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9022A -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 - Google Patents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9022A
KR20110049022A KR1020090105829A KR20090105829A KR20110049022A KR 20110049022 A KR20110049022 A KR 20110049022A KR 1020090105829 A KR1020090105829 A KR 1020090105829A KR 20090105829 A KR20090105829 A KR 20090105829A KR 20110049022 A KR20110049022 A KR 20110049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wind
generator
renewable energy
electr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5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선
배동준
전윤구
Original Assignee
(주)청파이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파이엠티 filed Critical (주)청파이엠티
Priority to KR1020090105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9022A/ko
Publication of KR20110049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0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motors; for generators; for power supplies; for power distrib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H02S10/12Hybrid wind-PV energy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 및 태양광으로부터 전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교육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는 풍력 발전기와, 태양 전지판을 포함한 태양광 발전기와 기상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기상센서부와, 생성된 전기를 전달받아 충전배터리에 충전함과 동시에 생성된 전기 및 기상센서부로부터 전달된 기상정보 등을 표시하고 제어하며 생성된 전기를 사용하여 실습하기 위한 실습용 컨트롤러와, 지표면에 지지되는 가동프레임에 직교하게 고정 설치된 고정 폴 및 풍력 발전기가 설치되며 고정 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가변 폴을 포함한 지지 폴을 포함한다.
풍력, 태양광, 발전기, 교육, 실습, 실습장치

Description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Training device for educating the renewable energy}
본 발명은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풍력 및 태양광으로부터 전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교육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연료의 사용에 따라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에 의한 지구의 온난화와 원자력발전소의 사고 및 핵폐기물에 의한 방사능 오염 등의 심각한 문제가 나타나고, 지구의 환경과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청정 에너지원인 신재생 에너지를 사용한 발전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는 사전적 의미로는 태양열, 태양광, 풍력, 조력, 지열과 같이 자연 상태에서 만들어진 에너지를 일컫는 것으로, 신재생 에너지의 기술적 범위는 태양 에너지, 풍력, 수력 발전, 바이오 연료로 매우 범위가 넓으며, 기후변화 문제의 심화와 화석연료의 고갈 등으로 신재생 에너지의 중요성과 비중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은, 예를 들면 일정 두께의 판넬상에 여러개의 솔라셀(solar-cell)이 형성된 집광판을 통해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광 발전장치, 오목한 반사판의 중앙에 집열구를 형성하여 태양광에 의한 열을 집열시키는 태양열 활용장치, 낙하되는 물에 의해 터빈이 회전되고 터빈의 회전에 의해 발전기를 구동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수력 발전장치, 바람에 의해 터빈이 회전되고 터빈의 회전에 의해 발전기를 구동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풍력 발전장치, 발산되는 증기에 의해 터빈이 회전되고 터빈의 회전에 의해 발전기를 구동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지열 발전장치, 수소와 산소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 에너지를 활용하는 수소 발전장치 등이 제안되었다.
한편, 이와 같은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일련의 과정을 교육하기 위한 교육 실습장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재생 에너지 중 풍력 및 태양광으로부터 전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일련의 과정을 교육 실습할 수 있는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의 운반 시 장비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운반 편의성을 높일 필요가 있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외 바람이나 유동 기류에 의해 구동되어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풍력 발전기; 태양광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태양광을 집광하기 위한 태양 전지판을 포함한 태양광 발전기; 풍속, 풍향, 조도 레벨 및 온도 등의 기상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기상센서부; 상기 생성된 전기를 전달받아 충전배터리에 충전함과 동시에 상기 생성된 전기 및 상기 기상센서부로부터 전달된 기상정보 등을 표시하고 제어하며 생성된 전기를 사용하여 실습하기 위한 실습용 컨트롤러; 및 지표면에 지지되는 가동프레임에 직교하게 고정 설치된 고정 폴 및 상기 풍력 발전기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 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가변 폴을 포함한 지지 폴;을 포함하는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변 폴은 상기 풍력 발전기의 높이 조절을 위해 상기 고정 폴 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높이 조절 후 와셔를 통해 상기 고정 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폴은 상기 가변 폴이 삽입되는 입구에 인접하게 상기 와셔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변 폴은 상기 와셔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풍력 발전기는 회전력을 전기로 생성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의 회전축에 고정결합된 프로펠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로펠러는 원반형 몸체 및 상기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둘 이상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펠러의 몸체는 상기 블레이드가 설치되는 결합부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결합홉에 대응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몸체에 볼트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에에 따르면, 풍력 발전기 및 태양광 발전기를 통해 생성된 전기를 실습용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충전배터리에 충전함과 동시에 생성 전기의 특성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지지 폴이 고정 폴과 가변 폴로 분리될 수 있고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가 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교육 실습장치의 운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100)는 풍력 발전기(110), 태양광 발전기(120), 기상센서부(130), 실습용 컨트롤러(140) 및 충전배터리(150)를 포함한다.
