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3159A - 식물 가지 지지구 - Google Patents

식물 가지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3159A
KR20110043159A KR1020090100148A KR20090100148A KR20110043159A KR 20110043159 A KR20110043159 A KR 20110043159A KR 1020090100148 A KR1020090100148 A KR 1020090100148A KR 20090100148 A KR20090100148 A KR 20090100148A KR 20110043159 A KR20110043159 A KR 20110043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ranch support
wire fixing
fixing par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정
Original Assignee
김상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정 filed Critical 김상정
Priority to KR1020090100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3159A/ko
Publication of KR20110043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01G17/08Tools e.g. clips for attaching hops, vines, or boughs to trellis-work; T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01G2017/065Trellis-work for supporting vines having wire-tension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뻗어있는 와이어에 대해 식물의 가지(특히 포도덩굴)를 지지시키는 식물 가지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와이어의 굵기에 상관없이 임의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매달려 있는 식물 가지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 가지 지지구{hanger of branch}
본 발명은 뻗어있는 와이어에 대해 식물의 가지(특히 포도덩굴)를 지지시키는 식물 가지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와이어의 굵기에 상관없이 임의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매달려 있는 식물 가지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식물 가지 지지구로서,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제10-2009-83229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참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식물 가지 지지구는 호형상으로 굽혀져 가지(200)가 지지되는 가지지지부(11)의 일측 단부에 와이어(100)가 끼워져 고정되는 와이어고정부(12)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즉, 종래 가지 지지구는 호형상으로 굽혀져 가지가 지지되는 가지지지부(11)와, 가지지지부(11)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갈고리 형상으로 굽혀져 와이어(100)가 걸리는 제1고정고리(121)와 제2고정고리(122)를 서로 이격시켜 제1 및 제2고정고리(121, 122) 사이에 와이어출납홈(123)이 형성되며, 제1고정고리(121)와 제2고정고리(122)의 와이어(100)가 끼워지는 개방부(12a,12b)는 바깥쪽을 향하도록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된 와이어고정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제1고정고리(121)와 제2고정고리(122)는 일직선상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와이어 굵기가 다른 경우 그 굵기에 맞는 고정고리로 바꾸어야 한다.
설령 굵기가 가장 굵은 와이어에 고정고리를 맞추어 제작하더라도, 고정고리의 직경보다 작은 굵기의 와이어에 식물 가지 지지구가 걸리더라도 헐렁하게 매달려 있기 때문에, 와이어에 대해 식물 가지 지지구가 회전되어 지지된 가지가 고리에서 빠진다.
또한, 식물 가지 지지구가 와이어의 길이방향으로 마음대로 움직여서, 수확 후 잘린 가지가 내년에 다시 올라오는 방향으로 지지구를 세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갈고리 형상의 제1고정고리(121)와 제2고정고리(122)가 와이어(100)에 끼워져 걸리게 하기 위하여 사람의 힘으로 밀기엔 너무 힘들어서 펜치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펜치 등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기 위한 종래의 지지구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종래의 다른 지지구는 갈고리 형상 대신 U자 형상의 제1고정고리(121')와 제2고정고리(122')로 구성되되, 일측에 걸림턱(121a')(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턱(121a')(미도시)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출 성형할 때 코어(C1)(C2)가 설치되는 코어자리공(미도시)(122a'')의 형성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코어(C1)(C2)는 슬라이딩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상하금형(M1)(M2)에 통상 형성된다(도 4 참조).
