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2996A - 능동형 셔터 안경 및 그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능동형 셔터 안경 및 그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2996A
KR20110042996A KR1020090099892A KR20090099892A KR20110042996A KR 20110042996 A KR20110042996 A KR 20110042996A KR 1020090099892 A KR1020090099892 A KR 1020090099892A KR 20090099892 A KR20090099892 A KR 20090099892A KR 20110042996 A KR20110042996 A KR 20110042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s
right eye
image
shutters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홍
이세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9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2996A/ko
Publication of KR20110042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1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 G03B35/20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using two or more proj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involving temporal multiplexing, e.g.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eft and right shu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능동형 셔터 안경 및 그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서로 다른 제1 및 제2 영상을 교대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능동형 셔터 안경을 포함하고, 상기 능동형 셔터 안경은,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도록 온오프되는 좌안 및 우안 셔터를 구비하고 상기 온오프의 주기가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의 교대 주기와 동기화되는 셔터부와, 사용자가 입체 영상을 인지하도록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를 교대로 온오프시키거나 상기 제1 또는 제2 영상을 인지하도록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를 동시에 온오프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가 교대로 온오프되면 상기 입체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고 동시에 온오프되면 상기 제1 또는 제2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능동형 셔터 안경 및 그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ACTIVE EYEWEAR AND DISPLAY SYSTEM HAVING THE SAME, CONTROL METHOD OF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능동형 셔터 안경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과 이차원 영상을 각각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시대가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현실감있는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감있는 영상을 구현하는 장치의 일 예로서 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있다.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현하는 방법은 중 하나로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프로젝터, 프로젝션 텔레비전 및 디지털 텔레비젼)에 좌우용의 상을 교대로 표시하고, 그 표시 사이클에 동기시켜 안경의 렌즈에 장착된 액정 셔터를 교대로 온오프시키는 액티브 셔터 방식이 있다.
또한 오늘날에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멀티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에도 멀티영상의 구현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멀티 영상 구현의 하나로, 입체영상 과 이차원 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며, 이에 상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입체영상과 듀얼 이차원 영상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능동형 셔터 안경 및 그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서, 음향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능동형 셔터 안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서로 다른 제1 및 제2 영상을 교대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능동형 셔터 안경을 포함하고, 상기 능동형 셔터 안경은,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도록 온오프되는 좌안 및 우안 셔터를 구비하고 상기 온오프의 주기가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의 교대 주기와 동기화되는 셔터부와, 사용자가 입체 영상을 인지하도록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를 교대로 온오프시키거나 상기 제1 또는 제2 영상을 인지하도록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를 동시에 온오프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가 교대로 온오프되면 상기 입체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고 동시에 온오프되면 상기 제1 또는 제2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설정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는 이차원 노멀 모드, 이차원 듀얼 모드 및 입체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차원 노멀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이 동일한 영상으로 이루어지고, 이차원 듀얼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이 서로 다른 영상으로 형성되며, 입체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이 각각 상기 입체 영상을 형성하는 좌안 및 우안 영상에 대응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가 상기 이차원 노멀 모드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를 동시에 온오프시키고 상기 음향출력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가 상기 이차원 듀얼 모드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를 동시에 온오프시키고 상기 음향출력부는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중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를 통하여 투과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가 상기 입체 모드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를 교대로 온오프시키고 상기 음향출력부는 상기 입체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받도록 형성되는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능동형 셔터 안경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이차원 듀얼 모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인지하도록,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의 온오프를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중 어느 하나를 투과시키는 상태에서 다른 하나를 투과시키는 상태로 스위칭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사 용자 입력부는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의 온오프 상태를 스위칭시키는 명령을 입력받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능동형 셔터 안경에는 상기 입체 영상,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들을 수신하는 음향수신부가 장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상기 음향수신부로 상기 음향들을 송신하는 음향송신부가 장착된다. 