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4841A - 네거티브 렛-오프 캠을 가진 컴파운드 슬링보우 - Google Patents

네거티브 렛-오프 캠을 가진 컴파운드 슬링보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4841A
KR20110044841A KR1020110031862A KR20110031862A KR20110044841A KR 20110044841 A KR20110044841 A KR 20110044841A KR 1020110031862 A KR1020110031862 A KR 1020110031862A KR 20110031862 A KR20110031862 A KR 20110031862A KR 20110044841 A KR20110044841 A KR 20110044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differential
pair
differential cam
ri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신
Original Assignee
박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신 filed Critical 박경신
Priority to KR1020110031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4841A/ko
Publication of KR20110044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8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5/00Bows; Crossbows
    • F41B5/10Compound b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5/00Bows; Crossbows
    • F41B5/0094Non-traditional bows, e.g. having hinged limbs or non-stave geomet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5/00Bows; Crossbows
    • F41B5/10Compound bows
    • F41B5/105Cams or pulleys for compound b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5/00Bows; Crossbows
    • F41B5/14Details of bows; Accessories for arc shooting
    • F41B5/1442Accessories for arc or bow shooting
    • F41B5/1469Bow-string drawing or releas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살발사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무줄(RB)의 탄력성과 차동캠(Differential Motion Cam)을 이용해 컴파운드 활처럼 화살을 발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에너지저장수단으로 고무줄을 이용했고, 차동캠을 이용해 고무줄의 수축속도를 증강하여 화살속도를 빠르게 했다.
크기가 작으면서 활과 같은 드로우웨이트로 화살을 발사할 수 있게 하였으며, 탄성이 있는 활대의 부재, 소형화와 차동캠의 사용 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을 사용하여 미리 에너지가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화살발사시 포지티브 렛-오프인 차동캠과 커플링 되어 많은 에너지로 화살을 발사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거티브 렛-오프 캠을 가진 컴파운드 슬링보우{COMPOUND SLINGBOW WITH NEGATIVE LET-OFF CAM}
본 발명은 양궁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무줄의 탄력성을 이용한 컴파운드 활과, 네거티브 렛-오프를 갖는 캠에 관한 것이다.
탄성이 있는 활대에 활줄이 결합한 간단한 형태의 활과 석궁은 고대부터 사용되어 왔다.
1969년 컴파운드 활이 발명되었으며, 이를 개량하여 스포츠와 사냥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컴파운드 활에서의 렛-오프(Let-Off; 감쇄율)는 초기에는 30% 정도였으나 차츰 많아져 80% 정도 되는 컴파운드 활이 대중화되어 있으며, 99% 감쇄율인 컴파운드 활도 선보였다. 이론상으로는 100%의 렛-오프도 구현 가능하지만 사용된 컴파운드 활은 없다.
활대의 재료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달리 발전하였으며, 현대에 이르러 유리섬유, 카본섬유, 에폭시 접착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
고무가 산업에 이용되기 시작한 역사가 백 여년에 불과하므로 고무줄을 이용한 발사기구의 역사는 짧다.
고무줄을 이용한 발사기구로는 새총(Slingshot), 마취총, 작살총 등이 있으며, 화살을 발사할 수 있게 한 슬링보우(Sling Bow)는 새총의 변형으로 볼 수 있는데, 산업화되지는 않고 몇몇 발명가들에 의해 발명된 예가 있다.
커플링(Coupling; 축이음)은 축(Ax)과 축(Ax)을 이어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여러 방법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스러스트 락(Thrust Lock)을 이용했다.
스러스트 락(TL)은 볼펜이나 세면대 등에서 사용되는 잠금장치로, 한번 누르면 들어간 상태에서 잠기고 다시 한번 누르면 나온 상태에서 풀리는 잠금장치로,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1. US 2008/0173289 A1 Jul.24, 2008 Mattew A. McPherson ; DUAL-FEED SINGLE-CAM COMPOUND BOW 2. US 7.059,315 B2 Jun.13,2006 ; Compound bow with adjustable let-off 3. PCT/KR2010/008284 23.11.2010 PARK, Kyung Sin ; 화살발사장치{ARROW SHOOTING DEVICE} 4. PCT/KR2011/00882 10.02.2011 PARK, Kyung Sin ; 소형 컴파운드 활
크고 무거운 컴파운드 활은 수렵에서 사용될 때 휴대의 불편이 뒤따랐다.
