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2189A -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2189A
KR20110052189A KR1020090109131A KR20090109131A KR20110052189A KR 20110052189 A KR20110052189 A KR 20110052189A KR 1020090109131 A KR1020090109131 A KR 1020090109131A KR 20090109131 A KR20090109131 A KR 20090109131A KR 20110052189 A KR20110052189 A KR 20110052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chnology
candidate
level
accessibility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선
최윤정
한혁
김강회
노현숙
김찬호
박경석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09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2189A/ko
Publication of KR20110052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21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은 복수의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후보기술 데이터베이스,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분석하고, 기술 평가를 위한 복수의 평가 항목의 각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평가 항목 별 기술 수준을 결정하는 기술수준 분석부,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일부의 기술 수준이 평가 항목의 필터링 기준에 미달되는 경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일부를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에서 배제하는 후보기술 필터링부, 후보기술 필터링부에 의해 일부가 배제된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평가 항목 중 두 개에 근거한 매트릭스 분석 기법을 통해 분류하는 매트릭스 분석부, 및 분류된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매트릭스 내 위치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정리하고, 그룹 각각에 연구개발의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우선순위 선정부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유망 연구개발 과제 발굴을 위한 프로세스를 체계화할 수 있으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분석 및 평가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분석 및 평가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유망 기술, 매트릭스 분석, 우선 순위

Description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PROMISING RESEARCH AND DEVELOPMENT THEME AND RECORD MEDIA RECORDED WITH PROGRAM REALIZ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망 연구개발 과제 발굴은, 주로 기술 전문가들의 주관적, 정성적 판단에 의존하여, 기술성 및 성장성에 초점을 둔 스크리닝 방법론에 의해 수행되었다.
국내외의 기술평가 기관들에 의해 기술 평가의 객관적인 지표를 활용하여 유망 연구개발 과제를 발굴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졌으나, 이러한 시도 역시 기술 평가의 각 지표를 개별적으로 활용하는 정도에 머물러 있을 뿐, 지표들 간의 상호 관계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유망 연구개발 과제의 도출을 위한 의사 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정도의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다수의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들을 다수의 평가 지표에 따라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하는 통합적 스크리닝 과정을 통해 유망 연구개발 과제를 선정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정량화된 다수의 평가 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분석 및 평가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하고, 분석 및 평가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후보기술 데이터베이스(database),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분석하고, 기술 평가를 위한 복수의 평가 항목의 각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평가 항목 별 기술 수준을 결정하는 기술수준 분석부,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일부의 기술 수준이 평가 항목의 필터링(filtering) 기준에 미달되는 경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일부를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에서 배제하는 후보기술 필터링부, 후보기술 필터링부에 의해 일부가 배제된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평가 항목 중 두 개에 근거한 매트릭스(matrix) 분석 기법을 통해 분류하는 매트릭스 분석부, 및 분류된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매트릭스 내 위치에 따라 복수의 그룹(group)으로 정리하고, 그룹 각각에 연구개발의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우선순위 선정부를 포함하는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 스템이 제공된다.
복수의 평가 항목은, 타분야 활용 가능성의 평가를 위한 기술확장성 항목, 기술 발전 성숙도의 평가를 위한 기술수명주기 항목, 및 기술 확보 용이성의 평가를 위한 기술접근성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수준 분석부는, 기술확장성 항목의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기술 수준 중 타분야 활용 수준을 '상', '중' 및 '하'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기술확장성 분석부, 기술수명주기 항목의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기술 수준 중 기술 성숙도 수준을 '도입기', '성장기' 및 '쇠퇴기'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기술수명주기 분석부, 및 기술접근성 항목의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기술 수준 중 기술 접근성 수준을 '상', '중' 및 '하'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기술접근성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국내대학 및 공공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공기술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공공기술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접근성 분석부는, 공공기술을 기술 개발의 완성도에 따라 기술 개발이 완료된 기술과 기술 개발 중인 기술로 구분하고, 연구개발 대상 후보 기술과 대응되는 공공기술의 존재 여부 및 기술 개발의 완성도를 기술접근성 항목의 평가 기준으로 설정하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과 대응되는 공공기술이 기술 개발이 완료된 기술인 경우 '상',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과 대응되는 공공기술이 기술 개발 중인 기술인 경우 '중',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과 대응되는 공공기술이 부존재하 는 경우 '하'로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기술 접근성 수준을 각각 결정할 수 있다.
후보기술 필터링부는,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일부의 기술 수준 중 기술 성숙도 수준이 평가 항목 중 기술수명주기 항목의 필터링 기준에 미달되는 경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일부를 배제할 수 있다.
매트릭스 분석부는, 평가 항목 중 기술접근성 항목 및 기술확장성 항목에 근거한 매트릭스 분석 기법을 통해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분류할 수 있다.
