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2081A -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2081A
KR20110052081A KR1020090108977A KR20090108977A KR20110052081A KR 20110052081 A KR20110052081 A KR 20110052081A KR 1020090108977 A KR1020090108977 A KR 1020090108977A KR 20090108977 A KR20090108977 A KR 20090108977A KR 20110052081 A KR20110052081 A KR 20110052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d
packaging box
space
fold line
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5498B1 (ko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박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호 filed Critical 박정호
Priority to KR1020090108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498B1/ko
Publication of KR20110052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2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206External stands for supporting the container in display position, e.g. easels, covers forming a support for the containers in the display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 전면부에서 항상 광고 노출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품이 수용되는 공간의 정면을 형성하는 제1정면부; 상기 제1정면부 측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접었을 경우 상기 공간의 좌측면을 형성하는 좌측면부; 상기 좌측면부 측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접었을 경우 상기 공간의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부; 상기 배면부 측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접었을 경우 상기 공간의 우측면을 형성하는 우측면부; 상기 배면부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접었을 경우 상기 공간의 밑면을 형성하는 밑면부; 상기 밑면부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접었을 경우 상기 제1정면부를 전체적으로 덮는 제2정면부; 및 상기 제2정면부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접었을 경우 상기 공간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면부에는 포장용 상자 전시 시 제품 샘플을 안착할 수 있는 함몰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수직 방향의 제1절단선 및 제2절단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정면부과 상기 상면을 구분하는 제1접철선 하방으로 제2접철선과 제3접철선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를 제공한다.
포장, 상자, 광고

Description

포장용 상자{Packaging Box}
본 발명은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 전면부에서 항상 광고 노출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포장용 상자는 통상 상품의 유통을 위한 것으로 내부에 안착되는 상품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비교적 무게가 큰 물품을 이송하는 경우에는 나무, 플라스틱 등을 이용한 상자가 이용되고, 음식물 등의 경우에는 밀봉성이 뛰어난 포장용 상자를 이용한다.
일반적인 약품이나 담배 또는 과자류 등의 경우에는 제품의 개별 포장과 더불어 몇 개를 묶어서(보통 10개단위) 세트 포장하여 판매한다.
특히 일반 편의점, 슈퍼 또는 할인점에서 판매되는 약품이나 기호품 등의 소규모 제품의 경우에는 개별 포장으로 전시되지 않고 몇 개 묶어 있는 상태에서 전시된다. 이때 보통 상기 제품의 홍보를 위하여 세트 포장지 외면에 광고 문구를 부착하든가 팝업 방식의 광고지를 세트 포장지 표면 또는 전시용 선반에 부착하여 전시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광고 방식은 일정 정도 추가 공간을 차지하며, 또한 매번 문구를 달리하여 광고 형태가 제품 생산자의 의도와 달리 전시되는 경우도 있으며, 또한 제품의 전시 위치를 이전하는 경우 미쳐 광고 문구를 이전하지 않아 전시장에 전시된 광고와 제품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특히 판매처에서는 다른 경쟁품과 같이 전시되는 입장이므로 판매처의 판매 상황에 따라 심한 경우에는 생산자의 의도와 달리 아예 광고를 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러한 추가 부착 방식의 광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세트 포장 상자 표면에 일부의 광고 문구를 삽입하는 방식도 제안되어 있으나, 상기 광고 방식은 제품 상자의 전시 위치에 따라 광고 문구가 노출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소비자에게 인식되는 점이 약한 단점이 있어, 간단한 구성에 소비자에게 인식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광고 기능을 포함하는 포장용 박스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품 전시 시 세트 포장 상자 상면부 부분을 앞면부에 끼움 고정시키고 상기 광고 부위에 하나의 단위 제품을 안착시켜 광고 효과가 극대화되는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관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품이 수용되는 공간의 정면을 형성하는 제1정면부;
상기 제1정면부 측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접었을 경우 상기 공간의 좌측면을 형성하는 좌측면부;
상기 좌측면부 측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접었을 경우 상기 공간의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부;
상기 배면부 측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접었을 경우 상기 공간의 우측면을 형성하는 우측면부;
상기 배면부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접었을 경우 상기 공간의 밑면을 형성하는 밑면부;
상기 밑면부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접었을 경우 상기 제1정면부를 전체적으로 덮는 제2정면부; 및
상기 제2정면부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접었을 경우 상기 공간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면부에는 포장용 상자 전시 시 제품 샘플을 안착할 수 있는 함몰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수직 방향의 제1절단선 및 제2절단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정면부와 상기 상면부를 구분하는 제1접철선 하방으로 제2접철선과 제3접철선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접철선에는 제품 샘플을 지지하는 제1돌출부 및 제2돌 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절단선 및 제2절단선 중앙에 제품 샘플을 지지하는 제3돌출부 및 제4돌출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측면부 하방에는 밑면부와 결합을 위한 좌측면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밑면부에는 상기 좌측면끼움부를 수용하는 좌측면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측면 하방에는 밑면과 결합을 위한 우측면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밑면부에는 상기 우측면끼움부를 수용하는 우측면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광고를 위한 별도의 구성 없이 포장 상자 자체를 이용하여 광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제품 샘플을 포장 상자 전면에 안착하여 실 제품에 의한 광고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포장용 상자를 도면을 참작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장용 상자의 전개도로 상자의 바깥면을 나타내었다.
