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4779A -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제 2 스테이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제 2 스테이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4779A
KR20110044779A KR1020117005540A KR20117005540A KR20110044779A KR 20110044779 A KR20110044779 A KR 20110044779A KR 1020117005540 A KR1020117005540 A KR 1020117005540A KR 20117005540 A KR20117005540 A KR 20117005540A KR 20110044779 A KR20110044779 A KR 20110044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tation
reliability
size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질다 보사르
티모시 제이. 뮬슬리
매튜 피.제이. 베이커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10044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7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7Rate ma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83Formatting with frames or packets; Protocol or part of protocol for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6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using explicit feedback to the source, e.g. choke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combination with information about buffer occupancy at either end or at transit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5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embedding flow control information in regular packets, e.g. piggyb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adapting coding or compress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buffer status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based on requested quality, e.g.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2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signalling between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할당된 리소스내 데이터를 포함하기 위한 데이터 필드 및 리포트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제 1 스테이션으로의 송신을 준비하는 제 2 스테이션, b) 할당된 리소스의 크기가 메시지의 크기보다 크면 제 1 레벨의 신뢰성에서 메시지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를 설정하거나, 제 1 레벨의 신뢰성보다 낮은 제 2 레벨의 신뢰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제 2 스테이션, 및 c) 메시지를 제 1 스테이션에 송신하는 제 2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제 2 스테이션 및 이를 위한 시스템{METHOD FOR COMMUNICATING IN A NETWORK, A SECONDARY STATION AND A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제 1 스테이션(primary station)과 적어도 하나의 제 2 스테이션(secondary station)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이러한 제 2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또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네트워크와 같은 모바일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UMTS와 UMT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에 관한 것이지만, 마찬가지로 다수의 터미널로부터의 호들(calls)을 기지국들로 라우트하는 허브들(hubs)에 관한 것이다.
UMTS 시스템과 같은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에서, 제 1 스테이션, 이를테면 노드 B(또는 기지국(Base Station) 또는 eNB)는 복수의 채널들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2 스테이션, 이용자 장비(User Equipment)(또는 이동국(Mobile Station))와 통신한다. 데이터를 제 1 스테이션에 송신하기 위해, 제 2 스테이션은 제 1 스테이션에 대해 리소스(resource)를 요청할 필요가 있고, 그 다음 이 리소스가 할당된다. 업링크(Uplink; UL) 송신을 위한 리소스의 할당의 이러한 요청은 고려되는 채널에 따라서 여러 방식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에서, 리소스를 요청하기 위해, 송신될 데이터, 즉, 제 2 스테이션의 버퍼내 데이터의 양을 표시하도록 요구된다. 이를 위해, 제 2 스테이션은 제 1 스테이션으로 제 2 스테이션 버퍼내 데이터의 양을 표시하는 버퍼 상태 리포트(buffer status report; BSR)을 송신한다. 따라서, 제 1 스테이션은 네트워크의 능력과 송신될 데이터의 양에 대응하는 리소스를 할당한다. 이것은 조정될 리소스의 할당을 허용한다.
이 리포트를 송신하기 위해, 제 2 스테이션은 예를 들면, ARQ 프로토콜, 또는 HARQ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이것은 제 2 스테이션이 제 1 스테이션으로부터 긍정의 수신 확인응답(positive acknowledgement of reception)을 수신할 때까지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제 1 버퍼 상태 리포트는 송신이 된 후 최종적으로 올바르게 수신된 긴 신호이고,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 제 2 리포트의 수신 후 조차도 제 1 리포트를 업데이트하려 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제 1 스테이션은 제 1 리포트가 현재의 상태를 나타낸다고 믿는 제 2 리포트를 폐기할 수 있다. 이것은 (제 2 리포트가 버퍼내에 데이터가 없다는 것을 표시하면)리소스의 낭비로 이어지거나, (제 1 리포트가 버퍼내에 데이터가 없다는 것을 표시하면) 지연이 있을 수 있다.
