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2291A - 휴대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및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및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2291A
KR20110052291A KR1020090109271A KR20090109271A KR20110052291A KR 20110052291 A KR20110052291 A KR 20110052291A KR 1020090109271 A KR1020090109271 A KR 1020090109271A KR 20090109271 A KR20090109271 A KR 20090109271A KR 20110052291 A KR20110052291 A KR 20110052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ing
content
broadcast
service
broadcas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동환
서정욱
김현우
서은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9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2291A/ko
Priority to US12/945,107 priority patent/US20110113456A1/en
Publication of KR20110052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22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12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errestrial transmission, e.g. DVB-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및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서비스 중인 방송 컨텐츠에 대한 재생위치의 이동이 요청되는 과정과,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며 상기 재생위치의 이동이 요청된 방송 컨텐츠에 대응되는 스트리밍 컨텐츠의 존재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존재가 확인되는 스트리밍 컨텐츠를 상기 이동 요청된 재생위치부터 스트리밍하여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휴대단말기, 디지털 방송 서비스, 스트리밍 서비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및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METHOD FOR PROVIDING DIGITAL BROADCASTING AND STREAMING SERVICE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및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환경이 점점 발달함에 따라, 음성 통화에만 머무르던 휴대단말기의 사용 영역이 점차 다양화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DMB 또는 DVB-H와 같은 디지털 방송을 휴대단말기에서 이용하는 것은 일반화되어 가는 추세에 있다. 한편, 3세대(3G) 이동통신과 같은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비디오 클립, 방송 컨텐츠 및 미디어 컨텐츠 등을 다운로드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리밍(streaming) 서비스도 활발하게 보급되고 있다.
한편, 디지털 방송은 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컨텐츠를 저렴하게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시청중인 방송 컨텐츠의 재생위치를 특정 위치로 이동하여 이용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와 반면에, 스트리밍 서비스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스트리밍 컨텐츠를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손쉽게 다운로드 하고 원하는 재생위치로 손쉽게 이동하여 스트리밍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스트리밍 컨텐츠의 이용 비용이 비싼 측면이 있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 서비스와 스트리밍 서비스의 장단점을 서로 보완하여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서비스와 스트리밍 서비스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및 스트리밍 서비스를 편리하면서도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및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디지털 방송 서비스 중인 방송 컨텐츠에 대한 재생위치의 이동이 요청되는 과정과,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며 상기 재생위치의 이동이 요청된 방송 컨텐츠에 대응되는 스트리밍 컨텐츠의 존재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존재가 확인되는 스트리밍 컨텐츠를 상기 이동 요청된 재생위치부터 스트리밍하여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재생위치를 이동하여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종래 디지털 방송 서비스의 단점을 보완하고, 이용 요금이 비싼 스트리밍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함에 있어서, 방송 컨텐츠는 방송 서버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들을 의미하며 스트리밍 컨텐츠는 스트리밍 서버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들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로서,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키입력부(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로 구성된다.
무선 송수신부(23)는 휴대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며, RF부와 모뎀(MODEM)을 포함한다. RF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은 송신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RF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부(23)는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스트리밍 서버(미도시)와 통신 채널을 형성한 후에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서비스되는 소정의 스트리밍 컨텐츠를 스트리밍(예를 들어, 수신)받을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코덱(Codec)을 구성할 수 있으며, 코덱은 데이터 코덱과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데이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고, 오디오 코덱은 음성과 멀티미디어 파일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25)는 모뎀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모뎀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30)는 롬(ROM)과 램(RAM)으로 구성된다. 메모리부(30)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부팅을 위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50)는 영상신호 및 사용자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하거나 통화수행과 관련된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또는 AM 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LCD, OLED 또는 AM OLE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50)는 키입력부(27)와 함께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50)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여 키입력부(27)와 함께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부(60)는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디지털 방송(예를 들어, DMB 또는 DVB-H 등)의 방송 컨텐츠에 대한 방송 프레임을 수신하여 복조하고, 복조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프레임을 제어부(10)로 출력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 수신부(60)는 수신된 방송 프레임을 디엠비 방송 스트림으로 복조하기 위한 복조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0)는 멀티미디어부를 포함하는데, 멀티미디어부는 채널 주파수의 세팅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채널의 디지털 방송 신호(예를 들어, 방송 컨텐츠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고, 디지털 방송 수신부(60)의 복조부에서 방송 스 트림을 역다중화하여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과 영상 데이터 스트림으로 분류하고,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 및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복호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60)에서 복조되어 출력된 소정 방송 컨텐츠의 방송 스트림을 디코딩한 후에 비디오 신호처리부(미도시) 및 오디오 신호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오디오처리부(25) 및 표시부(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및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3 및 도 4는 각각 휴대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및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제 1 예시도 및 제 2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디지털 방송 서비스 중인 방송 컨텐츠에 대한 재생위치의 이동이 요청되면(S201), 제어부(10)는 재생위치의 이동이 요청된 방송 컨텐츠에 대응되는 스트리밍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확인한 후에(S202), 재생위치의 이동이 요청된 재생위치부터 스트리밍 컨텐츠를 스트리밍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한다(S203).