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0218A -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산불 감시 장치 - Google Patents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산불 감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0218A
KR20110050218A KR1020090107100A KR20090107100A KR20110050218A KR 20110050218 A KR20110050218 A KR 20110050218A KR 1020090107100 A KR1020090107100 A KR 1020090107100A KR 20090107100 A KR20090107100 A KR 20090107100A KR 20110050218 A KR20110050218 A KR 20110050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temperature
module
forest fire
gat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오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7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0218A/ko
Publication of KR20110050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2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05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for forest fires, e.g. detecting fires spread over a large or outdoors are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산불 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표면 근처에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하여 전송하는 복수의 센서 노드들;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들에서 전송된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전송된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들의 온도 정보를 전송받아 수신된 온도가 임계값을 넘어가는 경우에 산불 발생으로 알려주는 중앙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신속하게 산불의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Figure P1020090107100
센서 네트워크, 산불, 산불 감시, 온도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Description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산불 감시 장치{Forest fire supervisor apparatus using sensor network}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산불 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림은 온실가스 및 지구 온난화의 원인인 이산화탄소(CO2)를 줄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산불은 자연적인 원인, 담뱃불, 모닥불, 농작 방법 또는 기타 어떤 이유로 발생하는 것이든 막대한 산림 손실을 일으키며 해마다 점점 산불규모가 커지고, 피해규모도 막대한 실정이다.
산불이 소나무림이나 강한 풍속을 만나면 시간당 4~5k/m의 매우 빠른 속도로 확산된다. 이때 최고온도는 무려 1175℃, 화염주변은 1125℃, 연기 온도도 무려 625℃까지 올라간다.
높은 열은 대류작용에 의해서 100여m의 상승기류를 발생시키고, 산 정상부에선 20~30m의 불기둥이 형성된다. 화염과 연기 속에는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연 기밀입자, 메탄 등이 존재, 때론 질식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산불의 경우 작은 불이라도 바람을 타고 빠르게 대형 화재로 될수 있으므로 감지시간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적외선 스캐너와 위성 사진과 같은 최신 기술이 화재 감지에 사용되고 있지만 각각의 단점이 존재한다. 위성 기술은 복잡하고 비용이 매우 고가이며, 적외선 스캐너는 초목 밀집 지역에서 가시성이 차단되는 문제가 있다.
오래된 "감시탑" 방식이 전세계의 여러 곳에서 아직 사용되고 있지만, 여기에는 항상 경계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다수의 인력 투자가 필요하다.
국내의 경우에도 산불감시원 및 CCTV에 의한 목시감시의 의존도가 높으며, 산불감시원 부재시 또는 야간 등 취약시간대에는 실시간 감지의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온도센서나 이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하여 산불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산불 감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산불
감시 장치는 지표면 근처에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온도 정보를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복수의 센서 노드들;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들에서 전송된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전송된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들의 온도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전송받으며, 수신된 온도가 임계값을 넘어가는 경우에 산불 발생으로 판단하여 외부로 산불 발생을 알려주는 중앙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센서 노드는, 지표면 근처에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감지 모듈; 상기 감지 모듈에서 측정된 온도를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통신 모듈; 상기 감지모듈에서 측정된 온도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감지 모듈과, 통신 모듈 및 제어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감지 모듈은 열전대로 이루어진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감지 모듈은 저항온도계로 이루어진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전원 모듈은 배터리; 태양광에 반응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솔라셀; 및 상기 솔라셀에서 생산된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원거리에서 CCTV 화면을 통하여 산불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비하여 지표면에서의 발화시에 신속하게 발화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산불 감시 장치는 5부 능선 아래에 설치가 가능하여 초기발화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CCTV 모니터 요원이 부재시에서 실시간으로 산불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 네트워크의 실시간 전송과 호핑 기술을 이용해 비교적 넓은 지역의 산불도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산불 감시원등의 인력이 많이 필요하지 않아 인건비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렴한 열전대나 저항온도계를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산불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산불 감시 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산불 감시 장치는 다수 개의 센서 노드들(10-1~10-n), 게이트웨이(20), 기지국(30), 중앙 관리 서버(4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중앙 관리 서버(40)는 외부의 모니터링 컴퓨터(40-1), 전광판(40-2) 등과 연동된다.
여기에서, 센서 노드(10-1~10-n)는 온도와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여 게이트웨이(20)로 전송한다. 이때, 센서 노드(10-1~10-n)는 주기적으로 온도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여 전송할 수도 있고, 중앙 관리 서버(40)의 측정 요구에 대응하여 온도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센서 노드(10-1~10-n)는 게이트웨이(20)와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거나, 서로간에 호핑(hopping) 방식으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여 최종적으로 게이트웨이(20)로 데이터 패킷이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센서 노드(10-1~10-n)과 게이트웨이는 지그비, RFID,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가장 바람직하게 지그비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게이트웨이(20)는 센서 노드(10-1~10-n)에서 측정한 온도와 이산화탄소 농도를 기지국(30)을 통하여 중앙 관리 서버(40)로 전송한다.