파괴력과 명중률이 담보되는 조건에서, 컴파운드 활의 무게와 크기를 줄이려는 노력이 끊임없이 이어져 왔다.
빠른 속도로 화살을 발사하기 위한 노력 또한 끊임없이 이어져 왔다.
본 발명의 목적도 화살발사장치의 경량화, 소형화이며, 빠른 화살속도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활대(Limb) 대신에 탄력성이 뛰어난 고무줄을 에너지 저장수단으로 사용하였다. 고무줄(Rubber Band)은 활대보다 탄력성이 뛰어나 원래 길이보다 3배 이상 늘어나며 드로우렝스(Draw Length)를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고무줄 자체의 수축속도만으로는 원하는 화살속도를 얻을 수 없으므로, 차동캠(Differential Motion Cam)을 이용해 고무줄의 수축속도를 증강시켰다.
렛-오프(Let-Off)는 컴파운드 활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드로잉 후의 줄어든 드로우웨이트를 드로잉 도중의 최대드로우웨이트로 나눈 비(Ratio)로서 100%가 되면 화살이 발사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렛-오프 100%를 넘어 렛-오프가 네거티브(Negative)인 캠을 고안하여 사용하였는데, 네거티브 렛-오프 캠(Negative Let-Off Cam)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 5와 같이 네거티브 렛-오프 캠은 당김줄이 회전축보다 안쪽에 있어 에너지를 미리 축적시켜도 회전하지 않는다. 네거티브 렛-오프 캠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초기에 네거티브인 힘을 극복할 힘이 필요하며, 당김줄이 회전축을 지나고나면 일반 캠처럼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네거티브 렛-오프 캠 이용하여 미리 축적한 에너지와 드로잉(Drawing)하여 축적한 에너지와 커플링 시켜 발사함으로써 빠른 화살속도를 얻는다. 스러스트 락(TL)을 이용해 간단히 커플링 또는 커플링 해제를 할 수 있으며, 단순한 드로잉만 했을 때보다 많은 에너지로 화살을 발사할 수 있다.
화살발사장치로서 종래의 컴파운드 활과 달리,
1) 작고 가벼워서 휴대하기 편하다.
2) 공기저항에 따르는 에너지의 유실 및 진동 소음이 줄어든다.
3) 아이들러 도르래(Idler Pulley)가 활대가 아닌 탄력성이 없는 확장라이저에 있는 예에서는 화살의 비행이 안정적이다.
4) 싱글캠(Single Cam)으로부터 나오는 두 개의 활줄(St)이 동일한 크기의 도르래로부터 나오며 활대가 없는 형태는 노크트래블(Nock Travel)이 없어 화살의 비행이 안정적이다.
5) 네거티브 렛-오프 캠을 이용한 형태는 단순한 드로잉만 했을 때보다 에너지 축적이 많아 빠른 화살 속도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동캠 슬링보우의 측면과 후면
도 2는 도 1에 사용된 차동캠의 측면과 후면과 측면, 아래는 극단적으로 긴 차동캠의 측면
도 3은 도 1의 드로잉 상태에서의 측면과 후면
도 4는 도 1에 네거티브 렛-오프 캠을 적용한 슬링보우의 측면과 후면
도 5는 도 4에서 사용된 네거티브 렛-오프 캠의 측면과 후면, 아래는 180도 회전시 측면과 후면
도 6은 차동캠과 네거티브 렛-오프 캠의 커플링 과정
도 7은 도 4에서 네거티브 렛-오프 캠의 작동 후 측면과 후면
도 8은 도 7에서 드로잉한 상태의 측면과 후면
도 9는 도 8에서 차동캠과 네거티브 렛-오프 캠의 커플링 한 상태의 측면과 후면
도 10은 도 9에서 화살발사 후 상태의 측면과 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싱글캠 슬링보우의 측면과 후면
도 12는 도 11에 네거티브 렛-오프 캠을 적용한 슬링보우의 측면과 후면
도 13은 도 12의 발사 전 상태의 측면과 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활대형 차동캠 컴파운드 활
도 15는 도 14에 네거티브 렛-오프 캠을 적용 후의 측면과 후면
도 16은 도 15를 드로잉 했을 때의 측면과 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활대형 싱글캠 차동캠 컴파운드 활의 측면과 후면
도 18은 도 17에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을 적용 후의 측면과 후면
도 19는 도 18을 드로잉 했을 때의 측면과 후면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축 차동캠 슬링보우에 네거티브 렛-오프 캠을 적용된 슬링보우의 측면과 후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1은 간단한 형태의 차동캠 컴파운드 슬링보우이다. 활대(Li)는 없으며 드로잉시 에너지 저장은 고무줄(RB)이 한다. 상하 확장라이저(RE) 끝에 아이들러 도르래(IP)가 하나씩 장착되어 있고 차동캠은 위 확장라이저(RE)에 설치되어 있다.