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통한 방송 컨텐츠는 재생위치를 이동하여 서비스 받는(예를 들어, 시청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방송 컨텐츠에 대한 재 생위치의 이동이 사용자로부터 요청될 경우에 제어부(10)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응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S201 단계에서 재생위치의 이동이 요청된 방송 컨텐츠에 대응되는 스트리밍 컨텐츠(예를 들어, 방송 컨텐츠와 동일한 스트리밍 컨텐츠)가 스트리밍 서비스에서도 제공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이후, 제어부(10)는 방송 컨텐츠에 대응되는 스트리밍 컨텐츠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서버로부터 방송 컨텐츠의 수신을 중단하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버(미도시)로부터 해당 스트리밍 컨텐츠를 S201 단계에서 이동 요청된 재생위치부터 스트리밍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재생위치를 이동하여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종래 디지털 방송 서비스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 때, 방송 컨텐츠에 대응되는 스트리밍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것은, 관련 정보(예를 들어, 스트리밍 컨텐츠의 존재 유무 또는 링크 정보)가 EPG 또는 ESG와 같은 디지털 방송 정보 내의 특정 필드(예를 들어, 유휴 필드)에 삽입되어 제공되거나, 방송 사업자 또는 이동통신 사업자 또는 컨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 CP)에 의해 제공되어 제어부(10)가 이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3의 (a) 및 (b)를 통해 다시 한번 설명하면, 사용자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10의 마커(marker)로 표시된 재생위치에서 디지털 방송 서비스의 방송 컨텐츠(예를 들어, 애니메이션)를 시청하는 도중에 310a 또는 310b의 마커로 표시된 재생위치로 재생위치를 이동하도록 요청(예를 들어, 310의 마커를 310a 또는 310b의 마커 위치로 이동시키는 키입력 또는 터치입력)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제어부(10)는 해당 애니메이션에 관한 방송 컨텐츠와 대응되는 스트리밍 컨텐츠의 존재를 확인하고, 대응 스트리밍 컨텐츠가 존재하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20의 재생위치부터 스트리밍 컨텐츠를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스트리밍하여 표시부(50) 및 오디오 처리부(25)를 통해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방송 컨텐츠에 대응되는 스트리밍 컨텐츠가 없을 경우에 제어부(10)는 S202-1 단계와 같이 알림메시지(예를 들어, 시각/청각/진동 정보 등을 이용하여)를 출력하여 재생위치를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함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제어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0)는 스트리밍 서비스 중인 스트리밍 컨텐츠에 대응되는 방송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S204), 스트리밍 컨텐츠의 전체 재생구간 중에서 방송 컨텐츠의 서비스가 가능한 재생위치를 표시하고(S205), 표시된 재생위치로 재생위치를 이동하도록 요청되면(S206), 표시된 재생위치부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한다(S207).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스트리밍 컨텐츠를 스트리밍하여 재생하면서, 스트리밍 컨텐츠와 대응되는 방송 컨텐츠(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 서비스되는)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사용자의 요청이 없더라도 스트리밍 컨텐츠와 대응되는 방송 컨텐츠의 존 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관련 정보(예를 들어, 방송 컨텐츠의 존재 유무 또는 링크 정보)가 스트리밍 컨텐츠의 특정 헤더에 삽입되어 제공되거나, 방송 사업자 또는 이동통신 사업자 또는 컨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 CP)에 의해 제공되어 제어부(10)가 이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스트리밍 컨텐츠에 대응되는 방송 컨텐츠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 제어부(10)는 스트리밍 컨텐츠의 전체 재생구간 중에서 대응되는 방송 컨텐츠의 서비스가 가능한 재생위치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방송 컨텐츠의 서비스가 가능한 재생위치로의 이동이 요청되면, 제어부(10)는 스트리밍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중단하고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서버(미도시)로부터 해당 방송 컨텐츠를 S206 단계에서 이동 요청된 재생위치부터 수신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사용 요금이 비싼 스트리밍 컨텐츠 대신에 사용 요금이 저렴한 방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일한 컨텐츠(서로 대응되는 스트리밍 컨텐츠 및 방송 컨텐츠)를 이용함에 있어서, 스트리밍 컨텐츠 대신에 사용 요금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방송 컨텐츠로 대체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4의 (a)를 통해 다시 한번 설명하면, 사용자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410의 마커로 표시된 재생위치에서 스트리밍 서비스의 스트리밍 컨텐츠를 시청하는 도중에, 제어부(10)는 스트리밍 컨텐츠와 대응되는 방송 컨텐츠의 존재를 확인하여 대응 방송 컨텐츠가 존재하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420의 마 커로 표시된 재생위치부터 디지털 방송 서비스의 방송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음(예를 들어, 방송 컨텐츠는 현재 420의 마커로 표시된 재생위치에 대응되는 재생지점이 방송되고 있음)을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420의 마커로 표시된 재생위치로의 재생위치 이동이 요청(예를 들어, 410의 마커를 420의 마커 위치로 이동시키는 키입력 또는 터치입력)되면, 제어부(10)는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중지하고,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서버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420이 마커로 표시된 재생위치부터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변형에 관한 것으로 방송 컨텐츠를 미리 저장한다는 점에서 도 4의 (a)를 통해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구별된다. 즉, 스트리밍 컨텐츠에 대응되는 방송 컨텐츠가 존재하는 것이 확인될 경우, 제어부(10)는 소정의 재생구간(예를 들어, 3:00분부터 3:30분까지의 30초)동안 방송 컨텐츠를 미리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를 430과 같은 마커로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430의 마커로 표시된 재생위치로의 재생위치 이동이 요청되면, 제어부(10)는 미리 저장된 방송 컨텐츠를 이동 요청된 재생위치부터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410의 마커를 430의 마커의 중간 지점(3:15)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요청(키입력 또는 터치 입력)하였을 경우, 제어부(10)는 3:15분의 중간 지점부터 미리 저장된 방송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10)는 440과 같이 도시된 나머지 재생구간도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재생이 필요할 경우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및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3은 휴대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및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제 1 예시도.
