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4290A - 로봇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컨트롤 및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로봇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컨트롤 및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4290A
KR20110054290A KR1020090110887A KR20090110887A KR20110054290A KR 20110054290 A KR20110054290 A KR 20110054290A KR 1020090110887 A KR1020090110887 A KR 1020090110887A KR 20090110887 A KR20090110887 A KR 20090110887A KR 20110054290 A KR20110054290 A KR 20110054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information
monitoring
management modul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5529B1 (ko
Inventor
정원민
탁형석
이재일
임경태
Original Assignee
(주)이산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산솔루션 filed Critical (주)이산솔루션
Priority to KR1020090110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529B1/ko
Publication of KR20110054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3Home robots, i.e. small robots for domestic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safety, monitoring, diagno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로봇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로봇 관리 시스템은 제1 및 제2 로봇, 제1 컨트롤 컴포넌트를 통해 상기 제1 로봇의 동작을 컨트롤하고 제1 모니터링 컴포넌트를 통해 상기 제1 로봇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제1 로봇 관리 모듈, 제2 컨트롤 컴포넌트를 통해 상기 제2 로봇의 동작을 컨트롤하고 제2 모니터링 컴포넌트를 통해 상기 제2 로봇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되, 제1 로봇 관리 모듈과 독립적인 제2 로봇 관리 모듈, 및 제1 로봇 관리 모듈과 제1 컨트롤 컴포넌트 및 제1 모니터링 컴포넌트를 공유하는 제1 로더 및 제2 로봇 관리 모듈과 제2 컨트롤 컴포넌트 및 제2 모니터링 컴포넌트를 공유하는 제2 로더를 포함하는 로봇 관리 센터를 포함한다.
컨트롤 컴포넌트, 모니터링 컴포넌트, 로봇 관리 시스템

Description

로봇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컨트롤 및 모니터링 방법{Robo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robo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로봇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 로봇별로 로봇을 컨트롤 및 모니터링하는 별도의 모듈을 구비한 로봇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분야 및 정보 통신 분야의 급속한 기술 발달로 인해 다양한 로봇들이 개발되어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강아지 형태의 애완견 로봇, 실내 청소를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청소용 로봇, 각종 관공서에서 민원인의 편의를 도모하고 사무 처리를 대신해 주는 로봇 등이 출시되고 있는데, 이처럼 현재의 로봇은 사용자의 제작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제작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로봇이 출시됨에 따라 이러한 다양한 로봇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대한 관심 역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로봇 관리 시스템은 로봇에 직접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통하거나 또는 로봇과 클라이언트 서버 프로그램 구조로 연결되어, 하나의 로봇 관리부(프로그램)에서 하나의 로봇 또는 같은 종류의 로봇만 관리가능한 구조였다. 이러한 종래의 로봇 관리 시스템이 다양한 종류의 로봇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개개의 로봇에 대해 수정이 필요할 때 마다 로봇 관리부 전체를 수정해야만 했다.
이에 다양한 로봇을 관리 하되 로봇 별로 독립적인 관리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만약 특정 로봇에 대해 수정이 필요할 경우 해당 로봇의 관리 모듈의 내용만 수정하면되는 효율적인 로봇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효율적이 로봇 관리가 가능한 로봇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로봇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로봇을 컨트롤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로봇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로봇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로봇 관리 시스템의 일 태양(aspect)은, 제1 및 제2 로봇, 제1 컨트롤 컴포넌트를 통해 상기 제1 로봇의 동작을 컨트롤하고 제1 모니터링 컴포넌트를 통해 상기 제1 로봇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제1 로봇 관리 모듈, 제2 컨트롤 컴포넌트를 통해 상기 제2 로봇의 동작을 컨트롤하고 제2 모니터링 컴포넌트를 통해 상기 제2 로봇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되, 제1 로봇 관리 모듈과 독립적인 제2 로봇 관리 모듈, 및 제1 로봇 관리 모듈과 제1 컨트롤 컴포넌트 및 제1 모니터링 컴포넌트를 공유하는 제1 로더 및 제2 로봇 관리 모듈과 제2 컨트롤 컴포넌트 및 제2 모니터링 컴포넌트를 공유하는 제2 로더를 포함하는 로봇 관리 센터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로봇 