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2767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2767A
KR20110042767A KR1020090099585A KR20090099585A KR20110042767A KR 20110042767 A KR20110042767 A KR 20110042767A KR 1020090099585 A KR1020090099585 A KR 1020090099585A KR 20090099585 A KR20090099585 A KR 20090099585A KR 20110042767 A KR20110042767 A KR 20110042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signal
content
viewing environment
viewing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9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2767A/ko
Publication of KR20110042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의 시청환경이 설정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시청환경을 적용하여,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의 시청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2 방송신호에 각각 포함된 동일한 콘텐츠는 동일한 시청 환경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시간 채널의 시청환경을 인터넷 채널의 시청환경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디스플레이장치는 방송사에서 제작하는 콘텐츠(contents)를 지상파, 케이블 또는 위성방송 등의 전파 전달 매체를 통해서 송출하고, 사용자는 상기 각 전달 매체를 수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수상기를 통해 시청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기반의 디스플레이장치 기술이 개발되고 상용화되면서, 기존의 전파 매체 외에도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 CoD(Contents on Demand), 게임, 뉴스 등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 인터넷 망을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제공의 예로서 IPTV(Internet Protocol TV)를 들 수 있다. 상기 IPTV는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 서비스, 동영상 컨텐츠 및 방송 등을 전송하여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인터넷 망을 이용한 서비스의 경우, 일반 지상파 방송이나 위성방송 등과 달리, 양방향성이 추가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이 편리한 시간에 자신이 보고 싶은 콘텐츠 서비스를 시청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시청환경을 용이하게 설정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의 시청환경이 설정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시청환경을 적용하여,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의 시청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2 방송신호에 각각 포함된 동일한 콘텐츠는 동일한 시청 환경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제 1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수신부; 제 2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수신부; 상기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의 시청환경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시청환경 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의 시청환경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콘텐츠의 시청환경을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시청환경으로 공유하여 사용함으로써, 별도로 상기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에 대한 시청환경을 설정하지 않아도 되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대해서 기술하여 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 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
즉,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TV의 시스템 계층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IPTV의 시스템 계층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PTV 시스템은 컨텐트 공급자(content provider), 서비스 공급자(service provider), 네트워 크 공급자(network provider), 사용자(consumer) 계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컨텐트 공급자는 서비스 공급자에게 컨텐트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며, 컨텐츠 제공자라고도 한다.
상기 서비스 공급자는 가입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며, 다양한 컨텐츠를 수집하여 IP 환경에 맞게 신호를 변형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여기서 서비스 공급자는 가상의 존재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공급자는 사용자와 서비스 공급자를 IP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전송 시스템은 접속망(access network) 또는 기간망(backbone network)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 망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컨텐츠를 제공받아, 방송을 수신하는 계층으로, IPTV, 셋탑 박스(set top box), PC 또는 IP Phone 등이 있다.
이하에서 IPTV의 개념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2는 IPTV의 시스템의 특성도를 나타낸다.
도 2을 참조하면, IPTV의 시스템 계층은 크게 컨텐트 공급자(Content Provider), 서비스 공급자 (Service Provider), 사용자(Consumer)로 구분할 수 있다.
컨텐트 공급자는 다른 말로 플랫폼 공급자(Platform Provider)라고도 한다. 이 세 가지 그룹들은 각자 하는 역할이 다른데, 컨텐트 공급자(content provider)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모든 서비스와 데이터를 제공하는 하나의 큰 그룹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공급자(Service Provider)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Customer)에게 컨텐츠의 안정적인 수신이 될 수 있도록 전송망의 유지 보수 관리 그리고 컨텐트 공급자(content provider)에게는 네트워크 전송을 할 수 있는 기반 시설과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Consumer) 그룹은 xDSL이나 케이블과 같은 기반시설을 이용하여 들어온 데이터를 재생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즉시 반응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대부분이 IPTV를 생산하는 업체들로 구성이 되고, 그 종류들은 IPTV, 셋탑 박스(set top box), PC 또는 IP Phone 등등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IP Phone은 직접적으로 IPTV와의 연관관계는 없으나, 일반적으로 IPTV가 있으면, 폰 서비스도 같이 서비스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각각의 그룹에 대하여 자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컨텐트 공급자(content provider) 그룹은 방송 프로그램을 만드는 TV Station, Radio Station이 있을 수 있다.
