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8355A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8355A
KR20110048355A KR1020090105118A KR20090105118A KR20110048355A KR 20110048355 A KR20110048355 A KR 20110048355A KR 1020090105118 A KR1020090105118 A KR 1020090105118A KR 20090105118 A KR20090105118 A KR 20090105118A KR 20110048355 A KR20110048355 A KR 20110048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tereoscopic image
camera
preview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5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1969B1 (ko
Inventor
김종환
최정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5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969B1/ko
Priority to US12/916,940 priority patent/US8670022B2/en
Publication of KR20110048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07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 H04N13/221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cameras an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카메라의 프리뷰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화면의 일 영역에 미리보기 창을 설정하고, 미리보기 창에 프리뷰 이미지에 대응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가능한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예측 이미지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 입체영상을 위한 촬영시,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미리보기 기능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카메라를 조작할 수 있다.
카메라, 3차원, 입체영상, 프리뷰, 휴대 단말기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미리보기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에는, 양면에서 보이는 양면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전면 터치스크린(touch screen), 고해상도 카메라 등이 적용되기도 한다.
한편, 최근에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여러 개의 이미지를 화상처리 과정을 통해 결합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기술도 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이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서 3차원 입체영상의 생성을 위한 3D 촬영 모드를 제공하는 경우, 현재 촬영중인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가능한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미리보기 기능을 제공하여, 3차원 입체영상의 생성을 위해 촬영이 필요한 부분이나 촬영 방향 등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3차원 입체영상의 생성을 위한 촬영시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미리보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카메라의 프리뷰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화면의 일 영역에 미리보기 창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보기 창에 상기 프리뷰 이미지에 대응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가능한 3차원 입체영상에 대 한 예측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촬영 완료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프리뷰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화면의 일 영역에 미리보기 창을 설정하고, 상기 미리보기 창에 상기 프리뷰 이미지에 대응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가능한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예측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 입체영상의 생성을 위한 3D 촬영 모드에서 현재 촬영중인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가능한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하여 미리보기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미리보기 기능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카메라를 조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 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 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나 방송 관련 정보 등은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 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 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감지센서(141), 압력센서(143), 및 모션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휴대 단말기(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휴대 단말기(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휴대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 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1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 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 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 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 보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제1 바디(100A), 및 제1 바디(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바디(100B)를 포함한다.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가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Standby Mode)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1 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본체, 구체적으로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사용자 입력부(130a)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 바디(100A)와 마찬가지로, 제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130b)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2 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및 제4 사용자 입력부(130c, 130d), 마이크(123), 및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 130d)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및 제4 사용자 입력부(130c, 130d)는 휴대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가 교환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 바디(100B)의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휠 타입의 제5 사용자 입력부(130e)와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제2 바디(100B)의 측면에는 제6 사용자 입력부(130f)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5)와 거울(126)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5)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6)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제2 바디(100B)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00A)의 제1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1 바디(100A)와 제2 바디(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00C)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00C)의 다른 부분은 제2 바 디(100B)의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제2 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제2 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2 카메라(121b) 등과 같이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00A), 주로는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닫힌 상태에서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 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제2 카메라(121b)와 함께 제3 카메라(미도시)가 듀얼 카메라로 구비되거나, 제2 카메라(121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카메라 메뉴에서 3차원 입체영상의 생성을 위한 3D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S200),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카메라(121)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프리뷰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한다(S205). 그리고, 제어부(180)는 화면의 일 영역에 미리보기 창을 설정하고, 미리보기 창에 프리뷰 이미지에 대응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가능한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예측 이미지를 표시한다(S210).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영상은 2, 3, 6, 9, 12 장 등의 촬영된 이미지를 결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3D 촬영 모드의 선택시, 미리 3차원 입체영상의 생성에 사용되는 이미지의 총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미리보기 창에는 이전에 촬영된 영상 및 현재 촬영중인 영상을 결합하여 생성가능한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예측 이미지를 표시한다. 미리보기 창에 표시되는 예측 이미지에는 현재 표시되는 프리뷰 이미지에 대응하는 부분이 다른 부분과 식별가능하게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미리보기 창에 표시된 예측 이미지를 보면서 피사체의 어느 부분을 촬영해야 하는지 여부나 촬영 각도 등을 직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촬영 버튼의 조작 등에 의해 촬영이 선택되면(S215),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통해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한다(S220). 촬영된 영상은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설정된 촬영의 개수에 도달하거나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촬영이 완료되면(S225), 제어부(180)는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생성한다(S230).