UL 리소스들의 할당은 다운링크(DL)에서 송신된 제어 채널에 의해 이루어진다. UE가 부정확하게 제어 채널을 수신하거나 아무것도 송신되지 않았을 때 제어 채널을 디코드하면, UE는 UL 리소스들의 승인을 수신하였던 것처럼 행동할 것이고, 예를 들면, UL에서 송신한다. 이러한 송신이 eNB가 그러한 UE로부터 송신을 기대하지 않는 리소스상에 존재할 것 같기 때문에, 이것은 다른 UL 송신들과의 간섭을 야기할 것이다.
유사한 제어 채널 메시지들이 UE로 DL 송신의 존재를 표시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메시지가 UE에 의해 잘못 또는 부정확하게 수신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것은 문제들(예를 들면, 틀린 UL 리소스상에 송신되는 ACK/NACK 응답들)을 야기할 수 있지만, 잘못된 UL 승인들에 비해 덜 심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버퍼 상태 리포트들의 지연된 수신의 이러한 문제를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요 국에서 버퍼 상태 리포트들의 관리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소될 주요 국에서 BSR들의 순서의 혼란의 위험성을 허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a) 리포트와 할당된 리소스내 데이터를 포함하기 위한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제 1 스테이션으로의 송신을 준비하는 제 2 스테이션,
b) 할당된 리소스의 크기가 메시지의 크기보다 크면 제 1 레벨의 신뢰성에 대응하도록 메시지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그 밖에 제 1 레벨의 신뢰성 보다 낮은 제 2 레벨의 신뢰성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제 2 스테이션, 및
c) 제 1 스테이션으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 2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라서, 제 2 스테이션이 제안되고, 상기 제 2 스테이션은 리포트와 할당된 리소스내 데이터를 포함하기 위한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제 1 스테이션으로의 송신을 준비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고, 제어기는 할당된 리소스의 크기가 메시지의 크기보다 크면 제 1 레벨의 신뢰성에 대응하도록 메시지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그 밖에 제 1 레벨의 신뢰성 보다 낮은 제 2 레벨의 신뢰성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해 배열되고, 제 1 스테이션으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제 1 스테이션은 제 2 스테이션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은 제 2 스테이션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제 2 레벨의 신뢰성에 대응하는 채널 코딩에 의해 메시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및 디코딩이 실패하면 채널 코딩들의 세트로부터 하나의 채널 코딩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라서, 통신 시스템이 제안되고, 상기 시스템은 리포트와 할당된 리소스내 데이터를 포함하기 위한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제 1 스테이션으로의 송신을 준비하기 위한 제어기 및 제 1 스테이션으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제 1 스테이션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제어기는 할당된 리소스의 크기가 메시지의 크기보다 크면 제 1 레벨의 신뢰성에 대응하도록 메시지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제 1 레벨의 신뢰성 보다 낮은 제 2 레벨의 신뢰성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해 배열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르면, 제 1 스테이션이 제공되고, 상기 제 1 스테이션은 제 2 스테이션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은 제 2 스테이션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제 2 레벨의 신뢰성에 대응하는 채널 코딩에 의해 메시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및 디코딩이 실패하면 채널 코딩들의 세트로부터 하나의 채널 코딩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특히 버퍼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거나 데이터의 양이 적은 경우에 있어서 BSR의 송신이 개선될 수 있다. 이것은 메시지가 손실될 가능성이 낮아지고, 초기에 이러한 메시지가 송신될 가능성이 증가된다. 이 때문에, 버퍼내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는 메시지가 다른 메시지들 보다 빨리 송신되려할 것이다. 따라서, 이것은 제 1 스테이션 BSR들의 순서의 혼란으로 인한 잠재적으로 할당된 리소스의 제거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양태들이 이후 기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분명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로서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구현되는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메시지들의 교환을 예시하는 타임 챠트.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300)에 관한 것으로, 기지국과 같이, 제 1 스테이션(100), 및 이동국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 2 스테이션(200)을 포함한다.