컨트롤 방법의 일 태양은 사용자로부터 로봇에 대한 컨트롤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소정의 메시지 타입으로 변환하고, 소정의 메시지 타입으로 변환된 컨트롤 정보를 로봇에 제공함으로써 로봇을 컨트롤하고, 로봇에 대한 컨트롤 결과를 제공받아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되, 소정의 메시지 타입으로 변환된 컨트롤 정보는 헤더와 바디를 포함하고, 헤더는 2바이트 크기의 식별자와 2바이트 크기의 버전 정보와 2바이트 크기의 바디 크기 정보와 2바이트 크기의 예약 정보를 포함하고, 바디는 XML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된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로봇 모니터링 방법의 일 태양은 로봇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XML 형식의 모니터링 정보로 변환하고, XML 형식으로 변환된 모니터링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 요청이 있 는 경우 저장된 모니터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되, XML 형식으로 변환된 모니터링 정보는 XML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된 로봇 식별 정보 및 모니터링 대상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관리 시스템의 경우 유연한 확장성을 가진 XML 기반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로봇을 컨트롤 및 모니터링하고, 개별 로봇에 대해 독립적인 로봇 관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개별 로봇에 대한 수정이 필요할 시 로봇 관리 센터와 같은 전체 시스템을 수정할 필요가 없으며, 개별 로봇 관리 모듈만 수정하면 되기 때문에 높은 확장성과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개별 로봇에 기존에 없는 기능을 추가함에 있어서도 개별 로봇 관리 모듈에만 추가하면 되기 때문에 로봇 관리 센터와 같은 전체 시스템에 추가해야 하는 일도 없게 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로봇을 큰 비용없이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 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는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로봇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로봇 관리 시스템은 로봇 관리 센터(5), 제1 로봇 관리 모듈(100), 제2 로봇 관리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로봇 관리 모듈(100)은 제1 로봇(300)을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로봇 관리 모듈(100)은 컨트롤 컴포넌트를 통해 제1 로봇(300)의 동작을 컨트롤하고, 모니터링 컴포넌트를 통해 제1 로봇(3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인사말 컴포넌트를 통해 제1 로봇(300)에 인사말 정보를 제공하여 제1 로봇(300)이 인사말을 출력하게 할 수 있다.
제2 로봇 관리 모듈(200)은 제2 로봇(400)을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로봇 관리 모듈(200)은 제1 로봇 관리 모듈(100)과 같이 각각의 컨트롤 컴포넌트, 모니터링 컴포넌트, 인사말 컴포넌트를 통해 제2 로봇(400)의 동작을 컨트롤하고,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제2 로봇(400)에 인사말을 출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로봇 관리 모듈(200)은 제1 로봇 관리 모듈(100)과 독립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로봇 관리 모듈(200)의 컨트롤 컴포넌트, 모니터링 컴포넌트, 인사말 컴포넌트는 제2 로봇(400)의 관리만을 위한 것이고, 제1 로봇 관리 모듈(100)의 컨트롤 컴포넌트, 모니터링 컴포넌트, 인사말 컴포넌트와는 별개의 독립적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로봇 관리 센터(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로봇 관리 모듈(100) 및 제2 로봇 관리 모듈(200)과 컨트롤 컴포넌트, 모니터링 컴포넌트 및 인사말 컴포넌트를 공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봇 관리 센터(5)는 제1 로봇 관리 모듈(100)과 컨트롤 컴포넌트, 모니터링 컴포넌트 및 인사말 컴포넌트를 공유하는 제1 로더(10) 및 제2 로봇 관리 모듈(200)과 컨트롤 컴포넌트, 모니터링 컴포넌트 및 인사말 컴포넌트를 공유하는 제2 로더(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로봇 관리 센터(5)는 컨트롤 컴포넌트, 모니터링 컴포넌트 및 인사말 컴포넌트를 제1 로봇 관리 모듈(100) 및 제2 로봇 관리 모듈(200)과 공유함으로써 제1 로봇 관리 모듈(100) 및 제2 로봇 관리 모듈(200)의 관리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로봇 관리 센터(5)는 사용자(1)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통합적으로 제1 로봇(300) 및 제2 로봇(400)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각 로봇 관리 모듈(100, 200)에 컨트롤 컴포넌트, 모니터링 컴포넌트, 인사말 컴포넌트가 포함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컴포넌트들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는 다른 기능(예를 들어, 로봇의 카메라 기능을 컨트롤하는 카메라 컴포넌트 등)을 수행하는 컴포넌트 가 추가된 로봇 관리 시스템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제1 로봇(300)과 제2 로봇(400)만 도시되어 있으나, 로봇의 수는 더 많을 수 있다. 즉, 도 1에서는 제1 로봇(300)과 기능과 역할이 다른 이종의 제2 로봇(400)을 하나의 예로써 든 것에 불과하고, 제3 로봇, 제4 로봇 등 기능과 역할이 다른 이종의 로봇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로봇이 더 추가될 경우 로봇 관리 모듈(100, 200) 및 로봇 관리 센터(5)의 로더(10, 20)는 로봇의 개수에 맞추어 더 추가될 수 있다.