만일, 촬영외에 다른 기능이 선택된 경우(S235), 제어부(180)는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240).
이와 같은 과정은 3D 촬영모드가 종료되는 경우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 다(S245). 또한,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3D 촬영 모드에서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미리보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서 3차원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3차원 입체영상의 생성은 제어부(180)에서 처리되지만, 제어부(180)와는 별도로 화상처리부를 구비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되어 메모리(160)에 저장된 이미지들 중에서 3차원 입체영상의 생서에 사용할 이미지에 대하여 이미지 캘리브레이션(image calibration)을 수행한다(S300). 이미지 캘리브레이션 이미지 결합전의 전처리 과정으로, 3차원 입체영상의 생성을 위해 결합되는 이미지간의 연결 부위에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보정하여, 자연스럽게 이미지가 연결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원근왜곡(perspective distortion) 보정, 베네팅(vigenetting) 보정, 색수차(chromatic abreration) 보정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원근 왜곡 보정의 경우, 특히 볼록 왜곡(barrel distortion), 및 오목 왜곡(pincushion distorsion)에 대한 보정 필요하다. 베네팅 보정의 경우, 이미지의 주변부가 어둡게 나오는 현상을 보정한다. 그리고, 색수차 보정은 빛의 파장에 따라 굴절률이 다르기 때문에 색상별로 초점이 다른 위치에 모이게 되는 현상을 보정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이미지 레지스트레이션(image registration)을 수행한다(S305). 이미지 레지스트레이션은 이미지를 맞추는 과정으로, 이 과정에서 결 합에 사용될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가 기준(reference)이 되고, 나머지는 타셋(target)이 되어 둘 사이의 유사성을 찾는다. 이를 위해, 밝기값의 유사성을 찾는 Intensity-based 방법과, 점, 라인, 윤곽선 등의 유사성을 찾는 Feature-based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결합할 이미지간에 모션 벡터(motion vector) 등을 이용하여 최적 위치를 검색하여 이미지를 결합한다(S310).
이미지가 결합되면, 제어부(180)는 이미지 블랜딩(image blending)을 수행한다(S315). 이미지 블랜딩은 결합한 이미지가 부드럽게 연결되도록, 후처리(post processing)하는 과정이다.
이미지 블랜딩 과정에서, 컬러 보정(color correction)은 결합한 이미지들간의 색상 차를 최소화한다. 다이나믹 레인지 확장(dynamic range extension)은, 이미지마다 다이나믹 레인지가 달라질 수 있는데, 이를 부드럽게 표현하기 위해 다이나믹 레인지를 최대한 맞추어 준다. 움직임 보상(motion compensation). 디고스팅(deghosting), Deblurring for moving objects 등은 움직이는 물체가 있는 경우 두 이미지 간에 연결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두 이미지를 블랜딩할 때 비율을 적당히 선정하여 결합시킨다.