TV Station은 기존의 지상파나 케이블 방송국을 의미하며, 이러한 방송국은 사용자들이 시청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저장하고 이를 디지털로 바꾸어서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방송형태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Radio Station은 일반 라디오 방송국을 의미하며, 비디오 채널이 때에 따라서 있을 수도 있지만, 대부분 비디오 채널이 없이 운영된다고 볼 수 있다.
VoD, AoD, MoD 서비스는 TV Station이나 Radio Station과는 다른 특성을 가 진다. 즉, VoD나 AoD의 경우에는 내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 혹은 영화, 음악 들을 저장해 놓고 나서 재생하여 볼 수 있도록 서비스해준다. 예를 들어 현재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시간이 없어서 제대로 보지 못했던 방송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 이러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해서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받거나 바로 재생을 해서 볼 수 있다.
AoD도 마찬가지로 오디오 프로그램을 녹화하기 어렵거나 실시간으로 들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MoD 서비스는 Music On Demand의 약자로 내가 원하는 음악을 다운로드 받아서 들을 수 있다. 이것은 마치 AoD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그 서비스의 대상은 음반사들 되거나 음반 배포사가 기존의 웹 서비스를 확대하여 가능성이 높다.
PF 서버는 컨텐트 공급자(content provider)가 제공하는 모든 방송 정보와 Location 정보 등을 대신 관리해주는 업체가 서비스를 한다. 이 서비스는 주로 해당 방송국의 방송 시간이나 방송에 필요한 위치 정보 및 사용자(Customer)가 접속을 할 수 있는 정보를 담고 있다.
EPG 서비스는 방송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시간대 별로 조회하고, 채널별로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편리한 서비스 중에 하나이다. EPG 서비스는 이미 TV Guide 사에서 제공하는 형태가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로,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Customer 측에 설치가 되어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ECG 서비스는 컨텐트 공급자(content provider)가 가지고 있는 Content의 정보와 접속 서버의 위치 및 접근 권한 등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능을 가지고 있다. 간단히 말하면 Content를 가지고 있는 서버들을 쉽게 접속하도록 하는 기능과 Content의 정보를 상세하게 알려 주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Content Guide : EPG) 이다.
Portal Server는 각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웹서비스로 방송국이나 Content를 서비스하는 업체의 웹서버로 연결이 된다. Portal Server의 역할은 각 방송국이나 Content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트 공급자(content provider)들이 제공하는 프로그램 리스트를 검색하거나 리스트를 볼 수 있다.
서비스 공급자(Service Provider)는 컨텐트 공급자(content provider)에서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방송 데이터들이 정상적으로 전송되도록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대역폭을 제공한다.
서비스 공급자(Service Provider)들은 기존의 케이블 망을 이용하여 IPTV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전송 네트워크(Delivery Network)의 장비들의 변경이 필요하다.
즉, 실시간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는 네트워크 장비들로 구성을 해야 하고, Customer에도 대역폭을 감안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해야 한다. 이러한 장비들은 IPTV의 기본적인 네트워크 서비스인 Multicast 서비스를 사용하여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을 처리하여 대역폭을 줄여야 한다.
대역폭이 확보되지 못할 경우에는 Service Provider에서 대역폭을 확보하려 는 노력으로 광케이블 망 구성이나 컨텐트 공급자(content provider)로부터 오는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들을 다시 Transcode하여 MPEG-4 나 MPEG-7과 같은 형태로 변형해서 전송할 수도 있다.