무선 시스템(300)은 복수의 제 1 스테이션들(100) 및/또는 복수의 제 2 스테이션들(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스테이션(100)은 송신기 수단(110) 및 수신 수단(120)을 포함한다. 송신기 수단(110)의 출력부와 수신 수단(120)의 입력부는 결합 수단(140)에 의해 안테나(130)에 결합되고, 이 결합 수단은 예를 들면, 서큘레이터(circulator) 또는 체인지오버 스위치(changeover switch)일 수 있다. 제어 수단(150)은 송신기 수단(110)과 수신 수단(120)에 결합되고, 제어 수단은 예를 들면,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 2 스테이션(200)은 송신기 수단(210)과 수신 수단(220)을 포함한다. 송신기 수단(210)의 출력부와 수신 수단(220)의 입력부는 결합 수단(240)에 의해 안테나(230)에 결합되고, 이 결합 수단은 예를 들면, 서큘레이터 또는 체인지오버 스위치일 수 있다. 제어 수단(250)이 송신기 수단(210)과 수신 수단(220)에 결합되고, 이 제어 수단은 예를 들면,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 1 스테이션(100)으로부터 제 2 스테이션(200)에 송신은 다운링크 채널(160)에서 발생하고 제 2 스테이션(200)으로부터 제 1 무선국(100)에 송신은 업링크 채널(260)에서 발생한다.
때때로, 제 2 스테이션(200)은 업링크 채널(260)을 통해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자신의 버퍼의 상태의 표시를 송신한다. 이러한 버퍼 상태 리포트는 다른 유형들일 수 있다. 짧은 버퍼 상태 리포트(BSR)는 송신을 기다리는 제 2 스테이션의 버퍼내에 현재 상주하는 논리 채널들의 그룹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양의 6-비트 표시기와 함께 논리 채널들의 단일 그룹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한다. 긴 BSR은 논리 채널들의 다른 그룹에 각각 대응하는 4개의 연쇄적인 짧은 BSR들을 포함한다.
많은 통신 시스템들은 다른 노드들로 송신 리소스들을 할당에 책임이 있는 중앙집중화된 스케줄러(centralised scheduler)를 이용하여 동작한다. 전형적인 예는 UMTS LTE의 업링크이고, 상이한 UE들로부터의 업링크 송신들은 시간 및 주파수에서 eNB에 의해 스케줄되며; eNB는 "스케줄링 승인" 메시지를 UE로 송신하고, 이 메시지는 승인 메시지의 송신 후 전형적으로 약 3ms UE의 송신 동안 특별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를 표시한다. 승인 메시지는 또한 전형적으로 UE의 송신을 위해 이용될 데이터 속도 및/또는 파워를 특정한다.
eNB에 적절한 승인들을 발행하기 위해, 데이터의 양, 유형 및 각각의 UE의 버퍼내 송신을 기다리는 데이터의 긴급함에 관한 충분한 정보를 가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정보는 개개의 UE들의 만족 레벨 또는 떨어지기에 가까운 서비스일 수 있는 UE들의 eNB의 스케줄러에 정보를 주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LTE에서, 따라서, 다수의 상이한 유형의 버퍼 상태 리포트(BSR) 메시지들이 규정되고, 이 메시지들은 소규정 트리거들이 발생할 때 UE로부터 eNB로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현대의 기술은 참조를 위해 인용된 3GPP TS36.321(2008년 6월 현재), §5.4.5의 현재 버전에 의해 규정된다.
짧은 BSR은 송신을 기다리는 UE의 버퍼내에 현재 상주하는 논리 채널들의 그룹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양의 6-비트 표시기와 함께 논리 채널들의 단일 그룹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한다. 긴 BSR은 논리 채널들의 다른 그룹에 각각 대응하는 4개의 연쇄적인 짧은 BSR들을 포함한다.
이것은 참조로서 인용된 36.321(2008년 6월 현재) §6.1.3.1에 현재 규정된다.
본 단락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상이한 특성들을 갖는 2 주요 유형의 버퍼 상태 리포트(BSR)들이 존재한다:
- UL 데이터가 UE 송신 버퍼내에 도착하고 데이터가 UE 송신 버퍼내에 이미 존재하는 데이터 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논리 채널에 속하는 경우에만 트리거링되는 레귤러 BSR, 및
- 주기적인 BSR 타이머(PERIODIC BSR TIMER)가 종료될 때 트리거링되는 주기적인 BSR.
UE가 이러한 TTI에 대해 새로운 송신을 위해 할당된 UL 리소스들이 없고 레귤러 BSR이 BSR의 마지막 송신이래 트리거링되었다면,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SR)이 트리거링될 것이다.
