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9544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9544A
KR20110049544A KR1020090106605A KR20090106605A KR20110049544A KR 20110049544 A KR20110049544 A KR 20110049544A KR 1020090106605 A KR1020090106605 A KR 1020090106605A KR 20090106605 A KR20090106605 A KR 20090106605A KR 20110049544 A KR20110049544 A KR 20110049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radiation patch
dielectric
mobile terminal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2037B1 (ko
Inventor
임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6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037B1/ko
Priority to EP10013895.7A priority patent/EP2320520B1/en
Priority to US12/910,649 priority patent/US8564495B2/en
Priority to CN201010537077.4A priority patent/CN102097675B/zh
Publication of KR20110049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는 제2방사패치와 제3방사패치를 갖는 제2유전체를 제1방사패치를 갖는 제1유전체에 에어갭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시킨 것으로서, 제2방사패치, 에어갭층 및 제1방사패치 등을 이용하여 공진점을 튜닝할 수 있다. 제1방사패치 및 제3방사패치는 하나의 급전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다이버시티와 MIMO를 하나의 급전구조에 의하여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은 종합적으로 탑재되어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를 구현하기도 한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전송될 데이터의 종류와 양이 폭증됨에 따라 무선 안테나의 성능도 그에 부응시키기 위한 시도(예: MIMO)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의 소형화 경향은 안테나간의 공간 다이버시티를 극복하기도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며, 좁은 설치거리에 따른 상호 커플링 등의 문제가 대두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제한된 공간에서 설치되는 안테나 간의 상호 커플링을 최소화하고 무선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제한 공간에서의 공간 및 편파 다이버시티를 극대화하면서도 모듈화 및 제작이 용이한 안테나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바디의 제1위치에 배치되는 제1안테나; 상기 단말기 바디의 제1위치와 이격된 제2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안테나의 다이버시티를 구현할 수 있게 구성되는 제2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안테나 또는 제2안테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면에 제1방사패치가 형성된 제1유전체; 상기 제1유전체의 상부에 적층되며, 하면에 제2방사패치가 형성되고 상면에 제3방사패치가 형성된 제2유전체; 및 상기 제1유전체와 제2유전체 사이에 위치되는 에어갭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유전체의 하면에는 회로기판의 그라운드에 연결되기 위한 그라운드 패드와 상기 회로기판에 급전되기 위한 급전패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그라운드 패드와 급전패드는 조정가능한 이격거리를 두고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방사패치는 저역대를 담당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제3방사패치는 고역대를 담당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2방사패치는 상기 제3방사패치의 그라운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2방사패치는 회로기판의 그라운드에 대하여 플로팅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2방사패치는 회로기판의 그라운드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에어갭층은 일정한 갭을 유지할 수 있는 다공성 수지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에어갭층은 적어도 두 개의 스페이서에 의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방사패치 및 제3방사패치는 상기 제2안테나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도전핀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급전패드로 집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에 의하면, 제2방사패치와 제3방사패치를 갖는 제2유전체를 제1방사패치를 갖는 제1유전체에 에어갭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시킨 것으로서, 제2방사패치, 에어갭층 및 제1방사패치 등을 이용하여 공진점을 튜닝할 수 있다. 제1방사패치 및 제3방사패치는 하나의 급전구조를 갖는 것으 로서 다이버시티와 MIMO를 하나의 급전구조에 의하여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의 구조는 전통적인 세라믹 패치형 안테나가 갖는 특성보다 안테나의 밴드폭(bandwidth)을 크게 확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방사패치를 독립적인 그라운드로서 사용함으로써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과 같은 적층형의 패치 구성은 다중대역을 갖는 안테나의 편파, 공간 등의 다이버시티 성능을 개선시킨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바(bar)' 타입의 단말기 바디(101)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도 1에 개시된 바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개의 단말기 바디가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folder)'타입이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드(slide)' 타입 등 다른 타입이나 폼팩터(form factor)를 갖는 이동 단말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단말기 바디(101)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으로 불릴 수 있다)는 프론트 케이스(102)와 리어 케이스(103)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2)와 리어 케이스(103)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2)와 리어 케이스(103)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 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101)의 전면에는 제1조작부(131),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영상입력부(121), 음향 입력부(12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제1조작부(131)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이 페이퍼(e-paper), TOLED(Transparent OLED) 등을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다. 터치감지수단은 윈도우의 내부에 배치되는 투명전극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152)는 리시버(Receiver) 또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입력부(121)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입력부(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출력부(152)는 단말기바디(101)의 다른 면(예: 단말기바디의 측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거나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에는 제2조작부(132), 인 터페이스부(170),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8)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조작부(132)는 단말기 바디(101)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조작부(131)와 더불어 제2조작부(132)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131)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과 같은 정보 또는 시작, 종료 등과 같은 메뉴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조작부(132)는 스크롤 기능 외에 제1영상입력부(121)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101)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3)에 인출 또는 인출된 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가 장착된 회로기판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스(102,103)에 내장되는 회로기판(201)은 디스플레이부(151)와 음향출력부(152) 및 안테나가 일체형으로 장착될 수 있다.