풍력 발전기(110)는 실외 바람이나 유동 기류에 의해 구동되어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가동 프레임(160)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풍력 발전기(110)를 지지하는 지지 폴(170), 지지 폴(170)의 말단에 회전되게 설치된 발전기(111) 및 발전기(111)의 회전축에 고정 설치된 프로펠러(11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풍력 발전기(110)에 있어서, 프로펠러(112)는 몸체(113)와 몸체(113)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블레이드(114)를 구비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펠러(112)의 몸체(113)는 전체적으로 원반형으로 형성되며 블레이드(114)가 결합되는 결합부(115)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결합부(115)는 블레이드(114)의 수량에 대응하게 몸체(113)의 외주부를 따라 다수 형성되며, 각 결합부(115)는 블레이드(114)의 결합돌기(114a)에 대응하는 결합홈(113a)을 갖는다. 또한 블레이드(114)와 몸체(113)를 고정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볼트(미도시)가 구비되며 볼트는 블레이드(114)에 형성된 나사홀(114b)을 통해 블레이드(114)와 몸 체(113)를 고정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 블레이드(114)가 몸체(113)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실습장치(100)의 운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114)의 파손 시 블레이드(114)의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가동 프레임(160)은 전체적으로 정사각형 모양으로 제작되고 가동 프레임(160)의 서로 마주하는 모서리에 직교하게 설치 프레임(161)이 서로 교차하게 설치되고 설치 프레임(161)의 중앙 부위에 지지 폴(170)이 선택적으로 삽입 설치되는 설치부(162)가 일체로 구비된다. 또한 가동 프레임(160)의 네 모서리에는 가동 프레임(160)의 위치를 자유 조정할 수 있도록 롤러(163)가 각각 구비된다.
지지 폴(170)은 가동 프레임(160)의 설치부(162)에 삽입 고정되어 풍력 발전기(110)를 지표면에 직교하게 지지하며 설치부(162)에 삽입된 경우 설치부(162) 내에서 회전이 방지되도록 정사각 기둥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지지 폴(170)은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지지 폴(170)은 풍력 발전기(110)의 높이 조절 및 실습장치(100)의 운반 편의성을 위해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폴(170)은 가동 프레임(16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폴(170a) 및 고정 폴(170a)의 내부에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는 가변 폴(170b)을 포함한다.
가변 폴(170b)은 고정 폴(170a)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하 슬라이드 되어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고정 폴(170a)과 가변 폴(170b)을 고정하기 위한 와셔(175)가 구비된다.
고정 폴(170a)은 상부 외주에 서로 마주하게 형성된 한 쌍의 삽입공(173)이 형성되고 가변 폴(170b)은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공(173)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공(174)이 형성된다. 즉 고정 폴(170a)의 내부로 가변 폴(170b)이 삽입되고 가변 폴(170b)의 높이 조절 후 삽입공(173)과 결합공(174)을 마주하게 일치시킨 후 삽입공(173)과 결합공(174)에 와셔(175)를 삽입함으로써 고정 폴(170a)에 가변 폴(170b)을 고정 설치한다.