도 4는 휴대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및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제 2 예시도.

Claims (6)

  1. 휴대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및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서비스 중인 방송 컨텐츠에 대한 재생위치의 이동이 요청되는 과정과,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며 상기 재생위치의 이동이 요청된 방송 컨텐츠에 대응되는 스트리밍 컨텐츠의 존재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존재가 확인되는 스트리밍 컨텐츠를 상기 이동 요청된 재생위치부터 스트리밍하여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및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하여 재생중인 스트리밍 컨텐츠에 대응되는 방송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대응되는 방송 컨텐츠가 존재하면, 상기 스트리밍하여 재생중인 스트리밍 컨텐츠의 전체 재생구간 중에서 상기 대응되는 방송 컨텐츠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재생위치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및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재생위치로 재생위치의 이동이 요청되면, 상기 표시된 재생위치부터 상기 방송 컨텐츠를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및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하여 재생중인 스트리밍 컨텐츠에 대응되는 방송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대응되는 방송 컨텐츠가 존재하면 소정의 재생구간 동안 상기 대응되는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미리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및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하여 재생중인 스트리밍 컨텐츠의 전체 재생구간과 상기 소정의 재생구간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및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소정의 재생구간으로의 재생위치 이동이 요청되면, 이동이 요청된 소정의 재생구간부터 상기 미리 저장된 방송 컨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및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90109271A 2009-11-12 2009-11-12 휴대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및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11005229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271A KR20110052291A (ko) 2009-11-12 2009-11-12 휴대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및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US12/945,107 US20110113456A1 (en) 2009-11-12 2010-11-12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and streaming service in a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271A KR20110052291A (ko) 2009-11-12 2009-11-12 휴대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및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291A true KR20110052291A (ko) 2011-05-18

Family

ID=43975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271A KR20110052291A (ko) 2009-11-12 2009-11-12 휴대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및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113456A1 (ko)
KR (1) KR201100522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18858B2 (en) 2017-09-01 2022-08-16 Roku, Inc. Interactive content when the secondary content is server stitched
US11234060B2 (en) * 2017-09-01 2022-01-25 Roku, Inc. Weave streaming content into a linear viewing experien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2942B1 (en) * 2006-02-28 2011-06-14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trick-play functions
US20080155585A1 (en) * 2006-12-22 2008-06-26 Guidework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viewing substitute media while fast forwarding past an advertis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13456A1 (en)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7916B2 (en) Metadata display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broadcast receiver
US20090013363A1 (en) Broadcast system and broadcast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KR101036737B1 (ko) 모바일 장치로 줌잉 피처를 제공하는 방법 및 줌잉 피처를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
US8407749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8677420B2 (en) Personal monitoring and information apparatus
KR100713505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선호 채널 공유 방법
KR100827103B1 (ko) 디지털 비디오 방송 단말기에서 파일 다운로드 정보 표시장치 및 방법
US7551918B2 (en) Mobile device control of mobile television broadcast signals to multiple destinations
US20070099560A1 (en) Mobile device control of mobile television broadcast signals to alternate destinations
US201002420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bining information content from data transmission network with television signal
KR20100050184A (ko) Dvb-h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자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86143B1 (ko) 방송 콘텐츠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20110052291A (ko) 휴대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및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US8055242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cessing broadcasting application in digital broadcasting
US20150312637A1 (en) Managing delivery of video content to provide a "return to program" notification
TW201409997A (zh) 廣告嵌入系統、方法及其記錄媒體
US20160182951A1 (en) Automatic "return to program" feature for a video delivery system
KR20050052538A (ko) 방송에서 사용자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713448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디지털 방송 출력 방법
KR101462279B1 (ko) Iptv에서의 시청 예약 설정 장치 및 방법
JP2007150443A (ja) 番組配信システム
KR100609161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컨텐츠 이용방법
KR100723714B1 (ko) 대기모드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을 가이드하기위한 방법
JP2005333369A (ja) 端末装置、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更新方法、コンテンツ更新プログラム
KR100800872B1 (ko)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단말기의 esg 업데이트 알림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