후보기술 필터링부는,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평가 항목 중 기술수명주기 항목 및 기술확장성 항목에 근거한 매트릭스 분석 기법을 통해 분류하여,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기술 성숙도 수준이 '쇠퇴기'인 일부를 배제하는 제1 매트릭스 필터링부, 및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평가 항목 중 기술수명주기 항목 및 기술접근성 항목에 근거한 매트릭스 분석 기법을 통해 분류하여,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기술 성숙도 수준이 '쇠퇴기'인 일부를 배제하는 제2 매트릭스 필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순위 선정부는, 매트리스 분석 기법에 따라 기술 접근성 수준과 타분야 활용 수준이 모두 '상'인 경우의 그룹에 대하여 1순위를 부여하고, 기술 접근성 수준과 타분야 활용 수준이 모두 '중'인 경우와, 기술 접근성 수준과 타분야 활용 수준 중 어느 하나는 '중'이고 다른 하나는 '상'인 경우를 포함하는 그룹에 대하여 2순위를 부여하며, 기술 접근성 수준과 타분야 활용 수준 중 어느 하나가 '하'인 경우의 그룹에 대하여 3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우선순위 선정부는, 기술 접근성 수준과 타분야 활용 수준이 모두 '하'인 경우의 그룹을 순위 선정에서 배제할 수 있다.
기술수준 분석부에 의해 결정된 기술 수준 관련 정보가 각각 저장되는 기술수준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술수준 데이터베이스는, 타분야 활용 수준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기술확장성 데이터베이스, 기술 성숙도 수준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기술수명주기 데이터베이스, 및 기술 접근성 수준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기술접근성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후보기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복수의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b)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분석하고, 기술 평가를 위한 복수의 평가 항목의 각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평가 항목 별 기술 수준을 결정하는 단계, (c)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일부의 기술 수준이 평가 항목의 필터링 기준에 미달되는 경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일부를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에서 배제하는 단계, (d) 일부가 배제된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평가 항목 중 두 개에 근거한 매트릭스 분석 기법을 통해 분류하는 단계, 및 (e) 분류된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매트릭스 내 위치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정리하고, 그룹 각각에 연구개발의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방법이 제공된다.
복수의 평가 항목은, 타분야 활용 가능성의 평가를 위한 기술확장성 항목, 기술 발전 성숙도의 평가를 위한 기술수명주기 항목, 및 기술 확보 용이성의 평가를 위한 기술접근성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b) 단계는, (b1) 기술확장성 항목의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기술 수준 중 타분야 활용 수준을 '상', '중' 및 '하'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 (b2) 기술수명주기 항목의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기술 수준 중 기술 성숙도 수준을 '도입기', '성장기' 및 '쇠퇴기'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 및 (b3) 기술접근성 항목의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기술 수준 중 기술 접근성 수준을 '상', '중' 및 '하'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b) 단계 이전에, (a') 공공기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국내대학 및 공공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공기술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b3) 단계는, (b31) 공공기술을 기술 개발의 완성도에 따라 기술 개발이 완료된 기술과 기술 개발 중인 기술로 구분하는 단계, (b32) 연구개발 대상 후보 기술과 대응되는 공공기술의 존재 여부 및 기술 개발의 완성도를 기술접근성 항목의 평가 기준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b33)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과 대응되는 공공기술이 기술 개발이 완료된 기술인 경우 '상',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과 대응되는 공공기술이 기술 개발 중인 기술인 경우 '중',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과 대응되는 공공기술이 부존재하는 경우 '하'로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기술 접근성 수준을 각각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c) 단계는,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일부의 기술 수준 중 기술 성숙도 수준이 평가 항목 중 기술수명주기 항목의 필터링 기준에 미달되는 경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일부를 배제할 수 있다.
(d) 단계는, 평가 항목 중 기술접근성 항목 및 기술확장성 항목에 근거한 매트릭스 분석 기법을 통해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분류할 수 있다.
(c) 단계는, (c1)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평가 항목 중 기술수명주기 항목 및 기술확장성 항목에 근거한 매트릭스 분석 기법을 통해 분류하여,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기술 성숙도 수준이 '쇠퇴기'인 일부를 배제하는 단계, 및 (c2)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평가 항목 중 기술수명주기 항목 및 기술접근성 항목에 근거한 매트릭스 분석 기법을 통해 분류하여,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기술 성숙도 수준이 '쇠퇴기'인 일부를 배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e) 단계는, 매트리스 분석 기법에 따라 기술 접근성 수준과 타분야 활용 수준이 모두 '상'인 경우의 그룹에 대하여 1순위를 부여하고, 기술 접근성 수준과 타분야 활용 수준이 모두 '중'인 경우와, 기술 접근성 수준과 타분야 활용 수준 중 어느 하나는 '중'이고 다른 하나는 '상'인 경우를 포함하는 그룹에 대하여 2순위를 부여하며, 기술 접근성 수준과 타분야 활용 수준 중 어느 하나가 '하'인 경우의 그룹에 대하여 3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e) 단계는, 기술 접근성 수준과 타분야 활용 수준이 모두 '하'인 경우의 그룹을 순위 선정에서 배제할 수 있다.
(b) 단계와 (c) 단계 사이에, (b') (b) 단계에 의해 결정된 기술 수준 관련 정보를 기술수준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b') 단계는, 타분야 활용 수준 관련 정보를 기술확장성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기술 성숙도 수준 관련 정보를 기술수명주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기술 접근성 수준 관련 정보를 기술접근성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제시된다.
