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4609A -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4609A
KR20110044609A KR1020090101370A KR20090101370A KR20110044609A KR 20110044609 A KR20110044609 A KR 20110044609A KR 1020090101370 A KR1020090101370 A KR 1020090101370A KR 20090101370 A KR20090101370 A KR 20090101370A KR 20110044609 A KR20110044609 A KR 20110044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keyword
screen
dynamic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5161B1 (ko
Inventor
김성윤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1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161B1/ko
Publication of KR20110044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은, 휴대용 정보기기인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동적 정보 제공(DCD : Dynamic Content Delivery) 기능을 이용하여 단말화면에 동적 정보를 항상 표시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소정의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를 동적 정보의 형태로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공한 후 사용자로 하여금 키워드 검색을 통해 대응되는 요약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해당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 및 키워드를 안내하여 단시간에 보다 효율적으로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검색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취하기 위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네트워크 자원도 절약할 수 있다.
동적 정보, DCD

Description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KEYWORD ABOUT ABSTRACT-CENTERED DYNAMIC INFORMATION,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정보기기인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동적 정보 제공(DCD : Dynamic Content Delivery) 기능을 이용하여 단말화면에 동적 정보를 항상 표시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소정의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를 동적 정보의 형태로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공한 후 사용자로 하여금 키워드 검색을 통해 대응되는 요약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네트워크 인프라의 보급 확대로 인해, 사용자들이 원하는 컨텐츠를 생산하여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 제공 사업자가 많이 생겨났으며, 사용자들은 이러한 컨텐츠 제공 사업자가 운영하는 해당 사이트에 직접 방문함으로써 컨텐츠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전달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인터넷상에 실시간으로 생산되고 변경되는 정보를 전달하기 방안으로서 웹 신디케이션(Web Syndication)이 절실히 요구되어졌으며, 그러한 웹 신디케이션(Web Syndication)의 일종으로서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및 ATOM 등이 제안되어 표준이 되어졌고, 이러한 RSS 및 ATOM 등으로 인해 컨텐츠의 배포가 가능해졌으며, RSS Reader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컨텐츠를 수집하는 것도 많이 원활해졌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자원이 제한된 이동(Mobile) 환경에서는 RSS/ATOM을 이용해 배포하는 컨텐츠를 PC환경에서와 같이 접근하는 것은 제한이 따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동 디바이스를 위해 수집된 컨텐츠를 최적화된 형태로 전달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것이 OMA(Open Mobile Alliance)가 표준화를 추진중인 동적 컨텐츠 전송(DCD : Dynamic Content Delivery)이다.
이러한 DCD 기술을 이용한 DCD 서비스가 추구하는 바는 디바이스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사용자의 취향(Preference)을 반영하여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전달하는 것이며, 이를 위한 컨텐츠 전달 기법으로 DCD 서버가 컨텐츠 업데이트(전송) 알림 메시지를 디바이스로 전송함으로써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업데이트(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컨텐츠를 디바이스로 전송해주는 DCD-2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사용한 푸쉬(Push)방식이 제안되어졌다.
이러한 DCD-2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푸쉬 방식에 의하여, 기존의 이동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디바이스가 무선인터넷상의 사이트에 접속하고 여러 단계(Depth)를 거쳐 컨텐츠를 찾아가서 보던 방식에 탈피하여 컨텐츠를 사용자가 어렵게 방문하지 않아도 사용자의 디바이스로 전달해 주고, 더불어 사용자의 취향(Preference) 반영을 극대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해 주고자 하는 것이 DCD의 목적이다.