Service Provider에서는 이를 위해서 크게 몇 가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데 크기 NMS(Network Management System), DHCP(Dynamic Host Control Protocol) 그리고 CDN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NMS 서비스는 Service Provider가 각 Customer에게 까지 전송할 수 있는 Delivery Network 와 Customer의 IPTV 수신기를 관리하도록 한다. 즉, 이 서비스를 이용하여 어떤 방송에 대하여 얼마만큼의 트래픽이 발생하고 있고, 어떤 지역에서 대역폭이 모자라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DHCP 서비스는 Customer 의 IPTV 수신기에게 자동적으로 IP를 할당할 수 있도록 하고, CDN 서버의 주소를 알려 주는데 사용한다. DHCP 서비스는 일반 네트워크에서도 PC에 IP를 할당하는 좋은 수단이 되고 있다. 사용이 허락된 IPTV 수신기에게 접속할 수 있는 주소를 전송해 주어 사용자가 최초 접속할 때 등록 절차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CDN 서비스는 Service Provider가 제공하는 데이터로 IPTV 수신기가 최초로 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할 때, DHCP서비스에 의하여 IP를 받으면서 CDN 정보를 Service Provider에게 수신받게 된다. 이 정보는 IPTV 사업자의 사용자의 등록이나 인증 그리고 앞서 언급했던 PF 정보들을 담고 있다.
Customer는 여러 가지 형태의 IPTV 수신기를 가질 수 있다. 일반 TV를 가지 고 있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IPTV STB를 임대하여 저렴하게 IPTV를 즐길 수 있으며, 서비스 공급자(Service Provider)가 저렴한 가격으로 추가적인 서비스 비용을 지불하고 IP Phone도 함께 신청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IPTV 수신기는 기본적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Network Interface가 있고, 인터넷 프로토콜을 가지고 있어서 Network로부터 들어오는 데이터 패킷을 받아 처리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에는 화면에 재생할 수 있고, 리모컨으로 조작할 경우,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로 신속하게 전송해서 해당 정보를 서버에서 얻어 반응을 해야 한다.
즉, IPTV 수신기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면서 양방향으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전송할 수 있도록 동작해야 한다. 또한 Service를 잘 이용할 수 있도록 리모컨에 IPTV용 버튼들로 제공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제 1 수신부(10), 제 2 수신부(20), 제 1 방송신호 처리부(30), 제 2 방송신호 처리부(40), 출력부(50), 사용자 조작부(60), 저장부(70) 및 제어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수신부(10)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제 1 방송신호를 수신하며, 제 2 수신부(20)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제 2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즉, 상기 제 1 및 2 방송신호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서로 다 른 입력 경로를 통해 각각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입력 포트들을 구비하며, 각각의 입력 포트를 통해 지상파 방송신호, 유선 케이블 방송신호, 위성 방송신호 및 IPTV 방송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및 2 방송신호는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방송신호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또는 위성 방송으로부터 제공되는 실시간 방송 신호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주파수 대역별로 콘텐츠가 할당되어 수신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수신부(10)는 튜너(Tuner)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튜너는 안테나 또는 케이블 등을 통해 제공되는 제 1 방송신호 중 특정 채널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방송신호를 선국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 1 방송신호는 주파수 대역별로 복수의 콘텐츠들이 각각 할당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및 위성 방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는 아날로그 데이터 또는 디지털 데이터 일 수 있다.
또한, 제 2 방송신호는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IPTV 방송신호일 수 있으며, 이 경우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별로 콘텐츠가 할당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수신부(120)는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에 대응되는 URL 또는 IP 어드레스로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넷통신부,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etwork Interface Card : NIC)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제 1 수신부(10)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제 2 수신부(20)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가 서로 다른 입력 포트 또는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제공되는 제 1 및 2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및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중 동일한 콘텐츠에 대해서는 동일한 시청환경을 설정함으로써, 콘텐츠 시청을 위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방송신호 처리부(30)는 상기 제 1 수신부(10)를 통해 수신된 제 1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하고, 제 2 방송신호 처리부(40)는 상기 제 2 수신부(20)를 통해 수신된 제 2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한다.