(b) 단계와 (c) 단계 사이에, (b') (b) 단계에 의해 결정된 기술 수준 관련 정보를 기술수준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량화된 다수의 평가 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함으로써, 유망 연구개발 과제를 발굴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체계화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분석 및 평가를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분석 및 평가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1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100)은 기업이 중작기적인 사업화 아이템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신규 연구개발 과제를 발굴하고자 하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보기술 데이터베이스(110), 공공기술 데이터베이스(120), 기술수준 데이터베이스(130), 기술수준 분석부(140), 후보기술 필터링부(150), 매트릭스 분석부(160) 및 우선순위 선정부(170)로 구성된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100)이 제시된다.
여기서, 기술수준 데이터베이스(130)는 기술확장성 데이터베이스(132), 기술수명주기 데이터베이스(134) 및 기술접근성 데이터베이스(136)로 이루어지고, 기술수준 분석부(140)는 기술확장성 분석부(142), 기술수명주기 분석부(144) 및 기술접근성 분석부(146)로 이루어지며, 후보기술 필터링부(150)는 제1 매트릭스 필터링부(152) 및 제2 매트릭스 필터링부(154)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에 대한 다수의 평가 항목(기술확장성 항목, 기술수명주기 항목, 기술접근성 항목) 별 기술 수준을 정량화하고, 이러한 기술 수준을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기술 평가를 위한 평가 지표로 삼아, 이들을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유망 연구개발 과제를 발굴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체계화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정량화된 평가 지표를 종합적으로 이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분석 및 평가를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 고, 분석 및 평가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후보기술 데이터베이스(110)에는, 복수의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관련 정보가 저장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보기술 데이터베이스(110)는 기술확장성 분석부(142), 기술수명주기 분석부(144) 및 기술접근성 분석부(146)에 각각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이란, 기업에서 중장기적으로 연구개발의 추진을 고려해 볼 수 있는 연구개발 대상 후보군에 속하는 기술들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자동차 배기가스 저감 기술', '자동차 엔진 효율 향상 기술', '가전 제품 소음 저감 기술' 등이 이러한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관련 정보는, 상술한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구체적 기술 내용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기술의 적용 분야, 최초 개발 시기, 제품화 여부, 제품의 시장 동향, 관련 특허 및 논문 존재 여부 등에 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공공기술 데이터베이스(120)에는, 국내대학 및 공공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공기술 관련 정보가 저장된다. 공공기술 데이터베이스(120)에는 국내대학, 공공기관 또는 이들 모두의 공공기술, 즉, 보유 특허 및 논문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공공기술 데이터베이스(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술접근성 분석부(146)에 이러한 공공기술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기술접근성 분석부(146)는 이러한 공공기술에 근거하여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기술 접근성 수준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공공기술 관련 정보는, 상술한 공공기술의 구체적 기술 내용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기술 개발의 완성도, 즉, 기술 개발이 완료된 기술인지, 기술 개발 진행 중인 기술인지 여부 등에 관한 정보도 포함한다.
기술수준 분석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보기술 데이터베이스(110) 및 공공기술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에 관한 정보 및 공공기술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그리고, 기술수준 분석부(140)는, 이들 복수의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분석하고,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기술 평가를 위한 복수의 평가 항목의 각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각 평가 항목 별로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기술 수준(타분야 활용 수준, 기술 성숙도 수준, 기술 접근성 수준)을 결정한다. 이렇게 결정된 각 기술 수준은, 유망 연구개발 과제를 선정하기 위해 복수의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평가하는 평가 지표가 된다.
여기서, 복수의 평가 항목은, 기술확장성 항목, 기술수명주기 항목 및 기술접근성 항목으로 이루어지며, 기술확장성 항목은 기술이 타분야에 활용될 가능성이 어느 정도인지를 평가하기 위한 항목이고, 기술수명주기 항목은 기술이 어느 정도 성숙된 기술 인지를 평가하기 위한 항목이며, 기술접근성 항목은 대응되는 공공기 술이 존재하여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한지를 평가하기 위한 항목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100)의 기술수준 분석부(140)의 평가 항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기술수준 분석부(14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기술수준 분석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술확장성 분석부(142), 기술수명주기 분석부(144) 및 기술접근성 분석부(146)로 구성된다.
기술확장성 분석부(142)는, 상술한 기술확장성 항목의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기술 수준 중 타분야 활용 수준을 '상', '중' 및 '하'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한다.
즉, 기술확장성 분석부(142)는, 기술확장성 항목의 평가 기준, 예를 들어, '부품 기술인지 완성품 기술인지 여부', '특수분야에 국한된 기술인지 여부', '기본 원리에 근거한 기술인지 응용 기술인지 여부' 등에 근거하여,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이 타분야에 활용 가능한지 여부를 분석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분야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상', 보통인 경우에는 '중', 낮은 경우에는 '하'로,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타분야 활용 수준을 구분한다.
기술수명주기 분석부(144)는, 상술한 기술수명주기 항목의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기술 수준 중 기술 성숙도 수준을 '도입기', '성장기' 및 '쇠퇴기'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한다.