가변 폴(170b)이 고정 폴(170a)로부터 분리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습장치(100)의 운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가변 폴(170b)의 말단에는 프로펠러(112)가 바람을 받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발전기(111)가 회전되게 설치되며,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발전기(111)가 별도의 베어링 등을 통해 가변 폴(170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지지 폴(170)의 중심 부위에는 태양광 발전기(120)의 태양 전지판(121) 및 기상센서부(130)가 설치되며, 태양 전지판(121)은 지지 폴(170)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태양 전지판(121)의 회전 각도를 유지하기 위한 각도조절 쇼바(172)가 부가 설치될 수 있다.
발전기(111)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112)의 회전력을 통해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프로펠러(112)에 고정되게 설치된 회전축,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마그넷, 마그넷의 회전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를 통해 유도전류를 생성하는 코일 및 직류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정류자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발전기(111)는 초당 3미터(m/s)의 풍속으로부터 12V의 직류 전원을 생성할 수 있는 직류 발전기를 사용하였으나, 다른 사양의 발전기도 자유롭게 교체 사용할 수 있다.
발전기(111)에서 생성된 전기는 별도 케이블을 통해 실습용 컨트롤러(140)에 전달된다.
태양광 발전기(120)는 태양광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태양광을 집광하기 위한 태양 전지판(121) 및 태양 전지판(121)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기(122)를 포함한다.
태양 전지판(121)은 일정 두께의 판넬에 다수의 솔라셀(solar-cell)이 구비되어 형성되며, 광이 인가된 태양 전지판(121)에서 발생된 전기는 별도 케이블을 통해 실습용 컨트롤러(140)에 전달된다.
태양 전지판(121)은 지지 폴(170)에 소정 각도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태양 전지판(121)의 상측 말단에는 지지 폴(170)에 태양 전지판(121)을 회동 설치하기 위한 힌지조립체(171)가 설치되고, 태양 전지판(121)의 양측 테두리에는 태양 전지판(121)의 각도 유지를 위한 각도조절 쇼바(172)가 각각 설치된다.
힌지조립체(171)는 지지 폴(170)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171a), 고정브라켓(171a)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조립되며 태양 전지판(121)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회전브라켓(171b)으로 이루어진다.
각도조절 쇼바(172)는 태양 전지판(121)에 입사되는 태양광 또는 조명기(122)의 광량이 최대가 되도록 지지 폴(170)에 대한 태양 전지판(121)의 경사 각도를 유지하며, 태양 전지판(121)의 회동 각도 조절시 태양 전지판(121)의 부드러운 회동운동을 안내한다.
조명기(122)는 태양 전지판(121)에 광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교육 실습장치(100)를 실내에서 사용하는 경우, 태양을 대신하여 태양 전지판(121)에 광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달리, 조명기(122)는 교육 실습장치(100)를 실외에서 사용할 경우, 날씨가 흐려 태양 광량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 경우에 태양 전지판(121)에 광을 인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조명기(122)는 장방형 태양 전지판(121)에 균등하게 광량을 인가하기 위해 태양 전지판(121)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조명램프(12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의 조명기(122)에는 모두 4개의 조명램프(123)가 구비된다. 조명램프(123)의 수량은 태양 전지판(121)의 크기에 대응하여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기상센서부(130)는 풍속, 풍향, 조도 레벨 및 온도 등의 기상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풍속계(131), 풍향계(132), 온도계 및 조도계를 포함한다.
풍속계(131)는 바람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풍속계(131)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반구형 풍배(風杯;131a)가 회전되게 구비된 로빈슨 풍속계가 사용되며, 로빈슨 풍속계는 풍배의 회전 속도를 통해 평균 풍속을 측정한 다. 풍속계(131)에 의해 측정된 평균 풍속은 별도의 케이블을 통해 실습용 컨트롤러(140)로 전달되어 표시될 수 있다.
풍향계(132)는 바람의 방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1매 이상의 풍판(風板)을 구비하며 풍판의 회전방향으로 통해 풍향을 측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풍향계(132)는 1매의 풍판을 구비한 단엽풍향계가 사용되었으나, 이와 달리 2매 이상의 풍판을 구비한 복엽풍향계 또는 셀신모터에 의한 전자회로를 이용하여 원격(遠隔)관측과 자동기록이 가능한 셀신형 풍향계가 사용될 수 있다.
