)의 충방전 동작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칩 배터리 보호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칩 배터리 보호장치(100)는 배터리(200)의 상태를 검출하는 배터리 보호회로(110)와 상기 배터리 보호회로(11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200)의 충방전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칭부(120)가 하나의 반도체 칩으로 제작된다.
상기 배터리 보호회로(110)에는 배터리(200)의 충전 전압이 설정된 과충전 보호 전압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이를 검출하는 과충전 검출부(112)와, 배터리(200)의 방전 전압이 설정된 과방전 보호 전압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이를 검출하는 과방전 검출부(113)와, 배터리(200)의 전압이 충전 과전류에 의해 충전 과전류 보호 전압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이를 검출하는 충전 과전류 검출부(114)와, 배터리(200)의 전압이 방전 과전류에 의해 방전 과전류 보호 전압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이를 검출하는 방전 과전류 검출부(115)와, 회로의 단락에 따라 방전 전류가 급격히 증가하여 배터리(200)의 전압이 단락 보호 전압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이를 검출하는 단락 검출부(116)와, 상기 각 검출부의 검출결과에 따라 스위칭부(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11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위칭 제어부(111)는 과충전 검출부(112)로부터 검출되는 충전 전압이 설정된 과충전 보호 전압보다 큰 경우 스위칭부(120)를 제어하여 배터리(200)가 과충전 보호 전압 이상으로 충전되지 않도록 충전 전류를 차단하게 되고, 과방전 검 출부(113)로부터 검출되는 방전 전압이 설정된 과방전 보호 전압보다 작아지게 되면 스위칭부(120)를 제어하여 배터리(200)가 과방전 보호 전압 이하로 방전되지 않도록 방전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칭 제어부(111)는 충전 과전류 검출부(114)로부터 검출되는 전압이 충전 과전류 보호 전압보다 큰 경우 스위칭부(120)를 제어하여 배터리(200)의 충전 전류를 차단하게 되고, 방전 과전류 검출부(115)로부터 검출되는 전압이 방전 과전류 보호 전압보다 큰 경우 스위칭부(120)를 제어하여 배터리(200)의 방전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칭 제어부(111)는 단락 검출부(116)로부터 검출되는 전압이 단락 보호 전압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스위칭부(120)를 제어하여 방전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 스위칭부(120)는 배터리 보호회로(110)의 스위칭 제어부(111) 제어에 따라 배터리(200)의 충방전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칭 소자로서, 이 스위칭부(120)에는 배터리(200)의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200)의 충전을 차단하는 과충전 방지용 제 1 스위치(121)와, 배터리(200)의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200)의 방전을 차단하는 과방전 방지용 제 2 스위치(122)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2 스위치(121)(122)는 일반적으로 반도체 스위칭 소자인 MOSFET(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 ;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이 적용되는데, 이러한 FET 스위치 방식은 임의의 직류 전압을 얻을 수 있으며 손실이 작아 전력 변환 효율이 높고, 릴레이(Relay)를 이용한 스위치 방식보다 스위칭 속도가 빠른 효과가 있다. 도 4는 이러한 MOSFET 소자로 이루어지는 스위칭부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스위칭부(120)가 배터리 보호회로(110)와 원칩으로 이루어져 배터리 보호를 위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일반 MOSFET 소자와는 달리 빠른 스위칭 속도(high speed)와 높은 항복전압(high drain to source breakdown voltage)이 필요한데, 다음의 표 1은 배터리 보호장치의 원칩화를 위하여 배터리 보호에 요구되는 MOSFET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9070965774-PAT00001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 1의 특성을 만족하기 위한 반도체 스위칭 소자로 LDMOS(Laterally Diffused Metal Oxide Semiconductor ; 측면 확산 금속 산화막 반도체) FET 소자가 적용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LDMOS는 기존 MOSFET를 변형한 구조로 소오스(Source)와 드레인(Drain) 확산 사이가 채널영역과 표동영역(Drift region)으로 분리되어 높은 항복전압(Breakdown voltage) 특성을 나타내는 반도체 소자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의 LDMOS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부(120)의 제 1 스위치(121) 및 제 2 스위치(122)로 사용되는 LDMOS는 실리콘 기판(Si Bulk)(10) 상부 표층 일측에 소오스 전극(Source)(11)이 형성되고, 실리콘 기판(10)의 타측 상부 표층에 드레인 전극(Drain)(12)이 형성된다. 