즉, 기술수명주기 분석부(144)는, 기술수명주기 항목의 평가 기준, 예를 들어, '기술의 최초 개발 시기', '기술의 제품화 여부', '제품의 시장 동향', '관련 특허 및 논문의 존재 여부' 등에 근거하여,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기술적 성숙도를 분석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술의 도입 단계 또는 성장 초기 단계인 경우에는 '도입기', 기술의 성장 단계 또는 성숙 단계인 경우에는 '성숙기', 기술의 성숙 후기 단계 또는 쇠퇴 단계인 경우에는 '쇠퇴기'로,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기술 성숙도 수준을 구분한다.
기술접근성 분석부(146)는, 상술한 기술접근성 항목의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기술 수준 중 기술 접근성 수준을 '상', '중' 및 '하'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한다.
즉, 기술접근성 분석부(146)는, 공공기술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제공받은 공공기술을 기술 개발의 완성도에 따라 기술 개발이 완료된 기술과 기술 개발 중인 기술로 구분하고, 연구개발 대상 후보 기술과 대응되는 공공기술의 존재 여부 및 기술 개발의 완성도를 기술접근성 항목의 평가 기준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이러한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기술접근성 분석부(146)는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이 기술 확보가 용이한지 여부를 분석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과 대응되는 공공기술이 기술 개발이 완료된 기술인 경우에는 '상',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과 대응되는 공공기술이 기술 개발 중인 기술인 경우에는 '중',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과 대응되는 공공기술이 부존재하는 경우에는 '하'로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기술 접근성 수준을 구분한다.
기술수준 데이터베이스(13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기술수준 분석부(140)에 의해 결정된 기술 수준 관련 정보가 각각 저장되며, 이렇게 저장 된 기술 수준 관련 정보는 후보기술 필터링부(150) 및 매트릭스 분석부(160)에 제공된다. 또한 기술수준 데이터베이스(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술확장성 데이터베이스(132), 기술수명주기 데이터베이스(134) 및 기술접근성 데이터베이스(136)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확장성 데이터베이스(132)에는 타분야 활용 수준 관련 정보, 즉,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타분야 활용 수준이 '상', '중' 및 '하'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고, 기술수명주기 데이터베이스(134)에는 기술 성숙도 수준 관련 정보, 즉,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기술 발전의 성숙도가 '도입기', '성숙기'및 '쇠퇴기'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며, 기술접근성 데이터베이스(136)에는 기술 접근성 수준 관련 정보, 즉,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기술 확보 용이성이 '상', '중' 및 '하'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후보기술 필터링부(150)는,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일부의 기술 수준이 평가 항목의 필터링(filtering) 기준에 미달되는 경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일부를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에서 배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보기술 필터링부(150)는,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일부의 기술 수준 중 기술 성숙도 수준이 평가 항목 중 기술수명주기 항목의 필터링 기준에 미달되는 경우, 즉,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쇠퇴기'에 해당되는 경우, 그 일부 기술을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에서 배제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 템(100)의 후보기술 필터링부(150)의 매트릭스 분석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보기술 필터링부(15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후보기술 필터링부(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매트릭스 필터링부(152) 및 제2 매트릭스 필터링부(154)로 구성되며, 이들을 통해 필터링된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은 유망 연구개발 과제의 우선 순위 결정을 위해 매트릭스 분석부(160)에서 다시 분류된다.
제1 매트릭스 필터링부(15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평가 항목 중 기술수명주기 항목 및 기술확장성 항목에 근거한 매트릭스 분석 기법을 통해 분류하여,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기술 성숙도 수준이 '쇠퇴기'인 일부를 배제한다.
즉, 제1 매트릭스 필터링부(15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술수명주기 항목을 가로축, 기술확장성 항목을 세로축으로 하고, 기술 성숙도 수준 및 타분야 활용 수준이 원점으로부터 각각 '도입기', '성숙기', '쇠퇴기', 및 '상', '중', '하'를 나타내는 매트릭스를 구성하고, 이러한 매트릭스 내에 예를 들어, 16개의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클러스터링(clustering)하여 스크리닝(screening)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번, 7번 및 16번과 같이 기술 성숙도 수준이 '쇠퇴기'(A 영역)에 해당되는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들은 기술수명주기 항목의 필터링 기준('도입기', '성숙기')에 미달되어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에서 배제된다.
제2 매트릭스 필터링부(15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평가 항목 중 기술수명주기 항목 및 기술접근성 항목에 근거한 매트릭스 분석 기법을 통해 분류하여,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기술 성숙도 수준이 '쇠퇴기'인 일부를 배제한다.
즉, 제2 매트릭스 필터링부(15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술수명주기 항목을 가로축, 기술접근성 항목을 세로축으로 하고, 기술 성숙도 수준 및 기술 접근성 수준이 원점으로부터 각각 '도입기', '성숙기', '쇠퇴기', 및 '상', '중', '하'를 나타내는 매트릭스를 구성하고, 이러한 매트릭스 내에 예를 들어, 16개의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클러스터링하여 스크리닝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번, 7번 및 16번과 같이 기술 성숙도 수준이 '쇠퇴기'(B 영역)에 해당되는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들은 기술수명주기 항목의 필터링 기준('도입기', '성숙기')에 미달되어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에서 배제된다.