만약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경우(즉 직각으로 슬라이딩하는 경우) 상하금형(M1)(M2)과는 별도로 코어(C1)(C2)의 슬라이딩 구성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금형이 비싸고 스페이스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금형 구조로 인해 종래의 다른 지지구는 도 4와 같이 가지지지부(11)가 눕혀진 상태로 사출 성형되기 때문에, 도 12와 같이 가지지지부(11)가 세워진 상태일 때보다 생산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코어자리공(미도시)(122a'')이 눕혀진 가지지지부(11)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가지지지부(11)가 세워진 경우에는 코어자리공이 측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철사의 굵기에 관계없이 와이어의 원하는 위치에 매달려 있어 가지를 지지하는 자리를 다시 세팅할 필요가 없는 식물 가지 지지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1에 기재된 식물 가지 지지구는,
와이어에 끼워져 고정되는 와이어고정구와, 일측이 상기 와이어고정구에서 원호 형상으로 일체로 뻗어 형성되는 가지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고정구는 와이어출납홈과, 상기 와이어출납홈의 전후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끼워지는 제1개방부와 제2개방부가 형성되는 제1와이어고정부와 제2와아이어고정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2와이어고정부는 상기 제1와이어고정부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경사진 와이어고정부가 와이어에 끼워져 펴지면서 탄성 복원력에 의해 물고 있기 때문에, 설령 와이어의 굵기가 얇더라도 움직이지 않고 와이어에 고정된 위치에 매달려 하나의 지지구로 다양한 굵기의 와이어에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2에 기재된 식물 가지 지지구는,
상기 제1와이어고정부와 제2와이어고정부는 그 내측에 와이어걸림턱과 코어자리공이 형성되되, 상기 코어자리공은 상기 가지지지부가 세워진 방향을 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코어자리공이 세워진 가지지지부와 같은 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금형과 코어의 슬라이딩 방향을 일치시키면서 세워진 형태(즉 폭이 좁은 형태)의 금형 설계가 가능하여 동일한 면적에 대해 다량 생산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3에 기재된 식물 가지 지지구는,
상기 제1코어자리공은 아래쪽, 제1개방부는 위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2코어자리공은 위쪽, 상기 제2개방부는 아래쪽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출납홈은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개방부는 위쪽, 상기 제2개방부는 아래쪽, 상기 와이어출납홈은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지지지부의 일측은 타측을 향할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와이어를 와이어출납홈에 끼운 후 제1개방부와 제2개방부로 끼우기 위해 돌릴 때 와이어가 가지지지부의 일측에 걸려 방해받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4에 기재된 식물 가지 지지구는,
상기 제1개방부와 제2개방부가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제1와이어고정부 또는 제2와이어고정부에는 끼움 회전방향을 지시하는 지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는 지시부를 보고 돌리기만 하면 바로 끼워지기 때문에 설치 속도가 빠르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2와이어고정부는 제1와이어고정부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경사진 와이어고정부가 와이어에 끼워져 펴지면서 탄성 복원력에 의해 물고 있기 때문에, 설령 와이어의 굵기가 얇더라도 움직이지 않고 와이어에 고정된 위치에 매달려 있다. 따라서, 하나의 가지 지지구로 다양한 굵기의 와이어에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코어자리공이 세워진 가지지지부와 같은 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금형과 코어의 슬라이딩 방향을 일치시키면서 세워진 형태(즉 폭이 좁은 형태)의 금형 설계가 가능하여 동일한 면적에 대해 누어진 형태보다 다량 생산이 가능하다.
가지지지부의 일측은 타측을 향할수록 그 폭이 넓어짐으로써, 와이어를 와이어출납홈에 끼운 후 제1개방부와 제2개방부로 끼우기 위해 돌릴 때 와이어가 가지지지부의 일측에 걸려 최대한 방해받지 않게 한다.
제1개방부와 제2개방부가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되고, 제1와이어고정부 또는 제2와이어고정부에는 끼움 회전방향을 지시하는 지시부가 더 형성됨으로써, 작업자는 지시부를 보고 그 방향으로 돌리기만 하면 바로 끼워지기 때문에 설치 속도가 빠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와 청구항의 위치 또는 방향은 가지 지지구가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물 가지 지지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 도 7 및 도 8은 도 5의 정면도, 평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9-9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6의 10-10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6의 11-11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5의 식물 가지 지지구의 사출 금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식물 가지 지지구는 외형을 이루는 와이어(100)에 끼워져 고정되는 와이어고정구(300)와 가지(200)를 지지하는 가지지지부(400)로 구성하여 있다.
와이어고정구(300)는 와이어(100)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와이어출납홈(310)과, 와이어출납홈(310)의 전후에 배치되는 제1와이어고정부(330)와 제2와이어고정부(350)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1와이어고정부(330)는 제1일측고정편(331), 제1일측고정편(331)에 마주하는 제1타측고정편(333), 제1일측고정편(331)과 제1타측고정편(333)을 연결하는 제1연결고정편(335)로 구성되되, 제1개방부(336)가 위쪽에 배치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일측고정편(331)에는 제1와이어걸림턱(337)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제1와이어걸림턱(337)의 성형을 위해, 제1연결고정편(335)에는 제1코어자리공(338)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와이어고정부(350)는 제2일측고정편(351), 제2일측고정편(351)에 마주하는 제2타측고정편(353), 제2일측고정편(351)과 제2타측고정편(353)을 연결하는 제2연결고정편(355)로 구성되되, 제2개방부(356)가 아래쪽에 배치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2타측고정편(353)에는 제2와이어걸림턱(357)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제2와이어걸림턱(357)의 성형을 위해, 제2연결고정편(355)에는 제2코어자리공(358)이 형성되어 있다.