차동캠은 도 2처럼 만든다. 차동캠 양측에 도르래형태의 차동캠대엽(DCLL)이 있으며, 일반적인 방법으로 고정점(FP)을 만들어 도르래의 홈에 활줄(St)을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드로우렝스는 양측도르래의 외경의 크기로 결정된다. 내측에는 나선형 홈을 가진 캠이 있다. 축(Ax)으로부터 가장 먼 곳에 고정점(FP)이 있어 고무줄당김줄((RBS)이 고정되며, 드로잉하면 630도 회전하면서 고무줄당김줄(RBS)을 감아 들인다. 고무줄(RB)이 늘어나는 거리만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홈의 길이가 결정되어야 하며, 드로잉 초기에는 축(Ax)으로부터 먼 곳을, 드로잉이 끝났을 때는 축(Ax)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을 지나게 하여 에너지저장특성을 좋게 하고, 렛-오프를 갖게 도안한다. 스러스트 록(TL)을 차동캠에 설치하고 스러스트 록을 위한 공간(STL)을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에 설치해도 되며, 그 반대로 설치해도 된다. 차동캠소엽(DCSL)의 길이를 조절하여 차동캠대엽(DCLL)간의 거리를 적절하게 떨어지게 하면 도 1의 후면에서 보듯이 화살의 진행방향에 장애물이 없으며, 도 2의 아래 차동캠처럼 극단적으로 길게 하여 도 20에서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을 드로잉한 상태이다. 고무줄(RB)이 늘어나 있으며, 고무줄당김줄(RBS)이 차동캠대엽(DCSL)에 630도 감겨있으며, 반지름이 가장 작은 부분을 지나므로 렛-오프 특성이 있다. 활줄(St)은 당겨져 있으며 차동캠대엽(DCLL)에 감겨있던 활줄(St)이 모두 풀려나왔다. 상하 도르래로 같은 양의 활줄(St)이 풀려나가므로 노크트래블이 없다. 또한, 움직이는 활대(Li)가 아닌 탄력성이 없는 확장라이저(RE)에 아이들러 도르래(IP)가 위치하므로 캠 또는 도르래의 비틀림이 적어 화살의 비행안정성이 좋다. 활대(Li)가 없으므로 보강라이저(RS)를 설치하여 고유라이저(RP) 및 확장라이저(RE)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으므로 경량화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을 적용한 컴파운드 슬링보우의 측면과 후면도이다. 확장라이저(RE)는 도 1과 유사하나 손잡이줄고정점(HSFP)을 고정할 곳을 만들어 당겨진 손잡이줄(HS)을 임시로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차동캠은 도 2와 차동캠과 같다.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은 도 5처럼 제작한다. 회전량, 고정점(FP), 홈의 길이 등은 차동캠과 유사하나 네거티브 렛-오프 특성을 나타내는 직선구간이 중심축보다 안쪽에 있어 고무줄당김줄(RBS)이 감긴 상태에서 고무줄(RB)을 당겨도 회전하지 않으며, 네거티브 렛-오프를 극복시켜주면 고무줄(RB)의 수축에 따라 회전한다. 측면에 스러스트 락(TL)을 위한 공간(STL)이 있다. 스러스트 락(TL)은 커플링 이전에는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의 이 공간에 위치해 있다가 커플링 시키면 도 6과 같이 차동캠 속으로 들어가 차동캠과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차동캠측의 고무줄(RB)은 드로잉시 늘어나게 되며,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측의 고무줄(RB)은 손잡이줄(HS)을 당길 때 늘어난다. 활줄(St)은 도 4와 같이 상하 아이들러 도르래(IP)를 지나 차동캠대엽(DCLL)에 630도 감긴 후 고정되어 있다.