그러면, 중앙 관리 서버(40)는 센서 노드(10-1~10-n)로부터 전송받은 온도와 이산화탄소 농도를 근거로 산불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 후에 산불이 발생되면 조기경보시스템(미도시)을 구동시켜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센서 노드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도 1의 센서 노드는 감지 모듈(11), 무선통신칩(12), 전원 모듈(13)을 구비하며, 무선통신칩(12)은 제어 모듈(12-1)과 통신 모듈(12-2)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감지 모듈(11)은 센서 노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온도 센서(11-1), 이산화탄소 센서(11-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온도 센서(11-1)는 주위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열전대(thermocouple)를 사용할 수 있다.
열전대는 두 종류의 금속도체 양단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이 양단에 온도차를 주면 회로 중에 전류가 흐르는데, 이때 한 쪽(기준접점)의 온도를 일정온도로(원칙적으로 0℃) 유지하고 열기전력의 수치를 측정함으로써 다른 끝단(측온접점)의 온도를 측정하여 주위의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열전대는 응답이 빠르고 시간 지연(Time lag)에 의한 오차가 비교적 적으며, 저렴하여 본 발명의 경우와 같이 산불 감시에 유용한다.
이와 관련하여 온도센서(11-1)로서 좀더 안정적인 출력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열전대에 저항온도계(RTD : resistence temperature detect)를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저항온도계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금속의 전기저항은 일반적으로 온도의 변화에 따라 증감하며 전기저항과 온도는 일정한 관계가 있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계기가 상기 저항온도계이며 소선재료는 백금, 동, 니켈등이 사용되고, 이중 백금선은 온도의 관계가 매우 정확하며 안정성 및 재현성이 우수하며 균일한 소선의 제작이 용이하므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다음으로, 이산화탄소 센서(11-2)는 공기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며, 일예로 NDIR (Non-dispersive Infrared) 방식을 채택하여 공기중의 이산화탄소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모듈(12-1)은 센서 노드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서, 감지 모듈(11)에 의해 감지된 측정 데이터를 감지 모듈(11)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측정 데이터를 기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게이트웨이(20)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12-1)은 게이트웨이(20)로부터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분석하여, 분석된 명령에 따라 응답 메시지를 게이트웨이(20)로 송신한다.
상기 통신 모듈(12-2)은 상기 제어 모듈(12-1)의 제어하에 기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게이트웨이(20)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게이트웨이(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며, 호핑시 다른 센서 노드들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외부의 다른 센서 노드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상기 전원 모듈(13)은 태양열을 이용하는 솔라셀을 구비하여 상기 센서 노드를 구성하는 각 모듈로 전원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센서 노드(10-1~10-n)는 주로 야외 환경에 배치되므로, 상용 전원이 아닌 태양열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야 되는 불편함을 없애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원모듈(13)의 일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데, 전원 모듈(13)은 전주의 최상층에 설치된 솔라셀(13-1), 솔라셀(13-1) 아래에 설치된 충전기(13-2), 충전기(13-2)에 접속되게 설치된 배터리(13-3)를 구비하고 있다.
주간에 솔라셀(13-1)에서 태양광에 의한 전력이 생산하면, 충전기(13-2)가 생산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13-3)를 충전하여 센서 노드에 충분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전원모듈(13)의 구성요소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도 3에서는 감지 모듈(11)과 무선통신칩(12)의 위치 관계도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감지모듈(11)은 등산로 주변의 지표면에 가까이 위치하도록 설치하여(5부 능선 아래의 주요 지점에 설치하여 최대한 지표면에 근접하도록 설치) 지표에서 발생되는 산불을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그 위에 무선통신칩(12)을 배치하여 산불이 발화되었을 때에 무선통신칩(12)이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도 1의 게이트웨이(20)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게이트웨이(20)는 제어 모듈(21), 제1 통신 모듈(22), 제2 통신 모듈(23), 전원 모듈(24)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 모듈(21)은 상기 게이트웨이(2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제1 통신모듈(22)을 통해 상기 센서 노드(10-1~10-n)와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며, 제2 통신 모듈(23)을 통해 상기 중앙 관리 서버(40)와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한다.
상기 제어 모듈(21)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약 제1 통신 모듈(22)을 통해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제2 통신 모듈(23)을 통해 중앙 관리 서버(40)로 전송하며, 만약 제2 통신 모듈(23)을 통해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는 경 우 상기 데이터 패킷을 분석하여 목적지의 센서 노드(10-1~10-n)로 전송한다.
