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5722A - 오토사 플랫폼과 모스트 플랫폼 연동을 위한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토사 플랫폼과 모스트 플랫폼 연동을 위한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5722A
KR20110045722A KR1020090102407A KR20090102407A KR20110045722A KR 20110045722 A KR20110045722 A KR 20110045722A KR 1020090102407 A KR1020090102407 A KR 1020090102407A KR 20090102407 A KR20090102407 A KR 20090102407A KR 20110045722 A KR20110045722 A KR 20110045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form
autosa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창규
한태만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02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5722A/ko
Publication of KR20110045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7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 전장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오토사(AUTOSAR) 플랫폼과 차량 내 멀티미디어 플랫폼 역할을 하는 모스트(MSOT) 플랫폼 사이의 통신을 연동할 수 있는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 및 플랫폼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오토사 플랫폼과 모스트 플랫폼을 동시에 탑재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두 가지의 플랫폼간의 통신 연동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90102407
AUTOSAR, MOST, 통합, 게이트웨이, 통합, 탑재, 플랫폼

Description

오토사 플랫폼과 모스트 플랫폼 연동을 위한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A GATEWAY FOR CONNECTING AN AUTOSAR PLATFORM SYSTEM TO MOST PLATFORM SYSTEM}
본 발명은 오토사 플랫폼과 모스트 플랫폼 연동을 위한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 전장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오토사(AUTOSAR) 플랫폼과 차량 내 멀티미디어 플랫폼 역할을 하는 모스트(MSOT) 플랫폼의 연동을 위한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2008-S-007-02, 과제명:차량 전장용 통합제어 SW 플랫폼 개발].
최근 자동차에 대한 안전(Safety)과 정보/오락(Infotainment) 등의 요구가 증가하고 이들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국내·외 자동차 제조업계들이 노력하고 있다. 자동차 운전자들의 욕구와 법적, 환경적, 사회적인 요구사항들과 국내·외 자동차 제조업계의 환경적·기술적 노력이 모든 종류의 자동차들 내부에 전기 전자 시스템과 소프트웨어 분야의 변화를 가져왔다.
결과적으로, IT 기술을 자동차에서도 누리려 하는 운전자의 욕구와 운전자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전자 장치와 이를 운용하는 소프트웨어가 점점 복잡하게 되었다. 즉, ECU가 네비게이션, 텔레메틱스 같은 정보시스템, 차체 제어, 동력전달장치, 엔진제어, 안전장치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고 이들 ECU의 개수는 점점 더 늘어나고 소프트웨어 역시 그 크기가 증가하고 복잡해지게 되었다. 이 복잡도를 극복하기 위해 ECU는 다른 ECU와 협업이 요구되었고 이를 위한 배선이 기하급수로 늘어나는 상황이 되었다. 결국, 이런 통신을 위한 배선문제 그리고 소프트웨어의 복잡도를 해결하고 결함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자동차용 통신시스템을 표준화하기 시작하였다. 유럽계 자동차 선진업체와 부품공급업자들이 서로 협력하여 2003년 6월 자동차에 대한 표준화를 목표로 AUTOSAR(AUTomotive Open Software ARchitecture) 협력체가 탄생하였으며 AUTOSAR 표준을 설립하였다.
오토사(AUTOSAR)는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성, 설계의 융통성, 통합의 용이성, 소프트웨어 개발비용 절감과 장기간의 서비스 제공, OEM의 소프트웨어 모듈에 대한 재사용성을 제공한다. 하지만, 아직 재사용성 및 시스템 구성에 대한 문제점이 있다.
AUTOSAR의 기본 개념을 살펴보면, AUTOSAR는 차량용 소프트웨어가 ECU, 네트워크 등 기반 하드웨어 구조에 독립적으로 공급되어 여러 다양한 차량용 플랫폼에 적용가능 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구성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AUTOSAR의 기술적 목표는 모듈화(Modularity), 확장성(Scalability), 전이성(Transferability), 재사용가능성(Re-usability) 및 표준화된 인터페이 스(Standardized Interface)이다. 모듈화(Modularity)는 기능을 구성하는 각 컴포넌트를 설계할 때 하드웨어에 대한 의존성 및 독립성을 고려하여 모듈화 하는 것이다. 확장성(Scalability)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가 쉽고 오류 및 버그에 대한 수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전이성(Transferability)와 재사용성(Re-usability)은 각 모듈이 쉽게 수정이 되어 이종 차량 혹은 ECU에 바로 적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마지막 표준화된 인터페이스(Standardized interface)는 다른 부품 공급업자들의 모듈이 잘 통합될 수 있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것이다.