BSR 메커니즘은 레귤러 BSR의 전송을 위해 이용할 수 있는 UL 리소스들이 없는 경우 레귤러 BSR들만이 SR의 전송을 트리거링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네트워크는 UE가 이용가능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며 UE가 이용하기 위한 어떠한 UL 리소스들을 고의적으로 할당하는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주기적인 BSR이 트리거링되고 할당된 UL 리소스가 없어 UE가 SR을 송신할 수 없다.
주기적인 BSR이 BSR의 전송을 위해 이용가능한 UL 리소스가 없는 경우에 SR을 전송하기 위해 허용된다면, 시스템은 SR을 전송하는 UE들에 의해 과부하가 될 수 있다.
특히 UE가 이용가능한 PUCCH 리소스들을 갖지 못하고, SR이 RACH 액세스의 송신을 요구할 때.
또한, 36.321에는 SR이 계류중인 것으로 간주되고 ULSCH 리소스들이 승인될 때까지 반복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상기 규정된 BSR 절차가 갖는 문제점은 네트워크가 UE들의 버퍼들의 상태에 관해 알고 있는 정보들이 존재할 가능성이 UE 버퍼들의 실제 상태와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BSR들이 eNB가 고장인 상태에서 수신될 때 발생할 수 있다.
네트워크가 상이한 시간에 UE로부터 BSR들을 수신하면, 보다 이른 BSR이, 예를 들면, HARQ 재송신들로 인해 늦게 수신될 수 있기 때문에 UE에 의해 송신된 최종 BSR이 어느 것인지를 eNB가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UE가 자신의 버퍼로 송신될 데이터를 갖는다 하더라도, 이것은 영을 갖는 BSR이 UE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문제들을 가져올 수 있고, 이어 네트워크는 UE로부터 UL 리소스를 제거한다. 주기적인 BSR이 구성된다고 하더라도 레귤러 BSR(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새로운 데이터)을 위한 트리거가 충족되지 않기 때문에 UE는 SR을 전송할 수 없다.
이에 대한 예가 도 2에 도시된다. 이 시간 차트에서, 버퍼 상태 리포트(1001)에 앞서 송신되는 버퍼 상태 리포트(1000)가 재송신들의 횟수로 인해 후에만 수신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리포트(1000)는 주기적인 리포트일 수 있고, 버퍼 상태 리포트내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제 1 스테이션이 표시된 순서대로 리포트들을 수신하면, 제 1 스테이션은 현재의 상태가 데이터가 제 2 스테이션의 버퍼내에 존재하지 않는 상태라고 잘못 믿게 될 것이다. 이 때문에, 제 1 스테이션은 승인을 받아야만 하는 UE로부터 UL 리소스를 제거할 것이다.
리포트(1000)가 송신될 데이터가 존재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정상적인 리포트이고, 리포트(1001)가 송신될 더 이상의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는 주기적인 리포트이면, 이러한 혼란으로 인해, 리소스가 요구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제 1 스테이션은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다. 이것은 리소스의 낭비를 가져온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은 덜 발생할 것이다.
SR이 주기적인 BSR로부터 발생된다면 이용가능한 것이 없을 수도 있을 때 UE가 UL 리소스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의할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 주요 문제는 SR이 주기적인 BSR로부터 발생될 수 없다는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경우에 있어서, UE UL 데이터의 버퍼 상태의 네트워크 뷰가 자신의 실제 상태를 갖는 동기화를 벗어난다. 이후 설명될 바와 같이, BSR과 함께 송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은 UE로부터 BSR들이 활동되어야 하는 순서를 구별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LTE에서, 제 2 스테이션이 데이터의 양에 대해 너무 큰 업링크 승인을 가질 때(예를 들면, 버퍼내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 2 스테이션은 되는대로 송신할 것이며 및 가능한 패딩 BSR을 포함하는 패딩을 더할 것이다. 패딩은 승인된 전송 블록 크기에 도달하기위해 적용된다. 이것은 심지어 송신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발생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패딩 비트들의 송신으로부터 낭비된 업링크 리소스들을 가져올 수 있다.
효율적인 스케줄링을 허용하기 위해 BSR의 신뢰가능한 수신이 중요하다. 따라서, BSR 로버스트니스(BSR robustness)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들에 관심이 있다.