상기 음향송신부는 상기 제1 및 제2 영상에 각각 대응하는 음향을 송신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음향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수신부는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이 서로 다른 영상으로 형성되는 이차원 듀얼 모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중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를 통하여 투과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수신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음향송신부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능동형 셔터 안경을 개시한다. 상기 능동형 셔터 안경은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도록 온오프되는 좌안 및 우안 셔터를 구비하고, 상기 온오프의 주기가 제1 및 제2 영상을 교대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교대 주기와 동기화되는 셔터부와, 사용자가 입체 영상을 인지하도록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를 교대로 온오프시키거나, 상기 제1 또는 제2 영상을 인지하도록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를 동시에 온오프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가 교대로 온오프되면 상기 입체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고, 동시에 온오프되면 상기 제1 또는 제2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 플레이 모드에 따라,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를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영상을 교대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도록 좌안 및 우안 셔터가 주기적으로 온오프되는 능동형 셔터 안경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능동형 셔터 안경이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중 어느 하나를 투과시키도록 설정되면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를 동시에 온오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능동형 셔터 안경이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중 다른 하나를 투과시키도록 설정되면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의 온오프를 반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투과되도록 설정된 제1 또는 제2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상기 능동형 셔터 안경에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능동형 셔터 안경이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을 교대로 투과시키도록 설정되면,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를 교대로 온오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능동형 셔터 안경이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을 교대로 투과시키도록 설정되면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이 형성하는 입체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능동형 셔터 안경 및 그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좌안 및 우안 셔터를 동시에 온오프시킴에 따라 입체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이차원 듀얼 모드의 디스플레이를 구현한다. 또한, 음향출력부가 듀얼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서로 다른 영상을 보고 있는 사용자는 이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음향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능동형 셔터 안경 및 그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각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른 영상 및 음향 출력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은 입체영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능동형 셔터 안경(active eyewear, 200)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광원에서 발생한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구현하고, 구현된 영상을 투사하는 장치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을 확 대 투사하는 프로젝터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프로젝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프로젝션 텔레비전, 디지털 텔레비젼 등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및 제2 영상(101a, 101b)을 동일한 영역에 교대로 디스플레이한다. 제1 및 제2 영상(101a, 101b)은 좌안 및 우안 영상을 형성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좌안 및 우안 영상을 순차적으로 투사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좌안 및 우안 영상은 입체 영상을 형성하는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좌안 및 우안 영상을 각각 투사하는 두 대의 프로젝터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확대 투사되는 영상은 스크린(102)에서 화면으로 표시된다. 스크린(102)은 상기 좌안 및 우안 영상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투사 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스크린(102)은, 예를 들어 벽면이나 무채색 또는 은색의 막 등이 되거나, 편광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편광 유지 스크린이 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크린(102)에는 우안 영상이 표시되고 있다. 우안 영상에 대해 순차적으로 또는 함께 투사된 좌안 영상은 얼마 후에 스크린(102)에 도달하여 표시된다.
능동형 셔터 안경(200)의 좌안 및 우안의 안경림(rim, 201, 202)에는 각각 셔터(211, 212)가 장착된다. 셔터(211, 212)는, 예를 들어 액정 셔터(liquid crystal shutter)가 될 수 있으며, 빛을 투과 또는 차단시키도록 온오프되도록 형성된다. 능동형 셔터 안경(200)는 좌안 및 우안 셔터(211, 212)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제1 및 제2 영상(101a, 101b)을 투과하도록 이루어진다. 좌안 및 우안 셔터(211, 212)는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으로 각각 좌안 및 우안 영상을 투과시키도록 교대로 온오프되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입체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체 영상 재생부(110), 제1 및 제2 이차원 영상 재생부(120, 130)을 포함한다.
입체 영상 재생부(110)는 상기 제1 및 제2 영상(101a, 101b)을 각각 좌안 및 우안 영상으로 형성하여 교대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영상 소스를 재생한다.
제1 및 제2 이차원 영상 재생부(120, 130)는 각각 서로 다른 이차원 영상을 교대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동기화된다. 구체적으로, 제1 이차원 영상 재생부(120)가 제1 및 제2 영상(101a, 101b)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면, 제2 이차원 영상 재생부(130)가 제1 및 제2 영상(101a, 101b) 중 다른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며, 영상의 디스플레이는 교대로 이루어진다.
능동형 셔터 안경(200)은 셔터부(210), 제어부(220) 및 음향출력부(230)를 포함한다.