온도계는 대기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온도계는 온도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실습용 컨트롤러(140)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서미스터 온도계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온도계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조명기(122)에 의한 온도 간섭을 방지하도록 태양 전지판(121)의 배면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도계는 광원의 조명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태양광 또는 조명광이 입사되는 태양 전지판(121)의 정면에 배치되어 광의 조명을 측정하며, 조명도를 실습용 컨트롤러(140)로 전달한다.
실습용 컨트롤러(140)는 풍력 발전기(110) 및 태양광 발전기(120)로부터 전달된 전력량, 기상센서부(130)로부터 전달된 풍속, 온도, 조명도 등의 기상정보 등을 표시하고 제어하며 풍력/태양광 발전기(110,120)로부터 발전된 전기를 사용하여 실습하기 위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습용 컨트롤러(140)는 입력 단자부(141), 출력 단자부(142), 표시부(143), 인버터부(144) 및 DC 로드부(145) 등으로 이루어진다.
입력 단자부(141)는 기상센서부(130)와 연결되어 기상정보를 입력받는 센서 입력단자(141a)와, 태양광 발전기(120)와 연결되어 생성된 전기를 입력받는 제1 전력단자(141b)와, 풍력 발전기(110)와 연결되어 생성된 전기를 입력받는 제2 전력단자(141c)와, 충전배터리(150)와 연결되어 충전배터리(150)에 충전된 전기를 입력받는 제3 전력단자(141d)와, 실습용 컨트롤러(140)를 구동하기 위한 220V의 구동전원을 입력받는 제4 전력단자(141e)로 이루어진다.
출력 단자부(142)는 태양광 발전기(120)로부터 생성되어 전달된 전기를 출력하는 제1 출력단자(142a)와, 풍력 발전기(110)로부터 생성되어 전달된 전기를 출력하는 제2 출력단자(142b)와, 충전배터리(150)로부터 전달된 전기를 출력하는 제3 출력단자(142c)로 이루어진다.
제1 출력단자(142a)는 태양 전지판(121)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단자와 아날로그 표시부(143b)에 연결되어 배터리 충전 컨트롤 회로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단자로 이루어진다. 제2 출력단자(142b)는 풍력 발전기(110)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단자와 아날로그 표시부(143b)에 연결되어 배터리 충전 컨트롤 회로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단자로 이루어진다. 제3 출력단자(142c)는 충전배터리(150)에 연결되어 DC 부하실험을 위한 충전배터리(150)의 전기를 출력한다.
표시부(143)는 풍력 발전기(110)의 전력 또는 태양광 발전기의 전력의 특성 실험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표시부(143a)와 아날로그 표시부(143b)로 이 루어진다.
디지털 표시부(143a)는 풍력 발전기(110)의 전력 또는 태양광 발전기의 전력의 특성 실험을 하기 위한 디지털 전압계, 디지털 전류계 및 부하저항으로 구성되며, 디지털 전압계는 DC 20V까지, 전류계는 DC 15A까지 측정할 수 있으며, 부하저항은 100Ω/50W 가변저항으로 구성되어 특성 실험용 부하로 사용된다.
아날로그 표시부(143b)는 풍력 발전기(110)의 출력 전류값, 태양광 발전기(120)의 출력 전류값, 충전배터리(150)의 출력 전압 및 배터리 부하 전류값을 표시하기 위한 아날로그 계기판 등을 구비한다. 또한 아날로그 표시부(143b)는 출력 단자부(142)의 제1 내지 제3 출력단자(142c)와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입력단자를 구비한다. 모든 입력단자가 연결되고 인버터부(144)의 배터리 브레이커(144b)가 ON 되면 태양광 발전기(120) 및 풍력 발전기(110)에 의해 생성된 전기가 충전배터리(150)에 충전된다.