매트릭스 분석부(1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보기술 필터링부(150)에 의해 일부가 배제된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아 이러한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평가 항목 중 두 개에 근거한 매트릭스 분석 기법을 통해 분류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100)의 매트릭스 분석부(160)의 매트릭스 분석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7을 참조하여 매트릭스 분석부(16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매트릭스 분석부(1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가 항목 중 기술접근성 항목 및 기술확장성 항목에 근거한 매트릭스 분석 기법을 통해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분류한다.
즉, 매트릭스 분석부(1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술접근성 항목을 가로축, 기술확장성 항목을 세로축으로 하고, 기술 접근성 수준 및 타분야 활용 수준이 원점으로부터 각각 '상', '중', '하'를 나타내는 매트릭스를 구성하고, 이러한 매트릭스 내에, 상술한 후보기술 필터링부(150)에서 필터링 기준에 미달되어 배제된 3번, 7번 및 16번 기술을 제외한 13개의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클러스터링한다.
이와 같이 매트릭스 내에 분류된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에 대한 정보는 우선순위 선정부(170)로 제공된다.
우선순위 선정부(170)는, 분류된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매트릭스 내 위치에 따라 복수의 그룹(group)으로 정리하고, 그룹 각각에 연구개발의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100)의 우선순위 선정부(170)의 우선 순위 부여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우선순위 선정부(170)의 우선 순위 선정 방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순위 선정부(17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술 접근성 수준과 타 분야 활용 수준이 모두 '상'인 경우의 그룹, 즉, C 영역 내에 위치하는 6번, 13번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에 대하여 1순위를 부여하고, 기술 접근성 수준과 타분야 활용 수준이 모두 '중'인 경우와, 기술 접근성 수준과 타분야 활용 수준 중 어느 하나는 '중'이고 다른 하나는 '상'인 경우를 포함하는 그룹, 즉, D 영역 내에 위치하는 1번, 4번, 10번, 12번, 14번 및 15번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에 대하여 2순위를 부여하며, 기술 접근성 수준과 타분야 활용 수준 중 어느 하나가 '하'인 경우의 그룹, 즉, E 영역 내에 위치하는 2번, 5번, 8번 및 11번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에 대하여 3순위를 부여하게 된다.
또한, 우선순위 선정부(17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술 접근성 수준과 타분야 활용 수준이 모두 '하'인 경우의 그룹, 즉, F 영역 내에 위치하는 9번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은 유망 연구개발 과제의 순위 선정에서 배제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방법의 기술 수준 결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방법의 기술 접근성 수준 결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방법의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일부를 배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후보기술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복수의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110), (a') 공공기술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국내대학 및 공공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공기술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120), (b) 기술수준 분석부(140)가,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분석하고, 기술 평가를 위한 복수의 평가 항목(기술확장성 항목, 기술수명주기 항목, 기술접근성 항목)의 각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평가 항목 별 기술 수준을 결정하는 단계(S130), (b') 기술수준 분석부(140)가, (b) 단계에 의해 결정된 기술 수준 관련 정보를 기술수준 데이터베이스(130)(기술확장성 데이터베이스(132), 기술수명주기 데이터베이스(134), 기술접근성 데이터베이스(136))에 각각 저장하는 단계(S140), (c) 후보기술 필터링부(150)가,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일부의 기술 수준(기술 성숙도 수준)이 평가 항목의 필터링 기준에 미달되는 경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일부를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에서 배제하는 단계(S150), (d) 매트릭스 분석부(160)가, 일부가 배제된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평가 항목 중 두 개(기술접근성 항목 및 기술확장성 항목)에 근거한 매트릭스 분석 기법을 통해 분류하는 단계(S160), 및 (e) 우선순위 선정부(170)가, 분류된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매트릭스 내 위치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정리하고, 그룹 각각에 연구개발의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단계(S170)를 포함하는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방법이 제시된다.
이 경우, (b) 단계(S1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b1) 기술확장성 분석부(142)가, 기술확장성 항목의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기술 수준 중 타분야 활용 수준을 '상', '중' 및 '하'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S132), (b2) 기술수명주기 분석부(144)가, 기술수명주기 항목의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기술 수준 중 기술 성숙도 수준을 '도입기', '성장기' 및 '쇠퇴기'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S134), 및 (b3) 기술접근성 분석부(146)가, 기술접근성 항목의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기술 수준 중 기술 접근성 수준을 '상', '중' 및 '하'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S136)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b3) 단계(S136)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b31) 기술접근성 분석부(146)가, 공공기술을 기술 개발의 완성도에 따라 기술 개발이 완료된 기술과 기술 개발 중인 기술로 구분하는 단계(S137), (b32) 기술접근성 분석부(146)가, 연구개발 대상 후보 기술과 대응되는 공공기술의 존재 여부 및 기술 개발의 완성도를 기술접근성 항목의 평가 기준으로 설정하는 단계(S138), 및 (b33) 기술접근성 분석부(146)가,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과 대응되는 공공기술이 기술 개발이 완료된 기술인 경우 '상',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과 대응되는 공공기술이 기술 개발 중인 기술인 경우 '중',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과 대응되는 공공기술이 부존재하는 경우 '하'로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기술 접근성 수준을 결정하는 단계(S139)로 구성된다.