도 1은 AUTOSAR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AUTOSAR의 기술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AUTOSAR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모든 도메인의 차량을 위해 개방형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만들었다. AUTOSAR 소프트웨어 구조는 기본 소프트웨어, AUTOSAR 실시간 환경,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컴포넌트들은 설계단계에서 VFB(Virtual Function Bus)라는 가상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을 수행한다. 그 후 매핑단계에서는 각 컴포넌트들이 어떤 ECU위에서 수행될 지가 결정되며, ECU에 할당된 컴포넌트들은 런타임에 각 ECU마다 존재하는 RTE(Run-Time Environment)를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하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한다.
AUTOSAR의 기본소프트웨어 (AUTOSAR Basic Software) 계층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가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표준화된 소프트웨어 계층으로써 AUTOSAR Software 컴포넌트에게 입출력, 메모리, 통신 등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AUTOSAR 실시간 환경 (Run-Time Environment :RTE)은 같은 ECU안에서 이루어지는 데이터 교환이나 ECU와 ECU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데이터교환을 관리하는 통신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RTE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는 응용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고유한 통신 제약 조건을 가지기 때문에 RTE 역시 그러한 제약에 맞게 구성되어야 한다. RTE코드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이러한 제약 조건들이 고려되어 결과적으로 RTE는 각 ECU 마다 다른 내용을 가지게 된다.
AUTOSAR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특정 ECU에 매핑된 AUTOSAR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로 구성되어 있는 계층이다. 각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는 RTE를 거쳐 다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나 AUTOSAR 기본 소프트웨어 계층의 AUTOSAR 서비스, ECU 추상화, 복합장치 드라이버와 같은 모듈들과 통신한다. 이때 각 컴포넌트 모듈은 RTE를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도록 AUTOSAR 인터페이스를 이용한다.
한편, 자동차 내에 설치되는 장치가 기존의 제어 장치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장치로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 내에 설치되는 장치를 개발하는 경우 각각의 기능에 따라서 새롭게 설계를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이러한 자동차 내에 설치되는 장치들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서로 간에 유기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것으로 예상된다.
예컨대 자동차 내에 설치되어 미디어를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설계하는 경우, 무선 LAN 등의 인터넷 접속 기능, CDMA 등의 이동 통신망 접속 기능, 수신한 데이터 저장 기능, 각종 멀티미디어 코덱을 지원하는 디코딩 기능, DMB 방송의 수신 기능, MOST 네트워크 연결 기능, 휴먼 인터페이스 기능 등 다양한 기능 들을 용도에 따라서 취사 선택하여 설계하고 이에 따라 구현을 수행하여야 한다.
종래의 AUTOSAR 플랫폼(platform)이 수용하는 통신 버스는 LIN, CAN, FlexRay이다. 모스트(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MOST)는 오토사(AUTOSAR) 통신 클러스터에서 수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모스트(MOST)와 오토사(AUTOSAR)의 플랫폼은 서로 연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최근의 차량 내에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통신의 증가에 의해 모스트(MOST) 플랫폼을 지원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유럽 자동차 플랫폼 표준인 오토사(AUTOSAR) 플랫폼이 차량 전장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모스트(MOST) 플랫폼과 연동을 해야 하는 상황을 해결해야 한다.
예컨대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 모듈(150a)은 자동차 내의 표준적인 통신 방식인 모스트(MOST)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정될 수 있다. MOST는 고성능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목표로 하는 광 기반 네트워크 프로토콜로서 특히 자동차 내부의 디스플레이 장치, 텔레매틱스 장치,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등의 네트워크 구현을 위한 기술로서 자동차 제조업체 및 부품 제조업체 사이에서 개발되었다.
MOST 네트워크는 POF(Plastic Optical Fiber) 이용하므로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1. 전자기적 간섭(EMI)에 따른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2. 단순한 네트워크 구조로서 네트워크 설계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3. POF와 파워 라인의 두 개의 선만 필요하므로 전선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 다.