원칙적으로 (값들이 알려진다면)디코딩 프로세스에서 패딩 비트들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수신기 디코딩 알고리즘들의 변경을 요구할 것이고, 이들 비트들을 이용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되지 못할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는 제 2 스테이션이 업링크 데이터 송신에 BSR과 같은 다른 시그널링을 더하도록 요구되는 리소스 보다 많은 리소스가 승인될 때, 제 2 스테이션이 패딩 비트들보다는 추가적인 리던던시(redundancy)를 송신하기 위해 추가적인 리소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인식에 기초한다. 이것은 BSR 메시지의 정확한 디코딩의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의 주요 단점은 제 1 스테이션 또는 eNodeB가 추가적이 프로세스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업링크 패킷의 수신이 실패하면, eNodeB는 패딩 BSR(또는 알려진 크기의 다른 메시지)이 대신에 송신되었다는 가정하에 디코딩을 또한 시도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것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추가적인 소프트 버퍼들을 요구할 것이다. 운반 블록 사이즈가 데이터 없이 송신된 BSR에 대해 크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다행히도 추가 프로세싱 로드는 전형적으로 작을 것이다. 유사한 단점이 UE가 동일하게 승인된 UL 리소스들을 위해 하나 보다 많은 포맷에 송신될 수 있는 모든 경우에 적용된다.
LTE에 기반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 2 스테이션이 (리소스 및 운반 블록 사이즈를 표시하는)UL 승인을 수신하지만 송신할 데이터를 갖지 않을 때, 제 2 스테이션은 패딩 BSR을 송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반 블록 사이즈는 BSR 메시지를 송신하기에 충분한 값까지 감소된다. 그 다음, 채널 코딩이 통상적인 방식으로 적용되고, 이것은 운반 블록 사이즈까지 리던던시를 더할 것이다. eNodeB는 정상적인 송신의 가정하에, 이어 그것이 실패한다면, BSR이 보다 작은 운반 블록을 가지고(그러나 제한된 크기들의 세트 중 하나를 가지고) 송신되었다는 가정하에 결과적인 메시지를 우선 디코드하려고 시도할 것이다.
LTE에 기초한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스테이션이 (리소스 및 운반 블록 사이즈를 표시하는)업링크 승인을 수신하지만 승인에 표시된 것 보다 작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본 발명에 따라서 제 2 스테이션은 (제한된 세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감소된 운반 블록 사이즈를 가정하고, 패딩 BSR과 데이터를 송신한다. 채널 코딩은 그러한 선택된 운반 블록 사이즈를 위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적용된다. 결론적으로, 채널 코딩은 전형적으로 정상적인 크기의 블록에 대응하는 코딩보다 낮은 레이트일 수 있다. eNodeB는 정상적인 송신의 가정하에, 이어 그러한 가정이 실패하면, BSR이 보다 작은 운반 블록 사이즈(그러나 제한 크기들의 세트중 하나를 갖는)와 대응하는 코딩과 함께 송신되었다는 가정하에, 결과적인 메시지를 우선 디코드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변형에서, 단지 하나의 코딩만이 운반 블록의 각각의 크기에 연관된다.
LTE에 기초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UE가 (리소스 및 운반 블록 사이즈를 표시하는)UL 승인을 수신하지만 승인에 표시된 것 보다 적은 데이터를 가질 때, 운반 블록 사이즈가 변하지 않지만, 메시지는 승인된 운반 블록 크기와 동일하게 자신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채널 코딩이 통상적인 방식으로 인가된다. 이것은 패딩 비트들이 데이터 반복에 의해 효과적으로 대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데이터 반복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수신기 디코딩 구조에 대한 변경을 요구하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변형에 있어서,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들 중 하나와 공동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UE가 데이터를 갖지 않는 경우에 전체 승인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송신할 필요가 없지만, 송신할 다른 작은 메시지가 존재한다는 인식에 기초한다. 예를 들면, UE가 BSR과 같은 몇몇 작은 메시지를 송신하여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심지어 UE가 이러한 버퍼 상태 리포트와 함께 송신할 데이터를 갖지 않을 때, UE는 제한된 리소스(및 감소된 운반 블록 크기)을 가지고 송신하도록 제안된다. eNodeB가 결과적인 메시지 크기와 이용된 리소스들을 인식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이들은 승인된 리소스으로부터 이상적으로 유도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승인된 리소스가 n 리소스 블록들이면, 활용된 리소스의 크기는 0.25n 블록들일 수 있다.