즉, DCD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사용자 맞춤형 컨텐츠 전송 서비스이다. 그리고, DCD는 기존의 사용자의 디바이스로부터의 컨텐츠 업데이터(전송) 요청에 의해서 DCD 서버가 디바이스로 컨텐츠를 전송해주는 DCD-1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사용한 풀(Pull) 방식도 수용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DCD 서비스에서는 컨텐츠와 관련한 정보의 전달 과정을 풀(Pull) 방식과 푸시(Push) 방식으로 나누어 정의하고 있을 뿐이며, 사용자의 디바이스에서 수신한 정보를 표출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정의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종래의 DCD 서비스를 토대로 하는 사용자의 디바이스에서는 초기화면(즉, 유휴 상태)에서 위젯 기능을 이용하여 화면에 정보를 표시하거나, 특정한 어느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실행중인 메뉴를 통해 해당 정보를 찾아 표시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정보 표출 방식은 사용자의 디바이스에서 유휴 상태인 초기 화면 애플리케이션 또는 어느 특정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기동 중인 상태에서만 DCD 서비스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표출할 수 있으므로, 긴급한 정보 등의 처리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뿐 아니라, 동적 정보에 대한 데이터 량에 따르거나 사용자의 관심도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동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도 요구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정보기기인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동적 정보 제공(DCD : Dynamic Content Delivery) 기능을 이용하여 단말화면에 동적 정보를 항상 표시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소정의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를 동적 정보의 형태로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공한 후 사용자로 하여금 키워드 검색을 통해 대응되는 요약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요약 위주로 동적 정보를 통해 간략하게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준 후, 사용자의 추가 정보 요청에 따라 해당하는 동적 정보에 대한 추가 관심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와 관련하여 변동되는 정보인 동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적정보 제공서버 및 상기 동적 정보를 수신하면 유휴 상태 또는 어느 한 응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인 단말화면에 대한 버퍼관리 모듈에 상기 동적 정보를 전달한 후, 상기 버퍼관리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화면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제 1 화면과 상기 동적 정보를 통해 형성되는 제 2 화면을 합성하여 상기 단말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동적 정보를 상기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 및 키워드로 제공받아 저장한 후 상기 키워드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요약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요약 정보를 상기 제 2 화면으로 이루어 상기 제 1 화면과 합성하여 상기 단말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은 상기 컨텐츠를 상기 동적정보 제공서버에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은 상기 요약 정보에 대한 추가 관심정보의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동적정보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추가 관심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추가 관심정보를 상기 제 2 화면으로 이루어 상기 제 1 화면과 합성하여 상기 단말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적정보 제공서버는 OMA-DCD(Open Mobile Alliance - Dynamic Contents Delivery) 표준에 기반하여 상기 동적 정보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사용자 디바 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 및 키워드를 포함하는 정보인 동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클라이언트부, 상기 요약 정보 및 키워드를 상호 매칭하여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동적정보 제공 알고리즘을 기 실행하여 모니터링함에 따라 상기 동적 정보의 수신을 확인한 후, 유휴 상태 또는 어느 한 응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인 단말화면에 대한 버퍼관리를 실행하는 하기의 버퍼관리 모듈부에 상기 동적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프로세싱부, 상기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 중인 제 1 화면과 상기 동적 정보를 통해 형성되는 제 2 화면을 합성하여 상기 단말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버퍼관리 모듈부 및 상기 키워드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요약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엔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부는 검색 결과로 상기 요약 정보를 상기 제 2 화면으로 이루어 상기 제 1 화면과 합성하여 상기 단말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싱부는 상기 요약 정보에 대한 추가 관심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클라이언트부를 통해 상기 추가 관심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추가 관심정보를 상기 제 2 화면으로 이루어 상기 제 1 화면과 합성하여 상기 단말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키워드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싱부는 상기 키워드가 기 저장중인 것이 아니고 사용자 입력을 통해 형성되는 사용자의 고유 키워드이며, 상기 고유 키워드를 상기 요약 정보에 대응되도록 하기 위한 설정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요약 정보와 매칭 하여 상기 고유 키워드를 추가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싱부는 상기 키워드를 이용하는 검색 내역에 대한 통계 처리를 통해 예정된 레벨 이상의 검색 순위에 대한 키워드 또는 예정된 레벨 기간에 포함되는 키워드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 및 키워드를 포함하는 정보인 