다음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관리 시스템의 로봇 컨트롤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관리 시스템의 로봇 컨트롤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제2 로봇 관리 모듈(200)의 컨트롤 동작은 제1 로봇 관리 모듈(100)의 컨트롤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 할 수 있는바 여기서는 제1 로봇 관리 모듈(100)만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제1 로봇 관리 모듈(100)은 컨트롤 정보 생성부(102), 컨트롤 정보 전송부(104), 컨트롤 정보 DB(106)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정보 생성부(102)는 컨트롤 컴포넌트로부터 제1 로봇(300)의 동작에 대한 컨트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가 이동 명령을 내리면, 제1 로봇 관리 모듈(100)과 로봇 관리 센터(5)가 공유하는 컨트롤 컴포넌트의 이동 정보로부터 제1 로봇(300)의 이동 컨트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제1 로봇(300)의 이동 컨트롤 정보는 컨트롤 정보 전송부(104)에 제공될 수 있다.
컨트롤 정보 전송부(104)는 컨트롤 정보 생성부(102)로부터 생성된 컨트롤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제1 로봇(300)의 컨트롤 정보 수신부(302)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정보 생성부(102)로부터 이동 컨트롤 정보가 생성되면, 컨트롤 정보 전송부(104)는 HTTP, TCP/IP 또는 SOAP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이를 제1 로봇(300)의 컨트롤 정보 수신부(302)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 정보 전송부(104)는 컨트롤 정보 생성부(102)가 생성한 이동 컨트롤 정보를 도 3과 같은 소정의 메시지 타입으로 변환하여 제1 로봇(300)의 컨트롤 정보 수신부(302)에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메시지 타입으로 변환된 이동 컨트롤 정보는 헤더(510)와 바디(52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더(510)는 고정 크기로 8바이트(byte)이고, 2바이트 크기의 식별자(502)와 2바이트 크기의 버전 정보(504), 2바이트 크기의 바디(520) 크기 정보(506)와 2바이트 크기의 예약 정보(508)를 포함할 수있다. 여기서, 식별자(502)는 0xf0f0으로 채워질 수 있고, 버전 정보(504)는 패킷의 버전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바디(520) 크기 정보(506)는 바디(520)의 데이터 길이를 의미하며, 이 길이는 2바이트 크기의 IBM식 역워드 정수형 숫자로 채워질 수 있다. 예약 정보(508)는 모두 0으로 채워질 수 있다.
바디(520)는 XML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정보 생성부(102)가 생성한 이동 컨트롤 정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XML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되어 바디(520)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XML 형식의 문자열의 끝에는 반드시 NULL이 포함되어야 하고, 이 경우 헤더(510)의 바디 크기 정보(506)는 이러한 NULL까지 포함된 길이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컨트롤 정보 수신부(302)는 이와 같은 메시지 타입의 컨트롤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로봇 컨트롤러(304)에게 제공하고, 로봇 컨트롤러(304)는 해당 컨트롤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 정보 수신부(302)가 메시지 타입의 이동 컨트롤 정보를 수신하면 로봇 컨트롤러(304)는 이를 제공받아 제1 로봇(300)의 이동을 컨트롤 할 수 있다.