제1일측고정편(331)과 제2일측고정편(351)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와이어출납홈(310)은 제1와이어고정부(330)와 제2와이어고정부(350) 사이의 측방향에 자연적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처럼, 제1와이어고정부(330)는 위쪽에 제1개방부(336)가 형성된 U자 형상이고, 제2와이어고정부(350)는 아래쪽에 제2개방부(356)가 형성된 역U자 형상이다.
따라서, 제1개방부(336)와 제2개방부(356)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고 U자 형상이기 때문에 와이어(100)에 끼워 작업자가 손으로 돌려 고정하기가 편리하 다.
와이어출납홈(310)은 제1와이어고정부(330)와 제2와이어고정부(350)의 형성에 의해 자연스럽게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고정구(300)에 있어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와이어고정부(350)는 제1와이어고정부(330)에 대해 경사(θ)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각(θ)은 굵기(직경)가 다른 와이어라고 고정된 경우 와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굵기가 굵은 와이어에 고정한 지지구를 상대적으로 굵기가 얇은 와이어에 사용하는 경우 제1와이어고정부(330)가 와이어에 헐렁하게 매달려 있다 하더라도, 제2와이어고정부(350)가 탄성 복원(펼친 상태에서 오므려진 상태로 가려는 성질)에 따라 와이어를 물어주기 때문에 가지를 지지한 최초의 위치에 그대로 매달려 고정되어, 후년에 뻗은 가지를 다시 지지할 때 위치를 재세팅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의 굵기에 따른 가지 지지구를 일일이 만들 필요가 없다.
또한, 본 실시예의 와이어고정부(330)(350)는 갈고리 형상 대신 U자 형상으로 되어 탄성력으로 와이어에 압력을 가해 고정되기도 하지만 제1,2와이어걸림턱(337)(357)에 의해서도 이탈되는 것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
제1,2와이어걸림턱(337)(357)은 제1,2코어자리공(338)(358)이 있어야 일체로 사출 성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사출 성형에서 제1,2코어자리공(338)(358)이 도 5 및 도 12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세운 상태의 가지지지부(400)의 방향과 같은 방향인 위아래 방향 으로 배치하면 즉 제1코어자리공(338)은 아래쪽, 제1개방부(336)는 위쪽에 형성되고, 제2코어자리공(358)은 위쪽, 제2개방부(356)는 아래쪽에 형성되면, 누운 자세의 종래 가지 지지구보다 대량생산이 가능함을 도 4 및 도 12를 통해 명백히 알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와이어고정부(330) 또는/및 제2와이어고정부(350)에는 끼움 회전방향을 지시하는 지시부(339)(359)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제1개방부(336)와 제2개방부(356)가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회전시키는 방향을 바로 인식하게 한다.
한편, 제1개방부(336)와 제2개방부(356)가 위아래에 형성되어 있어, 지지구를 회전시킬 때 와이어(100)가 가지지지부(400)에 걸려 방해되지 않도록, 도 7과 같이 가지지지부(400)의 일측(401)이 타측(403)을 향할수록 그 폭이 넓어지게(w1->w2) 또는 일측(401) 폭(w1)이 타측(403) 폭(w2)보다 좁게 하는 것이 좋다.
가지지지부(400)의 일측(401)은 와이어고정구(300)에 일체로 성형되고, 타측(403)은 자유단 형태로서, 원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지지지부(400)의 타측(403)에는 가지지지부(400)에서 가지가 이탈되는 것을 더욱 방지하도록 제3와이어고정부(4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와이어고정부(430)는 아래를 향해 끼움홈(431)이 형성되게 양쪽에 돌출한 다리부(433)가 성형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433)의 내측에는 제3와이어걸림턱(43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지지지부(400)의 타측(403)에는 가지지지부(400)를 쉽게 들어올리는 파지부(1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연장된 와이어에 고정하여 매다는 지지구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도 1은 종래 식물 가지 지지구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식물 가지 지지구로 가지를 와이어에 고정시킨 사용 상태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 식물 가지 지지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식물 가지 지지구의 사출 금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물 가지 지지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도 7 및 도 8은 도 5의 정면도, 평면도 및 배면도.