인버터부(144)는 충전배터리(150)로부터 DC 12V를 공급받아 AC 220V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최대 300W의 출력을 가지며, 인버터부(144)를 동작하는 인버터 스타트 스위치(144a), 충전배터리(150)를 선택적으로 충전하고 인버터부(144)로 DC 전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브레이커(144b), 인버터 퓨즈(144c), 출력 파형 측정기(144d) 등으로 구성된다.
인버터 스타트 스위치(144a)는 인버터부(144)를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로, ON되면 AC 출력을 발생시키며, 인버터 퓨즈(144c)는 30A용 퓨즈로 사용된다. 배터리 브레이커(144b)는 ON되면 풍력/태양광 발전기(110,120)로부터 발생된 전력을 공 급받아 충전배터리(150)를 충전시킴과 동시에 인버터부(144)로 DC 전원을 공급한다. 출력 파형 측정기(144d)는 전압 파형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DC 12V 입력 파형을 측정하는 측정기 등을 구비한다.
DC 로드부(145)는 DC 12V 부하실험을 하기 위한 것으로, 레지스터, 램프, 부저 등이 구비되며, 레지스터는 저항 부하로 1 내지 5A로 선택하여 부하의 변화에 따른 아날로그 표시부(143b) 상에 전류계와 전압계의 지시값의 변화를 실험하기 위한 부하로서 사용된다. 램프는 DC 출력을 램프 부하로 아날로그 표시부(143b) 상에 전류계와 전압계의 지시값의 변화를 실험하기 위한 부하로서 사용된다. 부저는 DC 출력을 부저 음으로 아날로그 표시부(143b) 상에 전류계와 전압계의 지시값의 변화를 실험하기 위한 부하로서 사용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습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습용 컨트롤러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실습용 컨트롤러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도 1의 실습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 및
도 6은 도 1의 실습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 110 : 풍력 발전기
111 : 발전기 112 : 프로펠러
113 : 몸체 114 : 블레이드
120 : 태양광 발전기 121 : 태양 전지판
122 : 조명기 123 : 조명램프
130 : 기상센서부 131 : 풍속계
131a : 반구형 풍배 132 : 풍향계
140 : 실습용 컨트롤러 141 : 입력 단자부
142 : 출력 단자부 143 : 표시부
144 : 인버터부 145 : DC 로드부
150 : 충전배터리 160 : 가동 프레임
161 : 설치 프레임 162 : 설치부
163 : 롤러 170 : 지지 폴
170a : 고정 폴 170b : 가변 폴
171 : 힌지조립체 171a : 고정브라켓
171b : 회전브라켓 175 : 와셔

Claims (5)

  1. 실외 바람이나 유동 기류에 의해 구동되어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풍력 발전기;
    태양광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태양광을 집광하기 위한 태양 전지판을 포함한 태양광 발전기;
    풍속, 풍향, 조도 레벨 및 온도 등의 기상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기상센서부;
    상기 생성된 전기를 전달받아 충전배터리에 충전함과 동시에 상기 생성된 전기 및 상기 기상센서부로부터 전달된 기상정보 등을 표시하고 제어하며 생성된 전기를 사용하여 실습하기 위한 실습용 컨트롤러;
    지표면에 지지되는 가동프레임에 직교하게 고정 설치된 고정 폴 및 상기 풍력 발전기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 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가변 폴을 포함한 지지 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 폴은 상기 풍력 발전기의 높이 조절을 위해 상기 고정 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높이 조절 후 와셔를 통해 상기 고정 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 폴은 상기 가변 폴이 삽입되는 입구에 인접하게 상기 와셔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변 폴은 상기 와셔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풍력 발전기는 회전력을 전기로 생성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의 회전축에 고정결합된 프로펠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로펠러는 원반형 몸체 및 상기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둘 이상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의 몸체는 상기 블레이드가 설치되는 결합부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결합홉에 대응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몸체에 볼트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