상기 상자(100)는 정면부(70,20), 상면부(10), 밑면부(30), 배면부(40), 좌측면부(60), 우측면부(50)로 이루어지고, 각 면 사이에는 접철선이 형성되어 상기 상자(100)를 용이하게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장용 상자는 수평부와 수직부로 구분된다.
상기 수평부는 제1정면부(70), 좌측면부(60), 배면부(40) 및 우측면부(50)로 이루지고 수평부들의 접힘을 위한 접철선(71, 42, 41)이 각 면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정면부(70) 중앙에는 보조절단선(74)이 반원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절단선(74) 하부에는 상기 보조절단선(74)가 접혀질 수 있도록 접철선(7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면부(60) 및 우측면부(50) 상단에는 상면끼움부(12)의 지지와 상자의 강성을 위한 좌측면지지부(62)와 우측면지지부(52)가 각각 위치한다.
상기 좌측면지지부(62)와 우측면지지부(52) 접힘을 위하여 접철선(61, 51)이 각각 좌측면(60) 및 우측면(50)에 위치한다.
상기 좌측면(60) 하부에는 밑면부와 결합을 위한 좌측면끼움부(63)가 형성되어 있으며, 접철선(65)에 의하여 좌측면부(60)와 접혀지며, 좌측 및 우측은 좌측면과 절단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면끼움부(63) 중앙부에는 좌측면끼움부(63) 접힘을 위하여 접철선(64)이 역시 형성되어 있다.
같은 방식으로 우측면부(50) 하부에도 우측면끼움부(53), 접철선(55, 5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자(100)의 수직부는 배면부(40)의 하단으로 연장되어 밑면부(30), 정면부(20) 및 상면부(10) 순으로 이루어지며, 각 면의 구분을 위한 접철선(43, 22, 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밑면부(30)의 좌우측에는 제1밑면지지부(31)과 제2밑면지지부(32)가 밑면부(30)에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밑면지지부(31, 32)를 접기 위한 접철선(37, 38) 역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밑면부(30)의 우측에는 좌측면끼움부(63)을 수용하기 위한 좌측면수용부(33)가 상기 접철선(37) 상에 절단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좌측면끼움부(63)의 조립의 편리를 위하여 반원 형태의 추가 절단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역시 같은 방식으로 상기 밑면부(30)의 좌측에는 우측면끼움부(53)를 수용하기 위한 우측면수용부(34)가 상기 접철선(38) 상에 절단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면끼움부(53)의 조립의 편리를 위하여 반원 형태의 절단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밑면부(30)의 하단에는 제2정면부(20)가 연장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정면부(20)는 제1정면부(70)을 덮어 조립되어 포장되고, 디스플레이 시에는 상면부(10)를 전방으로 돌출하는 역할을 한다.
제2정면부(20)는 접철선(21, 22)으로 밑면부(30) 및 상면부(10)와 구분된다.
상기 제2정면부(20)의 하단에는 접철선(21)에 의하여 구분되는 상면부(10)가 연장형성된다.