셔터부(210)는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도록 온오프되는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211, 212)를 구비한다. 좌안 및 우안 셔터(211, 212)는 각각 온오프의 주기가 상기 제1 및 제2 영상(101a, 101b)의 교대 주기와 동기화된다. 제1 및 제2 영상(101a, 101b)이 각각 디스플레이되는 일 프레임의 주파수는 60 헤르쯔(Hz) 이상 이 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210)는 사용자가 입체 영상을 인지하도록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211, 212)를 교대로 온오프시키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및 제2 영상(101a, 101b)을 인지하도록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211, 212)를 동시에 온오프시키도록 형성된다. 좌안 및 우안 셔터(211, 212)가 동시에 온오프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은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서로 다른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제어부(210)는 통상적으로 능동형 셔터 안경(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온오프의 실행, 온오프 방식의 전환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다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설정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영상(101a, 101b)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는 입체 모드, 이차원 노멀 모드 및 이차원 듀얼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입체 모드에서는 제1 및 제2 영상(101a, 101b)이 각각 입체 영상을 형성하는 좌안 및 우안 영상에 대응되고, 이차원 노멀 모드에서는 제1 및 제2 영상(101a, 101b)이 동일한 영상으로 이루어지며, 이차원 듀얼 모드에서는 제1 및 제2 영상(101a, 101b)이 서로 다른 영상으로 형성된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드가 입체 모드이면, 능동형 셔터 안경(200)의 제어부(220)는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211, 212)를 교대로 온오프 시킨다. 이차원 노멀 모드에서 제1 및 제2 영상(frame A, frame B)은 동일한 영상이므로, 사용자는 능동형 셔터 안경(200)의 착용없이 하나의 이차원 영상을 시청하게 된다.
이에 반해, 제어부(220)는 이차원 듀얼 모드에서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211, 212)를 동시에 온오프시킨다. 좌안 및 우안 셔터(211, 212)가 동시에 온오프됨에 따라, 사용자는 제1 및 제2 영상(frame A, frame B) 중 어느 하나만을 인지하게 되며, 복수의 사용자가 서로 다른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음향출력부(230)는 능동형 셔터 안경(200)에 형성되며, 예를 들어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이어폰(earphone)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음향출력부(230)는 좌안 및 우안 셔터(211, 212)가 교대로 온오프되면 입체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고, 동시에 온오프되면 제1 또는 제2 영상(101a, 101b)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도록 형성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드가 입체 모드이면, 음향출력부(230)는 입체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모드가 이차원 노멀 모드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또는 제2 영상(frame A, frame B)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스피커 등의 형태로 구현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140, 도 2 참조)가 구비된다.
도 3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드가 이차원 듀얼 모드이면, 음향출력부(230)는 제1 및 제2 영상(frame A, frame B) 중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211, 212)를 통하여 투과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한다. 이를 통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영상을 시청하는 복수의 시청자는 서로 다른 음향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셔터 안경은 제1 영상(frame A)만을 투과시키고, 제2 셔터안경은 제2 영상(frame B)만을 투과시킨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은 사용자 입력부(240)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240)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받도록 형성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입력부(240)는 상기 능동형 셔터 안경(200)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능동형 셔터 안경(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은 음향출력부(230)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40)는 좌안 및 우안 셔터(211, 212)의 온오프 상태를 스위칭시키는 명령을 입력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능동형 셔터 안경(200)에는 스위칭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스위칭 유닛(241)이 구비된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입력부(240)는 능동형 셔터 안경(200)가 별 도로 구비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능동형 셔터 안경(200)을 원격지에서 제어하는 리모컨 등에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사용자가 상기 이차원 듀얼 모드에서 제1 및 제2 영상(101a, 101b)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인지하도록, 좌안 및 우안 셔터(211, 212)의 온오프를 상기 제1 및 제2 영상(101a, 101b) 중 어느 하나를 투과시키는 상태에서 다른 하나를 투과시키는 상태로 스위칭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이차원 듀얼 모드에서 도 3에서 도시된 제1 셔터 안경의 동작 상태는 제2 셔터 안경의 동작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능동형 셔터 안경(200)에는 입체 영상,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101a, 101b)에 대응하는 음향들을 수신하는 음향수신부(250)가 장착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음향수신부(250)로 상기 음향들을 송신하는 음향송신부(110a, 120a, 130a)가 장착된다.