상기 소오스 전극(11)의 드레인 전극(12) 방향 일측에는 실리콘 기판(10)의 표층 상부로 돌출되는 게이트 전극(13)이 형성되는데, 이 게이트 전극(13)은 게이트 산화막(Gate Oxide)(13b) 상부에 게이트 폴리(Gate Poly)(13a)가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게이트 전극(13)과 드레인 전극(12) 사이의 기판(10) 상부 표층에는 표류영역에서 높은 항복전압(breakdown voltage)과 낮은 온-저항(On-tesistance)을 얻기 위해 표면 전계를 감소시키는 RESURF(Reduced surface field) Implant 영역(14)이 형성된다. 상기 RESURF Implant 영역(14)은 전영역에 걸쳐 도핑농도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RESURF의 도핑 방법으로는 UD-Resurf(Uniformly Doped RESURF) 기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LDMOS는 MOSFET의 제조 공정에서 RESURF Implant가 추가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공정비용 상승이 적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LDMOS를 스위칭 소자로 제작하여 제 1 스위치(121) 및 제 2 스위칭(122)로 구성하고, 이러한 두 개의 LDMOS가 제 1, 2스위치(121)(122)로 구성되는 스위칭부(120)를 배터리 보호회로(110)에 연결시켜 하나의 반도체 칩으로 제작함으로써 일반 로직(Logic) 공정에서 추가되는 공정을 줄여 반도체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 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배터리 보호회로의 개념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칩 배터리 보호장치의 개념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칩 배터리 보호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칩 배터리 보호장치의 스위칭부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부의 LDMOS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원칩 배터리 보호장치 110 : 배터리 보호회로
111 : 스위칭 제어부 112 : 과충전 검출부
113 : 과방전 검출부 114 : 충전 과전류 검출부
115 : 방전 과전류 검출부 116 : 단락 검출부
120 : 스위칭부 121 : 제 1 스위치
122 : 제 2 스위치 200 : 배터리
300 : 부하장치

Claims (4)

  1.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에 따라 배터리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여 배터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터리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200)의 충방전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여 배터리 충방전 상태를 검출하는 배터리 보호회로(110)와, 상기 배터리(200)의 충방전 상태에 따른 배터리 보호회로(11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200)의 충방전 동작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칭부(120)가 하나의 반도체 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칩 배터리 보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120)는
    상기 배터리 보호회로(11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배터리(200)의 과충전을 방지하는 제 1 스위치(121) 및 배터리(200)의 과방전을 방지하는 제 2 스위치(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스위치(121) 및 제 2 스위치(122)는 LDMOS(Laterally Diffused Metal Oxide Semiconductor)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칩 배터리 보호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LDMOS는
    실리콘 기판(10) 상부 표층 일측에 소오스 전극(Source)(11)이 형성되고, 상기 실리콘 기판(11)의 타측 상부 표층에 드레인 전극(Drain)(12)이 형성되며, 상기 소오스 전극(Source)(11)과 드레인 전극(Drain)(12) 사이의 기판 표층 상부에 게이트 전극(Gate)(1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Gate)(13)과 드레인 전극(Drain)(12) 사이의 기판 상부 표층에는 높은 항복전압(breakdown voltage)과 낮은 온-저항(Ontesistance)을 얻기 위해 표면 전계를 감소시키는 RESURF(Reduced surface field) Implant 영역(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칩 배터리 보호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보호회로(110)에는
    상기 배터리(200)의 과충전 상태를 검출하는 과충전 검출부(112)와, 상기 배터리(200)의 과방전 상태를 검출하는 과방전 검출부(113)와, 상기 배터리(200)의 충전시 배터리(200)에 과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검출하는 충전 과전류 검출부(114)와, 상기 배터리(200)의 방전시 배터리(200)로부터 과전류가 유출되는 것을 검출하는 방전 과전류 검출부(115)와, 회로의 단락에 따라 배터리(200)의 방전 전류가 급증하는 것을 검출하는 단락 검출부(116)와, 상기 각 검출부의 검출결과에 따라 스위칭부(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11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칩 배터리 보호장치.
