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9023A - 태양 위치추적 실습장치 - Google Patents

태양 위치추적 실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9023A
KR20110049023A KR1020090105830A KR20090105830A KR20110049023A KR 20110049023 A KR20110049023 A KR 20110049023A KR 1020090105830 A KR1020090105830 A KR 1020090105830A KR 20090105830 A KR20090105830 A KR 20090105830A KR 20110049023 A KR20110049023 A KR 20110049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olar
driving
control unit
solar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5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선
배동준
전윤구
Original Assignee
(주)청파이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파이엠티 filed Critical (주)청파이엠티
Priority to KR1020090105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9023A/ko
Publication of KR20110049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0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motors; for generators; for power supplies; for power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으로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태양광 에너지 발전장치에 있어 태양의 입사각에 따라 태양 전지판의 각도를 자동 조절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교육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태양 위치추적 실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태양 위치추적 실습장치는 하나 이상의 광량 측정용 CDS 센서모듈을 포함한 태양전지모듈과, 태양전지모듈을 상하좌우 회동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과, 태양 위치추적 실습을 위해 조명광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조명램프가 구비된 조명기와, 태양 위치추적 실습을 수행하기 위한 컨트롤유닛을 포함한다.
태양광, 위치추적, 광량, 발전기, 교육, 실습, 실습장치

