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0495A - 연속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테터드 데이터 호출 - Google Patents

연속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테터드 데이터 호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0495A
KR20110050495A KR1020117005183A KR20117005183A KR20110050495A KR 20110050495 A KR20110050495 A KR 20110050495A KR 1020117005183 A KR1020117005183 A KR 1020117005183A KR 20117005183 A KR20117005183 A KR 20117005183A KR 20110050495 A KR20110050495 A KR 20110050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thered
data
call
continuous application
dereg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지쓰 파이야프필리
레이 쉔
업핀더 싱 밥바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50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4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73Registration or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공통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가 컴퓨터로 테터드될 때, 하나의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가 제공된다.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이 연속적으로 실행될 때, 테터드 애플리케이션이 동작으로부터 방지될 수 있다. 연속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연속 애플리케이션이 접속해제되어 테터드 애플리케이션이 기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테터드 데이터 호출{TETHERED DATA CALL WITH CONTINUOUS APPLICATION}
[0001] 하기 설명은 전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더드(tethered) 및 임베디드(embedded) 데이터 호출들 모두를 가능케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0002]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이를 테면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등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들의 통신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된다. 전형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자원들(이를 테면, 대역폭, 전송 전력,..)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에 대한 예들에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스템들,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시스템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0003] 일반적으로, 무선 다중-액세스 통신 시스템들은 다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대한 동시적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순방향 링크 및 역방향 링크 상에서의 전송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들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들로의 통신 링크로 간주되며,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모바일 디바이스들로부터 기지국들로의 통신 링크로 간주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기지국들 간의 통신들은 단일-입력 단일-출력(SISO) 시스템들, 다중-입력 단일-출력(MIMO) 시스템들,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시스템들 등을 통해 구축될 수 있다.
[0004] MIMO 시스템들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다수의(NT) 전송 안테나들 및 다수의(NR) 수신 안테나들을 공통적으로 사용한다. NT 전송 안테나들 및 NR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형성되는 MIMO 채널은 공간(spatial) 채널들로 간주될 수 있는 NS 독립 채널들로 분해될 수 있으며, 여기서
Figure pct00001
이다. NS 독립 채널들 각각은 디멘션(dimension)에 상응한다. 또한, MIMO 시스템들은 다수의 전송 안테나들 및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생성된 추가의 디멘션들(dimensionalities)이 이용되는 경우 개선된 성능(이를 테면, 개선된 스펙트럼 효율, 높은 처리량 및/또는 높은 신뢰성)을 제공한다.
[0005] MIMO 시스템들은 공통 물리적 매체를 통해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통신들을 분할하기 위해 다양한 듀플렉싱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주파수 부할 듀플렉싱(FDD) 시스템들은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통신들을 위해 이종의(disparate) 주파수 영역들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시간 분할 듀플렉싱(TDD) 시스템들에서,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통신들은 공통 주파수 영역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들은 채널 정보와 관련되는 피드백이 없거나 또는 제한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0006] 하기에서는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대한 간략화된 요약이 제공되며, 이는 이러한 양상들의 기본적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요약은 고려되는 모든 양상들에 대한 전반적 개요가 아니며 임의의 또는 모든 양상들의 범위를 기술하거나 또는 모든 양상들에 대한 주요 또는 중요 엘리먼트들을 식별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이들이 유일한 목적은 하기 제공되는 상세한 설명부에 대한 서문으로써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대한 일부 개념들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0007] 일 양상에 따라, 통신을 조절(regulating)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방법은 연속적 애플리케이션(continuous application)에 대한 동작 상태(activity status)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법은 동작 상태가 중단(dormant)이라는 결정에 기초하여 테터드(tethered) 데이터 호출을 조장(facilitating)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0008] 또 다른 양상에서, 연속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분석기 및 동작 상태가 중단이라는 결정에 기초하여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조장하게 하는 인에이블러(enabl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0009] 또 다른 양상에 따라, 연속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동작 상태가 중단이라는 결정에 기초하여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조장하게 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0010] 또 다른 양상에서, 연속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상태를 결정하고 동작 상태가 중단이라는 결정에 기초하여 테터드 데어터 호출을 조장하게 하기 위한 기계-실행가능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0011] 일 양상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연속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동작 상태가 중단이라는 결정에 기초하여 테터드 통화를 조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12] 일 양상에 따라, 통신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방법은 연속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등록해제(deregistering)를 인식하는 단계 및 연속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재등록(reregistering)을 조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0013] 또 다른 양상에서, 연속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등록해제를 인식하는 구별기(distinguisher) 및 연속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재등록을 조장하는 어시스터(assist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0014] 또 다른 양상에 따라, 무선 통신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장치는 연속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등록해제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 및 연속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재등록을 조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0015] 또 다른 양상에서, 기계-실행가능 명령들이 저장된 기계-판독가능 매체가 사용될 수 있다. 명령들은 연속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등록해제를 인식하고 연속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재등록을 조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0016] 일 양상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연속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등록해제를 인식하고 연속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재등록을 조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17] 상기 목적 및 관련된 목적들의 달성을 위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은 하기에 상세히 개시되며 특히 청구항들에서 지시되는 특징들을 포함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되는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예시적 양상들을 상세히 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원리들이 이용될 수 있고 개시된 실시예들이 이러한 모든 양상들 및 이들의 등가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다양한 방식들 중 단지 일부에 대해 예시한 것이다.
[0018] 도 1은 본 발명에 개시되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0019] 도 2는 본 발명에 개시되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연속적으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이용하여 기능하는 데이터 시스템에 대한 예시도이다.
[0020] 도 3은 본 발명에 개시되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세분화된 인에이블러(detailed enabler)로 연속적으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이용하여 기능하는 통신 시스템에 대한 예시도이다.
[0021] 도 4는 발명에 개시되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네트워크와 재접속될 수 있는 연속적으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이용하여 기능하는 통신 시스템에 대한 예시도이다.
[0022] 도 5는 본 발명에 개시되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임베디드 데이터 호출을 테스트할 수 있는 연속적으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이용하여 기능하는 통신 시스템에 대한 예시도이다.
[0023] 도 6은 본 발명에 개시되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조장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예시도이다.
[0024] 도 7은 본 발명에 개시되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네트워크 등록을 위한 방법에 대한 예시도이다.
[0025] 도 8은 본 발명에 개시되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네트워크 등록시 보안 조치들(security measures)에 대한 방법의 예시도이다.
[0026] 도 9는 본 발명에 개시되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데이터 호출 등록 알고리즘의 제 1 파트에 대한 예시도이다.
[0027] 도 10은 본 발명에 개시된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데이터 호출 등록 알고리즘의 제 2 파트에 대한 예시도이다.
[0028] 도 11은 테터드 통신을 조장하는 예시적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예시도이다.
[0029] 도 12는 테터드 통신을 조장하는 예시적 시스템에 대한 예시도이다.
[0030] 도 13은 본 발명에 개시되는 다양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예시도이다.
[0031] 도 14는 테터드 통신 조절 동작을 조장하는 예시적 시스템에 대한 예시도이다.
[0032] 도 15는 테터드 데이터 호출들과 관련되는 네트워크 통신을 조장하는 예시적 시스템에 대한 예시도이다.