또한, (c) 단계(S15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1) 제1 매트릭스 필터링부(152)가,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평가 항목 중 기술수명주기 항목 및 기 술확장성 항목에 근거한 매트릭스 분석 기법을 통해 분류하여,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기술 성숙도 수준이 '쇠퇴기'인 일부를 배제하는 단계(S152), 및 (c2) 제2 매트릭스 필터링부(154)가,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평가 항목 중 기술수명주기 항목 및 기술접근성 항목에 근거한 매트릭스 분석 기법을 통해 분류하여,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기술 성숙도 수준이 '쇠퇴기'인 일부를 배제하는 단계(S15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e) 단계(S170)는, 기술 접근성 수준과 타분야 활용 수준이 모두 '상'인 경우의 그룹에 대하여 우선순위 선정부(170)가 1순위를 부여하고, 기술 접근성 수준과 타분야 활용 수준이 모두 '중'인 경우와, 기술 접근성 수준과 타분야 활용 수준 중 어느 하나는 '중'이고 다른 하나는 '상'인 경우를 포함하는 그룹에 대하여 우선순위 선정부(170)가 2순위를 부여하며, 기술 접근성 수준과 타분야 활용 수준 중 어느 하나가 '하'인 경우의 그룹에 대하여 우선순위 선정부(170)가 3순위를 부여하도록 수행되며, 기술 접근성 수준과 타분야 활용 수준이 모두 '하'인 경우의 그룹에 대해서는 우선순위 선정부(170)가 순위 선정에서 배제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100)의 후보기술 데이터베이스(110), 공공기술 데이터베이스(120), 기술수준 데이터베이스(130), 기술확장성 데이터베이스(132), 기술수명주기 데이터베이스(134), 기술접근성 데이터베이스(136), 기술수준 분석부(140), 기술확장성 분석부(142), 기술수명주기 분석부(144), 기술접근성 분석부(146), 후보기술 필터링부(150), 제1 매트릭스 필터링부(152), 제2 매트릭스 필터링부(154), 매트릭스 분석부(160), 및 우선순위 선정 부(170)에서 각각 수행되는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각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기능 및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를 통해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으므로, 본 실시예의 각 단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를 통해 제시한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방법의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컴퓨터 등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으로서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컴퓨터 등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로 존재할 수 있다.
각 단계에서 수행되는 내용은 앞서 설명한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의 기술수준 분석부의 평가 항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의 후보기술 필터링부의 매트릭스 분석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의 매트릭스 분석부의 매트릭스 분석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의 우선순위 선정부의 우선 순위 부여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방법의 기술 수준 결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방법의 기술 접근성 수준 결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방법의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일부를 배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
110: 후보기술 데이터베이스
120: 공공기술 데이터베이스
130: 기술수준 데이터베이스
132: 기술확장성 데이터베이스
134: 기술수명주기 데이터베이스
136: 기술접근성 데이터베이스
140: 기술수준 분석부
142: 기술확장성 분석부
144: 기술수명주기 분석부
146: 기술접근성 분석부
150: 후보기술 필터링부
152: 제1 매트릭스 필터링부
154: 제2 매트릭스 필터링부
160: 매트릭스 분석부
170: 우선순위 선정부

Claims (17)

  1. 복수의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후보기술 데이터베이스(database);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분석하고, 기술 평가를 위한 복수의 평가 항목의 각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상기 평가 항목 별 기술 수준을 결정하는 기술수준 분석부;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일부의 상기 기술 수준이 상기 평가 항목의 필터링(filtering) 기준에 미달되는 경우,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일부를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에서 배제하는 후보기술 필터링부;
    상기 후보기술 필터링부에 의해 일부가 배제된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상기 평가 항목 중 두 개에 근거한 매트릭스(matrix) 분석 기법을 통해 분류하는 매트릭스 분석부; 및
    상기 분류된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매트릭스 내 위치에 따라 복수의 그룹(group)으로 정리하고, 상기 그룹 각각에 연구개발의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우선순위 선정부;
    를 포함하는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평가 항목은,
    타분야 활용 가능성의 평가를 위한 기술확장성 항목, 기술 발전 성숙도의 평가를 위한 기술수명주기 항목, 및 기술 확보 용이성의 평가를 위한 기술접근성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기술수준 분석부는,
    상기 기술확장성 항목의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상기 기술 수준 중 타분야 활용 수준을 '상', '중' 및 '하'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기술확장성 분석부;
    상기 기술수명주기 항목의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상기 기술 수준 중 기술 성숙도 수준을 '도입기', '성장기' 및 '쇠퇴기'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기술수명주기 분석부; 및
    상기 기술접근성 항목의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상기 기술 수준 중 기술 접근성 수준을 '상', '중' 및 '하'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기술접근성 분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국내대학 및 공공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공기술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공공기술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술접근성 분석부는,
    상기 공공기술을 기술 개발의 완성도에 따라 기술 개발이 완료된 기술과 기술 개발 중인 기술로 구분하고,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 기술과 대응되는 상기 공공기술의 존재 여부 및 기술 개발의 완성도를 상기 기술접근성 항목의 평가 기준으로 설정하며,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과 대응되는 상기 공공기술이 기술 개발이 완료된 기술인 경우 '상',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과 대응되는 상기 공공기술이 기술 개발 중인 기술인 경우 '중',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과 대응되는 상기 공공기술이 부존재하는 경우 '하'로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상기 기술 접근성 수준을 각각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기술 필터링부는,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일부의 상기 기술 수준 중 상기 기술 성숙도 수준이 상기 평가 항목 중 상기 기술수명주기 항목의 상기 필터링 기준에 미달되는 경우,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일부를 배제하며,