동적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요약 정보 및 상기 키워드를 상호 매칭하여 저장하는 저장 단계, 동적정보 제공 알고리즘을 기 실행하여 모니터링함에 따라 상기 동적 정보의 수신을 확인한 후, 유휴 상태 또는 어느 한 응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인 상기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 중인 제 1 화면과 상기 요약 정보 및 상기 키워드를 나타내기 위한 제 2 화면을 합성하여 상기 단말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합성화면 출력 단계, 합성화면의 출력을 종료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요약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실행 단계 및 상기 요약 정보를 상기 제 2 화면으로 하여 상기 제 1 화면과 합성한 후 출력하는 검색결과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방법은 상기 요약 정보에 대한 추가 관심정보의 제공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추가 관심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제 2 화면으로 하여 상기 제 1 화면과 합성한 후 출력하는 추가 관심정보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방법은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키워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방법은 상기 키워드가 기 저장중인 것이 아니고 사용자 입력을 통해 형성되는 사용자의 고유 키워드이며, 상기 고유 키워드를 상기 요약 정보에 대응되도록 하기 위한 설정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요약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고유 키워드를 추가 등록하기 위한 키워드 등록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방법은 상기 키워드를 이용하는 검색 내역에 대한 통계 처리를 통해 예정된 레벨 이상의 검색 순위에 대한 키워드 또는 예정된 레벨 기간에 포함되는 키워드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검색리스트 안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색 실행 단계는 검색을 위해 기 설정된 핫-키의 입력에 따라 상기 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검색창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정보기기인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동적 정보 제공(DCD : Dynamic Content Delivery) 기능을 이용하여 단말화면에 동적 정보를 항상 표시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소정의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를 동적 정보의 형태로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공한 후 사용자로 하여금 키워드 검색을 통해 대응되는 요약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해당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 및 키워드를 안내하여 단시간에 보다 효율적으로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검색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취하기 위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네트워크 자원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은 동적 정보 제공(DCD : Dynamic Content Delivery) 기능에 기반하여 소정의 컨텐츠에 대한 동적 정보를 제공하는 동적정보 제공서버(200), 및 동적 정보 제공(DCD : Dynamic Content Delivery) 기능을 통해 단말화면에 항상 수신한 동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동적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은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서버(300)를 더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동적 정보에는, 컨텐츠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나타내는 요약 정보 및 이러한 요약 정보를 디바이스(100)에서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키워드가 포함된다.
이러한 동적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동적 정보에 포함되는 요약 정보 및 키워드를 저장한 후에, 유휴 상태(즉, IDLE 스크린 상태 또는 초기화면 상태를 일컫음) 또는 어느 한 응용 애플리케이션(예컨대, 게임 등)을 실행 중인 상태에 있는 단말화면에 검색창을 활성화하고, 활성화한 검색창에 사용자로 하여금 키워드를 입력하도록 한 후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요약 정보를 단말화면에 나타낸다.
요약 정보를 검색하는 것은, 소정의 컨텐츠에 대한 다양한 정보 중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네트워크 자원 등을 절약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특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디바이스(100) 자체에서 1차적으로 기 저장중인 요약 정보에 대한 검색을 이룬 후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에 부합하는 요약 정보를 확인한 후 더 상세한 정보를 취하고 싶을 때에는 2차적으로 추가 관심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 및 키워드를 포함하는 정보인 동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클라이언트부(110), 요약 정보 및 키워드를 상호 매칭하여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20), 동적정보 제공 알고리즘을 기 실행함에 따라 클라이언트부(110)로부터 수신된 동적 정보의 유무를 모니터링한 후 수신된 동적 정보가 있으면 이를 단말화면에 대한 버퍼관리를 실행하는 버퍼관리 모듈부(140)에 전달하기 위한 프로세싱부(130), 및 단말화면에 이미 유휴 상태 또는 어느 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인 제 1 화면과 동적 정보를 통해 형성되는 제 2 화면을 합성하여 단말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상기의 버퍼관리 모듈부(140), 검색을 위해 기 설정된 핫-키의 입력에 따라 활성화되는 검색창을 통해 입력되는 키워드에 대한 요약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엔진부(15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키워드 입력 등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세싱부(130)는 검색 엔진부(150)를 통해 이루어지는 검색 결과로 추출되는 요약 정보를 제 2 화면으로 이룬 후, 제 1 화면과의 합성을 통해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요약 정보에 대한 상세한 정보의 제공 요청이 있는 경우에 프로세싱부(130)는, 이에 응답하여 요약 정보에 대한 추가 관심정보를 클라이언트부(110)를 거쳐 동적정보 제공서버(200)에 요청한다.