[0033] 도면들을 참조로 다양한 실시예들이 개시되며,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전반적으로 동일한 엘리먼트들로 간주하는데 이용된다. 하기의 설명에서, 다양한 특정 사항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다른 예시들에서, 공지된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설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도시된다.
[0034] 본 발명에 사용되는 "콤포넌트", "모듈", "시스템" 및 이와 유사한 용어들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혹은 실행중인 소프트웨어 중 하나로 간주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콤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쓰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다. 예로써,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디바이스 모 두가 콤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콤포넌트들이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쓰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콤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에 로컬화되고/되거나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포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콤포넌트들은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이 저장된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부터 실행될 수 있다. 콤포넌 트들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이를 테면, 하나의 콤포넌트로부터 로컬 시스템, 분포된 시스템내에서 및 /또는 네트워크를 거쳐, 이를 테면 신호에 의해 다른 시스템들을 이용하는 인터넷을 거쳐 또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interacting) 데이터)을 갖는 신호에 따라 국부적(local) 및/또는 원격(remote) 프로세스들 에 의해 통신할 수 있다.
[0035]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이 개시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시스템, 가입자 유니트, 가입자국, 모바일국, 모바일, 원격국, 원격 단말, 액세스 단말,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로 불릴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국, PDA, 무선 접속 능력을 갖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지국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개시된다. 기지국은 모바일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에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이벌브드 노드 B(eNode B 또는 eNB), 송수신 기지국(BTS) 또는 일부 다른 용어로 간주될 수 있다.
[0036]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되는 다양한 양상들 또는 특징들은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들을 사용하는 방법, 장치 또 는 제조 물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조 물품"이란 용어는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디바이스, 캐리어 또는 매체로부터 액세스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이를 테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들, 등), 광학 디스크들(이를 테면, 콤팩트 디스크(CD), DVD, 등), 스마트 카드들,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이를 테면, 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 에 개시된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 매체로 표현될 수 있다. 제한되지 않고, "기계-판독가능 매체"란 용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 및/또는 전달(carrying)할 수 있는 무선 채널들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0037] 도 1을 참조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본 발명에 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예시된다. 시스템(100)은 다수의 안테나 그룹들을 포함할 수 있는 기지국(10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안테나 그룹은 안테나들(104, 106)을 포함할 수 있고, 또 다른 안테나 그룹은 안테나들(108, 110)을 포함할 수 있고, 또 다른 안테나 그룹은 안테나들(112, 114)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해 2개의 안테나가 도시되었지만, 각각의 그룹에 대해 보다 많은 수 또는 보다 적은 수의 안테나들이 이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기지국(102)은 송신기 체인 및 수신기 체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당업자들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신호 전송 및 수신과 연관된 다수의 컴포넌트들(예를 들면, 프로세서들, 변조기들, 멀티플렉서들, 복조기들, 디멀티플렉서들, 안테나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0038] 기지국(102)의 해당 섹터는 액세스 단말(116) 및 액세스 단말(122)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액세스 단말들과 통신할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기지국(102)은 모바일 디바이스들(116, 122)과 유사한 임의의 개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들(116, 122)은 셀룰러 전화들, 스마트 전화들, 랩톱들,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들,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들, 위성 라디오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들, PDA들, 및/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통한 통신을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모바일 디바이스(116)은 안테나들(112, 114)과 통신하며, 안테나들(112, 114)은 순방향 링크(118)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16)로 정보를 전송하며 역방향 링크(12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16)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22)은 안테나들(104, 106)과 통신하며, 안테나들(104, 106)은 순방향 링크(124)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2)로 정보를 전송하며 역방향 링크(126)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2)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순방향 링크(118)는 역방향 링크(120)에 의해 사용되는 것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으며, 순방향 링크(124)는 역방향 링크(126)에 의해 사용되는 것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시간 분할 듀플렉스(TDD) 시스템에서, 순방향 링크(118) 및 역방향 링크(120)는 공통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으며 순방향 링크(124) 및 역방향 링크(126)는 공통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
[0039] 각각의 안테나들의 그룹 및/또는 이들이 통신하도록 지정된 구역은 기지국(102)의 섹터, 또는 eNB의 셀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그룹들은 기지국(102)에 의해 커버되는 구역들의 섹터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들(118, 124)을 통한 통신시, 기지국(102)의 전송 안테나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들(116, 122)에 대한 순방향 링크들(118, 124)의 신호-대-잡음비를 개선시키기 위해 빔형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02)은 연관된 커버리지를 통해 랜덤하게 산란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116, 122)로의 전송을 위해 빔형성(beamforming)을 이용하는 반면, 인접 셀들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단일 안테나를 통해 이들의 모든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전송되는 기지국과 비교할 때 간섭을 덜 받을 수 있다. CDMA(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규격에 대해 개시되었지만, 본 발명에 개시된 양상들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구성에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0040] 이제 도 2를 참조로, 예시적 시스템(200)은 연속 애플리케이션(통상적으로는 "올레이즈-온(always-on)" 애플리케이션으로 공지됨)과 관련하여 테터드 호출 통신과 관련하여 개시된다. 모바일 디바이스(202)는 데이터 호출들을 수행하는 것과 같이, 네트워크 통신에 관여(engage)하기 위해 기지국(204)과 통신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2)는 애플리케이션 호스트(206)와 동작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호스트(206)는 컴퓨터일 수 있으며,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202)는 모뎀으로서 기능하여, 애플리케이션 호스트가 다른 엔티티들과 무선으로 통신하게 허용한다.
[0041] 시스템(200)과 협력하여 사용될 수 있는 2가지 타입의 데이터 호출들에는 임베디드(embedded) 호출들 및 테터드(tethered) 호출들이 포함된다. 임베디드 데이터 호출은 모바일 디바이스(202)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반면 테터드 데이터 호출은 애플리케이션 호스트(206)에서 동작한다. 통상의 동작에서, 임베디드 호출 및 테터드 호출은 일부 구성들, 이를 테면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 구현예에서, 통상적으로 공존할 수 없다. 문제를 복잡하게 하는 것은, 일부 임베디드 데이터 호출들이 연속적으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과 함께 동작하고 이로 인해 테터드 데이터 호출이 기능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이다.
[0042] 시스템(200)은 테터드 구성에서 데이터 호출들을 조절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구성하기 위한 요청이 획득될 수 있고 분석기(208)는 연속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상태를 결정(이를 테면, 임베디드 '올웨이즈-온' 애플리케이션이 동작중인지 중단중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연속 애플리케이션은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이다. 애플리케이션이 동작중이면, 요청은 거절될 수 있다; 그러나, 애플리케이션이 중단중이면, 인에이블러(210)는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조장할 수 있다.
[0043] 모바일 디바이스(202)는 데이터 호출들의 동작을 조장하기 위해 기지국(204)과 통신할 수 있다. 테터드 데이터 호출이 인에이블링될 때, 연속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네트워크로부터의 등록해제가 제공될 수 있다. 구별기(212)는 연속 애플리케이션(이를 테면,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의 등록해제(이를 테면, 등록해제를 위한 요청, 등록해제의 시작, 등)를 인식할 수 있다.