Description

태양 위치추적 실습장치{Training device for tracing the position of the sun}
본 발명은 태양 위치추적 실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태양광으로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태양광 에너지 발전장치에 있어 태양의 입사각에 따라 태양 전지판의 각도를 자동 조절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교육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태양 위치추적 실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연료의 사용에 따라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에 의한 지구의 온난화와 원자력발전소의 사고 및 핵폐기물에 의한 방사능 오염 등의 심각한 문제가 나타나고, 지구의 환경과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청정 에너지원인 신재생 에너지를 사용한 발전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는 사전적 의미로는 태양열, 태양광, 풍력, 조력, 지열과 같이 자연 상태에서 만들어진 에너지를 일컫는 것으로, 신재생 에너지의 기술적 범위는 태양 에너지, 풍력, 수력 발전, 바이오 연료로 매우 범위가 넓으며, 기후변화 문제의 심화와 화석연료의 고갈 등으로 신재생 에너지의 중요성과 비중은 점차 증가하 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은, 예를 들면 일정 두께의 판넬상에 여러개의 솔라셀(solar-cell)이 형성된 집광판을 통해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광 발전장치, 오목한 반사판의 중앙에 집열구를 형성하여 태양광에 의한 열을 집열시키는 태양열 활용장치, 낙하되는 물에 의해 터빈이 회전되고 터빈의 회전에 의해 발전기를 구동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수력 발전장치, 바람에 의해 터빈이 회전되고 터빈의 회전에 의해 발전기를 구동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풍력 발전장치, 발산되는 증기에 의해 터빈이 회전되고 터빈의 회전에 의해 발전기를 구동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지열 발전장치, 수소와 산소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 에너지를 활용하는 수소 발전장치 등이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신재생 에너지 발전 중, 태양광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태양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게 태양 전지판을 이동시킴으로써 최적의 태양광을 집광하기 위한 태양 위치추적 장치에 관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태양 위치추적을 교육하기 위한 실습장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재생 에너지 중 태양광으로부터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광 에너지 발전장치에 있어서, 태양의 위치변화에 따른 광량의 세기를 추적하여 태양 전지판의 위치 또는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일련의 과정을 교육 실습할 수 있는 태양 위치추적 실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태양광 또는 조명광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는 한 쌍의 태양전지패널 및 하나 이상의 광량 측정용 CDS 센서모듈을 포함한 태양전지모듈; 제1가동프레임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태양전지모듈을 상하좌우 회동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 제2가동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태양 위치추적 실습을 위해 조명광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조명램프가 구비된 조명기; 및 상기 태양전지모듈로부터 생성된 전력량을 표시하고, 상기 조명램프의 점등 순서를 조작하며 상기 CDS 센서모듈로부터 전달된 광량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구동유닛을 구동함으로써 태양 위치추적 실습을 수행하기 위한 컨트롤유닛;을 포함하는 태양 위치추적 실습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양전지모듈은 상기 CDS 센서모듈이 설치되는 반 고리형 제1,2설치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제1,2설치프레임은 서로 직교하게 교차 설치되고 상기 제1,2설치프레임의 외주를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CDS 센서모듈이 등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설치프레임은 지표면에 직교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설치프레임에 설치된 4개의 CDS 센서모듈은 태양 또는 조명의 상하 각도 변화에 대응하는 광량 데이터를 상기 컨트롤유닛에 전송하며, 상기 제2설치프레임은 지표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설치프레임에 설치된 4개의 CDS 센서모듈은 태양 또는 조명의 좌우 각도 변화에 대응하는 광량 데이터를 상기 컨트롤유닛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유닛은, 상기 조명기의 각 조명램프를 점등하기 위한 점등 스위치와, 생성된 전력의 전압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CDS 센서모듈의 CDS 신호를 수신받는 CDS 신호 입력부와,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모터를 자동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신호 출력부 및 상기 CDS 신호 입력부를 통해 전달된 상기 CDS 센서모듈의 광량 세기 신호를 비교 판단하여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회전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로 상기 구동유닛을 구동하기 위해 상기 구동 신호 출력부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상하/좌우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연산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태양 위치추적 실습장치는 상기 CDS 센서모듈의 신호, 상기 태양전지모듈에서 생성된 전력을 상기 컨트롤유닛에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태양전지모듈을 상하좌우 구동하기 위한 터미널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유닛은 상기 구동유닛을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상하/좌우 토글 스위치 및 상기 컨트롤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구동유닛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커넥터로 이루어진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에에 따르면, 태양광 에너지 발전장치에 적용될 태양의 위치를 추적하여 태양 전지판의 위치를 변경하는 방식을 실습 및 교육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 위치추적 실습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위치추적 실습장치(100)는 태양전지모듈(110), 조명기(120), 터미널유닛(130), 컨트롤유닛(140) 및 구동유닛(150)을 포함하며, 이들 구성요소들은 제1,2가동프레임(161,162)에 고정되게 또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태양전지모듈(110)은 태양광 또는 조명기의 조명광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 두께의 판넬에 다수의 솔라셀(solar-cell)이 구비된 태양전지패널(111)로 구성되며, 광이 인가된 태양전지모듈(110)에서 생성된 전기는 별도 케이 블을 통해 컨트롤유닛(140)에 전달된다.