제 2 스테이션이 실제로 리소스를 승인하였지만, 데이터를 갖지 못한 경우, 제 2 스테이션은 계속해서 BSR 또는 다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UL 승인의 오검출의 경우에 있어서, UL 간섭은 전형적으로 UE가 전체 승인 리소스를 이용한 경우 보다 훨씬 낮을 것이다.
이것은 예를 들면, 다음 예에서 이어지는 바와 같이 앞서의 실시예들과 함께 결합될 수 있다. 하나의 리소스 블록들이 버퍼 상태 리포트를 송신하기에 충분하다고 할지라도 제 2 스테이션은 8개의 리소스 블록들을 승인하고, 송신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2개의 리소스 블록들, 및 대응하는 코딩과 함께 이러한 BSR을 송신하기로 제안된다. 이어, 제 2 스테이션은 6개의 잔여 리소스 블록들동안 스스로 송신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이 실시예의 주요 단점은 eNodeB가 추가적인 처리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 2 스테이션 패킷의 수신이 실패이면, eNodeB는 BSR이 보다 작은 리소스내 데이터없이 송신된다는 가정하에 디코딩을 또한 시도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것은 유지를 위해 추가적인 소프트 버퍼들을 요구할 것이다. 다행히 운반 블록 크기가 다른 데이터없이 송신된 BSR에 대해 크기 않을 것이기 때문에 추가 프로세싱 로드가 작을 것이다.
LTE에 기초한 본 실시예의 변형에 있어서, 제 2 스테이션이 UL 송신을 위한 승인을 수신하지만, 송신할 데이터를 갖지 않으면, 설명서는 제 2 스테이션이 BSR을 송신하도록 요구한다. BSR은 승인 메시지로부터 유도된 리소스에 송신된다. 예로서 이것은 승인된 리소스내 리소스 블록들의 세트내 단일의 가장 낮은 주파수 리소스 블록(RB)일 것으로 규정될 수 있다. 운반 블록 사이즈는 BSR(및 어떠한 연계된 오버헤드들)을 포함할 수 있는 가장 작은 크기로 고정된다.
UMTS 또는 LTE로 제한되지 않는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다양한 예들에 있어서, 리소스들은 주파수 리소스 블록들, 시간 슬롯들 또는 코드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실시예들은 다른 메시지들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제 1 스테이션의 프로세싱 로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하나의 주요한 요구조건은 메시지가 알려지거나 또는 추론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어, 제 1 스테이션은 메시지 크기(및 리소스 할당)를 가정하는 추가적인 디코딩을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허용된 메시지 크기들의 작은 세트의 지원이 가능할 것이다.
이들 실시예들은 제 2 스테이션이 송신을 위해 데이터를 갖지만 리소스가 데이터 패킷에 비해 지나치게 큰 경우에 또한 적용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보다 작은 리소스(예를 들면, 승인된 리소스의 반)이 대신에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접근법은 각각의 UL 승인에 대해 응답이 허용될 보다 작은 수의 추가적인 리소스 크기들(및 운반 블록 크기들)을 유도할 것이다. 따라서, eNodeB가 크기에 관해 상이한 가정들하에 각각의 패킷에 대해 하나 이상의 디코딩 시도를 실행하도록 요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이것은 운반 블록 크기들의 작은 세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통신 디바이스들이 UMTS 및 LTE와 같은 중앙집중 스케줄링을 활용하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다중 터미널들로부터 기지국들로의 루트 커넥션들인 허브들에 대해 마찬가지로 구현된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네트워크의 관점으로부터 제 2 스테이션처럼 보일 것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소자 앞의 단어("a" 또는 "an")는 복수의 이러한 소자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더욱이, 단어 "포함하는(comprising)"은 리스트된 것들과 다른 소자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청구항들 내 괄호 안의 참조 번호들의 포함은 이해를 돕기 위함이며 제한을 하기 위한 의도가 아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서, 다른 변경들이 당업자에 분명할 것이다. 이러한 변경들은 무선 통신의 기술 및 송신기 전력 제어의 기술에 이미 알려지고 본 명세서에 이미 기술된 특징들 대신에 또는 더하여 이용될 수 있는 다른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100: 제 1 스테이션 110: 송신기 수단
120: 수신 수단 130: 안테나
140: 결합 수단 150: 제어 수단
200: 제 2 스테이션

Claims (14)

  1.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할당된 리소스내 데이터를 포함하기 위한 데이터 필드 및 리포트(report)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제 1 스테이션(primary station)으로의 송신을 준비하는 제 2 스테이션(secondary station),
    b) 상기 할당된 리소스의 크기가 메시지의 크기보다 크면 제 1 레벨의 신뢰성에 대응하도록 상기 메시지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를 설정하거나, 상기 제 1 레벨의 신뢰성보다 낮은 제 2 레벨의 신뢰성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상기 제 2 스테이션, 및