[0044] 등록해제에 대한 보안 문제들이 있을 수 있으며 등록해제가 허용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보호기(214)가 사용될 수 있다. 블로커(blocker)(216)는 등록해제가 허용되지 않았다는 결정에 따라 등록해제를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등록해제가 허용되면, 블로커(216)는 등록해제가 이루어지게 허용할 수 있다. 일단 테터드 데이터 호출이 완료되면, 재등록을 위한 요청이 수집될 수 있고 어시스터(218)는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재등록을 조장하게 동작할 수 있다.
[0045]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이용하기 위한 정보가 예시된다 ―이러한 예시적 정보는 범주를 제한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통상적으로, 무선 데이터 호출에는 넓게 2가지 형태, 즉 테터드 데이터 호출들 및 임베디드 데이터 호출들이 있다. 임베디드 데이터 호출들은 MS(이동국-모바일 디바이스(202))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에 의해 공통적으로 트리거된다. (공통적으로 TCP/IP로 불리는) 프로토콜 슈트 프로토콜 스택 소프트웨어 및 CDMA(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프로토콜 스택 소프트웨어는 MS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테터드 데이터 호출들의 경우에, 데이터 호출을 트리거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은 개인용 컴퓨터(애플리케이션 호스트(206)로 지정된 TE2로 간주됨)상에서 실행될 수 있고, MS는 모뎀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CDMA 프로토콜 스택 소프트웨어는 임베디드 데이터 호출들 및 TCP/IP 프로토콜 스택 소프트웨어가 TE2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경우에서처럼 MS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MS는 CDMA 무선-인터페이스(air-interface)를 통해 기지국(204)(BS)과 통신한다. MS는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USB (Universal Serial Bus)와 같은 직렬 인터페이스를 통해 TE2에 연결될 수 있다.
[0046]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에서, MS에 대한 하나의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의 공통 할당이 제공된다. IP 어드레스는 임베디드 데이터 호출들을 행하기 위해 MS에 의해 이용되거나 또는 테터드 데이터 호출들을 행하기 위해 TE2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임베디드 및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위해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를 이용함으로써, 임베디드 데이터 호출 및 테터드 데이터 호출은 동시적으로 공존할 수 없다.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인에이블(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MS에서, MS에 전력 공급될 때,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임베디드 데이터 호출을 생성하고 개방하며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코어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위해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0047] 이제 도 3을 참조로, 동작 상태가 중단(이를 테면, '올웨이즈-온'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중이 아님)이라는 결정에 기초하여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조장하기 위한 예시적 시스템(300)이 개시된다. 모바일 디바이스(202)는 기지국(204)의 사용을 통해 데이터 호출들을 수행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호스트(206)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은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될 때까지 통상적으로 테터드 데이터 호출들이 실행되는 것을 방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0048] 모바일 디바이스(202)는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분석기(208)를 이용할 수 있다. 동작 상태에 따라, 커뮤니케이터(302)는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로부터 등록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커뮤니케이터(302)는 테터드 데이터 호출의 완료시 다른 시간에서 재등록에 적합한 메타데이터를 보유하여, 신속한 재등록이 가능해진다. 호출로부터의 등록해제 이외에, 이모빌라이저(immobilizer)(304)는 임베디드 데이터 호출을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다. 임베디드 호출 디스에이블링 및/또는 등록해제 이전에, 시스템(300)은 임베디드 데이터 호출들의 우발적인(accidental) 등록해제 또는 종료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자 컨포메이션을 요청할 수 있다. 트리거(306)는 적용가능한 경우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트리거(306)는 테터드 호출이 실행될 수 있게(이를 테면, 커뮤니케이터(302) 및/또는 이모빌라이저(304)가 정확하게 동작하게) 보장하기 위해 진단 테스트들을 수행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터(302), 이모빌라이저(304), 및/또는 트리거(306)가 도 2의 인에이블러(21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기지국(204)은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등록해제를 인식하는 구별기(212) 및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재등록을 조장하는 어시스터(218)를 사용할 수 있다.
[0049] 도 4를 참조로, 예시적 시스템(400)은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이용하기 위해 공통적으로 등록해제 이후에 네트워크와의 재등록을 위한 예시적 시스템(400)이 개시된다. 모바일 디바이스(202)는 기지국(204)을 통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202)는 애플리케이션 호스트(206)가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 호스트와 동작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기지국(204)은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등록해제를 인식하는 구별기(212) 및/또는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재등록을 원활하게 하는 어시스터(218)를 이용할 수 있다.
[0050] 분석기(208)는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수행하고,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상태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수집하고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메타데이터를 평가하기 위한 요청을 획득할 수 있다. 동작 상태가 중단이며, 인에이블러(210)는 이를 테면 임베디드 데이터 호출을 디스에이블링함으로써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조장할 수 있다. 그러나, 동작 상태 중단이면, 인에이블러(210)는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수행하기 위한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0051] 동작 상태가 중단인 상황에서, 인에이블러(210)는 테터드 데이터 호출의 동작을 모니터할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에 기초하여, 분류기(classifier)(402)는 활성화된 테터드 데이터 호출의 완료를 인식할 수 있다. 모니터링 검사는 테터드 데이터 호출의 사용을 수동적으로(passively) 관찰하는 것, 테터드 호출 메타데이터(이를 테면, 엔드 커맨드(end command))를 식별하는 것, 테터드 데이터 호출의 상태와 관련되는 정보를 능동적으로 요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완료시, 교환기(404)는 네트워크에 재등록될 수 있다 ― 공통적으로, 재등록은 동작이 임베디드 데이터 호출 이전의 동작과 유사해지게 허용한다. 도 2의 커뮤니케이터에 의해 보유된 정보는 재등록기(reregister)에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재등록 확인을 요청할 수 있으며, 여기서 재등록은 사용자 인증 없이 이루어질 수 없다.
[0052] 이제 도 5를 참조로, 데이터 타입 세션을 처리하기 위한 예시적 시스템(500)이 개시된다. 모바일 디바이스(202), 기지국(204), 및 애플리케이션 호스트(206)는 데이터 호출들의 동작(이를 테면, 테터드, 임베디드, 및 이와 유사한 것)을 조장하기 위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기지국(204)은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재등록을 조장하는 어시스터(218) 뿐만 아니라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등록해제를 인식하는 구별기(212)를 이용할 수 있다.
[0053] 일부 데이터 타입들은 테터드 및 임베디드 데이터 호출들의 동작을 동시에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데이터 세션 타입을 식별하는 평가기(502)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동작 상태의 결정은 특정한 데이터 세션 타입의 식별시에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 데이터 타입에 따라, 테터드 데이터 호출은 임베디드 데이터 호출과 관련하여 동시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어세서(assessor)(504)는 인에이블된 테터드 호출이 성공적으로 동작했는지(이를 테면, 인에이블러(210)가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설정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어세서(504)가 인에이블러(210)가 성공적이지 못하다고 결정하면, 어세서(504)는 에이블러(210)에 다른 시도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특정 수의 시도들 이후에, 어세서(504)는 테터드 호출이 실행가능하지 않을 것 같다고 결정하여 도 4의 교환기(404)가 동작하게 지시할 수 있다.