도 4의 후면을 보면 상하 아이들러를 지나는 활줄(St)이 수직으로 있으며, 아래 아이들러 도르래(IP)와 차동캠대엽(DCLL)을 연결하는 활줄(St)은 사선으로 있어 화살의 진행방향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있다. 고무줄당김줄(RBS)과 손잡이줄(HS)도 화살의 진행방향에서 일정거리 떨어져 있다.
도 6은 차동캠과 네거티브 렛-오프 캠의 커플링 과정을 보여준다. 그립을 잡은 손의 손가락을 이용해 화살표 방향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해주면 스러스트 락(TL)이 들어가 나오지 않아 차동캠과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이 커플링 되며, 그립을 잡은 손의 손가락을 이용해 화살표 방향으로 한번 더 물리적인 힘을 가해주면 스러스트 락(TL)이 나와 차동캠과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의 커플링이 해제된다.
도 7은 도 4와 같이 세팅 후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을 작동시킨 도면이다. 손잡이를 잡아당겨 고무줄(RB)이 팽팽해지면 손잡이줄고정점(HSFP)을 확장라이저(RE)에 고정한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드로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드로잉 전에는 도 4와 같이 고무줄당김줄(RBS)은 차동캠소엽(DCSL)의 홈 중에서 축(Ax)으로부터 가장 먼곳에 고정되어 있다가, 활줄(St)을 당겨 드로잉을 하면 차동캠이 반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면서 고무줄당김줄(RBS)을 당겨 고무줄(RB)은 늘어나고 드로잉이 끝날 때는 도 8처럼 고무줄당김줄(RBS)은 차동캠소엽(DCSL)의 홈 중에서 직선구간을 지난다.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스러스트 락(TL)이 작동하는 커플링과정을 보여준다.
그립(Grip)을 잡은 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기계적 힘으로 스러스트 락(TL)을 한번 눌러주면 들어간 채 커플링 되어 있고, 한번 더 눌러주면 튀어나와 커플링이 해제된다. 스러스트 락(TL)을 눌러 차동캠과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이 커플링 시킨 상태에서 활줄(St)을 놓으면 포지티브 렛-오프의 양과 네거티브 렛-오프의 양의 합계가 + 라면 화살이 발사되고, 0 이하면 화살이 발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화살이 발사될 수 있도록 - 양과 + 양을 조절하여 합계가 + 가 되게 해야한다. 그립을 잡은 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기계적 힘으로 스러스트 락(TL)을 작동시키는 과정은 도 20에서 비교적 간단히 도시할 수 있어 표현하였고, 다른 형태에서는 생략하였지만 제작이 어려운 것은 아니다. 발사시 수축할 고무줄(RB)이 정확하게 대칭은 아니지만 진동이 상쇄되는 방향에 있어 일종의 카운터 발란서(Counter Balancer) 역할을 하며 발사시 충격을 줄여준다.
도 10은 정상적인 발사과정을 보여준다. 포지티브 렛-오프의 양과 네거티브 렛-오프의 양의 합계가 + 라면 두 개의 고무줄(RB)이 당겨지면서 차동캠과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활줄(St)을 감아 들여 화살이 발사되게 된다.
발사 후에는 활줄(St)은 차동캠대엽(DCLL)에 감겨있고, 고무줄(RB)들은 수축되어 있으며, 고무줄당김줄(RBS)은 풀려나와 있다.
도 4는 발사가 끝난 후 또 다른 발사를 위한 준비작업이다. 스러스트 락(TL)을 한번 눌러 커플링을 해제하고, 손잡이줄고정점(HSFP)을 확장라이저(RE)에 내면 고무줄(RB), 고무줄당김줄(RBS)가 느슨해 진다. 손으로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을 돌려 고무줄당김줄(RBS)이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으로 630도 감기고 중심축보다 안쪽에 있는 직선구간을 지나게 하고 보관한다.