음향송신부(110a, 120a, 130a)는 입체 음향 송신부(110a), 제1 및 제2 음향송신부(120a, 130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음향송신부(120a, 130b)는 상기 제1 및 제2 영상(101a, 101b)에 각각 대응하는 음향을 송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입체 음향 송신부(110a), 제1 및 제2 음향송신부(120a, 130b)은 각각 입체 영상 재생부, 제1 영상 재생부, 제2 영상 재생부(110, 120, 130)와 관련되도록 배치되며, 음향수신부(250)와 무선통신하도록 형성되는 무선통신 모듈이 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 모듈에는,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음향수신부(250)는 이차원 듀얼 모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영상(101a, 101b) 중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211, 212)를 통하여 투과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수신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음향송신부(120a, 130b)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즉, 음향수신부(250)는 동시에 여러 음향송신부(110a, 120a, 130b)에 연결가능한 근거리 통신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복수의 영상을 선택적으로 즐길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이차원 듀얼 모드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한 디스플레이 시스템(30) 및 능동형 셔터 안경(400, 500)에서 이차원 듀얼 모드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현재 스크린(302)에는 제1 영상(301a)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으며, 제1 셔터 안경(400)의 좌안 및 우안 셔터(411, 412)는 모두 온상태이며, 제2 셔터 안경(500)의 좌안 및 우안 셔터(511, 512)는 모두 오프 상태이다. 일정 시간 후에 스크린(302)에는 제2 영상(301b)이 디스플레이될 것이며, 제1 셔터 안경(400)의 좌안 및 우안 셔터(411, 412)는 모두 오프상태이며, 제2 셔터 안경(500)의 좌안 및 우안 셔터(511, 512)는 모두 온 상태가 된다. 이 때에, 제1 셔터 안경(400)에서는 제1 영상(301a)에 대응하는 음향이 출력되고, 제2 셔터 안경(500)에서는 제2 영상(301b)에 대응하는 음향이 출력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이차원 듀얼 디스플레이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먼저 사용자로부터 듀얼 모드 및 입체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받는다(S100).
만약, 듀얼 모드가 설정된다면, 즉, 능동형 셔터 안경이 제1 및 제2 영상 중 어느 하나를 투과시키도록 설정되면, 좌안 및 우안 셔터를 동시에 온오프되도록 제어한다(S200). 예를 들어, 좌안 및 우안 셔터의 온오프 주기는 각각 제1 영상을 투과시키도록 제1 영상의 디스플레이 주기와 동기화된다.
다음은, 상기 투과되도록 설정된 제1 또는 제2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능동형 셔터 안경에서 출력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영상이 투과되면, 제1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한다(S210).
만약 온오프의 동작 상태가 스위칭되면, 즉, 상기 능동형 셔터 안경이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중 다른 하나를 투과시키도록 설정되면,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의 온오프를 반전시킨다(S220). 이 때에는, 제2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한다(S230).
만약 입체 모드가 설정된다면, 즉, 능동형 셔터 안경이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을 교대로 투과시키도록 설정되면,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를 교대로 온오프시킨다(S300). 이 때에는, 제1 및 제2 영상이 형성하는 입체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한다(S310).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에 의하여, 입체 모드와 이차원 듀얼 모드의 시청이 모두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능동형 셔터 안경 및 그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3a 내지 도 3c는 각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른 영상 및 음향 출력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능동형 셔터 안경에서 이차원 듀얼 모드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Claims (14)

  1. 제1 및 제2 영상을 교대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능동형 셔터 안경을 포함하고,
    상기 능동형 셔터 안경은,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도록 온오프되는 좌안 및 우안 셔터를 구비하고, 상기 온오프의 주기가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의 교대 주기와 동기화되는 셔터부;
    사용자가 입체 영상을 인지하도록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를 교대로 온오프시키거나, 상기 제1 또는 제2 영상을 인지하도록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를 동시에 온오프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가 교대로 온오프되면 상기 입체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고, 동시에 온오프되면 상기 제1 또는 제2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설정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는,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이 동일한 영상으로 이루어지는 이차원 노멀 모드;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이 서로 다른 영상으로 형성되는 이차원 듀얼 모드; 및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이 각각 상기 입체 영상을 형성하는 좌안 및 우안 영상에 대응하는 입체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가 상기 이차원 노멀 모드이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또는 제2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가 상기 이차원 듀얼 모드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를 동시에 온오프시키고, 상기 음향출력부는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중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를 통하여 투과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가 상기 입체 모드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를 교대로 온오프시키고,
    상기 음향출력부는 상기 입체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받도록 형성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이차원 듀얼 모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인지하도록,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의 온오프를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중 어느 하나를 투과시키는 상태에서 다른 하나를 투과시키는 상태로 스위칭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의 온오프 상태를 스위칭시키는 명령을 입력받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능동형 셔터 안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형 셔터 안경에는 상기 입체 영상,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들을 수신하는 음향수신부가 장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상기 음향수신부로 상기 음향들을 송신하는 음향 송신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송신부는 상기 제1 및 제2 영상에 각각 대응하는 음향을 송신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음향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수신부는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이 서로 다른 영상으로 형성되는 이차원 듀얼 모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중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를 통하여 투과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수신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음향송신부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1.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도록 온오프되는 좌안 및 우안 셔터를 구비하고, 상기 온오프의 주기가 제1 및 제2 영상을 교대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교대 주기와 동기화되는 셔터부;
    사용자가 입체 영상을 인지하도록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를 교대로 온오프시키거나, 상기 제1 또는 제2 영상을 인지하도록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를 동시에 온오프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가 교대로 온오프되면, 상기 입체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고, 동시에 온오프되면 상기 제1 또는 제2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는 능동형 셔터 안경.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를 온오프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는,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이 동일한 영상으로 이루어지는 이차원 노멀 모드;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이 서로 다른 영상으로 형성되는 이차원 듀얼 모드; 및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이 각각 상기 입체 영상을 형성하는 좌안 및 우안 영상에 대응하는 입체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능동형 셔터 안경.