블랜딩 과정이 완료되면, 최종적으로 3차원 입체영상이 생성된다(S320). 생성된 3차원 입체영상은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의 도 6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6 및 도 7은 하나의 카메 라를 이용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3D 촬영 모드에서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원본 영상(400)을 여러 방향에서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들을 결합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의 프리뷰 이미지가 표시된 화면(450)의 일 영역에는 3차원 입체영상 미리보기 창(460)을 표시할 수 있다. 미리보기 창(460)에는 촬영된 이미지로 생성가능한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예측 이미지가 표시된다. 예측 이미지에는 현재 프리뷰 이미지에 대응하는 부분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전체 이미지 중에서 몇번째 이미지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숫자(463)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프리뷰 이미지가 표시되는 화면(450)에서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미리보기 창(460)을 표시하여, 사용자는 미리보기 창(460)에 표시되는 예측 이미지를 보면서 카메라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듀얼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바디(100B)의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듀얼 카메라가 구비되는 경우, 원본 영상(500)을 한번만 촬영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의 프리뷰 이미지가 표시되는 화면(520)에는 3차원 입체영상 미리보기 창(530)이 표시된다. 또한, 카메라 프리뷰 이미지가 표시되는 화면(520)은 듀얼 카메라에서 각각의 카메라에 대응하는 프리뷰 이미지를 화면(520)에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카메라 메뉴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메뉴 화면(540)에서 '3D shot' 항목(543)을 선택하여 3D 촬영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카메라 메뉴 화면(540)에서 '3D shot' 항목(543)이 선택된 경우,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몇장의 이미지로 3차원 입체영상을 생성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545)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뉴(545)에서 총개수가 선택되면, 현재 몇번째 해당하는 촬영이 진행중인지 식별할 수 있는 식별기호를 화면의 특정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리뷰 이미지가 표시된 화면에, 이미 촬영된 이미지와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가이드 라인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의 (a)는 듀얼 카메라를 구비한 경우 카메라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카메라 메뉴 화면(550)에서 '3D shot' 항목(553)이 선택되면,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로 프리뷰 이미지가 표시된 화면(56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3차원 입체영상을 표시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3차원 입체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입체영상이 표시된 화면(570)에서, 사용자 명령에 따라, 3차원 입체영상을 확대하거나 축소시켜 표시하거나, 회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다음의 도 13 내지 도 15는 3차원 입체영상의 생성을 위해 이미지를 결합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3은 원근왜곡(perspective distortion) 보정이 필요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13의 (a)가 정상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는 경우, 도 13의 (b)는 오목 왜곡이 발생한 경우, 도 13의 (c)는 볼록 왜곡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베네팅(vigenetting) 보정이 필요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촬영된 이미지(580)에서 끝부분(581, 583, 585, 587)이 어두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베네팅 보정이 수행된다.
이와 같이 원근왜곡 보정이나, 베네팅 보정 등이 이미지 캘리브레이션 과정에서 수행되어, 이미지간의 연결 부위가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한다.
도 15는 이미지간의 결합과정을 나타낸다.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처리 과정이 수행된 두 개의 이미지(600, 610)에 대하여 이미지의 유사성 비교 등에 의해 이미지를 결합한다. 이때, 처리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전체 영역이 아니라 일부 영역(603, 613)에 대해서만 유사성 비교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5의 (b)는 결합이 완료된 이미지(620)를 나타낸 것이다. 결합이 완료된 이미지(620)는 결합전 이미지(600, 610) 각각의 크기를 합한 경우보다 작아질 수 있다.
또한, 360도 파노라마(Panorama) 입체영상의 구현은, 이미지 매칭을 양방향으로 검색하여 360도가 되면 결합을 멈추고, 생성한 입체영상은 가로 또는 원통형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미리보기 기능을 제공하여 카메라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5는 3차원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6 및 도 7은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
도 8 및 도 9는 듀얼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
도 10 및 도 11은 카메라 메뉴 화면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
도 12는 3차원 입체영상을 표시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3 내지 도 15는 3차원 입체영상의 생성을 위해 이미지를 결합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Claims (15)

  1. 디스플레이부에 카메라의 프리뷰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화면의 일 영역에 미리보기 창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보기 창에 상기 프리뷰 이미지에 대응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가능한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예측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촬영 완료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생성한 3차원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3차원 입체영상을 회전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이미지에 현재 촬영중인 영상에 대응하는 부분을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입체영상의 생성에 사용되는 이미지의 총개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현재 촬영중인 영상에 상기 3차원 입체영상의 생성을 위한 이미지 중 몇번째 해당하는지 식별가능하도록 식별기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이미지에 이전 촬영된 이미지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가이드 라인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입체영상의 생성에 사용되는 이미지에 대하여 전처리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입체영상의 생성 후, 후처리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1.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프리뷰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화면의 일 영역에 미리보기 창을 설정하고, 상기 미리보기 창에 상기 프리뷰 이미지에 대응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가능한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예측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촬영 완료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3차원 입체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3차원 입체영상을 회전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측 이미지에 현재 촬영중인 영상에 대응하는 부분을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입체영상의 생성에 사용되는 이미지에 대하여 전처리 보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90105118A 2009-11-02 2009-11-02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61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118A KR101661969B1 (ko) 2009-11-02 2009-11-02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12/916,940 US8670022B2 (en) 2009-11-02 2010-11-01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118A KR101661969B1 (ko) 2009-11-02 2009-11-02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355A true KR20110048355A (ko) 2011-05-11