태양전지모듈(110)은 제1가동프레임(161)의 말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더 구체적으로 태양전지모듈(110)은 구동유닛(150)에 의해 상하좌우로 회동되게 제1가동프레임(161)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태양전지모듈(110)은 태양전지패널(111)이 한 쌍이 구비되며 한 쌍의 태양전지모듈(110)의 사이에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CDS 센서모듈(112)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CDS 센서모듈(112)은 모두 8개가 구비되며, 반 고리형의 제1,2설치프레임(113,114)에 소정 간격을 갖도록 설치된다. 제1설치프레임(113)과 제2설치프레임(114)은 서로 직교하게 설치되며, 지표면에 직교한 제1설치프레임(113)에 설치된 4개의 CDS 센서모듈(112)은 태양 또는 조명의 상하 각도 변화에 대응하는 광량 데이터를 터미널유닛(130)을 통해 컨트롤유닛(140)에 전송한다. 지표면에 평행한 제2설치프레임(114)에 설치된 4개의 CDS 센서모듈(112)은 태양 또는 조명의 좌우 각도 변화에 대응하는 광량 데이터를 터미널유닛(130)을 통해 컨트롤유닛(14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은 모두 8개의 CDS 센서모듈(112)에 의해 전송된 광량 데이터는 컨트롤유닛(140)에서 분석되며, 최대 광량이 입사된 CDS 센서모듈(112)의 각도만큼 태양전지모듈(110)을 상하좌우 이동함으로써 태양광 또는 조명광의 최적 입사각을 유지할 수 있다.
조명기(120)는 태양전지모듈(110)에 조명광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 시예의 조명기(120)는 제2가동프레임(16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반 고리형의 제3설치프레임(121) 및 제3설치프레임(121)의 내주면에 등간격을 두고 배치된 5개의 조명램프(122)로 구성된다.
제3설치프레임(121)은 태양전지모듈(110)의 상하좌우 태양광 위치추적 실습을 위해, 회동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설치프레임(121)을 지표면에 수평하게 배치하는 경우 제3설치프레임(121)에 구비된 5개의 조명램프(122)를 개별 점등함으로써 태양전지모듈(110)의 좌우 태양광 위치추적 실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3설치프레임(121)을 지표면에 직교하게 배치함으로써 태양전지모듈(110)의 상하 태양광 위치추적 실습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설치프레임(121)은 수동으로 회동되게 설치되었으나, 이와 달리 제3설치프레임(121)의 회동운동을 위한 별도의 구동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5개의 조명램프(122)는 서로 개별 점등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컨트롤유닛(140)의 점등 스위치에 의해 제어된다. 조명램프(122)들은 제3설치프레임(121)에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 조명램프(122)를 점등 순서를 변경함으로써 태양의 위치변화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태양전지모듈(110)의 태양광 위치추적 방식을 실습할 수 있다.
터미널유닛(130)은 CDS 센서모듈(112)의 신호, 태양전지모듈(110)에서 생성된 전력, 구동유닛(150)의 구동모터의 상하좌우 리미트 신호 등을 컨트롤유닛(140) 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태양전지모듈(110)이 설치된 제1가동프레임(161)에 고정설치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미널유닛(130)은 8채널 CDS 신호 출력을 위한 CDS 출력부(131)와 태양전지모듈(110)의 상하좌우 조작을 위한 상하/좌우 조작부(132a,132b)와 태양전지모듈(110)에서 생성된 전력을 출력하는 태양광 전력 출력부(133)와 구동모터(151)의 리미트 신호를 출력하는 상하/좌우 리미트 출력부(134a,134b) 및 DC 24V 전력을 컨트롤유닛(140)으로부터 입력받는 전력 입력부(135)로 이루어진다.
CDS 출력부(131)는 8개의 CDS 신호 출력을 위한 커넥터를 구비하며 CDS 출력부(131)의 각 커넥터는 컨트롤유닛(140)에 연결되어 개별 CDS 센서모듈(112)에서 감지된 광량의 세기에 관련한 신호를 컨트롤유닛(140)에 전달한다. 컨트롤유닛(140)은 CDS 센서모듈(112)의 광량 세기 신호를 비교 판단하여 태양전지모듈(110)의 상하/좌우 구동신호를 발생시켜 태양전지모듈(110)을 상하좌우 회전시킨다.
조작부(132a,132b)는 구동유닛(150)의 구동모터(151)를 구동하여 태양전지모듈(110)을 상하/좌우로 구동하며, 구동유닛(150)을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상하/좌우 토글 스위치(136,137) 및 컨트롤유닛(140)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유닛(150)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커넥터로 이루어진다.
컨트롤유닛(140)은 태양전지모듈(110)로부터 생성된 전력량을 표시함과 동시 에 조명기(120)의 조명램프(122)의 점등 순서를 조작함으로써 태양 위치추적 실습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연산제어부(141), 조명기(120)의 조명램프(122)를 점등하기 위한 점등 스위치(142), 생성된 전력의 전압을 표시하는 표시부(143), 터미널유닛(130)으로부터 전달된 CDS 신호를 수신받는 CDS 신호 입력부(144), 터미널유닛(130)으로부터 전달된 구동모터(151)의 리미트 신호를 수신받는 리미트 신호 입력부(145) 및 구동유닛(150)의 구동모터(151)를 자동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신호 출력부(146)로 이루어진다.
연산제어부(141)는 CDS 신호 입력부(144)를 통해 전달된 CDS 센서모듈(112)의 광량 세기 신호를 비교 판단하여 태양전지모듈(110)의 회전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로 구동유닛(150)을 구동하기 위해 구동 신호 출력부(146)를 통해 구동모터(151)의 상하/좌우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상하/좌우 구동 신호는 터미널유닛(130)의 조작부(132a,132b)의 커넥터에 연결된 별도 케이블을 통해 터미널유닛(130)으로 전달된다.
구동유닛(150)은 태양전지모듈(110)을 상하좌우로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51)와 구동모터(151)의 구동력을 증폭시키기 위한 감속기모듈 및 구동모터(151)의 회전 구동력을 태양전지모듈(110)의 상하좌우 운동력으로 전환하여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태양 위치추적 실습장 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 위치추적 실습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터미널유닛의 개략적인 정면도; 및
도 4는 도 1의 컨트롤유닛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태양 위치추적 실습장치 110 : 태양전지모듈
111 : 태양전지패널 112 : CDS 센서모듈
113 : 제1설치프레임 114 : 제2설치프레임
120 : 조명기 121 : 제3설치프레임
122 : 조명램프 130 : 터미널유닛
131 : CDS 출력부 132a : 상하 조작부
132b : 좌우 조작부 133 : 태양광 전력 출력부
134a : 상하 리미트 출력부 134b : 좌우 리미트 출력부
135 : 전력 입력부 140 : 컨트롤유닛
141 : 연산제어부 142 : 점등 스위치
143 : 표시부 144 : CDS 신호 입력부
145 : 리미트 신호 입력부 146 : 구동 신호 출력부
150 : 구동유닛 151 : 구동모터
161 : 제1가동프레임 162 : 제2가동프레임