    c) 상기 메시지를 제 1 스테이션에 송신하는 상기 제 2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트는 상기 제 2 스테이션의 버퍼내 데이터의 양을 표시하는,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단계 b)는 상기 리포트가 데이터가 상기 제 2 스테이션의 버퍼내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면 상기 제 1 레벨의 신뢰성에 대응하도록 상기 메시지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상기 제 2 스테이션을 추가로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벨의 신뢰성에 대응하도록 상기 메시지의 상기 송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의 상기 신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데이터 필드의 적어도 하나의 이용되지 않은 비트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벨의 신뢰성에 대응하도록 상기 메시지의 상기 송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할당된 리소스의 상기 크기까지 하나 이상의 메시지 비트들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가 상기 제 1 레벨의 신뢰성에 대응하도록 상기 메시지의 상기 송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할당된 리소스 크기보다 작은 메시지 크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메시지 크기 및 상기 할당된 리소스 크기에 종속하는 채널 코딩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가 상기 제 1 레벨의 신뢰성에 대응하도록 상기 메시지의 상기 송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할당된 리소스 크기보다 작은 송신된 리소스 크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메시지 크기 및 상기 선택된 리소스 크기에 종속하는 채널 코딩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크기 및 상기 채널 코딩은 미리 결정된 메시지 크기들과 채널 코딩들의 세트로부터 선택되는,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d) 상기 제 1 스테이션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제 2 레벨의 신뢰성에 대응하는 채널 코딩으로 상기 메시지를 디코딩하는 단계, 및 f) 디코딩이 실패하면, 상기 채널 코딩들의 세트로부터 하나의 채널 코딩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채널 코딩으로 상기 메시지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d) 상기 제 1 스테이션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제 2 레벨의 신뢰성에 대응하는 채널 코딩으로 상기 메시지를 디코딩하는 단계, 및 f) 디코딩이 실패하면, 상기 메시지 크기들의 세트로부터 하나의 메시지 크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메시지 크기로 상기 메시지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들은 송신 전력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12. 제 2 스테이션에 있어서:
    할당된 리소스내 데이터를 포함하기 위한 데이터 필드 및 리포트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제 1 스테이션으로의 송신을 준비하기 위한 제어기로서, 상기 할당된 리소스의 크기가 상기 메시지의 크기보다 크면 제 1 레벨의 신뢰성에 대응하도록 상기 메시지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상기 제 1 레벨의 신뢰성 보다 낮은 제 2 신뢰성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해 배열되는, 상기 제어기, 및
    상기 제 1 스테이션으로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제 2 스테이션.
  13. 제 1 스테이션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할당된 리소스내 데이터를 포함하기 위한 데이터 필드 및 리포트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제 1 스테이션으로의 송신을 준비하기 위한 제어기로서, 상기 할당된 리소스의 크기가 상기 메시지의 크기보다 크면 제 1 레벨의 신뢰성에 대응하도록 상기 메시지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상기 제 1 레벨의 신뢰성 보다 낮은 제 2 신뢰성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해 배열되는, 상기 제어기, 및
    상기 제 1 스테이션으로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제 1 스테이션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시스템.
  14. 제 2 스테이션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제 1 스테이션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제 2 스테이션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제 2 레벨의 신뢰성에 대응하는 채널 코딩으로 상기 메시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및 디코딩이 실패하면 채널 코딩들의 세트로부터 하나의 채널 코딩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는, 제 2 스테이션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제 1 스테이션.