제1 로봇(300)이 컨트롤 되면, 컨트롤 정보 수신부(302)는 HTTP, TCP/IP 또는 SOAP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그 컨트롤 결과를 다시 컨트롤 정보 전송부(104)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 정보 전송부(104)는 제공 받은 컨트롤 결과를 컨트롤 정보 DB(106)에 저장하고, 제1 로봇 관리 모듈(100)이 로봇 관리 센터(5)와 공유하고 있는 컨트롤 컴포넌트를 통해 사용자(1)에게 전달할 수 있다. 즉, 사용자(1)는 로봇 관리 센터(5)를 통해 제1 로봇(300)의 동작을 컨트롤 할 수 있고, 그 결과를 다시 피드백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는 컨트롤 정보 DB(106)에 저장되는 바 언제든지 사용자(1)는 컨트롤 결과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관리 시스템의 로봇 모니터링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관리 시스템의 로봇 모니터링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제2 로봇 관리 모듈(200)의 모니터링 동작은 앞서 설명한 컨트롤 동작과 마찬가지로 제1 로봇 관리 모듈(100)의 모니터링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 할 수 있는바 여기서는 제1 로봇 관리 모듈(100)만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로봇(300)은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314) 및 모니터링 정보 송신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314)는 제1 로봇(300)에서 발생하는 오류나 이벤트와 같은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XML 형식의 모니터링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314)는 제1 로봇(300)에서 발생하는 오류나 이벤트와 같은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XML 형식의 모니터링 정보로 변환하고, 이를 모니터링 정보 송신부(312)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을 참조하면, XML 형식으로 변환된 모니터링 정보는 로봇 식별 정보(robotId) 및 모니터링 대상 정보(item)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봇 식별 정보(robotId)는 각 로봇을 식별하는데 이용되고, 모니터링 대상 정보(item)는 종류 식별 정보(id), 오류 및 이벤트 여부(type), 로그 저장 여부(bLogging) 등을 포함하여 모니터링 대상 로봇을 모니터링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정보 송신부(312)는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314)로부터 XML 형식으로 변환된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제1 로봇 관리 모듈(100)의 모니터링 정보 수신부(116)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모니터링 정보 송신부(312)는 HTTP, TCP/IP 또는 SOAP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XML 형식으로 변환된 모니터링 정보를 제1 로봇 관리 모듈(100)의 모니터링 정보 수신부(116)에 제공할 수 있다.
모니터링 정보가 제공되면 모니터링 정보 수신부(116)는 이를 모니터링 정보 DB(114)에 저장하고, 사용자(1)가 확인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정보 출력부(112)에 제공할 수 있다.
모니터링 정보 출력부(112)는 제1 로봇 관리 모듈(100)과 로봇 관리 센터(5)가 공유하는 모니터링 컴포넌트를 통해 사용자(1)에게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1)는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 정보는 모니터링 정보 DB(114)에 저장되므로 사용자(1)는 언제든지 원하는 시간에 로봇 관리 센터(5)를 통해 모니터링 정보를 요청하여 해당 로봇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관리 시스템의 로봇 인사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관리 시스템의 로봇 인사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제2 로봇 관리 모듈(200)의 인사말 동작은 앞서 설명한 컨트롤 및 모니터링 동작과 마찬가지로 제1 로봇 관리 모듈(100)의 인사말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 할 수 있는바 여기서는 제1 로봇 관리 모듈(100)만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로봇 관리 모듈(100)은 인사말 DB(122), 인사말 전송 부(124), 인사말 발생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1)가 로봇 관리 센터(5)와 제1 로봇 관리 모듈(100)이 공유하는 인사말 컴포넌트를 통해 인사말을 등록하면, 이는 인사말 DB(122)에 저장될 수 있다. 인사말 DB(122)에 인사말이 저장되면, 인사말 전송부(124)는 인사말 DB(122)에 저장된 인사말을 제1 로봇(300)에서 사용 가능한 도 8과 같은 XML 형식으로 변환하고 이를 제1 로봇(300)의 인사말 수신부(324)에 제공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XML 형식으로 변환된 인사말은 인사말 출력위치(dispalyLocationCode), 인사말 메시지(greetingText), 인사말 스케쥴 시작 시간(startTime) 및 인사말 스케쥴 종료 시간(endTime)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제1 로봇(300)의 인사말 수신부(324)는 이러한 XML 형식의 인사말을 제공 받으면 이를 해석하고, 해석된 결과를 인사말 표시부(322)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인사말 표시부(322)는 인사말 스케쥴 시작 시간에 맞추어 제1 로봇 관리 모듈(100)의 인사말 발생부(126)에 인사말 정보를 요청하게 되고, 인사말 발생부(126)는 이에 응답하여 인사말 DB(122)에 저장된 등록된 인사말을 제공하여 줌으로써, 제1 로봇(300)에 인사말이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관리 시스템의 경우 유연한 확장성을 가진 XML 