도 9는 도 7의 9-9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0은 도 6의 10-10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1은 도 6의 11-11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2는 도 5의 식물 가지 지지구의 사출 금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가지고정부 12 : 와이어고정부
121 : 제1고정고리 12a : 개방부
122 : 제2고정고리 12b : 개방부
123 : 와이어출납홈 13 : 와이어지지부
13a : 와이어지지날개 13b : 와이어삽입홈
14 : 파지부
100 : 와이어 200 : 가지
300 : 와이어고정구 310 : 와이어출납홈
330,350 : 제1,2와이어고정부 331,351 : 제1,2일측고정편
333,353 : 제1,2타측고정편 335,355 : 제1,2연결고정편
336,356 : 제1,2개방부 337,357 : 제1,2와이어걸림턱
338,358 : 제1,2코어자리공 339,359 : 지시부
400 : 가지지지구 401 : 일측403 : 타측
430 : 제3와이어고정부 431 : 끼움홈
433 : 다리부 435 : 제3와이어걸림턱

Claims (4)

  1. 와이어에 끼워져 고정되는 와이어고정구와,
    일측이 상기 와이어고정구에서 원호 형상으로 일체로 뻗어 형성되는 가지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고정구는
    와이어출납홈과,
    상기 와이어출납홈의 전후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끼워지는 제1개방부와 제2개방부가 형성되는 제1와이어고정부와 제2와아이어고정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2와이어고정부는 상기 제1와이어고정부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식물 가지 지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고정부는 그 내측에 제1 및 제2와이어걸림턱과 제1 및 제2코어자리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코어자리공은 상기 가지지지부가 세워진 방향을 향하게 형성되는 식물 가지 지지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어자리공은 아래쪽, 제1개방부는 위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2코어자리공은 위쪽, 상기 제2개방부는 아래쪽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출납홈은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지지지부의 일측은 타측을 향할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식물 가지 지지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방부와 제2개방부가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제1와이어고정부 또는 제2와이어고정부에는 끼움회전방향을 지시하는 지시부가 더 형성되는 식물 가지 지지구.
KR1020090100148A 2009-10-21 2009-10-21 식물 가지 지지구 KR201100431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148A KR20110043159A (ko) 2009-10-21 2009-10-21 식물 가지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148A KR20110043159A (ko) 2009-10-21 2009-10-21 식물 가지 지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159A true KR20110043159A (ko) 2011-04-27

Family

ID=4404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148A KR20110043159A (ko) 2009-10-21 2009-10-21 식물 가지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31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5605B (en) * 2014-12-23 2018-04-18 Gripple Ltd Clamping devices for retaining elongate members on support arrangements
CN115443830A (zh) * 2022-09-28 2022-12-09 四川省交通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绿化构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5605B (en) * 2014-12-23 2018-04-18 Gripple Ltd Clamping devices for retaining elongate members on support arrangements
CN115443830A (zh) * 2022-09-28 2022-12-09 四川省交通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绿化构件
CN115443830B (zh) * 2022-09-28 2024-02-13 四川省交通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绿化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2662B2 (en) Clevis hanger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clevis hanger
US6029868A (en) Garment hanger and marker clip
CA2954958C (en) Picture frame hanger
US20150076094A1 (en) Easy Tie Hanger
US20070267307A1 (en) Suspension device for hand tools having ring portion
KR20110043159A (ko) 식물 가지 지지구
US11572913B2 (en) Or relating to connecting devices
JP2011239826A (ja) 脱落防止機能付き衣類用ハンガー
CN104180074B (zh) 一种线夹
US5383638A (en) Christmas ornament hanger
US20160331172A1 (en) Appliance for attaching tree toppers and methods of use
JP6821793B2 (ja) 可撓性のある長形状物用保持器
JP2013165651A (ja) 鳥害防止具
KR200445203Y1 (ko) 곶감 제조용 걸이구
KR20080005610U (ko) 기능성 옷걸이
CN107405014A (zh) 衣架
WO2015144060A1 (zh) 一种熔断器底座接线端子的连接组件
KR101668108B1 (ko) 통신용 케이블 행거
KR200442587Y1 (ko) 넥타이 고정구
KR200176122Y1 (ko) 커텐봉 걸이
US20040056162A1 (en) Hanger for suspending an ornament from a tree branch
EP3148383B1 (en) A device for assisting taking off and putting on a garment
KR100949759B1 (ko) 다용도 거치구
US1623792A (en) Cable clamp and bridle ring
FR3011018A1 (fr) Embout de protection pour barre d’arma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