상기한 예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고안에 대한 설명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싱글캠(Single Cam) 슬링보우의 측면과 후면으로서 활대(Li)가 없으며 고무줄(RB)에 에너지를 저장한다. 탄력성이 없는 위 확장라이저(RE) 끝에 차동캠이 있으며, 아래 확장라이저(RE) 끝에 아이들러 도르래(IP)가 있는 형태이다. 차동캠대엽(DCLL)은 같은 크기이므로 풀려나오는 활줄(St)의 길이는 동일하다. 고무줄(RB)이 늘어나는 길이는 활대(Li)가 굽혀지는 양보다 크므로 고무줄당김줄(RBS)이 감길 캠이 크며, 캠이 크므로 에너지저장특성 및 렛-오프를 캠 하나로 실현할 수 있어 차동캠대엽(DCLL)을 캠이 아닌 도르래형태로 만들어도 된다.
도 12는 차동캠에 커플링 할 수 있는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이 적용된 예이다.
도 13은 도 12의 발사 전 상태로서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을 작동시키고 손잡이줄(HS)를 당겨 고무줄(RB)가 늘어난 상태에서 손잡이줄고정점(HSFP)가 확장라이저(RE)에 임시로 고정되어 있으며, 활줄을 당겨 드로잉까지 한 상태에서 커플링까지 마친상태로 작동원리는 도 4의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을 적용한 차동캠 슬링보우와 같다. 발사시 수축할 고무줄(RB)이 정확하게 대칭은 아니지만 진동이 상쇄되는 방향에 있어 일종의 카운터 발란서 역할을 하며 발사시 충격을 줄여준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활대형 차동캠 컴파운드 활이다. 에너지 저장수단은 활대(Li)다. 고유라이저(RP) 상단에 차동캠과 차동도르래(DP)가 있으며, 상하 활대(Li) 끝에 아이들러 도르래(IP)가 있는 형태이다. 차동캠대엽(DCLL)은 같은 크기이므로 상하 아이들러 도르래(IP)를 통해 풀려나오는 활줄(St)의 길이는 동일하다. 활대(Li)끝이 움직이는 거리가 적어 차동캠소엽(DCSL) 하나만으로 에너지저장특성과 렛-오프를 실현하기 어려우므로 고유라이저(RP) 상단에 활대(Li) 움직임을 증폭시키는 차동도르래(DP)를 설치했다.
도 15는 도 14에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을 적용 후의 측면과 후면이다.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은 차동캠과 커플링 할 수 있으며, 확장라이저(RE)가 없으므로 손잡이줄고정점(HSFP)을 고유라이저(RP)의 하단에 고정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
도 16은 도 15를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을 작동시키고 손잡이줄(HS)을 당겨 고무줄(RB)이 늘어난 상태에서 손잡이줄고정점(HSFP)을 고유라이저(RP) 하단에 고정하고, 활줄(St)을 드로잉한 상태에서 커플링을 마쳤을 때의 측면과 후면이다. 고무줄(RB)과 연결된 고무줄당김줄(RBS)은 차동도르래(DP)의 회전축보다 안으로 들어가 있어 네거티브 렛-오프 상태이며 고무줄(RB)이 당겨져 있지만 회전하지 않고 멈춰있다. 활대당김줄(LS) 방향의 차동캠대엽(DCSL)은 포지티브 렛-오프 상태이다. 작동원리는 도 4의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을 적용한 차동캠 슬링보우와 같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활대형 싱글캠 차동캠 컴파운드 활의 측면과 후면이다. 에너지 저장은 활대(Li)가 하며, 위 활대(Li) 끝에는 싱글캠이 장착되어 있고, 아래 활대(Li) 끝에는 아이들러 도르래(IP)가 설치되어 있다. 활대(Li)끝이 움직이는 거리가 적어 차동캠대엽(DCSL) 하나만으로 에너지저장특성과 렛-오프를 실현하기 어려우므로 고유라이저(RP) 상단에 활대(Li) 움직임을 증폭시키는 차동도르래(DP)를 설치하여 활대(Li) 움직임을 증폭하여 차동캠대엽(DCSL)에 전달할 수 있게 했다.