회로기판(201)의 일측에는 제1안테나(210)가 설치되어 있다. 제1안테나(210)는 이동 단말기(100)에 의하여 제공되는 다양한 무선통신 대역들에서 동작되도록(다중대역)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안테나(210)는 다른 부품과의 간섭(interferece) 또는 핸드 이펙트(hand effect)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단말기 바디(101)의 끝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회로기판(201)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복층구조로 되어 있거나 평면으로 보았을 때 복수 개로 나뉘어진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회로기판(201)은 제1안테나(210)가 담당하는 대역들 중 저대역(low band)에 대응하는 물리적 길이와 관련된 제1그라운드(202)를 형성하고 있다. 제1그라운드(20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확장됨으로써 무선성능을 확장시키기도 한다.
회로기판(201)의 양 측면에는 제1안테나(210)와 일정한 이격(거리)를 이룰 수 있게 구성되는 제2 및 제3안테나(240,25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2 및 제3안테나(240,250)는 제1안테나(210)의 공간 다이버시티를 구현한다는 점에서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불릴 수 있다. 다만, 제2안테나(240) 및 제3안테나(250)를 모두 갖 춘 구성이 필수적이지는 않으며 그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제2 및 제3안테나(210,240,250)는, 예를 들어,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을 구현하기 위한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이룬다. 이러한 안테나 시스템은 LTE, HRPD 등과 같은 대량의 무선 데이터 처리가 요구되는 단말기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MIMO diversity를 구현하기 위해 제2안테나(240) 및 제3안테나(250)의 제1안테나(210)에 대한 물리적인 거리를 늘리는 것이 권장되지만, 소형화되어 가고 있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공간의 조건은 이를 만족시키기 어렵다. 반면, 제2안테나(240) 또는 제3안테나(250)의 제1안테나(210)에 대한 거리가 줄어들게 되면, 상호 커플링(mutual coupling)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제2안테나(240) 및 제3안테나(250)는 기본적으로 제1안테나(210)가 사용하고 있는 제1그라운드(202)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차단된 제2 및 제3그라운드(252)를 갖는다. 제2안테나(240) 또는 제3안테나(250)는 고유전체를 사용하는 칩안테나가 적용될 수 있다.
배치의 면에 있어서, 제2안테나(240) 및 제3안테나(250)는 회로기판(201)에 대하여 일정 각을 이루고 있다. 그 결과, 제2안테나(240) 및 제3안테나(250)의 방사패턴은 제1안테나(210)의 방사패턴과 상이한 방향성을 가지게 되므로 편파 특성이 양호해지게 된다. 도 2에 의하면, 제2안테나(240) 및 제3안테나(250)는 회로기판(201)에 대하여 약 90도를 이룰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구조의 면에 있어서, 제2안테나(240) 및 제3안테나(250)는 제1그라운드와는 독립된 그라운드(242,252)를 가지며 각각의 기판(경성회로기판 또는 연성회로기판)에 지지되어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안테나의 분해된 모습을 저면에서 본 것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예에서는 제1안테나(210) 내지 제3안테나(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적용될 수 있는 상세한 구조를 제시한다. 그러한 상세한 구조는 제1안테나(210) 내지 제3안테나(250) 중 어느 하나에 적용될 수도 있고, 제1안테나(210) 내지 제3안테나(250) 모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안테나(240)는 독립된 그라운드를 갖는 회로기판(242)에 부착되어 있다.