KR101661969B1 KR101661969B1 (ko) 2016-10-04

Family

ID=43925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118A KR101661969B1 (ko) 2009-11-02 2009-11-02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70022B2 (ko)
KR (1) KR1016619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6754B2 (en) 2011-05-25 2014-09-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hotograph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72314B1 (ko) * 2013-05-22 2014-12-1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 카메라를 이용한 3차원 입력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0627A (ko) * 2010-08-30 201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영상 포맷을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US9191649B2 (en) * 2011-08-12 2015-11-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to capture a stereoscopic image pair
KR101843450B1 (ko) 2011-08-23 2018-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WO2013046886A1 (ja) * 2011-09-30 2013-04-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立体画像撮像装置及びその合焦状態確認用画像表示方法
CN104065943A (zh) * 2013-03-20 2014-09-24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三维图像捕获方法及用于三维图像捕获的电子装置
US9967549B2 (en) 2013-03-20 2018-05-08 Mediatek Inc. 3D image capture method with 3D preview of preview images generated by monocular camera and relate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057483B2 (en) * 2014-02-12 2018-08-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CN105306921A (zh) * 2014-06-18 2016-02-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三维照片拍摄方法及移动终端
US20160077422A1 (en) * 2014-09-12 2016-03-17 Adobe Systems Incorporated Collaborative synchronized multi-device photography
JP6158779B2 (ja) * 2014-12-08 2017-07-05 株式会社Soken 画像処理装置
US9973743B2 (en) * 2015-03-08 2018-05-15 Mediatek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dynamically controlled flashlight for image capturing and related control method
US10708526B2 (en) * 2015-04-22 2020-07-07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lens shading correction for a multiple camera device with various fields of view
CN105488846A (zh) * 2015-11-25 2016-04-1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101948674B1 (ko) * 2016-10-20 2019-02-18 (주)하이모 포터블 스캐너 및 그 스캐닝 방법
JP6545229B2 (ja) * 2017-08-23 2019-07-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419213A (zh) * 2017-10-31 2019-11-05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3d图像拍摄方法及装置、拍摄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833796A (zh) * 2018-09-21 2018-11-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像拍摄方法及终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4306A (ja) * 2005-03-04 2006-09-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動画像生成システム、動画像生成装置、動画像生成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9188A (en) * 1996-02-16 1999-12-2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plenoptic imaging
US6157424A (en) * 1998-03-30 2000-12-05 Dimension Technologies, Inc. 2D/3D imaging display
AU2001264954A1 (en) * 2000-05-25 2001-12-03 Realitybuy, Inc. A real time, three-dimensional, configurable, interactive product display systemand method
US7466336B2 (en) * 2002-09-05 2008-12-16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and method for composing multi-perspective images
JP4100195B2 (ja) * 2003-02-26 2008-06-11 ソニー株式会社 3次元オブジェクトの表示処理装置、表示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4306A (ja) * 2005-03-04 2006-09-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動画像生成システム、動画像生成装置、動画像生成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6754B2 (en) 2011-05-25 2014-09-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hotograph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083884B2 (en) 2011-05-25 2015-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for panorama photograph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253405B2 (en) 2011-05-25 2016-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hotograph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72314B1 (ko) * 2013-05-22 2014-12-1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 카메라를 이용한 3차원 입력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70022B2 (en) 2014-03-11
US20110102548A1 (en) 2011-05-05
KR101661969B1 (ko) 201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96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1728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0484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3561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4386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0672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12314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07773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0008795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2630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89625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62427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57375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81160A (ko) Iptv 단말기와 연동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5147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08338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1002983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8534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4386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8534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2144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4076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1003232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3556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3003381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