4. 현재 24.8 Mbps 15개의 CD 음질 오디오 데이터는 15개 MPEG1 채널 데이터에 해당하는 24.8 Mbps의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가능하며 이후 50 Mbps 전송의 구현이 예정되어 있는 등 비교적 대용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 가능하다.
이러한 장점을 가진 모스트(MOST)는 향후 특히 자동차 내부의 네트워크 구성에 있어서 그 적용이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서로 다른 두 개의 플랫폼을 동시에 탑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토사 플랫폼과 모스트 플랫폼 사이의 통신 연동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는 차량내 전장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 오토사(AUTOSAR) 플랫폼과 차량 내 멀티미디어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는 모스트(MOST) 플랫폼을 동시에 탑재하는 것을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의 세부적 특징은 상기 두 플랫폼의 통신 프레임을 상호 변환하여 두 플랫폼 사이의 연동을 수행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의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오토 사(AUTOSAR) 플랫폼(platform)이, 오토사 프레임 처리부와; 프레임 변환부와; 오토사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오토사 프레임 처리부는, 오토사 하드웨어부; 오토사 소프트웨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오토사 인터페이스부는, 오토사/모스트 송수신 하드웨어부; 오토사/모스트 송수신 소프트웨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모스트(MOST) 플랫폼(platform)은, 모스트 프레임 처리부; 프레임 변환부; 및 모스트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모스트 프레임 처리부는, 모스트 하드웨어부; 및 모스트 소프트웨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모스트 인터페이스부는, 모스트/오토사 송수신 하드웨어부; 및 모스트/오토사 송수신 소프트웨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의 플랫폼을 갖는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에서의 플랫폼 연동 방법은 소정의 차량용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통신 데이터의 성격에 따라 해당 데이터 프레임 처리부에서 통신 데이터 프레임을 처리하는 과정; 타 통신 데이터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과정; 타 통신 데이터 프레임 처리부로 전송하는 과정; 및 타 통신 데이터 프레임 처리부에서 수신된 통신 데이터 프레임을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에서의 플랫폼 연동 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차량용 통신 데이터가 모스트 신호인 경우, 모스트 하드웨어부에서 모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모스트 소프트웨어부에서 모스트 프레임을 처리하는 단계; 모스트 프레임을 오토사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단계; 모스트/오토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변환된 오토사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 및 오토사/모스트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오토사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오토사 소프트웨어부에서 오토사 프레임을 처리하는 단계; 오토사 하드웨어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에서의 플랫폼 연동 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차량용 통신 데이터가 오토사 신호인 경우, 오토사 하드웨어부에서 오토사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오토사 소프트웨어부에서 오토사 프레임을 처리하는 단계; 오토사 프레임을 모스트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단계; 오토사/모스트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변환된 모스트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 모스트/오토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모스트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모스트 소프트웨어부에서 모스트 프레임을 처리하는 단계; 및 모스트 하드웨어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토사 플랫폼과 모스트 플랫폼 연동을 위한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 및 방법은 하나의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오토사 플랫폼과 모스트 플랫폼을 동시에 탑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두 가지의 플랫폼간의 통신 연동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토사 플랫폼과 모스트 플랫폼 연동을 위한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100)는 모스트 부분과 오토사 부분으로 나누어져서 구현된다.
모스트 부분의 구성을 보면, 모스트 하드웨어부(101), 모스트 소프트웨어부(102), 모스트/오토사 프레임 변환부(103), 모스트/오토사 송수신 하드웨어부(104), 모스트/오토사 송수신 소프트웨어부(105)로 구성되어 있다.
오토사 부분의 구성을 보면, 오토사/모스트 송수신 하드웨어부(201), 오토사 /모스트 송수신 소프트웨어부(202), 오토사 하드웨어부(203), 오토사 소프트웨어부(204), 오토사/모스트 프레임 변환부(205)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게이트웨이에서의 플랫폼 연동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의 플랫폼을 갖는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소정의 차량용 통신 데이터를 수신한다(S301).
통신 데이터의 통신 방식에 따라 해당 데이터 프레임 처리부에서 통신 데이터 프레임을 처리한다(S302).