KR1020090105829A 2009-11-04 2009-11-04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 KR201100490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829A KR20110049022A (ko) 2009-11-04 2009-11-04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829A KR20110049022A (ko) 2009-11-04 2009-11-04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022A true KR20110049022A (ko) 2011-05-12

Family

ID=44360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829A KR20110049022A (ko) 2009-11-04 2009-11-04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902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40340A (zh) * 2017-07-20 2017-10-10 国网山东省电力公司潍坊供电公司 电网变电系统五防操作练习考核装置
CN108011567A (zh) * 2017-12-29 2018-05-08 山东理工昊明新能源有限公司 一种混合式新能源发电装置
CN108331954A (zh) * 2018-01-12 2018-07-27 浙江盾安自控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风光互补供电和双通信技术的调水阀门控制系统
CN112185221A (zh) * 2020-09-03 2021-01-05 郑州万特电气股份有限公司 混合型风光互补发电运维模拟仿真方法及设备
CN113538992A (zh) * 2020-12-30 2021-10-22 北京金风慧能技术有限公司 风力发电机组的变桨教学设备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40340A (zh) * 2017-07-20 2017-10-10 国网山东省电力公司潍坊供电公司 电网变电系统五防操作练习考核装置
CN107240340B (zh) * 2017-07-20 2020-08-28 国网山东省电力公司潍坊供电公司 电网变电系统五防操作练习考核装置
CN108011567A (zh) * 2017-12-29 2018-05-08 山东理工昊明新能源有限公司 一种混合式新能源发电装置
CN108011567B (zh) * 2017-12-29 2019-07-09 山东理工昊明新能源有限公司 一种混合式新能源发电装置
CN108331954A (zh) * 2018-01-12 2018-07-27 浙江盾安自控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风光互补供电和双通信技术的调水阀门控制系统
CN112185221A (zh) * 2020-09-03 2021-01-05 郑州万特电气股份有限公司 混合型风光互补发电运维模拟仿真方法及设备
CN112185221B (zh) * 2020-09-03 2022-01-28 郑州万特电气股份有限公司 混合型风光互补发电运维模拟仿真方法及设备
CN113538992A (zh) * 2020-12-30 2021-10-22 北京金风慧能技术有限公司 风力发电机组的变桨教学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9020A (ko)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
CN102520330B (zh) 太阳能电池光伏器件伏安特性测试系统
KR20110049022A (ko)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실습장치
US20100320760A1 (en) Solar and Wind Power Generator Capable of Tracking Sunlight Automatically
KR20130012514A (ko) 교육용 신재생 에너지 발전기 및 이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교육 시스템 및 방법
Mohammedi et al. Comparative assessment for the feasibility of storage bank in small scale power photovoltaic pumping system for building application
CN107542624B (zh) 一种太阳能风能一体发电装置
KR200447670Y1 (ko) 교육용의 에너지수집 실험 장치
KR200279402Y1 (ko) 자연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發電) 실습용 학습교재
CN201096303Y (zh) 太阳能路灯自动跟踪装置
CN203443883U (zh) 一种全自动智能曝晒架
KR200182479Y1 (ko) 태양열에너지 이용학습교재
KR100787799B1 (ko) 대체에너지 활용원리 실습용 학습교재
Vieira et al. An IoT based smart utility pole and street lighting system
KR20110049026A (ko) 태양 위치추적 실습장치
Bosma et al. Renewable energy labs for an undergraduate energy systems course
KR200383703Y1 (ko) 태양에너지와 풍력에너지를 이용한 광고장치
CN101414418B (zh) 一种太阳电池发电演示仪器
Febiansyah et al. Portable Pico-hydro Power Plant with Archimedes Screw Turbine in Pelangi Reservoir of Universitas Islam Indonesia
Handayani et al. Home-Scale Vertical Axis Wind Turbine Design
KR20110049023A (ko) 태양 위치추적 실습장치
Young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low-cost solar photovoltaic experimental station for education enhancement
CN201204475Y (zh) 实时显示供电效率的复合太阳能电池充电器
Ge et al. Reliability-based stand-alone photovoltaic system sizing design-a case study
CN205992352U (zh) 一种智能微电网管理控制模拟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