기반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로봇을 컨트롤 및 모니터링하고, 개별 로봇에 대해 독립적인 로봇 관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개별 로봇에 대한 수정이 필요할 시 로봇 관리 센터와 같은 전체 시스템을 수정할 필요가 없으며, 개별 로봇 관리 모듈만 수정하면 되기 때문에 높은 확장성과 유연성 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개별 로봇에 기존에 없는 기능을 추가함에 있어서도 개별 로봇 관리 모듈에만 추가하면 되기 때문에 로봇 관리 센터와 같은 전체 시스템에 추가해야 하는 일도 없게 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로봇을 큰 비용없이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로봇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관리 시스템의 로봇 컨트롤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관리 시스템의 로봇 모니터링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관리 시스템의 로봇 인사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로봇 관리 센터 100: 제1 로봇 관리 모듈
200: 제2 로봇 관리 모듈 300: 제1 로봇
400: 제2 로봇

Claims (10)

  1. 제1 및 제2 로봇;
    제1 컨트롤 컴포넌트를 통해 상기 제1 로봇의 동작을 컨트롤하고 제1 모니터링 컴포넌트를 통해 상기 제1 로봇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제1 로봇 관리 모듈;
    제2 컨트롤 컴포넌트를 통해 상기 제2 로봇의 동작을 컨트롤하고 제2 모니터링 컴포넌트를 통해 상기 제2 로봇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되, 상기 제1 로봇 관리 모듈과 독립적인 제2 로봇 관리 모듈; 및
    상기 제1 로봇 관리 모듈과 상기 제1 컨트롤 컴포넌트 및 제1 모니터링 컴포넌트를 공유하는 제1 로더 및 상기 제2 로봇 관리 모듈과 상기 제2 컨트롤 컴포넌트 및 제2 모니터링 컴포넌트를 공유하는 제2 로더를 포함하는 로봇 관리 센터를 포함하는 로봇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봇 관리 모듈은 상기 제1 컨트롤 컴포넌트로부터 제1 컨트롤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컨트롤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제1 컨트롤 정보를 상기 제1 로봇에 제공하는 제1 컨트롤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로봇 관리 모듈은 상기 제2 컨트롤 컴포넌트로부터 제2 컨트롤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컨트롤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제2 컨트롤 정보를 상기 제2 로봇에 제공하는 제2 컨트롤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각 제1 및 제2 컨트롤 정보 전송부는 HTTP, TCP/IP 또는 SOAP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각 제1 및 제2 컨트롤 정보를 상기 각 제1 및 제2 로봇에 제공하는 로봇 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 및 제2 컨트롤 정보 전송부는 상기 각 제1 및 제2 컨트롤 정보를 소정의 메시지 타입으로 변환하여 상기 각 제1 및 제2 로봇에 제공하되,
    상기 소정의 메시지 타입으로 변환된 상기 각 제1 및 제2 컨트롤 정보는 헤더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헤더의 크기는 8바이트(byte)인 로봇 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2바이트 크기의 식별자와 2바이트 크기의 버전 정보와 2바이트 크기의 상기 바디 크기 정보와 2바이트 크기의 예약 정보를 포함하는 로봇 관리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XML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된 로봇 관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봇은 제1 모니터링 정보를 수집하여 XML 형식으로 변환하는 제1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 및 상기 XML 형식으로 변환된 제1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제1 로봇 관리 모듈에 제공하는 제1 모니터링 정보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로봇은 제2 모니터링 정보를 수집하여 XML 형식으로 변환하는 제2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 및 상기 XML 형식으로 변환된 제2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제2 로봇 관리 모듈에 제공하는 제2 모니터링 정보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각 제1 및 제2 모니터링 정보 송신부는 HTTP, TCP/IP 또는 SOAP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XML 형식으로 변환된 제1 및 제2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각 제1 및 제2 로봇 관리 모듈에 제공하는 로봇 관리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XML 형식으로 변환된 제1 및 제2 모니터링 정보는 XML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된 로봇 식별 정보, 모니터링 대상 정보를 포함하는 로봇 관리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봇 관리 모듈은 상기 제1 로더와 공유하는 제1 인사말 컴포넌트 및 상기 제1 인사말 컴포넌트로부터 인사말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XML 형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로봇에 제공하는 제1 인사말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로봇 관리 모듈은 상기 제2 로더와 공유하는 제2 인사말 컴포넌트 및 상기 제2 인사말 컴포넌트로부터 인사말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XML 형식으로 변 환하여 상기 제2 로봇에 제공하는 제2 인사말 전송부를 포함하는 로봇 관리 시스템.