[0054] 인에이블된 테터드 데어터 호출의 성공적 동작에 따라, 송신기(506)는 테터드 호출이 성공적으로 활성화되었다는 통지(notice)를 단말 장비로 전송할 수 있다. 송신기(506)는 (이를 테면, 의도된 수신지에 기초하여, 이를 테면 제한된 분포를 갖는 비밀 정보와 같은) 정보가 통지에 대해 적절한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송신기(506)는 모바일 디바이스(202) 및/또는 기지국(204)의 동작에 대한 피드백을 수집하고 피드백에 기초하여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0055] 도 6-10을 참조로, 모바일 디바이스 통신과 관련한 방법들이 예시된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방법들은 일련의 동작들로 도시 및 개시되지만,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라, 일부 동작들이 본 발명에 도시 및 개시된 것과 상이한 순서들 및/또는 다른 동작들과 동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방법들의 순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고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들은 방법은 대안적으로 일련의 상관된 상태들 또는 이벤트들, 이를 테면 상태 다이어그램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고 인식될 것이다. 또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데 있어 도시된 모든 동작들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0056] 이제 도 6을 참조로,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처리하고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 구성을 공통적으로 관여시키기 위한 예시적 방법(600)이 도시된다.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동작시키기 위한 명령이 (이를 테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사용자 상호작용으로부터 시작되는) 이벤트(602)에서 수집될 수 있다. 명령은 테터드 호출과 연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테터드 호출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호스트, 제3자(third-party) 디바이스 등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
[0057] 데이터 세션 타입(이를 테면, 인터넷 프로토콜 4 버전, 인터넷 프로토콜 6 버전, 및 이와 유사한 것)은 동작(604)에서 식별된다. 요청이 자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을 위해 식별된 타입에 대해 검사(606)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 6 버전 타입은 임베디드 및 테터드 데이터 호출들에 대해 동시에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경우, 지시된 테터드 데이터 호출은 동작(608)에서 자동적으로 인에이블될 수 있다.
[0058] 자동적으로 인에이블링될 수 없다면, 방법(600)은 연속적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검사(610)를 계속할 수 있다. 동작 상태가 활성이면,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수행하기 위한 요청이 동작(612)에서 취소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 따라, 테터드 데이터 호출 요청은 동작 상태가 활성이라는 것을 검사(610)가 결정하는 경우 대기 상태에 놓일 수 있다. 검사는 지속적으로 동작할 수 있고 일단 중단 상태가 식별되면 방법(600)이 지속될 수 있다.
[0059] 동작 상태가 중단되었다는 것을 결정하면, 동작(614)에서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조장할 수 있다. 검사(616)는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조정하는 것이 성공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성공하지 못했다면, 방법(600)은 동작(614)으로 리턴되어 또 다른 시도를 구성할 수 있다. 한 세트의 시도 횟수 이후, 방법(600)은 종료(이를 테면, 동작(612)으로 이동)될 수 있다. 테터드 데이터 호출에 대한 성공적 구현에 따라, 동작(618)에서는 성공에 대한 통지가 전송될 수 있고 통지가 성공적으로 획득된 경우 이벤트(620)에서 확인이 획득될 수 있다.
[0060] 도 7을 참조로, 테터드 데이터 호출 및 임베디드 데이터 호출에 대한 동작과 관련하여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예시적 방법(700)이 개시된다. 이벤트(702)에서, 공통적으로 동작인지 또는 중단인지에 대한 동작 상태가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동작 상태 레벨들, 이를 테면 인게이징(engaging)(이를 테면, 임베디드 데이터 호출의 시작), 엔딩, 및 이와 유사한 것을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0061] 동작 상태가 중단으로 지정됨에 따라, 테터드 데이터 호출이 요청될 수 있다. 네트워크로부터의 등록해제(deregistration)는 동작(704)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이를 테면,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통신). 네트워크 등록해제 이외에, 이벤트(706)에서 임베디드 데이터 호출이 디스에이블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일어날 동작에 대해 임베디드 데이터 호출 불능(disablement)을 확인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0062] 디스에이블된 임베디드 데이터 호출로, 동작(708)에서는, 요청된 테터드 데이터 호출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일단 활성화되면, 활성화가 (이를 테면,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통신 레벨에서) 원하는 방식으로 발생하는지에 대한 결정을 위해 검사들이 실행될 수 있다. 테터드 데이터 호출이 기능할 수 있고 모니터링될 수 있으며, 동작(710)에서 적어도 모니터링의 일부는 테터드 데이터 호출의 완료를 인식하는 것을 포함한다. 재등록이 적절한지에 대해 결정하기 위해 검사가 수행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이벤트(712)에서 네트워크에 대한 재등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재등록은 동작(704) 이전에 상태에 대한 통신을 재저장할 수 있지만, 상이한 구성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0063] 이제 도 8을 참조로, 네트워크 등록을 보호하기 위해 보안책(security)을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 방법(800)이 개시된다. 네트워크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를 등록해제하기 위한 요청은 동작(802)에서 인식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등록해제는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수행하기 위한 요청 뿐만 아니라, 연속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지 않았다는 결정에 따라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0064] 요청이 허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검사(804)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등록해제를 인에이블링시킬 수 있는 허용된 사용자들의 리스트가 보유될 수 있다(이를 테면, 허용된 엔티티들의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들). 요청 아이덴티티와 허용된 리스트에 대한 비교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비교의 결과는 결정을 구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요청이 허용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요청과 연관된 메타데이터가 수집 및 분석될 수 있다.
[0065] 요청이 허용된다는 것이 결정되면, 등록해제와 연관된 업무(이를 테면, 테터드 데이터 호출)가 모니터링될 수 있다. 공통적으로, 테터드 데이터 호출의 완료와 같은 특정 이벤트 이후에, 재등록이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동작(806)에서 테터드 데이터 호출의 완료가 이루어질 수 있고 동작(808)에서 재등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재등록이 성공적인지, 예상된 파라미터들을 충족시키는지 등을 결정하기 위해 진단 테스트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검사(804)가 허용되지 않은 등록해제가 있다 것을 결정하면, 동작(810)에서 요청이 거절될 수 있다. 명백한 거절(outright denial)이 가능하지만, 방법(800)은 정확한 결정을 구성하기 위해 보다 많은 정보를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66] 이제 도 9 및 도 10을 참조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 호출들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의 제 1 부분(900) 및 제 2 부분(1000)이 개시된다. 사용자 커맨드 또는 자동 생성 디바이스(이를 테면, 세트 타임에서 테터드 호출을 구성하기 위한 타이머 세트)로부터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수행하기 위한 시도가 동작(902)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시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사들은 테터드 호출이 실행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0067] 임베디드 데이터 호출이 실행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902)가 실행될 수 있다. 임베디드 데이터 호출이 실행되면, 검사(906)는 호출 타입이 한정적(restrictive)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호출 타입들은 임베디드 및 테터드 데이터 호출들에 대해 동시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 임베디드 호출 타입이 제한적이면, 시도되는 테터드 데이터 호출이 제한적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또 다른 검사(908)가 실행될 수 있다. 검사(904, 906, 또는 908)가 부정적 결과들을 나타내면, 방법의 제 1 부분(900)은 제 2 부분(1000)으로 계속될 수 있다.