이어, 타 통신 데이터 프레임으로 변환하여(S303), 타 통신 데이터 프레임 처리부로 전송한다(S304).
타 통신 데이터 프레임 처리부에서 수신된 통신 데이터 프레임을 처리한다(S305).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게이트웨이에서의 플랫폼 연동방법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요소 간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동작 설명도이다.
모스트 하드웨어부(101)로 모스트 신호가 수신되면, 모스트 소프트웨어부(102)에서 모스트 프레임을 처리한다. 모스트 프레임이 오토사 부분으로 전달되어야 하면, 모스트/오토사 프레임 변환부(103)에서 모스트 프레임을 오토사 프레임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오토사 프레임은 프레임은 모스트/오토사 송수신 소프트웨 어부(105)를 통해 송신되고, 모스트/오토사 송수신 하드웨어부(104)를 통해 오토사 부분으로 송신하게 된다. 모스트/오토사 송수신 하드웨어는 SPI 등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오토사/모스트 송수신 하드웨어부(201)에 수신된 오토사 프레임은 오토사/모스트 송수신 소프트웨어(202)를 거쳐, 오토사 소프트웨어부(204)에서 오토사 프레임을 처리하게 된다. 처리된 오토사 프레임은 해당되는 오토사 하드웨어부(203)로 송신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게이트웨이에서의 플랫폼 연동방법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 요소 간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동작 설명도이다.
반대 방향으로 오토사 하드웨어부(203)로 LIN/CAN/FlexRay 신호가 수신되면, 오토사 소프트웨어부(204)에서 오토사 프레임을 처리하고, 오토사 프레임이 모스트 부분으로 전달되어야 하면, 오토사/모스트 프레임 변환부(205)에서 오토사 프레임을 모스트 프레임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모스트 프레임은 오토사/모스트 송수신 소프트웨어부(202)를 통해 송신되고, 오토사/모스트 송수신 하드웨어부(201)를 통해 모스트 부분으로 송신하게 된다. 오토사/모스트 송수신 하드웨어는 SPI 등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모스트/오토사 송수신 하드웨어부(104)에 수신된 모스트 프레임은 모스트/오토사 송수신 소프트웨어(105)를 거쳐, 모스트 소프트웨어부(102)에서 모스트 프레임을 처리하게 된다. 처리된 모스트 프레임은 해당되는 모스트 하드웨어부(101)로 송신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토사 플랫폼과 모스트 플랫폼 연동을 위한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 및 방법은 하나의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오토사 플랫폼과 모스트 플랫폼을 동시에 탑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두 가지의 플랫폼간의 통신 연동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단계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CD-RW,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HDD, 광 디스크, 광자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오토사(AUTOSAR)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게이트웨이에서의 플랫폼 연동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게이트웨이에서의 플랫폼 연동방법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요소 간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동작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게이트웨이에서의 플랫폼 연동방법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 요소 간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동작 설명도이다.

Claims (8)

  1. 제 1 통신 플랫폼과,
    상기 제 1 통신 플랫폼과 다른 통신 방식을 구현하는 제 2 통신 플랫폼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두 플랫폼의 통신 프레임을 상호 변환하여 두 플랫폼 사이의 연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플랫폼은,
    차량 내 전장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 오토사(AUTOSAR) 플랫폼(platfor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플랫폼은,
    차량 내 멀티미디어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는 모스트(MOST) 플랫폼(platfor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오토사(AUTOSAR) 플랫폼(platform)은,
    오토사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프레임을 처리하는 오토사 프레임 처리부;
    수신된 오토사 통신 데이터를 모스트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프레임 변환부; 및
    변환된 모스트 프레임을 모스트 플랫폼으로 전달하는 오토사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모스트(MOST) 플랫폼(platform)은,
    모스트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프레임을 처리하는 모스트 프레임 처리부;
    수신된 모스트 통신 데이터를 오토사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프레임 변환부; 및
    변환된 오토사 프레임을 모스트 플랫폼으로 전달하는 모스트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
  6.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의 플랫폼을 갖는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소정의 차량용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통신 데이터의 성격에 따라 해당 데이터 프레임 처리부에서 통신 데이터 프레임을 처리하는 과정;
    타 통신 데이터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과정;
    타 통신 데이터 프레임 처리부로 전송하는 과정; 및
    타 통신 데이터 프레임 처리부에서 수신된 통신 데이터 프레임을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플랫폼 연동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통신 데이터가 모스트 신호인 경우,
    모스트 하드웨어부에서 모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모스트 소프트웨어부에서 모스트 프레임을 처리하는 단계;
    모스트 프레임을 오토사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단계;
    모스트/오토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변환된 오토사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
    오토사/모스트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오토사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오토사 소프트웨어부에서 오토사 프레임을 처리하는 단계; 및
    오토사 하드웨어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플랫폼 연동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통신 데이터가 오토사 신호인 경우,
    오토사 하드웨어부에서 오토사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오토사 소프트웨어부에서 오토사 프레임을 처리하는 단계;
    오토사 프레임을 모스트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단계;
    오토사/모스트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변환된 모스트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
    모스트/오토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모스트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모스트 소프트웨어부에서 모스트 프레임을 처리하는 단계; 및
    모스트 하드웨어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플랫폼 연동 방법.