이후로, 동적정보 제공서버(200)로부터 해당하는 추가 관심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추가 관심정보를 제 2 화면으로 이룬 후 제 1 화면과의 합성을 통해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프로세싱부(130)는 추가 관심정보를 제 1 화면과 합성하여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제 1 화면을 종료한 후 별도의 화면으로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파라미터 정보는 디폴트로 설정되거나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는 정보이며, 합성 방식, 제 2 화면에 출력 형태(예컨대, Annunciator 위치, Ticker 방식, 또는 풍선 방식 등), 제 2 화면의 위치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합성 방식은 제 1 화면에 제 2 화면을 오버레이(Overlay)하여 합성하는 방식이 가능하며, 이러한 오버레이(Overlay) 합성은 알파-브랜딩(Alpha-blending) 방식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장부(120)에는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을 합성하기 위한 파라미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파라미터 정보는 디폴트로 설정되거나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는 정보이며, 합성 방식, 제 2 화면에 출력 형태(예컨대, Annunciator 위치, Ticker 방식, 또는 풍선 방식 등), 제 2 화면의 위치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합성 방식은 제 1 화면에 제 2 화면을 오버레이(Overlay)하여 합성하는 방식이 가능하며, 이러한 오버레이(Overlay) 합성은 알파-브랜딩(Alpha-blending) 방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단말화면에 검색 기능이 활성화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단말화면에 소정의 응용 애플리케이션(예컨대, 게임 등)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a), 사용자에 의해 요약 정보의 검색을 위한 핫-키가 입력되면 응용 애플리케이션(예컨대, 게임 등)을 나타내는 제 1 화면에 검색창이 활성화된다(b).
여기서, 검색창이 활성화되면서 최다 검색된 키워드 또는 최근에 검색한 키워드 등을 함께 안내하여 사용자에게 검색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활성화된 검색창에 소정의 키워드가 입력되면, 디바이스(100)에 기 저장중인 요약 정보들 중에서 대응되는 요약 정보를 추출하여 제 2 화면을 이룬 후 제 1 화면에 오버레이 합성되어 디스플레이된다(c).
또한, 검색창에 입력된 키워드가 기 저장중인 키워드가 아니라, 사용자로 하여금 새롭게 입력된 고유 키워드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관련한 요약 정보와 매칭되도록 추가 등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로,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되는 요약 정보에 대한 상세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동적정보 제공서버(200)로부터 상기 요약 정보에 대응되는 상세 정보인 추가 관심정보를 제공받아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d).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의 동작 과정 중 동적 정보에 포함된 요약 정보 및 키워드를 단말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방법 중 제 1 과정은 동적정보 제공 알고리즘을 항상 기동하고 있는 상태를 지속하는 것으로 진행된다(S100).
이후로,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클라이언트부(110)가 동적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동적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이를 동적정보 제공 알고리즘의 모니터링을 통해 감지한 후, 수신한 동적 정보를 버퍼관리 모듈부(140)에 전달한다(S102 내지 S106).
버퍼관리 모듈부(140)는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 중인 제 1 화면과 동적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요약 정보 및 키워드를 통해 형성되는 제 2 화면을 기 저장중인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합성한 후, 합성한 화면을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108 내지 S110).
이후로,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과정들에 대한 종료 요청이 있을 경우에는 상 기 과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종료한다(S112).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의 동작 과정 중 요약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방법 중 제 2 과정은 사용자 디바이스(100)가 동적정보 제공서버(200)로부터 요약 정보 및 키워드를 포함하는 동적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것으로 진행된다(S200 및 S202).
이후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유휴 상태이거나 소정의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말화면인 제 1 화면에 수신한 요약 정보 및 키워드로 이루어지는 제 2 화면을 오버레이 합성하여 단말화면을 이룬다(S204).
기 설정된 시간이 종료되거나 소정의 사용자 설정에 의해 합성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한다(S206).
이후로, 요약 정보의 검색을 위한 핫-키가 입력되는 경우, 단말화면에 검색창을 활성화한 후 사용자로부터 검색하고자 하는 키워드의 입력을 받는다(S208 및 S210).