상기 상면부(10)는 본 발명의 광고를 위한 구성이 포함되는 특징적인 구성으로 다수의 접철선(21, 16, 15, 11)과 다수의 절단선(13, 14) 및 상면끼움부(1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접철선(21)은 상면부(10)와 제2정면부(20)를 구분하는 것으로 상기 선을 따라 상면부(10)가 접혀진다.
상기 제1접철선(21) 하단에는 일정한 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면부(10)를 접을 수 있는 제2접철선(16) 및 제3접철선(15)가 위치하고, 상면부(10)의 하단 끝에 제4접철선(11)이 위치하며, 상기 제4접철선(11) 하단에는 상면끼움부(12)가 위치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제2접철선(16)의 중앙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면부(10)와 절단된 반원 형상의 제1돌출부(17)와 제2돌출부(18)가 위치한다.
상기 제1접철선(21)과 상기 제4접철선(11)까지 세로 방향으로 제1절단선(13) 및 제2절단선(14)이 위치한다. 상기 절단선(13, 14)은 상면부(10)의 중앙 수직선에서 동일 거리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절단선(13, 14) 사이에 제1돌출부(17) 및 제2돌출부(18)가 위치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 상기 제1절단선(13) 수직 중앙부에는 반원 형태의 제3돌출부(13a)가 우측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절단선(14)의 수직 중앙부에는 반원 형태의 제4돌출부(14a)가 좌측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돌출부(17, 18, 13a, 14a)는 포장용 상자의 전시 시 샘플의 지지를 위한 거치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한다.
다음은 본 발명 포장용 상자의 접이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전개도를 뒤집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평부 구성인 제1정면부(70), 좌측면부(60), 배면부(40), 우측면부(50)를 접철선(71, 42, 41)을 이용하여 접고 제1정면부(70)에 형성된 접착면(75)에 본딩하여 우측면부(50)의 내면에 접착하여 테두리부를 접는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직부인 밑면부(30)를 접철선(43)을 따라 접고, 제1밑면지지부(31)과 제2밑면지지부(32)는 접철선(37, 38)을 따라 접어 내부 공간을 향하게 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끼움부(63)을 좌측면수용부(33)에 결합시키고, 또한 우측면끼움부(53)를 우측면수용부(34)에 결합하여 상자의 강성을 강화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정면부(20), 상면부(10)를 접철선(22, 21)을 따라 접고 상면끼움부(12)를 접철선(11)을 이용하여 접어 좌측면지지부(62) 및 우측면지지부(52)와 테두리 사이 틈에 끼워 도 6의 상자를 완성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포장용 상자의 전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포장용 상자는 이동 포장은 상기의 접이 방식에 의하여 상자를 접고 내용물을 투입 후 상자를 닫고 필요한 경우 래핑을 한다.
이동 후 포장용 상자를 전시할 경우에는 래핑부를 제거하고, 상면끼움부(12)를 상자에서 분리한 후 좌측면지지부(62) 및 우측면지지부(52) 측면과 제1정면부(70) 사이의 틈에 다시 삽입하고 필요한 경우 보조접철선(74)를 내측으로 접어 상기 상면끼움부(12)를 고정하면, 상면부(10)가 전방으로 돌출된다.