Claims (5)

  1. 태양광 또는 조명광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는 한 쌍의 태양전지패널 및 하나 이상의 광량 측정용 CDS 센서모듈을 포함한 태양전지모듈;
    제1가동프레임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태양전지모듈을 상하좌우 회동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
    제2가동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태양 위치추적 실습을 위해 조명광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조명램프가 구비된 조명기; 및
    상기 태양전지모듈로부터 생성된 전력량을 표시하고, 상기 조명램프의 점등 순서를 조작하며 상기 CDS 센서모듈로부터 전달된 광량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구동유닛을 구동함으로써 태양 위치추적 실습을 수행하기 위한 컨트롤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위치추적 실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모듈은 상기 CDS 센서모듈이 설치되는 반 고리형 제1,2설치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제1,2설치프레임은 서로 직교하게 교차 설치되고 상기 제1,2설치프레임의 외주를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CDS 센서모듈이 등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위치추적 실습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설치프레임은 지표면에 직교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설치프레임에 설치된 4개의 CDS 센서모듈은 태양 또는 조명의 상하 각도 변화에 대응하는 광량 데이터를 상기 컨트롤유닛에 전송하며, 상기 제2설치프레임은 지표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설치프레임에 설치된 4개의 CDS 센서모듈은 태양 또는 조명의 좌우 각도 변화에 대응하는 광량 데이터를 상기 컨트롤유닛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위치추적 실습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유닛은, 상기 조명기의 각 조명램프를 점등하기 위한 점등 스위치와, 생성된 전력의 전압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CDS 센서모듈의 CDS 신호를 수신받는 CDS 신호 입력부와,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모터를 자동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신호 출력부 및 상기 CDS 신호 입력부를 통해 전달된 상기 CDS 센서모듈의 광량 세기 신호를 비교 판단하여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회전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로 상기 구동유닛을 구동하기 위해 상기 구동 신호 출력부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상하/좌우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연산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위치추적 실습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CDS 센서모듈의 신호, 상기 태양전지모듈에서 생성된 전력을 상기 컨트롤유닛에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태양전지모듈을 상하좌우 구동하기 위한 터미널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유닛은 상기 구동유닛을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상하/좌우 토글 스위치 및 상기 컨트롤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구동유닛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커넥터로 이루어진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위치추적 실습장치.
KR1020090105830A 2009-11-04 2009-11-04 태양 위치추적 실습장치 KR201100490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830A KR20110049023A (ko) 2009-11-04 2009-11-04 태양 위치추적 실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830A KR20110049023A (ko) 2009-11-04 2009-11-04 태양 위치추적 실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023A true KR20110049023A (ko) 2011-05-12

Family

ID=44360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830A KR20110049023A (ko) 2009-11-04 2009-11-04 태양 위치추적 실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90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6421A (zh) * 2018-09-10 2019-01-08 浙江电腾云光伏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伏发电站实物教学仿真平台及仿真方法
CN110620546A (zh) * 2019-11-12 2019-12-27 国网四川省电力公司泸州供电公司 一种户用型光储一体化移动式电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6421A (zh) * 2018-09-10 2019-01-08 浙江电腾云光伏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伏发电站实物教学仿真平台及仿真方法
CN110620546A (zh) * 2019-11-12 2019-12-27 国网四川省电力公司泸州供电公司 一种户用型光储一体化移动式电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296B1 (ko) 도로의 방음벽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KR20110124679A (ko) 풍력과 태양광을 이용한 복합발전장치
KR20090029587A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0760043B1 (ko)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CN202650411U (zh) 一种用于教学的风光互补发电实训系统
KR20110049020A (ko)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
CN101728976A (zh) 一种光伏发电装置
CN217305760U (zh) 一种智能型光伏跟踪支架旋转角度误差消除系统
KR100916629B1 (ko) 태양광 추적 집광장치
CN102122174A (zh) 光源模拟跟踪装置
KR20110049026A (ko) 태양 위치추적 실습장치
CN201821298U (zh) 光敏式单轴跟踪太阳能光伏发电装置
CN102063124A (zh) 一种东西方向向日连轴跟踪系统
CN201918921U (zh) 盘式向日发电装置
KR20110049023A (ko) 태양 위치추적 실습장치
KR101010452B1 (ko) 태양 광 발전 탑
KR100920990B1 (ko) 학습용 태양발전 실습 장치
KR101770681B1 (ko) 태양광 추적센서유닛을 갖는 태양광 집열장치
KR20110049022A (ko)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
CN102339072B (zh) 一种太阳光伏发电二维跟踪装置
CN104503479A (zh) 光伏驱动移动式农用灌溉系统的光伏板实时调节装置
CN201984348U (zh) 光源模拟跟踪装置
CN101414418B (zh) 一种太阳电池发电演示仪器
KR20090118703A (ko) 반사장치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태양광 발전 방법
CN201766522U (zh) 一种高效太阳能光电转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