검색창에 입력된 키워드와 매칭하는 요약 정보에 대한 검색을 실행하고(S212). S212 단계에서 검색되 결과로 요약 정보가 추출되면 추출된 요약 정보를 제 2 화면으로 하여 제 1 화면과 합성한 후 단말화면을 이룬다(S214).
검색창에 입력된 키워드가 기 저장된 키워드가 아니라, 사용자로부터 새롭게 입력된 사용자 고유의 키워드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이를 해당 요약 정 보와 매칭되는 키워드로 추가 등록한다(S216 및 S218).
또한, 요약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로 하여금 요약 정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의 제공 요청이 있는 경우, 이에 응답하여 동적정보 제공서버(200)에 추가 관심정보의 제공을 요청한다(S220 및 S222).
이후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동적정보 제공서버(200)로부터 추가 관심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제공받은 추가 관심정보를 제 2 화면으로 하여 제 1 화면과 합성한 후 합성화면을 통해 단말화면을 이룬다(S224 및 S226).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정보기기인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동적 정보 제공(DCD : Dynamic Content Delivery) 기능을 이용하여 단말화면에 동적 정보를 항상 표시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소정의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를 동적 정보의 형태로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공한 후 사용자로 하여금 키워드 검색을 통해 대응되는 요약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디바이스의 단말화면에 검색 기능이 활성화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의 동작 과정 중 동적 정보에 포함된 요약 정보 및 키워드를 단말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의 동작 과정 중 요약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사용자 디바이스 110 : 클라이언트부
120 : 저장부 130 : 프로세싱부
140 : 버퍼관리 모듈부 150 : 검색 엔진부
16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00 : 동적정보 제공서버
300 : 컨텐츠 제공서버

Claims (15)

  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와 관련하여 변동되는 정보인 동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적정보 제공서버; 및
    상기 동적 정보를 수신하면 유휴 상태 또는 어느 한 응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인 단말화면에 대한 버퍼관리 모듈에 상기 동적 정보를 전달한 후, 상기 버퍼관리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화면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제 1 화면과 상기 동적 정보를 통해 형성되는 제 2 화면을 합성하여 상기 단말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동적 정보를 상기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 및 키워드로 제공받아 저장한 후 상기 키워드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요약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요약 정보를 상기 제 2 화면으로 이루어 상기 제 1 화면과 합성하여 상기 단말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은
    상기 컨텐츠를 상기 동적정보 제공서버에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 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은
    상기 요약 정보에 대한 추가 관심정보의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동적정보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추가 관심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추가 관심정보를 상기 제 2 화면으로 이루어 상기 제 1 화면과 합성하여 상기 단말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정보 제공서버는
    OMA-DCD(Open Mobile Alliance - Dynamic Contents Delivery) 표준에 기반하여 상기 동적 정보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5.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 및 키워드를 포함하는 정보인 동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클라이언트부;
    상기 요약 정보 및 키워드를 상호 매칭하여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동적정보 제공 알고리즘을 기 실행하여 모니터링함에 따라 상기 동적 정보의 수신을 확인한 후, 유휴 상태 또는 어느 한 응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인 단말화면에 대한 버퍼관리를 실행하는 하기의 버퍼관리 모듈부에 상기 동적 정보를 전 달하기 위한 프로세싱부;
    상기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 중인 제 1 화면과 상기 동적 정보를 통해 형성되는 제 2 화면을 합성하여 상기 단말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버퍼관리 모듈부; 및
    상기 키워드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요약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엔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부는,
    검색 결과로 상기 요약 정보를 상기 제 2 화면으로 이루어 상기 제 1 화면과 합성하여 상기 단말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부는
    상기 요약 정보에 대한 추가 관심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클라이언트부를 통해 상기 추가 관심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추가 관심정보를 상기 제 2 화면으로 이루어 상기 제 1 화면과 합성하여 상기 단말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키워드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부는
    상기 키워드가 기 저장중인 것이 아니고 사용자 입력을 통해 형성되는 사용자의 고유 키워드이며, 상기 고유 키워드를 상기 요약 정보에 대응되도록 하기 위한 설정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요약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고유 키워드를 추가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9.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부는
    상기 키워드를 이용하는 검색 내역에 대한 통계 처리를 통해 예정된 레벨 이상의 검색 순위에 대한 키워드 또는 예정된 레벨 기간에 포함되는 키워드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10.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 및 키워드를 포함하는 정보인 동적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 요약 위주의 상기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을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요약 정보 및 상기 키워드를 상호 매칭하여 저장하는 저장 단계;