즉, 상기 제 1 방송신호 처리부(30)는 튜닝된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VSB(Vestigial Sideband)복조과정 및 오류정정과정 등을 거쳐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태로 출력하는 디모듈레이터와, 상기 디모듈레이터를 통해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 및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정보로 정의되는 각종 부가 데이터로 분리하여 비트 스트림 형태로 출력하는 디멀트플렉서와, 상기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MPEG-2 디코더와, 상기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부(50)의 출력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비율 등 에 맞도록 변환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한다
출력부(50)는 상기 신호처리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출력부(50)는 비디오 데이터가 출력되는 비디오 출력부와, 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되는 오디오 출력부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비디오 출력부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출력부는 스피커가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조작부(6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요구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요구 명령에 대응되는 키 정보를 후술할 제어부(80)에 전달한다. 여기에서, 상기 입력될 수 있는 요구 명령에는 채널 선택 명령, 채널 전환 명령, 전원 온/오프 명령, 볼륨 조절 명령, 입력 모드 전환 명령 및 기능 설정 명령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사용자 조작부(6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요구 명령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저장부(70)는 상기 사용자 조작부(60)에 의해 설정된 제 1 방송신호에 대한 시청 환경 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상기 저장부(70)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시청 환경 정보에는 채널 블록 정보, 채널 숨김 정보, 시청 등급 설정 정보 및 음성/영상 모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저장부(70)에는 상기 제 1 방송신호에 대한 제 1 채널 맵(110), 제 2 방송신호에 대한 제 2 채널 맵(120), 상기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의 채널 블록 정보(130),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의 채널 숨김 정보(140),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의 시청 등급 정보(150) 및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의 영상/음성 모드 정보(160) 등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채널 블록 정보는 특정 채널의 시청을 제한하기 위해 설정하며, 채널 숨김 정보는 채널맵상에서 해당 채널의 정보가 제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설정되며, 시청 등급 설정 정보는 특정 시청 등급을 초과하는 콘텐츠에 대한 시청을 제한하기 위해 설정하며, 음성/영상 모드 정보는 각 채널에서 제공되는 콘텐츠의 출력 상태를 조정하기 위해 설정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에 대해서만 상기와 같은 시청환경을 설정하고 있다.
즉, 기존에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와 같은 제 1 방송신호만이 제공되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제 1 방송신호에 대해서만 시청환경을 설정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방송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터넷을 통해 수신되는 제 2 방송신호도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대한 시청환경도 설정해야 한다. 하지만, 상기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와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에는 중복되는 동일한 콘텐츠가 다수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상기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에 대한 시청환경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의 시청환경을 자동을 설정한다.
이하,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의 시청환경 설정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8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80)는 사용자 조작부(60)에 의해 상기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의 시청환경이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시청 환경을 상기 저장부(70)에 저장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저장된 시청환경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의 시청환경을 설정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중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에 대해서는 상기 저장된 시청환경과 동일한 시청환경을 설정한다.
즉,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저장된 시청환경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중 채널 블록이 설정된 콘텐츠를 확인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중 사용자에 의해 채널 블록이 설정되어 시청이 제한된 콘텐츠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확인한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가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상기 동일한 콘텐츠를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에서 검색한다.