KR1020090102407A 2009-10-27 2009-10-27 오토사 플랫폼과 모스트 플랫폼 연동을 위한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 및 방법 KR201100457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407A KR20110045722A (ko) 2009-10-27 2009-10-27 오토사 플랫폼과 모스트 플랫폼 연동을 위한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407A KR20110045722A (ko) 2009-10-27 2009-10-27 오토사 플랫폼과 모스트 플랫폼 연동을 위한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722A true KR20110045722A (ko) 2011-05-04

Family

ID=4424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407A KR20110045722A (ko) 2009-10-27 2009-10-27 오토사 플랫폼과 모스트 플랫폼 연동을 위한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57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094A1 (ko) * 2021-12-02 2023-06-08 주식회사 알티스트 차량용 플랫폼을 위한 arinc 기반 운영체제 적용 방법
WO2023127997A1 (ko) *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알티스트 차량용 플랫폼을 위한 arinc 기반 운영체제 헬스 모니터링 설정 코드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094A1 (ko) * 2021-12-02 2023-06-08 주식회사 알티스트 차량용 플랫폼을 위한 arinc 기반 운영체제 적용 방법
KR20230082876A (ko) * 2021-12-02 2023-06-09 주식회사 알티스트 차량용 플랫폼을 위한 arinc 기반 운영체제 적용 방법
WO2023127997A1 (ko) *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알티스트 차량용 플랫폼을 위한 arinc 기반 운영체제 헬스 모니터링 설정 코드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4700B2 (en)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in a vehicle and data communication device
Cho et al. Overview of telematics: A system architecture approach
US6862357B1 (en) Vehicle audio system
CN113806109A (zh) 基于ros2实现soa架构的座舱系统及其运行方法
CN111147338B (zh) 一种车载有线网络到无线网络的接口设计方法
CN114051040A (zh) 一种基于soa的车身域和座舱域的通讯架构及融合方法
KR20110045722A (ko) 오토사 플랫폼과 모스트 플랫폼 연동을 위한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 및 방법
JP2004531144A (ja) バスステーション
US113371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stream performed in vehicle network
KR101507562B1 (ko) 차량에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KR101082338B1 (ko) 차량용 모스트 네트워크 통합 장치 및 그 방법
CN201300795Y (zh) 车载ecu通信控制系统以及一种汽车
CN115412394B (zh) 基于AutoSar的异构域控制器核间通信方法
Isermann et al. Electrical and electronic architectures of automobiles
CN213342284U (zh) 基于can协议和车载以太网协议的ecu通信装置
KR101053503B1 (ko) 차량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4374714A (zh) 集中式汽车电子电气架构搭建方法、拓扑结构及存储介质
KR101165854B1 (ko) 모스트 시스템의 자기진단 시스템
KR20030060584A (ko) 모스트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내 멀티미디어 제어 시스템
Khanapurkar et al. A design approach for intelligent vehicle black box system with intra-vehicular communication using lin/flex-ray protocols
KR101063906B1 (ko) Most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
Miyashita et al. On-vehicle compact and lightweight multi-channel central gateway unit
Baroody et al. Development of car intranet infrastructure
CN115941749A (zh) 一种车载通信系统、方法和车辆
Feichtenschlager et al. Analysis of Multimedia Networks for Automotive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