상기 제1 통신 모듈(22)은 센서 노드(10-1~10-n)의 통신 모듈과 무선으로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이다.
상기 제2 통신 모듈(23)은 중앙 관리 서버(40)와 기지국(30)을 통해 데이터패킷을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CDMA, WCDMA, HSDPA, Wibro 등과 같은 통신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웨이(20)는 상기 제2 통신 모듈(23)을 이용하여 무선망을 통해 중앙 관리 서버(40)로 또는 중앙 관리 서버(40)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원 모듈(24)은 태양열을 이용한 솔라셀을 구비하여 상기 게이트웨이(20)를 구성하는 각 모듈로 전원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게이트웨이(20)는 주로 야외 환경에 배치되므로, 상용 전원이
아닌 태양열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야 되는 불편함을 없애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원모듈(24)의 일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전원 모듈(24)은 전주의 최상층에 설치된 솔라셀(24-1), 솔라셀(24-1)의 아래에 설치된 충전기(24-2), 충전기(24-2)에 접속되게 설치된 배터리(24-3)를 구비하고 있다.
주간에 솔라셀(24-1)에서 태양광에 의한 전력이 생산되면, 충전기(24-2)가 생산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24-3)를 충전하여 게이트웨이(20)에 충분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도 6는 도 1의 중앙 관리 서버(4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중앙 관리 서버(40)는 상기 서버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1), 센서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측정데이터와 센서 노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42),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43), 외부의 모니터링 컴퓨터(40-1) 등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44)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410)는 데이터 관리 모듈(41-1), 분석/모니터링 모듈(41-2), 비상 알림 모듈(41-3), 전광판 디스플레이 모듈(41-4)을 구비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상기 중앙 관리 서버(40)는 외부의 모니터링 컴퓨터(40-1), 전광판(40-2)등과 연동하여, 센서 노드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센서 노드들의 동작을 직접 제어하여 구동시킴으로써, 센서 노드가 배치된 지역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중앙 관리 서버(40)가 제공하는 기능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중앙 관리 서버(40)의 상기 데이터 관리 모듈(41-1)은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43)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데이터패킷을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을 분석하여 센서 노드에 관한 정보, 측정 데이터들을 검출하며, 검출된 정보 및 데이터들을 상기 데이터베이스(42)에 저장 및 관리한다.
상기 분석/모니터링 모듈(41-2)은 상기 데이터 관리 모듈(41-1)에 의해 실시간으로 검출된 센서 노드에 관한 정보, 측정 데이터들을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44)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컴퓨터(40-1)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분석/모니터링 모듈(41-2)은 관리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42)에 저장된 각 센서 노드들의 측정 데이터들을 판독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막대 그래프나 챠트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보고서를 작성하거나 통계 결과 보고서를 작성하여 상기 모니터링 컴퓨터(40-1)로 제공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거나 프린터등으로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중앙 관리 서버(40)와 연동되는 상기 모니터링 컴퓨터(40-1)는 상기 분석/모니터링 모듈(41-2)로부터 전송된 여러 센서 노드들의 측정 데이터들을 사전에 설정된 다양한 형태로 실시간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실시간으로 각 센서 노드들의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비상 알림 모듈(41-3)은 관리자에 의하여 각 센서 노드들로부터의 측정 데이터들에 대한 임계값 또는 임계범위를 사전에 설정되어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상기 비상 알림 모듈(41-3)은 상기 데이터 관리 모듈(41-1)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상기 측정 데이터들의 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측정 데이터 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또는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외부의 통신사의 SMS 서버(미도시)를 통해 관리자의 휴대폰으로 단문메시지 또는 멀티 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하여 비상 상황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전광판 디스플레이 모듈(41-4)는 상기 데이터 관리 모듈(41-1)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데이터들을 사전에 설정된 포맷에 따라 변환시켜 외부의 전광판(40-2)으로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중앙 관리 서버(40)와 연동되는 전광판(40-2)은 상기 전광판 디 스플레이 모듈(41-4)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전광판 패널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산불 감시 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센서 노드의 내부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원모듈의 구성과 그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게이트웨이의 내부 블럭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전원 모듈의 구성과 그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는 도 1의 중앙 관리 서버의 내부 블럭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n : 센서 노드 11 : 감지모듈
11-1 : 온도 센서 11-2 : 이산화탄소 센서
12 : 무선통신칩 12-1, 21, 41 : 제어모듈
12-2, 22,23 : 통신 모듈 13, 24 : 전원모듈
13-1, 24-1 : 솔라셀 13-2, 24-2 : 충전기
13-3. 24-3 : 배터리 20 : 게이트 웨이
30 : 기지국 40 : 중앙 관리 서버
41-1 : 데이터 관리 모듈 41-2 : 분석/모니터링 모듈
41-3 : 비상 알림 모듈 41-4 : 전광판 디스플레이 모듈
42 : 데이터베이스 43 :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44 : 제2 통신인터페이스부

Claims (6)

  1. 지표면 근처에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온도 정보를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복수의 센서 노드들;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들에서 전송된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전송된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들의 온도 정보를 전송받으며, 수신된 온도가 임계값을 넘어가는 경우에 산불 발생으로 판단하여 외부로 산불 발생을 알려주는 중앙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산불 감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는,
    지표면 근처에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감지 모듈;
    상기 감지 모듈에서 측정된 온도를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
    상기 감지모듈에서 측정된 온도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감지 모듈과, 통신 모듈 및 제어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산불 감시 장치.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모듈은 열전대로 이루어진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산불 감시 장치.