도 18은 도 17에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을 적용 후의 측면과 후면이다.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은 차동도르래(DP)와 커플링 하게 했으며, 확장라이저(RE)가 없으므로 손잡이줄고정점(HSFP)을 고유라이저(RP)의 하단에 고정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
도 19는 도 18을 드로잉 했을 때의 측면과 후면이다. 도 18에서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을 작동시키고 손잡이줄(HS)을 당겨 고무줄(RB)이 늘어난 상태에서 손잡이줄고정점(HSFP)을 고유라이저(RP) 하단에 고정하고, 활줄(St)을 드로잉한 상태에서 커플링을 마쳤을 때의 측면과 후면이다. 고무줄(RB)과 연결된 고무줄당김줄(RBS)은 차동도르래(DP)의 회전축보다 안으로 들어가 있어 네거티브 렛-오프 상태이며 고무줄(RB)이 당겨져 있지만 회전하지 않고 멈춰있다. 위 활대(Li) 끝에 있는 차동캠대엽(DCSL)은 포지티브 렛-오프 상태이다. 작동원리는 도 4의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을 적용한 차동캠 슬링보우와 같다.
도 20은 도 2의 아래에 있는 차동캠을 적용한 고안으로서, 극단적으로 길게 만들어진 차동캠이 수직으로 있으며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을 적용한 예이다. 작동방법은 손잡이(H)를 당겨 고무줄(RB)이 늘어나게 한 후 손잡이줄고정점(HSFP)을 확장라이저(RE)에 임시로 고정한다.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은 회전하지 않으므로 감겨있는 고무줄당김줄(RBS)이 풀려나오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활줄(St)을 드로잉하면 차동캠측의 고무줄(RB)이 늘어나며 고무줄당김줄(RBS)이 차동캠대엽(DCSL)으로 감기고, 차동캠대엽(DCLL)에 감겨있던 활줄(St)이 풀려나온다. 이 상태에서 그립 앞에 설치된 라커(Lo)를 손가락으로 한번 당겨주면 라커봉(LS)이 위로 올라가 스러스트 락(TL)을 눌러주게 된다. 한번 눌린 스러스트 락(TL)은 들어간 상태에서 멈춰있게 되고 그 상태가 바로 커플링 상태이므로 화살을 발사하면 차동캠과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드로잉 후 변심으로 화살발사를 취소하려면 그립을 잡은 손의 손가락을 이용해 기계적 힘으로 스러스트 락(TL)을 한번 더 작동시키면 커플링이 해제되므로 그 후 일반적인 과정으로 발사를 취소할 수 있다. 일일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다른 형태에서도 유사한 방식으로 그립을 잡은 손의 손가락을 이용해 스러스트 락(TL)을 작동하게 할 수 있다.
활, 석궁 등에서 사용되게 되어 사냥, 스포츠, 인명구조용 로프발사 등에 이용될 수 있다.
활대(L) Limb
고유라이저(RP)
확장라이저(RE)
보강라이저(RS)
아이들러 도르래(IP)
차동캠대엽(DCLL)
차동캠소엽(DCSL)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
차동도르래(DP)
스러스트 락(TL)
스러스트 락을 위한 공간(STL)
축(Ax)
고무줄(RB)
고무줄 당김줄(RBS)
활대당김줄(LS)
활줄(St)
손잡이줄(HS)
손잡이줄고정점(HSFP)
손잡이(H)
라커(Lo)
라커봉(LS)

Claims (11)

1고유라이저(RP)와, 상기 고유라이저(RP)에 연장된 한 쌍의 확장라이저(RE)와, 상기 확장라이저(RE)의 끝에 설치된 아이들러도르래(IP)와, 상기 확장라이저(RE)에 설치된 270도 이상 회전하는 차동캠을 포함하며,
상기 차동캠은 한 쌍의 차동캠대엽(DCLL)과, 상기 한 쌍의 차동캠대엽(DCLL)과 함께 회전하는 차동캠소엽(DCS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파운드 슬링보우
4고유라이저(RP)와, 상기 고유라이저(RP)에 연장된 한 쌍의 확장라이저(RE)와, 상기 확장라이저(RE)의 끝에 설치된 아이들러도르래(IP)와, 상기 확장라이저(RE)에 설치된 270도 이상 회전하는 차동캠을 포함하며,
상기 차동캠은 한 쌍의 차동캠대엽(DCLL)과, 상기 한 쌍의 차동캠대엽(DCLL)과 함께 회전하는 차동캠소엽(DCSL)을 포함하며,
상기 차동캠과 커플링 할 수 있는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컴파운드 슬링보우
11고유라이저(RP)와, 상기 고유라이저(RP)에 연장된 한 쌍의 확장라이저(RE)와, 상기 한 개의 확장라이저(RE)의 끝에 설치된 차동캠과, 상기 다른 한 개의 확장라이저(RE)의 끝에 설치된 아이들러도르래(IP)를 포함하며,