[0068] 또한, 테터드 호출이 제한적이면, 실행되는 임베디드 애플리제이션이 연속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제한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또 다른 검사(910)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들이 제공된다면, 동작(912)에서 테터드 호출은 거절될 수 있다. 하나의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이 있다고 결정되면, 검사(914)는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접속이 활성인지 또는 중단인지 여부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활성이면, 테터드 호출은 동작(912)에서 거절되거나 또는 대기 모드에 놓일 수 있다. 대기 모드에 있는 동안, 방법이 계속되게 허용할 수 있는 동작 상태가 변화에 대해 모니터링된다. 접속이 중단(이를 테면, 초기에, 대기 이후에, 등에서)이면, 연속 애플리케이션은 이벤트(916)에서 등록해제될 수 있고 방법은 제 2 부분(1000)으로 계속될 수 있다.
[0069] 방법의 제 2 부분(1000)에서는, 이벤트(1002)에서 테터드 호출이 초기화되게 허용할 수 있다. 방법은 동작(1004)에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이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사용하게 허용할 수 있다.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이 동시에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사용할 수 있거나 혹은 애플리케이션들은 테터드 데이터 호출 사용을 순서대로(take turns)할 수 있다. 테터드 데이터 호출의 모니터링은 동작(1006)에서 호출의 종료가 식별되게 허용할 수 있다. 식별은 전송될 능동 메시지(active message)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능동 메시지는 테터드 데이터 호출이 더이상 적합하지 않다는 것, 테터드 데이터 호출의 사용에 모니터링이 부족하다는 것 및 이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0070] 재등록이 적절한지(이를 테면, 도 9의 이벤트(916)에서 행해지지 않은 재등록이 다시 이루어져야 하는지) 여부에 대해 결정하기 위해 검사(1008)가 이루어질 수 있다. 재등록이 적절한 것으로 결정되면, 재등록이 다시 이루어질 것이라는 통지가 전송될 수 있다. 임베디드 호출 데이터는 동작(1010)에서 액세스될 수 있고 재등록은 동작(1012)에서 발생될 수 있다. 동작(1014)에서, 재등록이 완료 것을 나타내는 통지가 전송될 수 있다.
[0071] 부가적으로, 재등록이 적절하지 않으면, 이러한 정보를 갖는 통지가 동작(1014)에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터드 데이터 호출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전력 손실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호스트에 대한 전력 손실(전력 없이)에 기초하여 종료될 수 있고, 이 경우 재등록을 수행하기 위한 요구조건 및/또는 능력이 없을 수 있다. 부가적으로, 다른 등록해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재등록에 대해 피드백이 수집(이를 테면, 적절한 어드레스들과 같이 보유될 수 있는 정보 수집)될 수 있다.
[0072] 본 발명에 개시되는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 통신 조절 등과 관련한 추론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추론하다" 또는 "추론"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이벤트들 및/또는 데이터를 통해 포착되는 관찰들의 세트로부터 시스템, 환경, 및/또는 사용자의 상태들에 대해 추리하거나 추론하는 프로세스로 간주된다. 추론은 특정 문맥(context) 또는 동작을 식별하는데 이용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상태들을 통한 확률 분포를 생성할 수 있다. 추론은 확률론적― 즉, 데이터 및 이벤트들의 고려사항에 기초하여 해당 상태들을 통한 확률 분포의 계산일 수 있다. 또한, 추론은 이벤트들 및/또는 데이터로부터 상위-레벨(higher-level) 이벤트들을 구성하는데 이용되는 기술들로 간주될 수 있다. 이러한 추론은 이벤트들이 근사 시간적 근접성에 상관되는지 또는 상관되지 않는지 여부, 그리고 이벤트들 및 데이터가 하나 또는 몇 개의 이벤트 및 데이터 소스들로부터 발생되는지 여부에 따라, 관찰된 이벤트들 및/또는 저장된 이벤트 데이터의 세트로부터 새로운 이벤트들 또는 동작들의 구성(construction)을 산출한다.
[0073] 일례에 따라, 앞서 제시된 하나 이상의 방법들은 모바일 디바이스 통신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되는 추론들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예시로써, 추리는 의도된 애플리케이션, 원하는 전력 절감들 등에 기초하여 웨이크업(wakeup) 기간 파라미터로서 다수의 물리적 프레임들을 선택하는 것과 관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예들은 사실상 예시적인 것이며 구성될 수 있는 간섭들의 수 또는 이러한 간섭들이 본 발명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방법들과 관련하여 구성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제한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0074] 도 11은 모바일 디바이스 통신을 조장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100)에 대한 예시도이다. 모바일 디바이스(1100)는 이를 테면 수신 안테나(미도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대해 전형적 동작들(이를 테면, 필터링, 증폭, 다운컨버팅 등)을 수행하고 샘플들을 얻기 위해 조정된 신호를 디지털화하는 수신기(110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수신기(1102)는 MMSE 수신기일 수 있으며 수신된 심볼들을 복조시키고 채널 추정을 위해 이들을 프로세서(1106)로 제공할 수 있는 복조기(11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6)는 수신기(1102)에 의해 수신된 정보르 분석하고 및/또는 송신기(1116)에 의한 전송을 위해 정보를 생성하도록 전용된 프로세서, 모바일 디바이스(1100)의 하나 이상의 콤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또는 수신기(1102)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 송신기(1116)에 의한 전송을 위해 정보를 생성하며 모바일 디바이스(1100)의 하나 이상의 콤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0075] 부가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100)는 프로세서(1106)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메모리(110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1108)는 전송될 데이터, 수신된 데이터, 이용가능한 채널들과 관련된 정보, 간섭 세기 및/또는 분석된 신호와 연관되는 데이터, 할당된 채널과 관련된 정보, 전력, 레이트,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 및 채널을 추정하고 채널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메모리(1108)는 채널 추정 및/또는 이용과 연관되는 (이를 테면, 성능 기반, 용량 기반 등..) 프로토콜들 및/또는 알고리즘들을 저장할 수 있다.
[0076] 본 발명에 개시된 데이터 저장기(이를 테면, 메모리(1108))는 휘발성 메모 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되지 않는 예로써,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램가능 ROM(PROM), 전기적으로 프로그램가능한 ROM(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PROM(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메모리로서 동작할 수 있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되지 않는 예로써, RAM은 동기식 RAM(SRAM), 동적 RAM(DRAM), 동기식 DRAM(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SDRAM(DDR SDRAM), 인핸스드 SDRAM(ESDRAM), 싱크링크 DRAM(SLDRAM), 및 다이렉트 램버스 RAM(DRRAM)과 같이 다양한 형태들로 이용될 수 있다. 해당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메모리(1108)는 제한되지 않고, 이러한 및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태들의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0077] 프로세서(1102)는 연속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분석기(1110) 및/또는 동작 상태가 중단이라는 결정에 기초하여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조장하는 인에이블러(1112)에 동작가능하게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0)는 이를 테면, 기지국, 또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 등으로 신호(이를 테면, 베이스 CQI 및 차동(differential) CQI)를 전송하는 송신기(1116) 및 변조기(1114)를 더 포함한다. 프로세서(1106)와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분석기(1110) 및/또는 인에이블러(1112)는 프로세서(1106)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들(미도시)의 일부일 수 있다.
