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5270A - Usb 연결포트가 장착된 스마트카드 - Google Patents

Usb 연결포트가 장착된 스마트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5270A
KR20110045270A KR1020090101752A KR20090101752A KR20110045270A KR 20110045270 A KR20110045270 A KR 20110045270A KR 1020090101752 A KR1020090101752 A KR 1020090101752A KR 20090101752 A KR20090101752 A KR 20090101752A KR 20110045270 A KR20110045270 A KR 20110045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nnection port
usb connection
smart card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3680B1 (ko
Inventor
오준택
이진우
진민식
권상철
Original Assignee
한국조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조폐공사
Priority to KR1020090101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680B1/ko
Publication of KR20110045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3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nsisting of two or more mechanically separable parts
    • G06K19/0774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nsisting of two or more mechanically separable parts comprising a first part operating as a regular record carrier and a second attachable part that changes the functional appearance of said record carrier, e.g. a contact-based smart card with an adapter part which, when attached to the contact card makes the contact card function as a non-contact c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SB 연결포트가 장착된 스마트카드에 관한 것으로서, 플래시 메모리를 삽입하고, USB 연결포트를 장착함으로써 데이터 저장장치로 활용가능한 USB 연결포트가 장착된 스마트카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 플래시 메모리가 장착된 메모리 접속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단자로서, 외부의 리더기와 데이터 통신하는 USB 연결포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사용자 인증 및 암호화/복호화를 수행하며, 스마트카드 COB의 입출력 단자 및 USB 연결포트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제어 및 관리하며, 수신하는 데이터의 크기를 바탕으로 저장영역을 설정하는 IC 칩; 을 포함한다.
USB 연결포트, 스마트카드, 플래시 메모리