    동적정보 제공 알고리즘을 기 실행하여 모니터링함에 따라 상기 동적 정보의 수신을 확인한 후, 유휴 상태 또는 어느 한 응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인 상기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 중인 제 1 화면과 상기 요약 정보 및 상기 키워드를 나타내기 위한 제 2 화면을 합성하여 상기 단말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합성화면 출력 단계;
    합성화면의 출력을 종료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요약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실행 단계; 및
    상기 요약 정보를 상기 제 2 화면으로 하여 상기 제 1 화면과 합성한 후 출력하는 검색결과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방법은
    상기 요약 정보에 대한 추가 관심정보의 제공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추가 관심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제 2 화면으로 하여 상기 제 1 화면과 합성한 후 출력하는 추가 관심정보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방법은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키워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방법은
    상기 키워드가 기 저장중인 것이 아니고 사용자 입력을 통해 형성되는 사용자의 고유 키워드이며, 상기 고유 키워드를 상기 요약 정보에 대응되도록 하기 위 한 설정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요약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고유 키워드를 추가 등록하기 위한 키워드 등록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방법은
    상기 키워드를 이용하는 검색 내역에 대한 통계 처리를 통해 예정된 레벨 이상의 검색 순위에 대한 키워드 또는 예정된 레벨 기간에 포함되는 키워드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검색리스트 안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방법.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실행 단계는
    검색을 위해 기 설정된 핫-키의 입력에 따라 상기 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검색창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방법.
KR1020090101370A 2009-10-23 2009-10-23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635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370A KR101635161B1 (ko) 2009-10-23 2009-10-23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370A KR101635161B1 (ko) 2009-10-23 2009-10-23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230A Division KR101752323B1 (ko) 2016-06-24 2016-06-24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609A true KR20110044609A (ko) 2011-04-29
KR101635161B1 KR101635161B1 (ko) 2016-06-30

Family

ID=44049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370A KR101635161B1 (ko) 2009-10-23 2009-10-23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1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5622A (ja) * 2001-01-19 2002-08-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関連情報提供装置及び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20070011521A (ko) * 2004-04-19 2007-01-24 야후! 인크.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인터넷 검색의처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5622A (ja) * 2001-01-19 2002-08-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関連情報提供装置及び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20070011521A (ko) * 2004-04-19 2007-01-24 야후! 인크.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인터넷 검색의처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obile Widget의 현황과 전망", 인트로모바일. (2007.07.3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161B1 (ko)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251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pplication program and application program update deployment to a mobile device
EP1320972B1 (en) Network server
US20080109483A1 (en) Mash-up service system
KR100725541B1 (ko) 일체형 포탈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단말장치
US20100008265A1 (en) Augmented reality method and system using logo recognition,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browsing and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technology
KR102277300B1 (ko) 검색 서비스와 연결된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메시지 서버 및 사용자 단말
CA26304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feed delivery to a communications device
JP2022509344A (ja) 名前タグ表示方法及び装置
KR100926780B1 (ko) 유무선 위젯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311584A1 (en) Computer-based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 file request in response to a message received from a user mobile device
JP2010092128A (ja) サイト情報変換装置、サイト情報変換方法及びサイト情報変換プログラム
KR100743606B1 (ko) 피투피를 이용한 개인홈페이지 광고방법 및 시스템
US20030151620A1 (en) Content transmission system
KR101752323B1 (ko)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10044609A (ko) 요약 위주의 동적 정보에 대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210156367A (ko) 모바일웹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07100200A1 (en)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using keyword searching and method thereof
JPWO2006075389A1 (ja) 通信端末装置
JP2006039930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および事業者サーバ
KR100716673B1 (ko) 네트워크상에서의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63564B1 (ko) 자동 정보 전달 방법 및 장치
KR101580620B1 (ko) 동적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JP5255333B2 (ja) 放送番組情報送信装置
KR20040107859A (ko) 사용자 log 분석에 따른 content 제공 방법
CN114661880A (zh) 交互式数据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