제1 및 제2절단선(13, 14)이 없는 경우에는 제2접철선(16) 전체를 바깥 방향으로 접고 제3접철선(15)을 안쪽 방향으로 접을 경우 제2접철선(16)과 제3접철 선(15) 사이에 도 8과 같이 제품 샘플을 안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절단선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상면부(10) 중 제1 및 제2절단선(13, 14)의 외곽부 영역을 접철선(21, 16)을 기준으로 바깥 방향으로 접어 돌출시키고, 제1 및 제2절단선(13, 14)의 내부 영역은 접철선(21, 16)을 기준으로 바깥으로 접고 접철선(15)를 기준으로 안으로 접을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절단선(13, 14)의 내부 영역은 외곽부 영역에 비하여 함몰되고 제1 내지 제4돌출부(17, 18, 13a, 14a)가 돌출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영역에 포장용 상자 내의 샘플 제품(91)을 안착시키는 경우 상기 돌출부들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면부(10)에 적절한 광고 문구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내부 영역에 샘플 제품의 거치 없이 바로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광고판(80)을 상자 내의 공간에 삽입시켜 추가의 광고도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수평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밑면부가 수평부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밑변부가 수평부와 완전히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상면부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완전히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1의 전시형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서 절단선이 생략된 형태의 포장용 상자 전면부에 상품 샘플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 전면부에 상품 샘플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면부 12: 상면끼움부
13: 제1절단선 14: 제2절단선
20: 제2정면부 30: 밑면부
31: 제1밑면지지주 32: 제2밑면지지부
33: 좌측면수용부 34: 우측면수용부
40: 배면부 50: 우측면부
53: 우측면끼움부 60: 좌측면부
63: 좌측면끼움부 70: 제1정면부

Claims (5)

  1.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제품이 수용되는 공간의 정면을 형성하는 제1정면부;
    상기 제1정면부 측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접었을 경우 상기 공간의 좌측면을 형성하는 좌측면부;
    상기 좌측면부 측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접었을 경우 상기 공간의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부;
    상기 배면부 측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접었을 경우 상기 공간의 우측면을 형성하는 우측면부;
    상기 배면부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접었을 경우 상기 공간의 밑면을 형성하는 밑면부;
    상기 밑면부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접었을 경우 상기 제1정면부을 전체적으로 덮는 제2정면부; 및
    상기 제2정면부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접었을 경우 상기 공간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부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면부에는 포장용 상자 전시 시 제품 샘플을 안착할 수 있는 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 상기 제2정면부와 상기 상면부을 구분하는 제1접철선 하방으로 제2접철선과 제3접철선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에는 수평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수직 방향의 제1절단선 및 제2절단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접철선에는 제품 샘플을 지지하는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절단선 및 제2절단선 중앙에 제품 샘플을 지지하는 제3돌출부 및 제4돌출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면부 하방에는 밑면부과 결합을 위한 좌측면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밑면부에는 상기 좌측면끼움부를 수용하는 좌측면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측면부 하방에는 밑면부과 결합을 위한 우측면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밑면부에는 상기 우측면끼움부를 수용하는 우측면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KR1020090108977A 2009-11-12 2009-11-12 포장용 상자 KR101065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977A KR101065498B1 (ko) 2009-11-12 2009-11-12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977A KR101065498B1 (ko) 2009-11-12 2009-11-12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081A true KR20110052081A (ko) 2011-05-18
KR101065498B1 KR101065498B1 (ko) 2011-09-19

Family

ID=44362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977A KR101065498B1 (ko) 2009-11-12 2009-11-12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4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96924A (zh) * 2012-03-23 2014-05-14 恩乔伊股份有限公司 组合盒子和陈列单元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896B1 (ko) * 2012-05-29 2014-01-09 박정호 포장용 상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260Y2 (ja) * 1991-03-05 1995-03-22 日本コロムビア株式会社 展示兼用収容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96924A (zh) * 2012-03-23 2014-05-14 恩乔伊股份有限公司 组合盒子和陈列单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5498B1 (ko) 2011-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0263A (en) Food package having a rigid leg member for displaying the front panel thereof
US7438186B2 (en) Modular product display system
US7828169B2 (en) Merchandiser
US9635885B2 (en) Display carton and system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containers
US20050247597A1 (en) Container and method of containing
US3651928A (en) Display container
US6796423B2 (en) Package for displaying products
KR101065498B1 (ko) 포장용 상자
KR20150082459A (ko) 와인 병 포장 및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US20200338921A1 (en) Product marketing magazine rider
US4207978A (en) Display package for tapered candles
JP2011230778A (ja) ディスプレイ兼用カートン
CN111406025A (zh) 包装箱
KR20230007719A (ko) 측면 탈착 가변형 블리스터 패키지 삽입슬롯 거치 트레이
JP3190296B2 (ja) 包装用箱
KR20090000139U (ko) 피오피 광고부를 갖는 포장용 박스
US20110100867A1 (en) Packaging and display device
KR20200143574A (ko) 음료팩용 캐리어
KR200436868Y1 (ko) 수납 상자
JP6374709B2 (ja) 商品陳列用トレイ
JP3159080U (ja) サンプル商品用ディスプレイ
KR101348896B1 (ko) 포장용 상자
GB2497720A (en) Display carton
US2290095A (en) Display carton
KR200416501Y1 (ko) 꽃씨 포장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