Description

USB 연결포트가 장착된 스마트카드{SMART CARD HAVING USB CONNECTING PORT}
본 발명은 스마트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래시 메모리를 삽입하고, USB 연결포트를 장착함으로써 데이터 저장장치로 활용가능한 USB 연결포트가 장착된 스마트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카드의 메모리는 ROM, RAM, EEPROM 등으로 구성된다.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는 EEPROM의 크기는 매우 작기 때문에 스마트카드는 개인의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는 스마트카드의 응용 분야를 제한하게 된다.
현재 사용되는 스마트카드는 제한적인 메모리 용량에 의해 저용량의 개인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정보만을 저장할 수 있으며, USB와 같이 실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다양한 컨텐츠를 저장하지 못하기 때문에 활용분야가 제한적인 단점을 가진다. 또한, 메모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비용이 추가되지만 사용자 중 일부는 대용량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사용자도 있기 마련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래시 메모리를 삽입하고, USB 연결포트를 장착함으로써 데이터 저장장치로 활용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인증 더불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암호화/복호화를 통해 데이터의 통신의 신뢰성을 높이며, APDU 통신을 통해 USB 연결포트의 통신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에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신되는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IC 칩의 저장영역 및 플래시 메모리 저장영역에 분리하여 저장함으로써, 스마트카드의 기능과 더불어 메모리카드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도록 함에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USB 연결포트가 장착된 스마트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 플래시 메모리가 장착된 메모리 접속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단자로서, 외부의 리더기와 데이터 통신하는 USB 연결포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사용자 인증 및 암호화/복호화를 수행하며, 스마트카드 COB의 입출력 단자 및 USB 연결포트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제어 및 관리하며, 수신하는 데이터의 크기를 바탕으로 저장영역을 설정하는 IC 칩; 을 포함하되, 상기 IC 칩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며, 인증이 허용되지 않을 경우 메모리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사용자 인증부; 스마트카드 COB의 입출력 단자 및 USB 연결포트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암호화 및 복호화하며, 플래시 메모리에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할 경우 암호화하고, 저장된 데이터의 읽기를 수행할 경우 복호화를 수행하는 암호화/복호화부; 스마트카드 COB의 입출력 단자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APDU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스마트카드 COB의 입출력 단자 또는 상기 USB 연결포트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의 크기가 소정 크기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제어부; 및 내부 메모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제어부는, 수신한 데이터의 크기가 소정 크기 이하일 경우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소정 크기 이상일 경우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메모리 접속부에 장착되어 있는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메모리의 데이터 크기 및 메모리 접속부에 장착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 크기를 확인하며, 상기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특정 데이터를 호출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 접속부, USB 연결포트 및 IC 칩 각각은 서로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USB 연결포트는, 슬라이드 부재를 이용하여 본체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슬라이드형, 상기 본체와 바로 연결된 본체 연결형,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외부 돌출형, 내측에 접혀있다가 회동축을 통해 외측으로 회동되는 회동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한적인 부분에서만 사용되던 스마트카드의 기능뿐만이 아닌 데이터 저장장치로의 그 활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즉, 수신되는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IC 칩의 저장영역 및 플래시 메모리 저장영역에 분리하여 저장함으로써, 보호가 필요한 정보에 대해서는 IC 칩에 고유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각종 디지털 정보에 대해서는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스마트카드의 기능과 더불어 메모리카드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IC 칩에서 플래시 메모리의 특정 데이터를 호출이 가능함으로써, 손쉽게 스마트카드의 메모리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본원 특징적인 기술사상인 플래시 메모리의 삽입 및 USB 연결포트를 포함하는 구성에 대해서만 기술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USB 연결포트가 장착된 스마트카드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USB 연결포트가 장착된 스마트카드(100)(이하, '스마트카드')에 관한 전체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 메모리 접속부(120), USB 연결포트(130) 및 IC 칩(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10)는 다수의 시트로 구성되며, 메모리 접속부(120), USB 연결포트(130) 및 IC 칩(140)가 안착된다.
메모리 접속부(120)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10)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메모리 접속부(120), USB 연결포트(130) 및 IC 칩(140) 각각은 서로 데이터 케이블(20)로 연결된다. 또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10), USB 접속부(130) 및 IC 칩(140)는 스마트카드(100)의 중간 시트(b)에 삽입될 수 있다.
USB 연결포트(130)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단자로서, 외부의 리더기와 데이터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USB 연결포트(130)는 상기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30)를 이용하여 본체(110)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슬라이드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와 바로 연결된 본체 연결형,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재(40)를 포함하는 외부 돌출형,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와 같이 내측에 접혀있다가, (B)와 같이 회동축(50)을 통해 외측으로 회동되는 회동형 등으로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IC 칩(140)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사용자 인증 및 암호화/복호화를 수행하며, 스마트카드 COB의 입출력 단자 및 USB 연결포트(130)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제어 및 관리하며, 수신하는 데이터의 크기를 바탕으로 저장영역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증부(141), 암호화/복호화부(142), 통신부(143), 데이터 제어부(144) 및 내부 메모리(1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사용자 인증부(141)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증은 기본적인 인증프로토콜을 통해 수행되며, 기타 생체정보, 비밀번호, 인증서 등을 통해 가능하다. 이때, 인증이 허용되지 않을 경우 메모리에 읽기/쓰기 등에 대한 접근을 제한한다. 이는, 메모리에 저장된 개인정보 또는 저장정보에 대한 보안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암호화/복호화부(142)는 스마트카드 COB의 입출력 단자 및 USB 연결포트(130)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데이터를 암호화 및 복호화하며, 플래시 메모리(10)에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할 경우 암호화하고, 저장된 데이터의 읽기를 수행할 경우 복호화를 수행한다. 이는,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었을 경우에도 불법적인 데이터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통신부(143)는 스마트카드 COB의 입출력 단자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 터를 송수신한다. 즉, APDU는 ISO 7816에 정의된 통신언어로서, 스마트카드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이 주는 명령(Command APDU)를 기준으로 동작하고, 이에 반응하여 응답(Response APDU)을 전송한다. 이는, USB 연결포트(130)의 연결상태가 원활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한 것이다.
또한, 데이터 제어부(144)는 별도의 프로그램(애플릿)을 통해 스마트카드 COB의 입출력 단자 또는 USB 연결포트(130)를 통해 리더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크기를 파악하여, 소정 크기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수신한 데이터의 크기가 소정 크기 이하일 경우 데이터 제어부(144)는 내부 메모리(145)에 저장하고, 소정 크기 이상일 경우 메모리 슬롯(120)에 장착되어 있는 플래시 메모리(10)에 저장한다.
그리고, 데이터 제어부(144)는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하여, 내부 메모리(145)에 저장된 메모리의 데이터 크기 및 메모리 접속부(120)에 장착된 플래시 메모리(10)에 저장된 데이터 크기를 확인하며, 필요시 플래시 메모리(10)로부터 특정 데이터를 호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리더기와 접속된 스마트카드 COB 입출력 단자 또는 USB 연결포트(130)를 통해, IC 칩(140)의 내부 메모리(151) 또는 메모리 접속부(120)에 장착되어 있는 플래시 메모리(10)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여기서, IC 칩은, 스마트카드용 반도체로서 각종 소프트웨어 등이 내장될 수 있으며, 입출력 단자 및 회로 패턴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IC칩과 전기 적인 신호를 입출력하도록 하는 COB(Chip On Board)에 구성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USB 연결포트가 장착된 스마트카드에 관한 전체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USB 연결포트가 장착된 스마트카드에 관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 에 관한 A-A'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와 바로 연결된 본체 연결형 USB 연결포트를 보이는 일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외부 돌출형 USB 연결포트를 보이는 일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축을 통해 내측에서 외측으로 회동되는 회동형 USB 연결포트를 보이는 일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IC 칩에 관한 세부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본체 120: 메모리 접속부
130: USB 연결포트 140: IC 칩
141: 사용자 인증부 142: 암호화/복호화부
143: 통신부 144: 데이터 제어부
145: 내부 메모리 10: 플래시 메모리
20: 데이터 케이블 30: 슬라이드 부재
40: 덮개부재 50: 회동축

Claims (8)