    상기 매트릭스 분석부는,
    상기 평가 항목 중 상기 기술접근성 항목 및 상기 기술확장성 항목에 근거한 매트릭스 분석 기법을 통해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기술 필터링부는,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상기 평가 항목 중 상기 기술수명주기 항목 및 상기 기술확장성 항목에 근거한 매트릭스 분석 기법을 통해 분류하여,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상기 기술 성숙도 수준이 '쇠퇴기'인 일부를 배제하는 제1 매트릭스 필터링부; 및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상기 평가 항목 중 상기 기술수명주기 항목 및 상기 기술접근성 항목에 근거한 매트릭스 분석 기법을 통해 분류하여,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상기 기술 성숙도 수준이 '쇠퇴기'인 일부를 배제하는 제2 매트릭스 필터링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선정부는,
    매트리스 분석 기법에 따라 상기 기술 접근성 수준과 상기 타분야 활용 수준이 모두 '상'인 경우의 그룹에 대하여 1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기술 접근성 수준과 상기 타분야 활용 수준이 모두 '중'인 경우와, 상기 기술 접근성 수준과 상기 타분야 활용 수준 중 어느 하나는 '중'이고 다른 하나는 '상'인 경우를 포함하는 그룹에 대하여 2순위를 부여하며,
    상기 기술 접근성 수준과 상기 타분야 활용 수준 중 어느 하나가 '하'인 경우의 그룹에 대하여 3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선정부는,
    상기 기술 접근성 수준과 상기 타분야 활용 수준이 모두 '하'인 경우의 그룹을 순위 선정에서 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수준 분석부에 의해 결정된 상기 기술 수준 관련 정보가 각각 저장되는 기술수준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술수준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타분야 활용 수준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기술확장성 데이터베이스;
    상기 기술 성숙도 수준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기술수명주기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기술 접근성 수준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기술접근성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
  9. (a) 후보기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복수의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분석하고, 기술 평가를 위한 복수의 평가 항목의 각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상기 평가 항목 별 기술 수준을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일부의 상기 기술 수준이 상기 평가 항목의 필터링 기준에 미달되는 경우,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일부를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에서 배제하는 단계;
    (d) 일부가 배제된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상기 평가 항목 중 두 개에 근거한 매트릭스 분석 기법을 통해 분류하는 단계; 및
    (e) 상기 분류된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매트릭스 내 위치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정리하고, 상기 그룹 각각에 연구개발의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평가 항목은,
    타분야 활용 가능성의 평가를 위한 기술확장성 항목, 기술 발전 성숙도의 평가를 위한 기술수명주기 항목, 및 기술 확보 용이성의 평가를 위한 기술접근성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기술확장성 항목의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상기 기술 수준 중 타분야 활용 수준을 '상', '중' 및 '하'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
    (b2) 상기 기술수명주기 항목의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상기 기술 수준 중 기술 성숙도 수준을 '도입기', '성장기' 및 '쇠퇴기'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 및
    (b3) 상기 기술접근성 항목의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상기 기술 수준 중 기술 접근성 수준을 '상', '중' 및 '하'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전에,
    (a') 공공기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국내대학 및 공공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공기술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b3) 단계는,
    (b31) 상기 공공기술을 기술 개발의 완성도에 따라 기술 개발이 완료된 기술과 기술 개발 중인 기술로 구분하는 단계;
    (b32)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 기술과 대응되는 상기 공공기술의 존재 여부 및 기술 개발의 완성도를 상기 기술접근성 항목의 평가 기준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b33)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과 대응되는 상기 공공기술이 기술 개발이 완료된 기술인 경우 '상',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과 대응되는 상기 공공기술이 기술 개발 중인 기술인 경우 '중',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과 대응되는 상기 공공기술이 부존재하는 경우 '하'로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의 상기 기술 접근성 수준을 각각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일부의 상기 기술 수준 중 상기 기술 성숙도 수준이 상기 평가 항목 중 상기 기술수명주기 항목의 상기 필터링 기준에 미달되는 경우,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일부를 배제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평가 항목 중 상기 기술접근성 항목 및 상기 기술확장성 항목에 근거한 매트릭스 분석 기법을 통해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상기 평가 항목 중 상기 기술수명주기 항목 및 상기 기술확장성 항목에 근거한 매트릭스 분석 기법을 통해 분류하여,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상기 기술 성숙도 수준이 '쇠퇴기'인 일부를 배제하는 단계; 및
    (c2)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을 상기 평가 항목 중 상기 기술수명주기 항목 및 상기 기술접근성 항목에 근거한 매트릭스 분석 기법을 통해 분류하여, 상기 연구개발 대상 후보기술 중 상기 기술 성숙도 수준이 '쇠퇴기'인 일부를 배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매트리스 분석 기법에 따라 상기 기술 접근성 수준과 상기 타분야 활용 수준이 모두 '상'인 경우의 그룹에 대하여 1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기술 접근성 수준과 상기 타분야 활용 수준이 모두 '중'인 경우와, 상기 기술 접근성 수준과 상기 타분야 활용 수준 중 어느 하나는 '중'이고 다른 하나는 '상'인 경우를 포함하는 그룹에 대하여 2순위를 부여하며,
    상기 기술 접근성 수준과 상기 타분야 활용 수준 중 어느 하나가 '하'인 경우의 그룹에 대하여 3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기술 접근성 수준과 상기 타분야 활용 수준이 모두 '하'인 경우의 그룹을 순위 선정에서 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 사이에,
    (b') 상기 (b) 단계에 의해 결정된 상기 기술 수준 관련 정보를 기술수준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타분야 활용 수준 관련 정보를 기술확장성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기술 성숙도 수준 관련 정보를 기술수명주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기술 접근성 수준 관련 정보를 기술접근성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방법.