  13. 제1 및 제2 영상을 교대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도록 좌안 및 우안 셔터가 주기적으로 온오프되는 능동형 셔터 안경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능동형 셔터 안경이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중 어느 하나를 투과시키도록 설정되면,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를 동시에 온오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능동형 셔터 안경이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중 다른 하나를 투과시키도록 설정되면,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의 온오프를 반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투과되도록 설정된 제1 또는 제2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상기 능동형 셔터 안경에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형 셔터 안경이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을 교대로 투과시키도록 설정되면, 상기 좌안 및 우안 셔터를 교대로 온오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능동형 셔터 안경이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을 교대로 투과시키도록 설정되면,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이 형성하는 입체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90099892A 2009-10-20 2009-10-20 능동형 셔터 안경 및 그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10042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892A KR20110042996A (ko) 2009-10-20 2009-10-20 능동형 셔터 안경 및 그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892A KR20110042996A (ko) 2009-10-20 2009-10-20 능동형 셔터 안경 및 그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996A true KR20110042996A (ko) 2011-04-27

Family

ID=44048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892A KR20110042996A (ko) 2009-10-20 2009-10-20 능동형 셔터 안경 및 그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29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604B1 (ko) * 2011-08-12 2013-01-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화상 구현 시스템 및 방법
WO2013054974A1 (ko) * 2011-10-14 2013-04-18 주식회사 플렉스엘시디 리모컨 기능을 탑재한 입체영상안경
CN113225548A (zh) * 2021-03-24 2021-08-06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非主视角图像获取方法、单帧眼镜和虚拟现实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604B1 (ko) * 2011-08-12 2013-01-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화상 구현 시스템 및 방법
WO2013054974A1 (ko) * 2011-10-14 2013-04-18 주식회사 플렉스엘시디 리모컨 기능을 탑재한 입체영상안경
CN113225548A (zh) * 2021-03-24 2021-08-06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非主视角图像获取方法、单帧眼镜和虚拟现实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91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3D shutter glasses to a television refresh rate
JP5856090B2 (ja) ディスプレイ映像視聴用のメガネ装置
US201101342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Shutter Glasses To A Display Device Refresh Rate
EP2611152A2 (en) Display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display method and imaging processing thereof
CA2806995A1 (en) Multiple simultaneous programs on a display
KR10130978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WO2011086653A1 (ja) 映像出力装置、映像表示システム
KR20110029319A (ko) 영상 처리 시스템 및 영상 처리 방법
US20160029013A1 (en) Imag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JP2011188118A (ja) 表示装置、システム、及びメガネに関する
US20130169603A1 (en) Glasses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ntent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verting mode of display apparatus
JP5657313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20120099195A1 (en) Eyewear,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system employing the same, and method of allowing viewing of image
TW201215089A (en) Method for controlling ambient brightness perceived via three-dimensional glasses, three-dimensional glasses, and video display device thereof
KR20140007708A (ko)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안경장치
JP2012205132A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KR20110042996A (ko) 능동형 셔터 안경 및 그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
US99551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and watching a video
WO2012062174A1 (zh) 单屏幕多频同步2d及3d影音系统
JP2012108344A (ja) プロジェクター、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KR101078768B1 (ko) 다종영상물 동시 시청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시스템
KR101148636B1 (ko) 다중 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315988B1 (ko) 디스플레이 영상 시청용 안경 장치
KR101563944B1 (ko) 명암조절기능을 갖는 다중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
JP5562452B2 (ja) 表示方法、表示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086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215

Effective date: 2017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