  1. USB 연결포트가 장착된 스마트카드에 있어서,
    본체(110);
    플래시 메모리(10)가 장착된 메모리 접속부(120);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단자로서, 외부의 리더기와 데이터 통신하는 USB 연결포트(130);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사용자 인증 및 암호화/복호화를 수행하며, 스마트카드 COB의 입출력 단자 및 USB 연결포트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제어 및 관리하며, 수신하는 데이터의 크기를 바탕으로 저장영역을 설정하는 IC 칩(140); 을 포함하되,
    상기 IC 칩(140)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며, 인증이 허용되지 않을 경우 메모리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사용자 인증부(141); 스마트카드 COB의 입출력 단자 및 USB 연결포트(130)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암호화 및 복호화하며, 플래시 메모리(10)에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할 경우 암호화하고, 저장된 데이터의 읽기를 수행할 경우 복호화를 수행하는 암호화/복호화부(142); 스마트카드 COB의 입출력 단자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APDU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43); 스마트카드 COB의 입출력 단자 또는 상기 USB 연결포트(130)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의 크기가 소정 크기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제어부(144); 및 내부 메모리(14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연결포트가 장착된 스마트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제어부(142)는,
    수신한 데이터의 크기가 소정 크기 이하일 경우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145)에 저장하고, 소정 크기 이상일 경우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메모리 접속부(120)에 장착되어 있는 플래시 메모리(1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연결포트가 장착된 스마트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제어부(142)는,
    상기 내부 메모리(145)에 저장된 메모리의 데이터 크기 및 메모리 접속부(120)에 장착된 플래시 메모리(10)에 저장된 데이터 크기를 확인하며, 상기 플래시 메모리(10)로부터 특정 데이터를 호출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연결포트가 장착된 스마트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접속부(120), USB 연결포트(130) 및 IC 칩(140) 각각은 서로 데이터 케이블(20)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연결포트가 장착된 스마트카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SB 연결포트(130)는, 슬라이드 부재(30)를 이용하여 본체(110)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슬라이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연결포트가 장착된 스마트카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SB 연결포트(130)는, 상기 본체(110)와 바로 연결된 본체 연결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연결포트가 장착된 스마트카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SB 연결포트(130)는, 덮개부재(40)를 포함하는 외부 돌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연결포트가 장착된 스마트카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SB 연결포트(130)는, 내측에 접혀있다가 회동축(50)을 통해 외측으로 회동되는 회동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연결포트가 장착된 스마트카드.
KR1020090101752A 2009-10-26 2009-10-26 Usb 연결포트가 장착된 스마트카드 KR101073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752A KR101073680B1 (ko) 2009-10-26 2009-10-26 Usb 연결포트가 장착된 스마트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752A KR101073680B1 (ko) 2009-10-26 2009-10-26 Usb 연결포트가 장착된 스마트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270A true KR20110045270A (ko) 2011-05-04
KR101073680B1 KR101073680B1 (ko) 2011-10-14

Family

ID=44240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752A KR101073680B1 (ko) 2009-10-26 2009-10-26 Usb 연결포트가 장착된 스마트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6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536B1 (ko) * 2011-08-18 2013-06-10 양경호 카드형 유에스비 메모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505U (ko) 2019-12-24 2021-07-02 최우종 탈착식 데이터 케이블을 구비한 스마트 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536B1 (ko) * 2011-08-18 2013-06-10 양경호 카드형 유에스비 메모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3680B1 (ko) 201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7958B2 (en) Card-shaped memory device incorporating IC card function, adapter for the same and host device
JP4937736B2 (ja) 標準的なセキュリティ機能を含むメモリカード
US9529734B2 (en) Smart storage device
US7350717B2 (en) High speed smart card with flash memory
US20080040615A1 (en) Biometric embedded device
MXPA06014008A (es) Componente para modulo de seguridad.
US20070170266A1 (en) Multi-protocol memory card
EP2227777A2 (en) Critical security parameter generation and exchange system and method for smart-card memory modules
KR20060102584A (ko)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보안 데이터 저장 장치 및방법
WO2010041245A1 (en) Contactless nfc enabled peripherals for multi-interface mobile memory card
EP2338244B1 (en) Use of a secure element for writing to and reading from machine readable credentials
JP4578132B2 (ja) 携帯型情報記憶媒体のシステム
KR101073680B1 (ko) Usb 연결포트가 장착된 스마트카드
KR200329847Y1 (ko) 스마트카드리드기 겸용 유에스비 드라이브 장치
KR20150068720A (ko) 복합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모바일 카드 결제 시스템
JP2006236200A (ja) カード状記憶装置とそのホスト装置
US20020047045A1 (en) Embedded smart card reader for handheld-computing devices
JPWO2005122070A1 (ja) Icカードモジュール
JP2006227679A (ja) Usbメモリキー
KR100574234B1 (ko) 외부 메모리 카드의 삽입이 가능한 usb 보안 데이터저장 장치 및 그 저장 방법
KR100390366B1 (ko) 복합 카드 리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47787A (ko) 통신 커넥터와 iso 7816 리더를 갖춘 스마트 카드
KR200341257Y1 (ko) 스마트카드리더의 휴대폰 접속장치
KR101085956B1 (ko) 보안토큰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신분증 케이스
JP2005346378A (ja) セキュア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