KR1020090111799A 2009-11-19 2009-11-19 원칩 배터리 보호장치 KR101126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799A KR101126565B1 (ko) 2009-11-19 2009-11-19 원칩 배터리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799A KR101126565B1 (ko) 2009-11-19 2009-11-19 원칩 배터리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965A true KR20110054965A (ko) 2011-05-25
KR101126565B1 KR101126565B1 (ko) 2012-03-22

Family

ID=44364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799A KR101126565B1 (ko) 2009-11-19 2009-11-19 원칩 배터리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5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8972A1 (ko) 2011-08-04 2013-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의 과전류 보호 장치, 보호 방법 및 전지 팩
WO2018030636A1 (ko) * 2016-08-11 2018-02-15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배터리 팩
CN110571488A (zh) * 2019-09-30 2019-12-13 深圳市道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及汽车诊断平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5084B2 (ja) * 2000-12-06 2008-07-09 株式会社リコー 半導体装置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パック
KR200412109Y1 (ko) * 2006-01-13 2006-03-22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배터리 보호기능을 구비한 패키징 아이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8972A1 (ko) 2011-08-04 2013-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의 과전류 보호 장치, 보호 방법 및 전지 팩
WO2018030636A1 (ko) * 2016-08-11 2018-02-15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180017899A (ko) * 2016-08-11 2018-0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11114703B2 (en) 2016-08-11 2021-09-07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CN110571488A (zh) * 2019-09-30 2019-12-13 深圳市道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及汽车诊断平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6565B1 (ko)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38775B (zh) 电池保护电路和电池保护装置以及电池组
KR100943576B1 (ko) 배터리 팩
CN106169782B (zh) 电池保护集成电路、电池保护装置以及电池组
CN107925255B (zh) 电池保护电路模块及包括该模块的电池组
EP3657626B1 (en) Protection circuit for battery and power supply device provided with said protection circuit
US8593112B2 (en) Battery pack
JP2008283743A5 (ko)
CN101356706A (zh) 背栅极电压发生器电路、四端背栅极开关场效应晶体管及其充电和放电保护电路
KR20120025993A (ko)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KR100644310B1 (ko) 스위칭 소자 및 그것을 이용한 보호 회로
KR101126565B1 (ko) 원칩 배터리 보호장치
KR20160037098A (ko) 2차 전지 보호 회로 및 배터리 장치
CN106847749B (zh) 一种用于锂电保护的开关器件及其制作方法
CN101394080A (zh) 电池组保护装置
CN102403758B (zh) 充放电控制电路以及电池装置
JP2000102182A (ja) 2次電池の過充電・過放電防止回路
KR101089833B1 (ko) 전지 보호용 소프트 스타트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지팩
KR20070009252A (ko) 전압검출소자를 이용한 배터리팩용 보호회로모듈
CN105529690A (zh) 电池保护电路、电池保护装置、电池组以及电池保护方法
KR101746762B1 (ko) 배터리 보호회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10729242B (zh) 一种半导体开关器件及其制作方法
Sawada et al. Second-generation one chip li-ion battery protection IC with an asymmetric bidirectional trench lateral power MOSFET
KR101749246B1 (ko) 배터리 보호회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06920777B (zh) 一种用于锂电保护的开关器件及其制作方法
CN110729286B (zh) 一种包含静电保护结构的半导体开关器件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