  4.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모듈은 저항온도계로 이루어진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산불 감시 장치.
  5.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모듈은
    배터리;
    태양광에 반응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솔라셀; 및
    상기 솔라셀에서 생산된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산불 감시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는 이산화탄소 센서를 포함하여 지표면 근처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여 전송하고,
    상기 중앙 관리 서버는 상기 센서 노드에서 측정하여 전송되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이용하여 산불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산불 감시 장치.
KR1020090107100A 2009-11-06 2009-11-06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산불 감시 장치 KR201100502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100A KR20110050218A (ko) 2009-11-06 2009-11-06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산불 감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100A KR20110050218A (ko) 2009-11-06 2009-11-06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산불 감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218A true KR20110050218A (ko) 2011-05-13

Family

ID=44361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100A KR20110050218A (ko) 2009-11-06 2009-11-06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산불 감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021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945B1 (ko) * 2011-06-20 2013-02-01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Usn기반 저전력 재난 경보 시스템
CN103514721A (zh) * 2013-09-29 2014-01-15 柳州市宏亿科技有限公司 一种森林防火预警系统的监控终端
KR101459105B1 (ko) * 2014-03-06 2014-11-13 주식회사 다이나맥스 이동전화가 출현한 장소를 자동으로 촬영하는 산불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318697A (zh) * 2014-10-16 2015-01-28 湘潭大学 无线传感器网络监测森林火灾的节点布置方法
KR20190098790A (ko) 2018-01-30 2019-08-23 소프트상추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연환경 감시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945B1 (ko) * 2011-06-20 2013-02-01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Usn기반 저전력 재난 경보 시스템
CN103514721A (zh) * 2013-09-29 2014-01-15 柳州市宏亿科技有限公司 一种森林防火预警系统的监控终端
KR101459105B1 (ko) * 2014-03-06 2014-11-13 주식회사 다이나맥스 이동전화가 출현한 장소를 자동으로 촬영하는 산불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318697A (zh) * 2014-10-16 2015-01-28 湘潭大学 无线传感器网络监测森林火灾的节点布置方法
CN104318697B (zh) * 2014-10-16 2017-02-15 湘潭大学 无线传感器网络监测森林火灾的节点布置方法
KR20190098790A (ko) 2018-01-30 2019-08-23 소프트상추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연환경 감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rtung et al. FireWxNet: A multi-tiered portable wireless system for monitoring weather conditions in wildland fire environments
ES2734395T3 (es) Sistema y procedimiento de monitorización remota de quemador
KR20110050218A (ko)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산불 감시 장치
CN108205862A (zh) 输电线路山火防护系统
KR20100077510A (ko) 통합수문 관측 시스템
US115198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gas sensing and monitoring
Dasari et al. Forest fire detection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s
Karumbaya et al. Iot empowered real time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Kim et al. Study on IoT based wild vegetation community ecological monitoring system
CN102610050A (zh) 一种架空输电线路山火在线监测系统及其实现方法
CN102377458A (zh) 基于无线传感网络的灭火器压力检测方法及系统
CN110456698A (zh) 一种基于nb-iot的智能森林气象监控系统
CN103761827A (zh) 一种火灾监控系统
Kovács et al. Case study of a simple, low power WSN implementation for forest monitoring
CN108765840A (zh) 一种森林防火预警系统的布置方法
CN211087455U (zh) 一种森林气象的检测与报警装置
CN208861426U (zh) 一种独立区域无线联网型火灾报警系统
KR101875028B1 (ko) 전신주 도괴 감시 및 관리 시스템
CN111462439A (zh) 一种火灾检测预警系统
CN103207609A (zh) 窖池测温用物联网监测系统
Elizalde et al. Wireless automated fire detection system on utility posts using ATmega328P
CN203012168U (zh) 农业温室环境监测系统
CN106652296A (zh) 一种自动火灾检测系统
CN113327405B (zh) 一种输电线路铁塔倾斜在线监测系统及方法
Wu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low-power wireless sensor network platform based on XBe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