상기 차동캠은 한 쌍의 차동캠대엽(DCLL)과, 상기 한 쌍의 차동캠대엽(DCLL)과 함께 회전하는 차동캠소엽(DCS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파운드 슬링보우
12고유라이저(RP)와, 상기 고유라이저(RP)에 연장된 한 쌍의 확장라이저(RE)와, 상기 한 개의 확장라이저(RE)의 끝에 설치된 차동캠과, 상기 다른 한 개의 확장라이저(RE)의 끝에 설치된 아이들러도르래(IP)를 포함하며,
상기 차동캠은 한 쌍의 차동캠대엽(DCLL)과, 상기 한 쌍의 차동캠대엽(DCLL)과 함께 회전하는 차동캠소엽(DCSL)을 포함하며,
상기 차동캠과 커플링 할 수 있는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컴파운드 슬링보우
14고유라이저(RP)와, 상기 고유라이저(RP)에 연결된 한 쌍의 활대(Li)와, 상기 한 쌍의 활대(Li)의 끝에 설치된 아이들러도르래(IP)와, 상기 고유라이저(RP)에 설치된 차동도르래(DP)와, 상기 고유라이저(RP) 설치된 270도 이상 회전하는 차동캠을 포함하며,
상기 차동캠은 한 쌍의 차동캠대엽(DCLL)과, 상기 한 쌍의 차동캠대엽(DCLL)과 함께 회전하는 차동캠소엽(DCS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파운드 활
15고유라이저(RP)와, 상기 고유라이저(RP)에 연결된 한 쌍의 활대(Li)와, 상기 한 쌍의 활대(Li)의 끝에 설치된 아이들러도르래(IP)와, 상기 고유라이저(RP)에 설치된 차동도르래(DP)와, 상기 고유라이저(RP) 설치된 270도 이상 회전하는 차동캠을 포함하며,
상기 차동캠은 한 쌍의 차동캠대엽(DCLL)과, 상기 한 쌍의 차동캠대엽(DCLL)과 함께 회전하는 차동캠소엽(DCSL)을 포함하며,
상기 차동캠 또는 상기 차동도르래(DP)와 커플링 할 수 있는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컴파운드 활
제 5항과 제 6항에 있어서, 차동도르래(DP)의 부재를 특징으로 하는 컴파운드 활
17고유라이저(RP)와, 상기 고유라이저(RP)에 연결된 한 쌍의 활대(Li)와, 상기 한 개의 활대(Li)의 끝에 설치된 차동캠과, 상기 다른 한 개의 활대(Li)의 끝에 설치된 아이들러도르래(IP)와, 상기 고유라이저(RP)에 설치된 차동도르래(DP)를 포함하며,
상기 차동캠은 한 쌍의 차동캠대엽(DCLL)과, 상기 한 쌍의 차동캠대엽(DCLL)과 함께 회전하는 차동캠소엽(DCS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파운드 활
18고유라이저(RP)와, 상기 고유라이저(RP)에 연결된 한 쌍의 활대(Li)와, 상기 한 개의 활대(Li)의 끝에 설치된 차동캠과, 상기 다른 한 개의 활대(Li)의 끝에 설치된 아이들러도르래(IP)와, 상기 고유라이저(RP)에 설치된 차동도르래(DP)를 포함하며,
상기 차동캠은 한 쌍의 차동캠대엽(DCLL)과, 상기 한 쌍의 차동캠대엽(DCLL)과 함께 회전하는 차동캠소엽(DCSL)을 포함하며,
상기 차동도르래(DP)와 커플링 할 수 있는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컴파운드 활
20고유라이저(RP)와, 상기 고유라이저(RP)에 연장된 한 쌍의 확장라이저(RE)와, 상기 한 쌍의 확장라이저(RE)의 끝에 설치된 아이들러도르래(IP)와,
한 쌍의 차동캠대엽(DCLL)과, 상기 한 쌍의 차동캠대엽(DCLL)과 함께 회전하는 차동캠소엽(DCSL)을 포함하는 차동캠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차동캠대엽(DCLL)은 활의 축간거리와 비슷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고,
상기 차동캠대엽(DCLL)과 커플링 할 수 있는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컴파운드 슬링보우
컴파운드 활 또는 석궁에서 사용되는 캠에 있어서,
다른 축과 커플링 하기 위한 스러스트 락(TL) 또는 스러스트 락을 위한 공간(STL)을 가지고 있으며,
고무줄당김줄(RBS)의 중심이 캠의 회전축 중심보다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홈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거티브 렛-오프 캠(NLOC)
KR1020110031862A 2011-04-06 2011-04-06 네거티브 렛-오프 캠을 가진 컴파운드 슬링보우 KR201100448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862A KR20110044841A (ko) 2011-04-06 2011-04-06 네거티브 렛-오프 캠을 가진 컴파운드 슬링보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862A KR20110044841A (ko) 2011-04-06 2011-04-06 네거티브 렛-오프 캠을 가진 컴파운드 슬링보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841A true KR20110044841A (ko) 2011-05-02