본 예에서, 제2안테나(240)는 전체적으로 복수의 방사패치(243,244,245)가 적층된 형태를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2안테나(240)는 제1유전체층(246), 제1방사패치(243), 에어갭층(247), 제2방사패치(244) 및 제3방사패치(245)를 포함하고 있다.
제1방사패치(243)와 제3방사패치(245)는 서로 다른 대역의 무선 신호를 방사 또는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역에 맞는 길이와 무선특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다양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그러한 상세한 패턴은 본 도면에서는 생략되었다.
제1방사패치(243)는 저역대를 담당하고, 제2방사패치(244)는 고역대를 담당한다. 그러한 예로서, 제1방사패치(243)가 담당하는 대역은 약 700MHz의 이동통신 대역이고, 제2방사패치(244)가 담당하는 대역은 GPS대역일 수 있다. 이외에도 가능 한 저역대/고역대의 조합은, 700MHz/800MHz, 700MHz/900MHz, 700MHz/1900MHz, 700MHz/2100MHz, 800MHz/1900MHz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방사패치를 추가하는 경우, 700MHz/800MHz/1900MHz 또는 700MHz/900MHz/1800MHz 등의 조합으로 된 안테나 구성을 만들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의하면, 제1유전체층(246)의 하면의 양단에는 회로기판(242)의 그라운드에 연결되기 위한 그라운드 패드(235,2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 부위에는 제1방사패치 및 제3방사패치(245)의 급전을 위한 급전패드(237)가 형성되어 있다. 그라운드 패드(235,236)와 급전패드(237)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패치형 안테나를 회로기판(242)에 표면실장 등의 방법으로 직접 부착시키기 적합하게 형성된다.
제1유전체층(246)의 상면에 형성된 제1방사패치(243)는 기본적(basically)으로 위에서 설명한 저역대를 담당할 수 있는 패턴으로 디자인된다. 다만, 제2방사패치(244) 및 제3방사패치(245)의 조합에 의하여 저역대의 공진점은 2개 또는 3개 이상의 원하는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제1방사패치(243)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도전핀(249)에 의하여 급전패드(237)에 연결된다.
제2방사패치(244)는 제2유전체층(248)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3방사패치(245)는 제2유전체층(248)의 상면에 형성된다. 제3방사패치(245)는 고역대를 담당할 수 있도록 일정 패턴을 이루고 있으나, 제2방사패치(244)는 본 예에서는 제3방사패치(245)에 대한 그라운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2방사패치(244)는 도전핀(249)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다만, 제2방사패치(244)는, 도 3, 4에 의하면, 그라운드 패드(235,236)와도 플로팅(floating)되어 있다.
제1방사패치(243)와 제2방사패치(244)는 에어갭층(247)에 의하여 절연되어 있다. 에어갭층(247)은 제1방사패치(243)의 공진점을 튜닝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이 된다. 특히, 제3방사패치(245)에 대하여는 제2방사패치(244), 에어갭층(247) 및 제1방사패치(243) 모두 튜닝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공진의 형태에 있어서 공진점을 2개 또는 3개 이상으로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예의 안테나 구조는 이동 단말기에서 MIMO와 다이버시티가 하나의 급전 구조를 가지고 구현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전통적인 세라믹 패치형 안테나가 갖는 특성보다 안테나의 밴드폭(bandwidth)을 크게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제2방사패치(244)를 독립적인 그라운드로서 사용함으로써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증대시킬 수 있었다.
에어갭층(247)은 다공성의 수지(예: 스폰지, 쿠션시트 등)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양면 테잎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에어갭층(247)은 제1유전체층(246)와 제2유전체층(248)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제1유전체층(246)와 제2유전체층(248)는 서로 다른 유전율(ε)을 갖거나 동일한 유전율을 갖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유전체층(246)의 유전율이 20이라면, 제2유전체층(248)의 유전율은 60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240')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보인 안테나(240')는 에어갭층(247)이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단에 2 개 이상의 스페이서(247a,247a')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한 스 페이서(247a,247a')는 접착성이 있는 유전에 의하여 구현되거나, 제1유전체층(246)와 제2유전체층(248)를 용이하게 마운팅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240'')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의하면, 제2방사패치(244)는 수직으로 에어갭층(247)과 제1유전체층(246)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별도의 도전핀(239)에 의하여 급전패드(237)에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2방사패치(244)는 회로기판(242)의 그라운드와 연결된다. 연결된 제2방사패치(244)는 회로기판(242)의 그라운드를 확장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의 저면도이다.