[0078] 도 12는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이용하는 것을 조장하는 시스템(1200)의 예시도이다. 시스템(1200)은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1206)을 통해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들(1204)로부터 신호(들)를 수신하는 수신기(1210), 및 다수의 전송 안테나들(1208)을 통해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들(1204)로 전송하는 송신기(1222)를 갖춘 기지국(1202)(이를 테면, 액세스 포인트,...)을 포함한다. 수신기(1210)는 수신 안테나들(1206)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정보를 복조시키는 복조기(1212)와 동자가능하게 연관된다. 복조된 심볼들은 도 11과 관련하여 앞서 개시된 프로세서와 유사할 수 있고 신호(이를 테면, 파일럿) 세기 및/또는 간섭 세기, 모바일 디바이스(들)(1204)(또는 이종의 기지국(미도시))로 전송될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들)(1204)(또는 이종의 기지국(미도시))로부터 수신될 데이터, 및/또는 본 발명에 개시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216)에 연결되는 프로세서(1214)에 의해 분석된다.
[0079] 프로세서(1214)는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등록해제를 인식하는 구별기(1218)에 추가로 연결된다. 또한, 프로세서(1214)는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재등록을 조장하는 어시스터(1220)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14)는 FLAB 메시지 또는 ARB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순방향 링크 채널을 통한 전송을 달성(effectuate)할 수 있다. 전송될 정보는 변조기(1222)에 제공될 수 있다. 변조기(1222)는 안테나(1208)를 통해 송신기(1224)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들)(1204)로의 전송을 위한 정보를 멀티플렉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4)와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구별기(1218) 및/또는 어시스터(1220)는 프로세서(1214)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들(미도시)의 일부일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0080] 도 13은 예시적 무선 통신 시스템(1300)을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1300)은 명확성을 위해 하나의 기지국(1310) 및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1350)를 도시한다. 그러나, 시스템(1300)은 하나 보다 많은 수의 기지국 및/또는 하나 보다 많은 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며, 추가의 기지국들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하기에 개시되는 예시적 기지국(1310) 및 모바일 디바이스(135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310)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350)는 본 발명에 개시되는 시스템들(도 1-5 및 도 11-12) 및/또는 방법들(도 6-10)을 이용하여 이들간의 무선 통신을 조장할 수 있다.
[0081] 기지국(1310)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는 데이터 소스(1312)로부터 전송(TX) 데이터 프로세서(1314)에 제공된다. 일례에 따라,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은 개별 안테나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TX 데이터 프로세서(1314)는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한 코딩 방식에 기초하여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 코딩, 및 인터리빙한다.
[0082]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코딩된 데이터는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기술들을 사용하여 파일럿 데이터와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파일럿 심볼들은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FDM),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TDM), 또는 코드 분할 멀티플렉싱(CDM)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파일럿 데이터는 공지된 방식으로 처리되는 공지된 데이터 패턴이며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350)에서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멀티플렉싱된 파일럿 및 코딩된 데이터는 변조 심볼들을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되는 특정 변조 방식(이를 테면, BPSK(binary phase-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shift keying), M-PSK(M-phase-shift keying), M-QAM(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등)에 기초하여 변조(이를 테면, 심볼 맵핑)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프로세서(1330)에 의해 수행 또는 제공되는 명령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0083]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볼들은 (이를 테면, OFDM에 대한) 변조 심볼들을 추가로 처리할 수 있는 TX MIMO 프로세서(1320)에 제공될 수 있다. 다음 TX MIMO 프로세서(1320)는 NT개의 변조 심볼 스트림들을 NT개의 송신기들(TMTR)(1322a 내지 1322t)에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TX MIMO 프로세서(1320)는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볼들 및 심볼이 전송되는 안테나에 빔형성 가중치들을 적용한다.
[0084] 각각의 송신기(1322)는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심볼 스트림을 수신 및 처리하며, 또한 MIMO 채널을 통한 전송에 적합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를 조정(이를 테면, 증폭, 필터링 및 업컨버팅)한다. 또한, 송신기들(1322a 내지 1322t)로부터의 NT개의 변조된 신호들은 각각 NT 개의 안테나들(1324a 내지 1324t)로부터 전송된다.
[0085] 모바일 디바이스(1350)에서, 전송되는 변조된 신호들은 NR개의 안테나들(1352a 내지 1352r)에 의해 수신되며 각각의 안테나(1352)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각각의 수신기(RCVR)(1354a 내지 1354r)에 제공된다. 각각의 수신기(1354)는 각각의 신호를 조정(이를 테면, 필터링, 증폭, 및 다운컨버팅)하고, 샘플들을 제공하기 위해 조정된 신호를 디지털화하며, 해당하는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샘플들을 추가로 처리한다.
[0086] NT개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하기 위해, RX 데이터 프로세서(1260)는 특정 수신기 처리 기술에 기초하여 NR개의 수신된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 및 처리할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360)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recover)하기 위해 각각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할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360)에 의한 처리는 기지국(1310)에서 TX MIMO 프로세서(13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1314)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상보적이다.
[0087] 프로세서(1370)는 앞서 개시된 것처럼 어떤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사용할지 주기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70)는 매트릭스 인덱스 부분 및 랭크 값 부분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공식화(formulate)할 수 있다.
[0088]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통신 링크와 관련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정보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데이터 소스(1336)로부터의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는 TX 데이터 프로세서(1338)에 의해 처리되고, 변조기(1380)에 의해 변조되고, 송신기들(1354a 내지 1354r)에 의해 조정되고, 다시 기지국(1310)으로 전송될 수 있다.
[0089] 기지국(13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50)로부터 변조된 신호들은 안테나들(1324)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들(1322)에 의해 조정되고, 복조기(1340)에 의해 복조되고, RX 데이터 프로세서(1342)에 의해 처리되어 모바일 디바이스(1350)에 의해 전송된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30)는 추출된 메시지를 처리하고 빔형성 가중치들을 결정하기 위해 어떤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사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0090] 프로세서들(1330, 1370)은 각각 기지국(1310)과 모바일 디바이스(1350)에서의 동작을 지시(이를 테면, 제어, 조정, 관리 등)할 수 있다. 각각의 프로세서들(1330, 1370)은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332, 1372)와 연관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들(1330, 1370)은 각각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대한 주파수 및 임펄스 응답 추정들을 유추(derive)하기 위한 계산들을 수행할 수 있다.
[0091] 본 발명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하드웨어 구현에 대해, 프로세싱 유니트들은 하나 이상의 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들(DSPD들), 프로그램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PLD들), 필드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들(FPGA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본 발명에 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니트들, 컴퓨터, 또는 이들의 조합중 하나 이상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0092] 실시예들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마이크로코드, 프로그램 코드 또는 코드 세그머트들에서 구현될 때,이들은 저장 컴포넌트와 같은 기계 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프로시져, 함수, 서브프로그램, 프로그램, 루틴, 서브루틴, 모듈, 소프트웨어 패키지, 클래스, 또는 명령들, 데이터 구조들, 또는 프로그램 스테이트먼트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정보, 데이터, 인수, 파라미터, 또는 메모리 컨텐츠들을 전달 및/또는 수신함으로써 다른 코드 세그먼트 또는 하드웨어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정보, 인수, 파라미터, 데이터 등은 메모리 공유, 메시지 전달, 토큰 전달, 네트워크 전송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전달, 포워딩, 또는 전송될 수 있다.