Family

ID=44239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862A KR20110044841A (ko) 2011-04-06 2011-04-06 네거티브 렛-오프 캠을 가진 컴파운드 슬링보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484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9190A1 (en) * 2011-04-26 2012-11-01 Asherman Richard Edward Compound bow
KR101360902B1 (ko) * 2011-07-01 2014-02-13 박경신 화살발사장치
CN106403704A (zh) * 2016-02-23 2017-02-15 成都奥克特科技有限公司 复合弓的省力工作方法及省力复合弓
WO2021034422A1 (en) * 2019-07-10 2021-02-25 Velocity Outdoor Inc. Compound projectile launch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9190A1 (en) * 2011-04-26 2012-11-01 Asherman Richard Edward Compound bow
KR101360902B1 (ko) * 2011-07-01 2014-02-13 박경신 화살발사장치
CN106403704A (zh) * 2016-02-23 2017-02-15 成都奥克特科技有限公司 复合弓的省力工作方法及省力复合弓
CN106403704B (zh) * 2016-02-23 2019-04-23 成都奥克特科技有限公司 复合弓的省力工作方法及省力复合弓
WO2021034422A1 (en) * 2019-07-10 2021-02-25 Velocity Outdoor Inc. Compound projectile launcher
US11408703B2 (en) 2019-07-10 2022-08-09 Ravin Crossbows, Llc Compound projectile launch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7728B2 (en) Double bow system
US9297604B1 (en) Crossbow cam system
US8651095B2 (en) Bowstring cam arrangement for compound crossbow
US9243861B1 (en) Shooting bow with pulleys
US8578918B1 (en) Crossbow with bowstring redirection
US7708001B2 (en) Bow
US9759509B1 (en) Projectile launching device with self-timing and without cam lean
US8387604B1 (en) Compound bow
US10458742B1 (en) Projectile launching device with self-timing and without cam lean
US6371098B1 (en) Split limb compact archery bow
US9389041B2 (en) Spiral elastic element for a shooting device
US20070101980A1 (en) Compound bows
US9714808B2 (en) Bow for launching an arrow
CN102597688A (zh) 射箭装置
US20140261356A1 (en) Power Assisted Bow
US9518797B2 (en) Powered bow having an internal acceleration system
US6237582B1 (en) Archery bow with bow string coplanar with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ow handle
US10267589B1 (en) Riser cam bow
KR20110044841A (ko) 네거티브 렛-오프 캠을 가진 컴파운드 슬링보우
US9303943B2 (en) Stringed projectile weapon
US9518796B2 (en) Powered bow having an internal acceleration system
US8439026B1 (en) Mechanical full draw, hold, lock and arrow release device for compound bows
US8522763B2 (en) Compound archery bow
KR20110058756A (ko) 단순한 네거티브 렛-오프 캠을 가진 숏 보우
KR20100039306A (ko) 소형 컴파운드 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