KR1020117005540A 2008-08-14 2009-08-07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제 2 스테이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1100447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305478.3 2008-08-14
EP08305478 2008-08-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779A true KR20110044779A (ko) 2011-04-29

Family

ID=4131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540A KR20110044779A (ko) 2008-08-14 2009-08-07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제 2 스테이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151883A1 (ko)
EP (1) EP2324586A2 (ko)
JP (1) JP2011530929A (ko)
KR (1) KR20110044779A (ko)
CN (1) CN102124679A (ko)
WO (1) WO201001850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553B1 (ko) 2010-04-05 2017-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US8351331B2 (en) * 2010-06-22 2013-01-08 Microsoft Corporation Resource allocation framework for wireless/wired networks
GB2484342B (en) 2010-10-08 2015-04-29 Sca Ipla Holdings Inc Communications systems,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
CN103067140B (zh) * 2011-10-20 2015-07-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控制信令发送方法及系统
US20150341938A1 (en) * 2014-05-22 2015-11-26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operation for rlc communications
US10044478B2 (en) * 2014-07-14 2018-08-07 Qualcomm Incorporated Pseudo randomization of unused resources at a medium access control (MAC) layer
CN114374621B (zh) * 2022-01-10 2023-09-12 成都航空职业技术学院 微电子电路封装测试结果的远程传输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6321A (ja) * 1995-08-01 1997-02-14 Fujitsu Ltd データ通信方法及び装置
JP3127867B2 (ja) * 1997-11-28 2001-01-29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ランダムアクセス制御方法
KR100827147B1 (ko) * 2001-10-19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의효율적 재전송 및 복호화를 위한 송,수신장치 및 방법
JP2004266585A (ja) * 2003-03-03 2004-09-24 Hitachi Ltd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送信電力並びにデータレート制御方法
EP1509011A3 (en) * 2003-08-16 2011-0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scheduling for uplink packet transmi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50047366A1 (en) * 2003-08-25 2005-03-03 Motorola, Inc. Random access communication opportunity method
JP4412005B2 (ja) * 2004-03-05 2010-02-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適応変調方法並びにデータレート制御方法
KR100678184B1 (ko) * 2004-05-19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향상된 역방향 전용채널의 스케줄링방법 및 장치
US8189615B2 (en) * 2004-12-23 2012-05-2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scheduling information from a UE to a radio access network
JP5242035B2 (ja) * 2006-10-03 2013-07-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および再送制御方法
KR100933158B1 (ko) * 2006-11-15 2009-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버퍼 상태 보고 방법 및 장치
JP4930024B2 (ja) * 2006-12-08 2012-05-09 富士通株式会社 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並びにデータ伝送方法
EP1944896A1 (en) * 2007-01-09 2008-07-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figuration of control channe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007824B1 (ko) * 2007-05-02 2011-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합 자동 재송 요구 방식을 사용하는 기지국과 단말간의 패킷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EP2028890B1 (en) * 2007-08-12 2019-01-02 LG Electronics Inc. Handover method with link failure recovery,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for implementing such method
US8504046B2 (en) * 2008-01-03 2013-08-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ast radio link recovery after handover failure
CN101971688B (zh) * 2008-03-20 2014-03-05 爱立信电话股份有限公司 上行链路测量报告的调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51883A1 (en) 2011-06-23
JP2011530929A (ja) 2011-12-22
CN102124679A (zh) 2011-07-13
WO2010018509A2 (en) 2010-02-18
EP2324586A2 (en) 2011-05-25
WO2010018509A3 (en) 201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7201B2 (en) Method for communicating in a network, a secondary station and a system therefor
RU2706024C2 (ru) Способы и системы для планирования ресурсов в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истеме
US11290985B2 (en)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base station, and terminal
US9954654B2 (en) Method for communicating a network, a secondary station and a system therefor
EP2314028B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in a network, a secondary station and a system therefor
KR20110044779A (ko)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제 2 스테이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613238B1 (ko)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무선 스테이션들 및 그에 대한 시스템
JP2024505403A (ja) 通信デバイス、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機器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