도 7에 의하면, 그라운드 패드(235,236)와 급전패드(237)는 조정가능한 각각의 이격거리(d1,d2)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이격거리(d1,d2)를 조절함으로써 제1방사패치(243) 및 제3방사패치(245)에 의한 무선특성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가 장착된 회로기판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안테나의 분해된 모습을 저면에서 본 것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의 저면도

Claims (11)

  1. 단말기 바디의 제1위치에 배치되는 제1안테나;
    상기 단말기 바디의 제1위치와 이격된 제2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안테나의 다이버시티를 구현할 수 있게 구성되는 제2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안테나 또는 제2안테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면에 제1방사패치가 형성된 제1유전체;
    상기 제1유전체의 상부에 적층되며, 하면에 제2방사패치가 형성되고 상면에 제3방사패치가 형성된 제2유전체; 및
    상기 제1유전체와 제2유전체 사이에 위치되는 에어갭층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전체의 하면에는 회로기판의 그라운드에 연결되기 위한 그라운드 패드와 상기 회로기판에 급전되기 위한 급전패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패드와 급전패드는 조정가능한 이격거리를 두고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사패치는 저역대를 담당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제3방사패치는 고역대를 담당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사패치는 상기 제3방사패치의 그라운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사패치는 회로기판의 그라운드에 대하여 플로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사패치는 회로기판의 그라운드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갭층은 일정한 갭을 유지할 수 있는 다공성 수지에 의하여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갭층은 적어도 두 개의 스페이서에 의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느 이동 단말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사패치 및 제3방사패치는 상기 제2안테나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도전핀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급전패드로 집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이동 단말기 또는 무선모뎀 장치의 케이스에 내장될 수 있게 형성되는 안테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어셈블리는,
    상면에 제1방사패치가 형성된 제1유전체;
    상기 제1유전체의 상부에 적층되며, 하면에 제2방사패치가 형성되고 상면에 제3방사패치가 형성된 제2유전체; 및
    상기 제1유전체와 제2유전체 사이에 위치되는 에어갭층을 포함하는 안테나 어셈블리.
KR1020090106605A 2009-11-05 2009-11-05 이동 단말기 KR101572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605A KR101572037B1 (ko) 2009-11-05 2009-11-05 이동 단말기
EP10013895.7A EP2320520B1 (en) 2009-11-05 2010-10-22 Portable terminal
US12/910,649 US8564495B2 (en) 2009-11-05 2010-10-22 Portable terminal
CN201010537077.4A CN102097675B (zh) 2009-11-05 2010-11-05 便携式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605A KR101572037B1 (ko) 2009-11-05 2009-11-05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544A true KR20110049544A (ko) 2011-05-12
KR101572037B1 KR101572037B1 (ko) 2015-11-26

Family

ID=44360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605A KR101572037B1 (ko) 2009-11-05 2009-11-05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037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7813A1 (ko) * 2012-07-23 2014-01-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KR101406752B1 (ko) * 2013-01-15 2014-06-17 한국광성전자 주식회사 복소임피던스를 선택할 수 있는 패치 안테나
KR101412946B1 (ko) * 2012-12-20 2014-06-26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및 프론트 엔드 모듈
WO2015041422A1 (ko) * 2013-09-23 2015-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WO2015174621A1 (ko) * 2014-05-13 2015-11-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KR101704801B1 (ko) * 2016-05-02 2017-02-08 이재군 자성체 시트를 이용한 적층형 안테나
KR101954000B1 (ko) * 2017-11-22 2019-03-04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핀급전과 상부 적층 구조를 이용한 안테나
WO2019152429A1 (en) * 2018-02-01 2019-08-08 Laird Technologies, Inc. Antenna assemblies including stacked patch antennas
WO2020145435A1 (ko) * 2019-01-09 2020-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안테나 모듈 제조방법 및 이동단말기
KR20200114991A (ko) * 2019-03-25 2020-10-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안테나
US11223100B2 (en) 2019-03-25 2022-01-1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hip antenna