[0093] 소프트웨어 구현의 경우, 여기 제시된 기술들은 여기 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예를 들어, 프로시져, 함수,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닛들에 저장되어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에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외부에 구현되는 경우 메모리는 공지된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0094] 도 14를 참조로, 테터드 데이터 호출 통신을 실시하는 시스템(1400)이 예시된다. 예를 들어, 시스템(1400)은 모바일 디바이스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주할 수 있다. 시스템(1400)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이를 테면, 펌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을 표현하는 기능 블록들일 수 있는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표현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시스템(1400)은 협력하여 작동할 수 있는 전기 콤포넌트들의 논리 그룹(1402)을 포함한다. 이를 테면, 논리 그룹(1402)은 연속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전기적 콤포넌트(1404) 및 동작 상태가 중단이라는 결정에 기초하여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조장하기 위한 전기적 콤포넌트(1406)를 포함할 수 있다. 논리 그룹(1402)은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로부터 등록해제를 위한 전기적 콤포넌트, 임베디드 데이터 호출을 디스에이블링시키기 위한 전기 콤포넌트,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기 콤포넌트, 활성화된 테터드 데이터 호출의 완료를 인식하기 위한 전기 콤포넌트, 네트워크에 대한 재등록을 위한 전기 콤포넌트, 데이터 세션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전기 콤포넌트, 특정 데이터 세션 타입의 식별시에 동작 상태 기능들을 결정하기 위한 전기 콤포넌트, 인에이블링된 테터드 호출이 성공적으로 활성화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전기 콤포넌트, 테터드 호출이 성공적으로 활성화되었다는 통지를 단말 장비로 전송하기 위한 전기적 콤포넌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표현 및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시스템(1400)은 전기 콤포넌트들(1404, 1406)과 연관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1408)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8)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하나 이상의 전기적 콤포넌트들(1404, 1406)이 메모리(1408) 내부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0095] 도 15를 참조로, 치환된(permuted) 코드워드들에 대해 연속적인 간섭 동작들을 이용함으로써 감소된 피드백을 계산하는 시스템(1500)이 예시된다. 시스템(1500)은 이를 테면, 기지국 내부에 상주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시스템(1500)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이를 테면, 펌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을 표현할 수 있는 기능 블록들을 포함한다. 시스템(1500)은 순방향 링크 전송 제어를 조장하는 전기 콤포넌트들의 논리 그룹(1502)을 포함한다. 논리 그룹(1502)은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등록해제를 인식하기 위한 전기 콤포넌트(15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논리 그룹(1502)은 연속 애플리케이션(1506)의 재등록을 조장하기 위한 전기 콤포넌트(150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등록해제가 허용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전기 콤포넌트(1508) 및 등록해제가 허용되지 않았다는 결정에 따라 등록해제를 방지하기 위한 전기 콤포넌트(1510)가 논리 그룹(1502)의 일부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시스템(1500)은 전기 콤포넌트들(1504, 1506, 1508, 1510)와 연관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1512)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12)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전기 콤포넌트들(1504, 1506, 1508, 1510)이 메모리(1512) 내부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0096] 앞서 개시된 것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예를 포함한다. 물론, 앞서 언급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 콤포넌트들 또는 방법들에 대해 고려될 수 있는 모든 조합을 개시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당업자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변환 및 다수의 추가적 조합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첨부되는 청구항들의 범주내에 있는 이러한 변경, 변환 및 변조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부 또는 청구항들 모두에서 이용되는 "포함한다(includes)"라는 용어에 대해, 이러한 용어는 "포함하는(comprising)"이 청구항에서 번역 단어로서 이용될 때 해석되는 것처럼, "포함하는(comprising)"이란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함하는 것을 의도된다.

Claims (60)

  1. 통신을 조절(regulating)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연속 애플리케이션(continuous application)에 대한 동작(activity)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상태가 중단(dormant)이라는 결정에 기초하여 테터드(tethered) 데이터 호출을 조장(facilitating)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애플리케이션은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인, 통신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조장하는 단계는,
    상기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로부터 등록해제(deregistering)하는 단계;
    임베디드(embedded) 데이터 호출을 디스에이블링(disabling)하는 단계; 및
    상기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테터드 데이터 호출의 완료를 인식(recognizing)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에 재등록(reregistering)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데이터 세션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특정 데이터 세션 타입의 식별시에 이루어지는, 통신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데이터 섹션 타입은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 데이터 타입인, 통신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인에이블된(enabled) 테터드 호출이 성공적으로 활성화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테터드 호출이 성공적으로 활성화된다는 통지(notice)를 단말 장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9. 무선 통신 장치로서,
    연속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분석기(analyzer); 및
    상기 동작 상태가 중단이라는 결정에 기초하여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조장하는 인에이블러(enabler)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애플리케이션은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인, 무선 통신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러는,
    상기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로부터 등록해제하는 커뮤니케이터;
    임베디드 데이터 호출을 디스에이블링시키는 이모빌라이저(immobilizer); 및
    상기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활성화시키는 트리거(trigger)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테터드 데이터 호출의 완료를 인식하는 분류기(classifier); 및
    상기 네트워크로 재등록하는 교환기(exchanger)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데이터 세션 타입을 식별하는 평가기를 더 포함하며, 동작 상태의 결정은 특정 테이터 세션 타입의 식별시에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데이터 세션 타입은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 데이터 타입인, 무선 통신 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인에이블된 테터드 호출이 성공적으로 활성화되는지 결정하는 어세서(assessor)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테터드 호출이 성공적으로 활성화된다는 통지를 단말 장비로 전송하는 송신기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7. 무선 통신 장치로서,
    연속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동작 상태가 중단이라는 결정에 기초하여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조장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애플리케이션은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인, 무선 통신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조장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로부터 등록해제하기 위한 수단;
    임베디드 데이터 호출을 디스에이블링시키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테터드 데이터 호출의 완료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네트워크로 재등록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데이터 세션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특정 테이터 세션 타입의 식별시에 기능하는, 무선 통신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데이터 세션 타입은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 데이터 타입인, 무선 통신 장치.
  23. 제 17 항에 있어서,
    인에이블된 테터드 호출이 성공적으로 활성화되는지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테터드 호출이 성공적으로 활성화된다는 통지를 단말 장비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5. 연속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상태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동작 상태가 중단이라는 결정에 기초하여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조장하기 위한
    기계-실행가능 명령들이 저장된, 기계-판독가능 매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애플리케이션은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인, 기계-판독가능 매체.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조장하는 것은,
    상기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로부터 등록해제하는 것;
    임베디드 데이터 호출을 디스에이블링시키는 것; 및
    상기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활성화시키는 것
    을 포함하는, 기계-판독가능 매체.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테터드 데이터 호출의 완료를 인식하고;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로 재등록하기 위한
    기계-실행가능 명령들이 저장되는, 기계-판독가능 매체.
  29. 제 25 항에 있어서,
    데이터 세션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기계-실행가능 명령들이 저장되며, 동작 상태의 결정은 특정 테이터 세션 타입의 식별시에 이루어지는, 기계-판독가능 매체.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데이터 세션 타입은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 데이터 타입인, 기계-판독가능 매체.