  17.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090109131A 2009-11-12 2009-11-12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100521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131A KR20110052189A (ko) 2009-11-12 2009-11-12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131A KR20110052189A (ko) 2009-11-12 2009-11-12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189A true KR20110052189A (ko) 2011-05-18

Family

ID=44362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131A KR20110052189A (ko) 2009-11-12 2009-11-12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218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1317A (zh) * 2013-07-11 2013-11-13 厦门大学 一种系统技术成熟度评估方法和装置
CN105184078A (zh) * 2015-09-06 2015-12-23 华南理工大学 基于专利相对量分析的技术成熟度评价方法
KR20160040966A (ko) * 2014-10-06 2016-04-15 비즈니스전략연구소(주) 연구개발 기획대상 과제에 대한 사전경제성 분석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80905A (ko) 2015-12-31 2017-07-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평가지표 자율제안에 의한 연구개발과제 선정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1317A (zh) * 2013-07-11 2013-11-13 厦门大学 一种系统技术成熟度评估方法和装置
CN103391317B (zh) * 2013-07-11 2016-10-26 厦门大学 一种系统技术成熟度评估方法和装置
KR20160040966A (ko) * 2014-10-06 2016-04-15 비즈니스전략연구소(주) 연구개발 기획대상 과제에 대한 사전경제성 분석지원 시스템 및 방법
CN105184078A (zh) * 2015-09-06 2015-12-23 华南理工大学 基于专利相对量分析的技术成熟度评价方法
KR20170080905A (ko) 2015-12-31 2017-07-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평가지표 자율제안에 의한 연구개발과제 선정 시스템 및 방법
US11068816B2 (en) 2015-12-31 2021-07-20 Sangho Park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through autonomous proposals of evaluation indicato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ou et al. The impact of supply chain practices and quality management on firm performance: Evidence from China's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enterprises
Salvati et al. Estimating rapidity of change in complex urban systems: A multidimensional, local‐scale approach
De Ville et al. Decision trees for analytics: using SAS Enterprise miner
Salavou The concept of innovativeness: should we need to focus?
US7328218B2 (en) Constrained tree structure method and system
Faria et al. Sectoral patterns versus firm-level heterogeneity-The dynamics of eco-innovation strategies in the automotive sector
Vivel-Búa et al. Influence of firm characteristics and the environment on hotel survival across MSMES segments during the 2007–2015 period
WO200808612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selection of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CN102016844A (zh) 用于映射企业数据的系统和方法
KR20110052189A (ko) 유망 연구개발 과제 선정 시스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CN101894319A (zh) 一种烟草企业数据质量管理系统及方法
Anders et al. What young English people do once they reach school-leaving age: A cross-cohort comparison for the last 30 years
CN110807026A (zh) 一种用于分析金融大数据血缘关系的自动化捕获系统
CN110334159A (zh) 基于关系图谱的信息查询方法和装置
Khoshkangini et al. Warranty claim rate prediction using logged vehicle data
KR20210157302A (ko) 워크플로우 기반의 자동 예측 모델링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Garcia-Buendia et al. A bibliometric study of lean supply chain management research: 1996–2020
Lippényi et al. Intergenerational class mobility in Hungary between 1865 and 1950: Testing models of change in social openness
Hyde et al. Ageing, cohorts, and consumption: the British experience 1968–2005
CN113506629B (zh) 一种症状自评量表简化及结果预测方法与系统
Maccioni et al. A product success scale for supporting research in engineering design
WO2017103996A1 (ja) 生産計画立案装置、及び生産計画立案方法
CN102110247A (zh) 专利申请人区域技术发展趋势分析系统
Jeong et al. Technology roadmapping based On patent citation network considering technology life cycle
Morris A comparison of methodologies for classification of administrative records quality for census enum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