WO2022092506A1 (ko) * 2020-10-29 2022-05-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층 기판으로 구현된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126B1 (ko) 2019-04-11 2020-10-15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US11417959B2 (en) 2019-04-11 2022-08-1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hip antenn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102207151B1 (ko) 2019-07-31 2021-01-25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KR102254880B1 (ko) 2019-12-06 2021-05-24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안테나 모듈 집합체 및 칩 안테나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659B1 (ko) * 2006-09-20 2008-01-23 주식회사 아모텍 칩 안테나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3278A (ko) * 2012-07-23 2014-02-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WO2014017813A1 (ko) * 2012-07-23 2014-01-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EP2876726A4 (en) * 2012-07-23 2015-07-22 Lg Innotek Co Ltd ANTENNA DEVICE
US9819078B2 (en) 2012-07-23 2017-11-14 Lg Innotek Co., Ltd. Antenna apparatus
US9246209B2 (en) 2012-12-20 2016-01-2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ntenna and front end module
KR101412946B1 (ko) * 2012-12-20 2014-06-26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및 프론트 엔드 모듈
KR101406752B1 (ko) * 2013-01-15 2014-06-17 한국광성전자 주식회사 복소임피던스를 선택할 수 있는 패치 안테나
US9972919B2 (en) 2013-09-23 2018-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WO2015041422A1 (ko) * 2013-09-23 2015-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WO2015174621A1 (ko) * 2014-05-13 2015-11-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US11145970B2 (en) 2014-05-13 2021-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device
KR101704801B1 (ko) * 2016-05-02 2017-02-08 이재군 자성체 시트를 이용한 적층형 안테나
KR101954000B1 (ko) * 2017-11-22 2019-03-04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핀급전과 상부 적층 구조를 이용한 안테나
WO2019152429A1 (en) * 2018-02-01 2019-08-08 Laird Technologies, Inc. Antenna assemblies including stacked patch antennas
US11955730B2 (en) 2019-01-09 2024-04-09 Lg Electronics Inc. Antenna module, method for manufacturing antenna module, and mobile terminal
WO2020145435A1 (ko) * 2019-01-09 2020-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안테나 모듈 제조방법 및 이동단말기
KR20210089784A (ko) * 2019-01-09 2021-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안테나 모듈 제조방법 및 이동단말기
KR20200114991A (ko) * 2019-03-25 2020-10-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안테나
US11652272B2 (en) 2019-03-25 2023-05-1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hip antenna
US11223100B2 (en) 2019-03-25 2022-01-1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hip antenna
WO2022092506A1 (ko) * 2020-10-29 2022-05-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층 기판으로 구현된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037B1 (ko) 2015-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037B1 (ko) 이동 단말기
CN207719410U (zh) 电子设备和天线
US10833398B2 (en) Mobile device and antenna structure
US8564495B2 (en) Portable terminal
CN104143691B (zh) 具有可调谐的高频带寄生元件的天线
EP3029767B1 (en) Antenna modul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2260640B1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EP1748515B1 (en) Antenna for portable terminal
US9431693B2 (en) Mobile terminal
EP2083472B1 (en) Antenna isolation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102570027B (zh) 具有接收器分集和可调匹配电路的天线系统
KR101887935B1 (ko)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CN106450689A (zh) 具有隔离模式的电子设备天线
US20150244063A1 (en)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02684722A (zh) 具有接收器分集的可调谐天线系统
CN102683861A (zh) 可调谐环形天线
CN102820517A (zh) 移动终端
JP2006115456A (ja) デュアルバンドのチップアンテナモジュール
KR101667714B1 (ko) 이동 단말기
KR102192822B1 (ko) 이동 단말기
KR101587133B1 (ko) 이동 단말기
KR101604715B1 (ko) 휴대 단말기
CN111293419A (zh) 紧凑型lte天线布置
EP2110962A1 (en) Notch and rod antennas in sliding type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KR20090083247A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