  9. 사용자로부터 로봇에 대한 컨트롤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소정의 메시지 타입으로 변환하고,
    상기 소정의 메시지 타입으로 변환된 상기 컨트롤 정보를 상기 로봇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로봇을 컨트롤하고,
    상기 로봇에 대한 컨트롤 결과를 제공받아 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소정의 메시지 타입으로 변환된 상기 컨트롤 정보는 헤더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헤더는 2바이트 크기의 식별자와 2바이트 크기의 버전 정보와 2바이트 크기의 상기 바디 크기 정보와 2바이트 크기의 예약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XML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된 로봇 컨트롤 방법.
  10. 로봇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XML 형식의 모니터링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XML 형식으로 변환된 모니터링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된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XML 형식으로 변환된 모니터링 정보는 XML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된 로봇 식별 정보 및 모니터링 대상 정보를 포함하는 로봇 모니터링 방법.
KR1020090110887A 2009-11-17 2009-11-17 로봇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컨트롤 및 모니터링 방법 KR101115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887A KR101115529B1 (ko) 2009-11-17 2009-11-17 로봇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컨트롤 및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887A KR101115529B1 (ko) 2009-11-17 2009-11-17 로봇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컨트롤 및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290A true KR20110054290A (ko) 2011-05-25
KR101115529B1 KR101115529B1 (ko) 2012-02-27

Family

ID=44363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887A KR101115529B1 (ko) 2009-11-17 2009-11-17 로봇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컨트롤 및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5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7049A1 (ko) * 2015-02-24 2016-09-01 주식회사 한컴 응원 로봇을 이용한 응원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633B1 (ko) * 2015-04-08 2017-08-17 (주)이산솔루션 로봇을 이용한 공연 시스템
KR101768614B1 (ko) * 2015-04-08 2017-08-18 (주)이산솔루션 로봇 통합 공연을 위한 프로토콜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662B1 (ko) * 2004-12-30 2009-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용 데이터 포맷을 이용한 통신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107553A (ko) * 2007-06-07 2008-12-11 주식회사 케이티 지능형 로봇을 위한 능동형 서비스 원격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7049A1 (ko) * 2015-02-24 2016-09-01 주식회사 한컴 응원 로봇을 이용한 응원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5529B1 (ko) 2012-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862B1 (ko)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00106836A1 (en) Networked control system and device for a networked control system
US20090006522A1 (en) Integrated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for heterogeneous sensor networks
EP1469654A3 (en) Network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ist of controlled devices
KR20110014943A (ko)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서비스 QoS 제공방법
CN101167327A (zh) 通过移动应用程序访问多个数据源的系统和方法
JP2015501567A (ja) システム間の装置交換機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115529B1 (ko) 로봇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컨트롤 및 모니터링 방법
CN106097471A (zh) 一种即时保安巡更系统及方法
US20080136606A1 (en) Separable device for controlling node and sensor network node
CN106056691A (zh) 一种即时保安巡更系统
CN104378372B (zh) 用于在网络中通信的电子设备和操作电子设备的方法
CN215149120U (zh) 一种机器人控制系统
CN101917464A (zh) 一种网络化多机器人系统
CN102073344A (zh) 具有无线模块的刀片服务器管理模块以及刀片服务器系统
JP2013207705A (ja) 制御装置
CN102238198A (zh) 智能设备远程状态自动报告系统及方法
KR101536350B1 (ko) 유무선 센서네트워크 기반 생산자원 자율 관리시스템
CN202190121U (zh) 一种用于电网设备的监控系统
CN103199902B (zh) 访问蓝牙设备的方法及系统
CN105610678A (zh) 一种信息交互的方法、装置及系统
CN114679472A (zh) 通信系统、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1911359B1 (ko) 저전력 블루투스 어댑터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교환 시스템
KR101204236B1 (ko)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CN102621947A (zh) 在线监控自动数据采集传输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