즉, 일반적으로 상기 제 2 수신부(20)를 통해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별 요약 정보는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데이터 또는 ATOM 데이터 포맷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2 수신부(20)에서 수신되는 제2 방송 신호는 콘텐츠별 요약 정보를 가지는 RSS 데이터 또는 ATOM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송 신호의 RSS 데이터 또는 ATOM 데이터는 콘텐츠의 명칭 및 콘텐츠가 위치하는 URL 또는 IP 어드레스, 그 밖에 상기 콘텐츠를 대표하는 썸네일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제2 방송 신호로부터 획득되는 콘텐츠별 요약 정보에 대한 일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인터넷을 통해 수신 가능한 복수의 콘텐츠들은 MBC 방송, KSB1 방송, KBS2 방송 및 XTM 방송을 포함하며, 콘텐츠별 요약 정보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 각각에 대해 콘텐츠 명 및 해당 IP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KBS1'라는 콘텐츠 명을 가지는 KBS1 방송 콘텐츠는 IP 어드레스 '111.111.11.111'에 대응되며, 상기 KBS1 선택 시, 제 2 수신부(20)는 상기 IP 어드레스 '111.111.11.111'에 대응되는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KBS1 방송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2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별 요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콘텐츠 검색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동일한 콘텐츠가 검색되었다면, 상기 검색된 콘텐츠에 대한 시청환경을 설정한다. 즉, 상기 검색된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가 채널 블록이 설정되었기 때문에, 상기 콘텐츠에 대해서도 채널 블록을 설정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중 채널 숨김이 설정된 콘텐츠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상기 확인된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를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로부터 검색하며, 그에 따라 상기 검색된 콘텐츠의 채널 숨김을 설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 1 방송신호에 대응되게 설정된 시청 등급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상기 설정된 시청 등급을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에도 그대로 적용하여,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중 상기 시청 등급을 벗어나는 콘텐츠에 대해서는 시청을 제한한다.
예를 들어,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중 'KBS 1'이라는 콘텐츠가 채널 블록이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중 'KBS 1'이라는 콘텐츠를 검색하고, 그에 따라 상기 검색한 콘텐츠의 채널 블록을 설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80)는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에 대한 시청환경을 이용하여,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에 대한 시청환경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로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에 대한 시청환경을 설정하지 않아도, 최적의 시청환경이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콘텐츠의 시청환경을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시청환경으로 공유하여 사용함으로써, 별도로 상기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에 대한 시청환경을 설정하지 않아도 되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조작부(60)로부터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의 시청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시청환경 설정을 위한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메뉴화면상에서 상기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에 대한 시청 환경을 설정받는다(100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에 대한 시청환경이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시청 환경을 상기 저장부(70)에 저장한다(110단계).
또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저장된 시청 환경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수신부(20)를 통해 수신되는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의 시청환경을 설정한다(120단계). 즉,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중 상기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를 검색하고, 그에 따라 상기 검색된 콘텐츠의 시청환경을 상기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의 시청환경과 동일하게 설정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어부(80)는 제 1 방송신호 및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중 동일한 콘텐츠에 대해 동일한 시청환경을 설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채널 블록 설정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저장된 시청환경을 이용하여, 상 기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중 채널 블록이 설정된 콘텐츠를 확인한다(200단계). 즉,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중 채널 블록이 설정된 콘텐츠의 부가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방송국 정보, 방송 명칭 정보 등을 확인한다.
상기 채널 블록이 설정된 콘텐츠가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 2 수신부(20)를 통해 수신되는 제 2 방송신호의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데이터 및 ATOM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확인된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를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에서 검색한다(210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단계(210단계)에서 상기 채널 블록이 설정된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가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에서 검색되었는지 확인한다(220단계).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동일한 콘텐츠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콘텐츠에 대해 채널 블록을 설정하여 시청을 제한한다(230단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채널 숨김 설정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저장된 시청환경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중 채널 숨김이 설정된 콘텐츠를 확인한다(300단계). 즉,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중 채널 숨김이 설정된 콘텐츠의 부가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방송국 정보, 방송 명칭 정보 등을 확인한다.
상기 채널 숨김이 설정된 콘텐츠가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 2 수신부(20)를 통해 수신되는 제 2 방송신호의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데이터 및 ATOM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확인된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를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에서 검색한다(310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단계(310단계)에서 상기 채널 숨김이 설정된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가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에서 검색되었는지 확인한다(320단계).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동일한 콘텐츠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콘텐츠를 제 2 채널 맵상에서 숨겨, 상기 콘텐츠의 시청을 제한한다(330단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청 등급 설정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저장된 시청환경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에 대해 설정된 시청 등급을 확인한다(400단계).