  31. 제 25 항에 있어서,
    인에이블된 테터드 호출이 성공적으로 활성화되는지 결정하기 위한 기계-실행가능 명령들이 저장되는, 기계-판독가능 매체.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테터드 호출이 성공적으로 활성화된다는 통지를 단말 장비로 전송하기 위한 기계-실행가능 명령들이 저장되는, 기계-판독가능 매체.
  3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로서,
    연속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동작 상태가 중단이라는 결정에 기초하여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조장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애플리케이션은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조장하는 것은
    상기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로부터 등록해제하는 것;
    임베디드 데이터 호출을 디스에이블링시키는 것; 및
    상기 테터드 데이터 호출을 활성화시키는 것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활성화된 테터드 데이터 호출의 완료를 인식하고; 및
    상기 네트워크에 재등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3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데이터 세션 타입을 식별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것은 특정 테이터 세션 타입의 식별시에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데이터 세션 타입은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 데이터 타입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39.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인에이블된 테터드 호출이 성공적으로 활성화되는지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테터드 호출이 성공적으로 활성화된다는 통지를 단말 장비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41. 통신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등록해제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재등록을 조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애플리케이션은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인, 통신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43.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해제가 허용(authorized)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해제가 허용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등록해제를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45. 무선 통신 장치로서,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등록해제를 인식하는 구별기(distinguisher); 및
    상기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재등록을 조장하는 어시스터(assister)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애플리케이션은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인, 무선 통신 장치.
  47.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해제가 허용되는지를 결정하는 보호기(protector)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해제가 허용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등록해제를 방지하는 블록커(blocker)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49. 무선 통신 장치로서,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등록해제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재등록을 조장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애플리케이션은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인, 무선 통신 장치.
  51.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해제가 허용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해제가 허용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등록해제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53.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등록해제를 인식하고; 그리고
    상기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재등록을 조장하기 위한
    기계-실행가능 명령들이 저장된, 기계-실행가능 매체.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애플리케이션은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인, 기계-실행가능 매체.
  55.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해제가 허용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기계-실행가능 명령들이 저장된, 기계-실행가능 매체.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해제가 허용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등록해제를 방지하기 위한 기계-실행가능 명령들이 저장된, 기계-실행가능 매체.
  5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로서,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등록해제를 인식하고 상기 연속 애플리케이션의 재등록을 조장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58.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애플리케이션은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59.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등록해제가 허용되는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60.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등록해제가 허용되지 않는다는 결정시에 등록해제를 방지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KR1020117005183A 2008-08-05 2009-08-03 연속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테터드 데이터 호출 KR201100504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86,278 2008-08-05
US12/186,278 US20100034124A1 (en) 2008-08-05 2008-08-05 Tethered data call with continuous appl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495A true KR20110050495A (ko) 2011-05-13

Family

ID=4126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183A KR20110050495A (ko) 2008-08-05 2009-08-03 연속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테터드 데이터 호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00034124A1 (ko)
EP (1) EP2322011A1 (ko)
JP (1) JP2011530873A (ko)
KR (1) KR20110050495A (ko)
CN (1) CN102106183A (ko)
BR (1) BRPI0916982A2 (ko)
CA (1) CA2730351A1 (ko)
RU (1) RU2011108501A (ko)
TW (1) TW201108830A (ko)
WO (1) WO20100171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0965B2 (en) * 2010-07-30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Coordinating data calls on a mobile device with multiple modems
US8943554B2 (en) * 2011-03-18 2015-01-27 Smith Micro Software, Inc. Managing tethered data traffic over a hotspot network
CN103621167B (zh) * 2011-04-13 2017-05-03 英派尔科技开发有限公司 基于与移动装置关联的网络地址调整服务质量
US8773990B1 (en) * 2012-02-03 2014-07-08 Sprint Spectrum L.P. Detecting unauthorized tethering
US8848579B1 (en) * 2012-07-16 2014-09-30 Sprint Spectrum L.P.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transport-layer source ports to identify sources of packet payloads in mixed tethering and non-tethering environments
US10631349B2 (en) 2018-03-01 2020-04-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triggered tetheri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5629A (en) * 1995-09-08 1997-10-07 At&T Cordless cellular system base station
US6912214B2 (en) * 2000-04-07 2005-06-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Optimized packet-resource management
KR100599915B1 (ko) * 2002-02-08 2006-07-19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국측 장치 및 국측 장치에서의 리소스 할당 방법과 이동통신 시스템
JP4601983B2 (ja) * 2004-03-30 2010-12-22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管理方法並びに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853697B2 (en) * 2005-01-03 2010-12-14 Nokia Corporation Handling suspended network state of a terminal device
JP4974465B2 (ja) * 2005-02-07 2012-07-1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端末装置
US20070088830A1 (en) * 2005-10-19 2007-04-19 Utstarcom, Inc. Selective communication of a mobile application based on air interface dormancy
KR100770017B1 (ko) * 2006-01-27 2007-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서비스 시의 효율적인 도먼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멀티모드 단말기
US7760628B2 (en) * 2006-09-26 2010-07-20 Kyocera Corporation Socket based passive server
CN101170553B (zh) * 2006-10-24 2011-07-20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互联网协议多媒体子系统容灾的方法和装置
US8332514B2 (en) * 2007-07-20 2012-12-1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apparatus for load balancing in communication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30351A1 (en) 2010-02-11
WO2010017143A1 (en) 2010-02-11
US20100034124A1 (en) 2010-02-11
EP2322011A1 (en) 2011-05-18
CN102106183A (zh) 2011-06-22
TW201108830A (en) 2011-03-01
JP2011530873A (ja) 2011-12-22
BRPI0916982A2 (pt) 2018-02-14
RU2011108501A (ru) 2012-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4583B1 (ko) 단순화된 harq 관리
US10034320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erforming an adaptive access procedure on a multi-SI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891458B2 (en) User equipment capability update in wireless communications
EP299273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relay selection
US8805391B2 (en) Method of improving semi-persistent scheduling resources reconfigu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KR102159424B1 (ko) 셀룰러 사물 인터넷 통신에서의 개방 루프 타이밍 및 사이클릭 프리픽스들
US8315182B2 (en) Method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for parameter reconfigu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1728453B1 (ko) 음성/데이터 하이브리드 모드
US8175050B2 (en) Resource release and discontinuous reception mode notification
US8311512B2 (en) Security activ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WO2018231352A1 (en) Mitigating page collisions in du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devices
US119104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E reporting for multi-USIM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99501B1 (ko) 제 1 데이터 서비스와의 데이터 컨텍스트의 설정과 연관된 폴백 상태들의 존재에 기초하여 제 2 데이터 서비스로의 폴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EP3232599B1 (en) Tti bundling for downlink control channels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s
EP3556124B1 (en) Obtaining multiple subscription services from an embedded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S20080310378A1 (en) Selective phase connection establishment
WO2017034737A1 (en) Mitigating constrained backhaul availability between a radio access network (ran) and core network
EP30254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of a relay schemed to facilitate efficient broadcast communication in device to device environment
US20160105886A1 (en) Memory based power and timing control in a cellular internet of things system
KR20110050495A (ko) 연속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테터드 데이터 호출
JP2022545331A (ja) Mtサービス情報を管理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US20150382361A1 (en) Handling Transmit Blanking in Multi-Carrier 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Capable Multi-SIM-Multi-Active Modems
US9859935B1 (en) HS-SCCH order recovery in multi-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