상기 설정된 시청 등급이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 2 수신부(20)를 통해 수신되는 제 2 방송신호의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데이터 및 ATOM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확인된 시청 등급을 벗어나는 콘텐츠를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에서 검색한다(410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단계(410단계)에서 상기 시청 등급을 벗어나는 콘텐츠가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에서 검색되었는지 확인한다(420단계).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시청 등급을 벗어나는 콘텐츠가 검색되었다면, 상기 검색된 콘텐츠의 시청을 제한한다(430단계).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콘텐츠의 시청환경을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시청환경으로 공유하여 사용함으로써, 별도로 상기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에 대한 시청환경을 설정하지 않아도 되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TV의 시스템 계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TV 시스템의 특성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저장부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상기 제2 방송 신호로부터 획득되는 콘텐츠별 요약 정보에 대한 일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채널 블록 설정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채널 숨김 설정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청 등급 설정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Claims (13)

  1.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의 시청환경이 설정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시청환경을 적용하여,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의 시청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2 방송신호에 각각 포함된 동일한 콘텐츠는 동일한 시청 환경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송 신호 및 제 2 방송신호는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송신호는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콘텐츠이며,
    상기 제 2 방송신호는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환경은 채널 블록 정보, 채널 숨김 정보 및 시청 등급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의 시청 환경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의 시청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중 채널 블록이 설정된 콘텐츠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를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로부터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콘텐츠의 채널 블록을 설정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의 시청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 중 채널 숨김이 설정된 콘텐츠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를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로부터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대응되는 채널 맵에서 상기 검색된 콘텐츠를 숨기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의 시청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방송신호에 대응되게 설정된 시청 등급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한 시청 등급을 벗어나는 콘텐츠를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로부터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콘텐츠의 시청을 제한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6, 7 및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제 2 방송신호는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데이터 및 ATOM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데이터 및 ATOM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의 검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1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수신부;
    제 2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수신부;
    상기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의 시청환경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 부; 및,
    상기 제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의 시청환경이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시청환경을 적용하여 상기 제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의 시청환경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신부 및 제 2 수신부는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방송신호 및 제 2 방송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1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의 시청환경 정보와 동일하게 상기 2 방송신호에 포함된 콘텐츠의 시청환경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2 방송신호에 각각 포함된 동일한 콘텐츠에 대해 동일한 시청 환경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90099585A 2009-10-20 2009-10-20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100427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585A KR20110042767A (ko) 2009-10-20 2009-10-20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585A KR20110042767A (ko) 2009-10-20 2009-10-20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767A true KR20110042767A (ko) 2011-04-27

Family

ID=44048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585A KR20110042767A (ko) 2009-10-20 2009-10-20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27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9459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adaptive broadcast signal and method thereof
KR20110025416A (ko) 네트워크 tv의 펌웨어 분할 업데이트 방법
CN104270679A (zh) 一种dvb直播和网络点播相结合的方法及装置
JP4999431B2 (ja) 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
JP7099868B2 (ja) 伝送波の処理方法
EP34660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 multimedia content distribution
WO2021117808A1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デジタル放送変調波の伝送方法
JP7102220B2 (ja) 伝送波の処理方法
KR20110120507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특징 정보 설정 방법
KR101692556B1 (ko) 채널 정보 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JP2022507914A (ja) 非atsc3.0サービス上で動作する高度テレビシステムズ委員会(atsc)3.0アプリケーション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101462279B1 (ko) Iptv에서의 시청 예약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1603113B1 (ko) Iptv 방송 수신기 및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수신 방법
KR20110042767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10051435A (ko) 네트워크 tv 및 그 제어 방법
KR10156446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채널 설정 방법
JP2021093662A (ja) デジタル放送変調波の伝送方法
JP2021083028A (ja) 放送受信装置
JP2021087115A (ja) デ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
JP2021082980A (ja) 表示制御方法
KR20110003921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콘텐츠 제공 방법
KR20160126537A (ko) 전자장치, 그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기록매체 및 iptv 시스템
KR20110085625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컨텐츠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